KR20190093373A - 글라스 수납 카세트 - Google Patents
글라스 수납 카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3373A KR20190093373A KR1020180012933A KR20180012933A KR20190093373A KR 20190093373 A KR20190093373 A KR 20190093373A KR 1020180012933 A KR1020180012933 A KR 1020180012933A KR 20180012933 A KR20180012933 A KR 20180012933A KR 20190093373 A KR20190093373 A KR 20190093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glass
- wire
- assembly
- frame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면적을 글라스를 다층으로 적재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글라스 수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글라스 수납 카세트는, 적어도 측면 일방이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글라스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선형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선형 와이어 각각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픽싱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각각이 상기 픽싱 어셈블리를 복수로 고정하는 복수의 사이드 종대를 포함하고,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파지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고정구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고정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글라스 수납 카세트에 따르면, 소정 규격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고정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와이어에 대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텐션을 부가하면서도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수납된 글라스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립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대면적을 글라스를 다층으로 적재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글라스 수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글라스는 대면적임에도 불구하고 두께가 얇아 외부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다층으로 적재하여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목적으로 전용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가 이용된다.
전통적인 글라스 수납 카세트는 글라스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측면 일방이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측부 내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경질의 서포트 핑거를 쌍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하되 이러한 서포트 핑거 쌍을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다단 형성한 형태가 일반적이고, 복수의 글라스 각각은 각각의 서포트 핑거 쌍에 의해 양 측단이 지지된 형태로 다단 적재되어 수납된다.
이러한 서포트 핑거을 이용한 카세트의 경우 글라스 중앙을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면적 글라스의 휨변형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지지요소로서 프레임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선형의 와이어를 이용한 카세트가 유리하게 적용되고 있고, 그 일예가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49212호, 제10-2010-010454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49212호, 제10-2010-0104549호를 비롯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를 지지요소로 하는 카세트의 경우 와이어의 고정은 소정 규격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고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가 있다. 먼저, 와이어의 단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구를 강제 변형시키거나 양자를 용접한 후 체결구를 매개로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사용에 따라 소성 인장변형으로 텐션이 열화된 와이어를 교체하기 위해 회복 불능의 체결구와 와이어 일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와이어는 기준치 텐션을 만족하여야 하고, 이러한 기준치 텐션을 기본적으로 와이어의 길이에 의존하기 때문에, 카세트 신규 조립과정에서 와이어의 가공공차 또는 사용과정에서 와이어의 소성 인장변형으로 인해 와이어가 기준치 텐션을 벗어나는 불량을 즉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일단 고정된 와이어에 대한 텐션 조절이 불가하여 소성 인장변형으로 길이가 늘어난 와이어에 대해서는 재활용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폐기 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과정에 수반되는 와이어의 진동이 심한 경우 글라스에 대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절히 완충하는 수단이 없다. 기타, 와이어를 파지한 체결구를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시 체결구가 프레임 어셈블리 외측으로 과도하게 노출됨으로써 외관이 좋지 않고 별도의 마감작업을 요하는 문제도 수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와이어에 대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텐션을 부가하면서도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수납된 글라스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립 외관이 개선된 글라스 수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1) 적어도 측면 일방이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글라스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선형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선형 와이어 각각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픽싱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각각이 상기 픽싱 어셈블리를 복수로 고정하는 복수의 사이드 종대를 포함하고,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파지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고정구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고정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2) 상기 고정구는,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앙홀; 및 측면으로부터 상기 중앙홀로 연통되는 나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는 무두볼트에 의해 상기 (1)의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3)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와이어의 측방향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슬릿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4) 상기 고정블록은 횡방향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 및 스프링은 상기 횡방향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5) 상기 체결부재는 한쌍의 체결볼트로 제공되어 상기 횡방향 수용홈의 좌우에서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6) 상기 고정블록은 종방향 수용홀에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 및 스프링은 상기 종방향 수용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7)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종방향 수용홀로부터 도입되어 볼트 머리가 고정블록을 와이어 텐션 반대방향으로 당겨 지지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사이드 종대 외부로 도입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8) 상기 수용홀 내측벽에는 상기 볼트 머리가 함입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9) 상기 종방향 수용홀의 내측에는 스프링에 대한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10)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상기 사이드 종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종대에 구비된 가이드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식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텐션의 강약에 따라 상기 식별돌기가 상기 가이드공 안팎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11)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고정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 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12)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고정블록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글라스 수납 카세트.
(13) 상기 사이드 종대는 상기 픽싱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단면 'ㄷ' 형 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14) 상기 사이드 종대는 상기 체별부재의 외부 돌출을 억제하기 위한 단면 'ㄷ'형 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15)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종대에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양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사이드 횡대; 및 상기 격자형 양 측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격자의 교차점에 그 단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크로스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종대의 외측에는 상기 사이드 횡대가 안착 수용되는 단차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16)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각각의 선형 와이어 양쪽 단부에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글라스 수납 카세트.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수납 카세트에 따르면, 소정 규격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고정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와이어에 대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텐션을 부가하면서도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수납된 글라스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립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수납 카세트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종대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와 프레임 어셈블리 간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수납 카세트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종대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와 프레임 어셈블리 간 결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종대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와 프레임 어셈블리 간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수납 카세트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종대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와 프레임 어셈블리 간 결합 상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부품요소 각부에 형태나 부품요소간 결합과 과련된 방위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1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 또는 종방향을 등가로 하고, 수평방향 또는 횡방향을 등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수납 카세트(10)(이하, '카세트(10)'라 약칭함)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픽싱 어셈블리(300)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픽싱 어셈블리(300)의 분해도, 도 4는 사이드 종대(11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는 픽싱 어셈블리(300)와 프레임 어셈블리(100) 간 결합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카세트(10)는 적어도 측면 일방이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어셈블리(100);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글라스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선형 와이어(200); 및 상기 복수의 선형 와이어(200) 각각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픽싱 어셈블리(3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카세트(10)의 외곽 프레임을 구성하며 글라스에 대한 내부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하나의 글라스(도면 미도시)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일군의 와이어(200) 그룹에 의해 수행되고, 이러한 수평방향 와이어(200) 그룹이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다단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글라스가 수납공간 내에 다단 수납된다. 글라스의 수납작업은 로봇 암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공정간에서 글라스가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의 이동 경로 중간에 카세트(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카세트(10)를 순차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이동되는 글라스를 상하 와이어(200)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프레임 요소로는 상호 볼트 결합되는 사이드 종대(110), 사이드 횡대(120) 및 크로스 지지대(130)로 예시되어 있다. 복수의 사이드 종대(110)와 복수의 사이드 횡대(120)가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카세트(10)의 양 측벽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복수의 크로스 지지대(130)가 제공되어 상기 격자의 교차점에 그 단부가 지지되는 구조이다. 각 프레임 요소의 역할 측면에서, 상기 사이드 종대(110) 픽싱 어셈블리(300)를 복수로 수용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이드 횡대(120)는 카세트(10) 측벽을 구성하도록 동일 평면상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종대(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크로스 지지대(130)는 선형 와이어(200)의 양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사이드 종대(110) 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상기 사이드 종대(110)의 형상 및 구조와 관련된다. 도 4를 참조할 때, 사이드 종대(110)는 단면 'ㄷ'형 내홈(112)을 구비하고, 내홈(112) 내부에는 픽싱 어셈블리(300)가 종방향으로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수용되며 이에 따라 상하 와이어(200) 간 피치 간격도 균일하게 된다. 또한 사이드 종대(110)는 단면 'ㄷ'형 외홈(114)을 구비하고, 외홈(114) 내부에는 픽싱 어셈블리(300) 중 외부에 노출되는 체결부재(330)가 카세트(10) 외부로 과도한 돌출이 억제된 상태로 수용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카세트(10) 전체 외관이 개선되며 돌출된 체결부재(330)를 은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작업은 불필요하다. 또한 사이드 종대(110)의 외측에는 사이드 횡대(120)가 안착 수용되는 단차홈(116)이 구비됨으로써, 사이드 종대(110)와 사이드 횡대(120)의 결합에 따른 격자형 측벽에 대한 외관이 개선될 뿐 아니라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전체적인 견고함이 향상된다. 사이드 종대(110)에는 결합될 픽싱 어셈블리(300)에 대응하여 가이드공(119) 및 체결공(118) 그룹이 구비되며, 이러한 가이드공(119) 및 체결공(118) 그룹은 사이드 종대(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와이어(200) 간 기준 피치간격에 따라 일정하게 미리 가공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중간의 하나의 가이드공(119)과 그 양쪽에 2개의 체결공(118)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상기 사이드 종대(110)에 결합되는 픽싱 어셈블리(300)의 형상 및 구조와 관련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픽싱 어셈블리(300)는 고정구(310), 고정블록(320), 체결부재(330) 및 스프링(340)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330)는 한쌍의 체결볼트(332a, 332b)로 예시되어 있으며, 한쌍의 체결볼트(332a, 332b)는 사이드 종대(110)의 체결공(118) 각각을 통과하여 고정블록(320)의 나사공(321)에 결합된다. 이 경우 고정블록(320)은 사이드 종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310)는 와이어(200)의 단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고정구(310)에는 와이어(2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앙홀(312); 및 측면으로부터 상기 중앙홀(312)로 연통되는 나사홀(314);을 가공되어 있다. 나사홀(314)에는 와이어(200) 고정을 위한 무두볼트(316)가 결합된다. 즉, 와이어(200) 단부가 상기 주앙홀 내부로 도입된 후 나사홀(314)을 통해 전진되는 무두볼트(316)에 의해 가압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를 위해 열화된 와이어(200)를 픽싱 어셈블리(300) 내지 고정구(310)로부터 해체하는 작업도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와이어(200)를 지지요소로 하는 가세트의 경우 와이어(200)가 글라스의 휨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기 위해서는 미리 결정된 기준치 텐션을 만족하여야 하고, 이러한 기준치 텐션은 특정 재질의 와이어(200) 자체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카세트(10)의 신규제작과정에서 와이어(200)의 가공공차 또는 사용과정에서 와이어(200)의 소성 인장변형에 따른 기준치 텐션으로부터의 이탈 또는 와이어(200)간 텐션의 불균일에 따른 불량 발생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은 카세트(10)의 유지 보수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와이어(200) 텐션의 적절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기 픽싱 어셈블리(300)에 식별돌기(319)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돌기(319)는 고정구(310)의 외측 단부측에 구비된다. 픽싱 어셈블리(300)가 조립되어 사이드 종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돌기(319)는 사이드 종대(110)에 구비된 가이드공(119)에 삽입된 상태에 놓여져 와이어(200) 텐션의 강약에 따라 픽싱 어셈블리(300)의 스프링(340)의 작용에 의해 가이드공(119) 안팎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예컨대, 와이어(200)에 대한 가공공차가 기준치 보다 크거나 사용과정에서 와이어(200)가 소성 인장변형에 의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와이어(200) 텐션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식별돌기(319)가 가이드공(119) 밖으로 돌출되고, 반대의 경우 와이어(200) 텐션이 스프링(340)의 탄성력 보다 커지게 됨으로써 식별돌기(319)는 가이드공(119)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식별돌기(319)의 가이드공(119) 안팎으로 돌출된 정도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기준치 대비 와이어(200)의 길이 또는 텐션의 적절성 여부를 카세트(10) 제작 및 사용 과정에서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고정블록(320)은 스프링(340) 및 고정구(310)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고정블록(320)의 전면에는 한쌍의 체결볼트(332a, 332b) 각각이 결합되는 나사공(321) 쌍으로 형성되고, 나사공(321) 사이에는 횡방향 수용홈(324)이 구비된다. 고정구(310) 및 스프링(340)은 상기 횡방향 수용홈(324)에 수용된다. 횡방향 수용홈(324)의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됨으로써, 고정구(310)는 스프링(340)에 의해 수용홈 내에서 지지된다. 사이드 종대(110)에 고정하기 전단계에서 와이어(200) 단부와 픽싱 어셈블리(300) 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블럭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와이어(200)의 측방향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슬릿(322)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340)은 고정블록(320) 내에서 상기 고정구(3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과정에서 수반되는 와이어(200)의 진동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되어 소산될 수 있고, 또한 와이어(200)에 대해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텐션이 인가되더라도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한 완충될 수 있어, 와이어(200) 자체 또는 이에 적재된 글라스의 순간적인 휨변형에 따른 손상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스프링(340)에 의한 이러한 완충 작용을 증가시키는 한편 픽싱 어셈블리(300)를 이용한 와이어(200) 단부의 파지 및 프레임 어셈블리(100)로의 조립과정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픽싱 어셈블리(300)는 각각의 선형 아이어 양쪽 단부에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4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1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사이드 종대(110), 사이드 횡대(120) 및 크로스 지지대(130)를 이용하여 전면 또는 후면이 개방된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와이어(200)의 양쪽 단부 각각에 픽싱 어셈블리(300)를 조립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200)에 스프링(340)을 끼운 후 무두볼트(316)를 이용해 와이어(200) 단부를 고정구(310)에 파지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구(310) 및 스프링(340)은 고정블록(320) 전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와이어(200)를 고정블록(320)의 슬릿(322)을 통해 삽입한 후, 고정블록(320)은 와이어(200) 단부쪽으로 이동시켜 고정구(310) 및 스프링(340)이 고정블록(320)의 횡방향 수용홈(324)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계속하여, 와이어(200) 단부를 파지한 픽싱 어셈블리(300) 각각을 사이드 종대(110)의 내홈(112)으로 도입한 후, 사이드 종대(110)의 체결공(118)을 따라 고정블록(320)의 나사공(321)에 체결볼트(332a, 332b)를 결합시킴으로써 픽싱 어셈블리(300)와 사이드 종대(110) 사이의 고정작업을 완료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블록(320)은 사이드 종대(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완전히 고정되며, 고정구(310) 및 스프링(340)은 고정블록(320)의 수용홈 내에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수용되며, 고정구(310)에 마련된 식별돌기(319)는 사이드 종대(110)의 가이드공(119)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놓여진다. 와이어(200) 등 부품 요소의 선택적 교체나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 작업은 상기 체결볼트(332a, 332b)를 분리하는 작업을 시작으로 하여 용이하게 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수납 카세트(10)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는 픽싱 어셈블리(400)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은 픽싱 어셈블리(400)의 분해도, 도 9는 사이드 종대(11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0은 픽싱 어셈블리(400)와 프레임 어셈블리(100) 간 결합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에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할 때, 상기 제2 시시예에 따른 카세트(10) 및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도 9를 참조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 중 사이드 종대(110)에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결합된 픽싱 어셈블리(400)에 대응하여 2개의 가이드공(119) 및 그 사이에 하나의 체결공(118) 그룹이 구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공(119)에는 고정블록(420)에 구비된 2개의 식별돌기(429)가 각각 삽입되며, 중앙 체결공(118)에는 체결볼트(432)가 삽입되어 너트(43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싱 어셈블리(400)도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픽싱 어셈블리(400)는 고정구(410), 고정블록(420), 체결부재(430) 및 스프링(440)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430)는 하나의 체결볼트(432) 및 너트(434)로 예시되어 있으며, 체결볼트(4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블록(420)의 종방향 수용홀(424) 내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고정블록(420)의 관통공(421) 및 사이드 종대(110)의 체결공(118)을 순처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너트(434)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고정블록(420)은 제1 실시예와 달리 사이드 종대(110)의 내측면에 완전히 고정되는 형태는 아니고, 와이어(200)의 텐션 변화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며, 너트(434)의 풀림이나 조임을 통해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어(200)의 텐션을 기준치에 맞춰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고정구(410)는, 와이어(2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앙홀(412); 및 측면으로부터 상기 중앙홀(412)로 연통되는 나사홀(414);이 가공된 형태이고, 나사홀(414)에는 와이어(200) 고정을 위한 무두볼트(416)가 결합됨으로써 와이어(200)의 파지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의 경우 고정구(410)는 고정구(410)의 전방 단부는 고정블록(420)의 종방향 수용홀(424) 내로 제한되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사이드 종대(110)의 가이드공(119)에 삽입될 식별돌기(429)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고정블록(420)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구(410) 및 스프링(440)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그 형상이나 구조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블록(420)에는, 고정구(410) 및 스프링(440)을 수용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개방된 구조의 종방향 수용홀(424)이 구비되며, 종방향 수용홀(424)의 전방에는 사이드 종대(110)의 한쌍의 가이드공(119)에 삽입되는 식별돌기(429)가 쌍으로 제공되며 그 사이에는 체결볼트(432)가 관통하는 관통공(421)이 형성된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와이어(200) 텐션에 대한 육안 식별기능을 담당하는 식별돌기(429)가 고정구(410) 대신에 고정블록(420)에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조립과정에서 종방향 수용홀(424)의 내측으로부터 도입되는 체결볼트(432)의 머리가 고정구(410)와 부디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공(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424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수용홀(424)은 상하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와이어(200) 대비 대구경 스프링(440) 중심과 와이어(200) 간 얼라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종방향 수용홀(424)의 내측에는 스프링(440)에 대한 이탈방지돌기(424b)가 구비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구(410) 및 스프링(440)은 와이어(200) 텐션에 의해 고정블록(420)의 후방 내측에 밀착되고, 또한 픽싱 어셈블리(400)는 사이드 종대(110)의 내홈(1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밀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하면이 완전히 개방된 고정블록(420)의 형상 구조에 불구하고 고정구(410) 및 스프링(440)의 수용상태가 종방향 수용홀(424) 밖으로 이탈될 가능성은 없다. 이 경우 고정블록(420)의 두께는 상하가 개방된 종방향 수용홀(424)로 가공됨으로써 제1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200) 간 상하방향 피치간격을 감소시켜 적재용량을 제1 실시예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고정블록(420)에는 와이어(200)의 측방향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슬릿(4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10)의 조립과정 및 분해과정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블록(420)은 사이드 종대(110)의 'ㄷ'자형 내홈(112)에 수용되며, 고정구(410) 및 스프링(440)은 고정블록(420)의 수용홀 내에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수용되며, 고정블록(420)에 마련된 한쌍의 식별돌기(429)는 사이드 종대(110)의 한쌍의 가이드공(119)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놓여진다. 와이어(200) 등 부품 요소의 선택적 교체나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 작업은 상기 너트(434)를 분리하는 작업을 시작으로 하여 용이하게 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픽싱 어셈블리(300, 400)을 이용하여 소정 규격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200)를 고정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와이어(200)에 대해 균일하고 안정적인 텐션을 부가하면서도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수납된 글라스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립 외관이 개선된 글라스 수납 카세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글라스 수납 카세트
100: 프레임 어셈블리
110: 사이드 종대
112: 내홈
114: 외홈
116: 단차홈
118: 체결공
119: 가이드공
120: 사이드 횡대
130: 크로스 지지대
200: 선형 와이어
300, 400: 픽싱 어셈블리
310, 410: 고정구
312, 412: 중앙홀
314, 414: 나사홀
316, 416: 무두볼트
319: 식별돌기
320, 420: 고정블록
321: 나사공
421: 관통공
322, 422: 슬릿
324: 횡방향 수용홈
424: 종방향 수용홀
424a: 안착홈
424b: 이탈방지돌기
429: 식별돌기
330, 430: 체결부재
332a, 332b, 432: 체결볼트
434: 너트
340, 440: 스프링
100: 프레임 어셈블리
110: 사이드 종대
112: 내홈
114: 외홈
116: 단차홈
118: 체결공
119: 가이드공
120: 사이드 횡대
130: 크로스 지지대
200: 선형 와이어
300, 400: 픽싱 어셈블리
310, 410: 고정구
312, 412: 중앙홀
314, 414: 나사홀
316, 416: 무두볼트
319: 식별돌기
320, 420: 고정블록
321: 나사공
421: 관통공
322, 422: 슬릿
324: 횡방향 수용홈
424: 종방향 수용홀
424a: 안착홈
424b: 이탈방지돌기
429: 식별돌기
330, 430: 체결부재
332a, 332b, 432: 체결볼트
434: 너트
340, 440: 스프링
Claims (16)
- 적어도 측면 일방이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의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글라스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선형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선형 와이어 각각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 에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픽싱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각각이 상기 픽싱 어셈블리를 복수로 고정하는 복수의 사이드 종대를 포함하고,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파지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고정구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고정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중앙홀; 및 측면으로부터 상기 중앙홀로 연통되는 나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는 무두볼트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와이어의 측방향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슬릿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횡방향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 및 스프링은 상기 횡방향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한쌍의 체결볼트로 제공되어 상기 횡방향 수용홈의 좌우에서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종방향 수용홀에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 및 스프링은 상기 종방향 수용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종방향 수용홀로부터 도입되어 볼트 머리가 고정블록을 와이어 텐션 반대방향으로 당겨 지지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사이드 종대 외부로 도입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 내측벽에는 상기 볼트 머리가 함입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수용홀의 내측에는 스프링에 대한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상기 사이드 종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종대에 구비된 가이드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식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텐션의 강약에 따라 상기 식별돌기가 상기 가이드공 안팎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고정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돌기는 상기 고정블록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종대는 상기 픽싱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단면 'ㄷ' 형 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종대는 상기 체별부재의 외부 돌출을 억제하기 위한 단면 'ㄷ'형 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종대에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양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사이드 횡대; 및 상기 격자형 양 측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격자의 교차점에 그 단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크로스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종대의 외측에는 상기 사이드 횡대가 안착 수용되는 단차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어셈블리는 각각의 선형 와이어 양쪽 단부에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수납 카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933A KR20190093373A (ko) | 2018-02-01 | 2018-02-01 | 글라스 수납 카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933A KR20190093373A (ko) | 2018-02-01 | 2018-02-01 | 글라스 수납 카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373A true KR20190093373A (ko) | 2019-08-09 |
Family
ID=6761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2933A KR20190093373A (ko) | 2018-02-01 | 2018-02-01 | 글라스 수납 카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337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221625A1 (en) * | 2018-05-17 | 2021-07-22 | Hegla Gmbh & Co. Kg | Storage device for storing glass panes, preferably laminated glass panes or tempered glass pan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9212A (ko) | 2003-11-21 | 2005-05-25 | (주)상아프론테크 | 글래스 수납 카세트 |
KR20100104549A (ko) | 2009-03-18 | 2010-09-29 | (주)상아프론테크 | 글래스 카세트 |
-
2018
- 2018-02-01 KR KR1020180012933A patent/KR20190093373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9212A (ko) | 2003-11-21 | 2005-05-25 | (주)상아프론테크 | 글래스 수납 카세트 |
KR20100104549A (ko) | 2009-03-18 | 2010-09-29 | (주)상아프론테크 | 글래스 카세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221625A1 (en) * | 2018-05-17 | 2021-07-22 | Hegla Gmbh & Co. Kg | Storage device for storing glass panes, preferably laminated glass panes or tempered glass panes |
US12012296B2 (en) * | 2018-05-17 | 2024-06-18 | Hegla Gmbh & Co. Kg | Storage device for storing glass panes, preferably laminated glass panes or tempered glass pan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94556B2 (en) | Slide rail mechanism and bracket device thereof | |
US10314197B2 (en) | Slide rail assembly for rack system | |
US11522245B2 (en) |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 |
KR20190093373A (ko) | 글라스 수납 카세트 | |
KR101079150B1 (ko) | 글래스 카세트 | |
US10935748B2 (en) |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unit | |
JP5722859B2 (ja) | 機器収納用ラック | |
KR102032492B1 (ko) | 모듈형 유피에스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내진강화형 랙 캐비닛 | |
KR200386422Y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 |
US20160291647A1 (en) | Storage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 |
KR100863083B1 (ko) | 유리판 적재용 파레트 | |
JP2013151339A (ja) | ラック用の物品はみ出し防止機構 | |
KR102421768B1 (ko) |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 고정장치 | |
KR100551683B1 (ko) | 글래스 수납 카세트 | |
JP7370824B2 (ja) | 機器固定機構、機器固定方法 | |
JP2009189073A (ja) | ケーブル保持装置 | |
KR102317578B1 (ko) |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 |
JP2015022839A (ja) | 固定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の組立方法 | |
JP3122089U (ja) | 平板体用集合包装装置 | |
KR102133328B1 (ko) |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 |
US20130234579A1 (en) | Server cabinet | |
JP2021004045A (ja) | 板状体支持装置 | |
KR102454078B1 (ko) | 판형상체 지지 장치 | |
KR102308988B1 (ko) | 텐션 장치가 구비된 이송 스테이지 및 이를 포함한 이송 장치 | |
CN217971167U (zh) | 一种护栏调节装置及输送结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