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334A -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334A
KR20190093334A KR1020180012844A KR20180012844A KR20190093334A KR 20190093334 A KR20190093334 A KR 20190093334A KR 1020180012844 A KR1020180012844 A KR 1020180012844A KR 20180012844 A KR20180012844 A KR 20180012844A KR 20190093334 A KR20190093334 A KR 2019009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et gel
gel drying
airgel composi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균
양호진
이두진
안병욱
박희종
이준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334A/ko
Publication of KR2019009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95Preparation of aeros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습윤겔 건조용기,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등은,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여 표면을 가공하고, 이 기재를 상기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습윤겔 건조용기에 수용하여 표면특성이 우수한 에어로겔 복합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AEROGEL COMPOSIT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EROGEL COMPOSITES APPLYING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Kistler에 의해 1930년대 초반에 발견된 에어로겔은, 높은 공기 기공률을 갖는 건조된 겔로써 현재 가장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로겔은 90%이상, 최대 99% 정도의 높은 기공율을 갖고, 현재까지 인류가 개발한 소재 중에서 가장 뛰어난 초단열성/초다공성/초경량성/초저유전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어 건물용, 산업용, 우주항공용, 조선용 등의 에너지절약 소재, 흡음재, 방화재 등 다양한 분야에 무한한 응용 가능성을 가진 유망한 소재이다. 에어로겔은 형태적으로 블랑켓(섬유상복합체, Blanket, Sheet), 분말(Powders), 모노리스(Monolith) 등으로 구분된다.
에어로겔은 실리카 전구체 용액을 졸-겔 중합반응시켜 습윤겔을 만든 후, 초임계조건 혹은 상압조건 하에서 건조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파우더 형태의 에어로겔의 낮은 작업성 등을 고려해 블랑켓 형태의 에어로겔이 적용되기도 하며, 이러한 블랑켓 형태의 에어로겔은 롤투롤 형태의 연속공정을 적용하여 제조되기도 한다.
롤투롤 형태의 연속과정으로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할 때에는 블랑켓들 사이의 불필요한 겔화반응을 억제하고 표면이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막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막의 사용은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10-2017-0096513 호, 에어로겔 시트용 제조기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10-2012-0028635 호,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체 보드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겔 건조용기로 인입되는 기재의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가공부 또는 절삭부재를 구비하는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습윤겔 건조용기,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하는 표면가공부; 그리고 상기 기재를 상기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상기 기재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하여 에어로겔을 형성하는 습윤겔 건조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가이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가 인입되는 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simple curve) 형태의 기재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유체투과성일 수 있다.
상기 기재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를 상기 기재의 x-y면 또는 x-z 면이 바닥 위에 위치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는 상기 절삭부재로 나이프형 절삭부재, 롤형 절삭부재, 실형 절삭부재 및 절삭용 레이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절삭부재는 상기 표면가공부에 인입되는 상기 기재의 x-z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상기 표면가공부와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에 기재가 인입되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삽입부는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상기 표면가공부와 연결되는 함침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일 말단이 상기 함침용기와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재를 이송하는 가공구간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일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와 연결되고 타 말단이 습윤겔 건조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재를 이송하는 건조구간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에 또는 상기 습윤결 건조용기와 별도로 그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겔 건조용기는,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가 수용되며,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하여 에어로겔을 형성한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가 인입되는 기재인입구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기재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은 상기 기재인입구로부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중앙부로 이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구분되는 나선형(spiral)의 기재수용공간일 수 있다.
상기 기재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를 상기 기재의 x-y면 또는 x-z 면이 바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표면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는 상기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인입구의 전단 또는 후단에 상기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그 내부에 함침용기와 표면가공부가 위치하는 함침용기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재인입구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기재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의 표면 일부를 절삭부재를 적용하여 제거하여 표면이 정리된 기재인 표면처리기재를 제조하는 표면처리단계; 습윤겔 건조용기에 상기 표면처리기재가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수용하는 기재수용단계;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습윤겔에 함유된 용매를 제거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표면가공부에 위치하는 절삭부재가 상기 표면가공부에 인입되는 상기 기재의 x-z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단계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x-y면 또는 x-z 면이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바닥을 향하게 수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기재수용단계 사이에 스페이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설치단계는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전에 함침단계와 에이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기재를 졸 용액으로 함침하여 함침기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에이징단계는 상기 함침기재의 숙성을 유도하여 겔화기재를 제조하는 숙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감압분위기 하에서 또는 가압분위기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수용단계 이전에 분리막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설치단계는 상기 기재수용단계에 상기 습윤겔 건조장치로 인입되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습윤겔 건조용기,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표면이 비교적 매끄럽고, 제조된 에어로겔 복합체에서 분진 발생이 감소시킨 에어로겔 복합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기재를 설명하는 개념도(좌측)와 표면가공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우측).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에서 기재가 습윤겔 건조용기로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상에/하에 B가 위치한다(A의 상부에/하부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하에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하에 B가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기재를 설명하는 개념도(좌측)와 표면가공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우측)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에서 기재가 습윤겔 건조용기로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등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에어로겔은 i) 졸 상태의 함침액을 제조하고, 기재(기재와 기재 사이에 분리막 존재)를 준비한 후, 기재에 함침액을 함침시키고, ii) 기재에 함침된 졸 함침액을 겔화시켜 습윤겔을 제조한 후, iii) 겔화된 기재 상태에서 습윤겔 내의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하여 에어로겔 복합체 형태로 제조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ii)와 iii) 과정 사이에 세척, 용매교환, 개질 등의 과정도 진행된다. 롤투롤 공정으로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특히 ii)와 iii) 과정 사이에 원활한 건조 과정 진행을 위해 기재와 기재 사이에 위치시켰던 분리막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겔화된 기재의 표면이 고르게 표면 처리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아울러, 분리막을 제거한 후에는 침투성 분리막을 다시 감는 재권취 공정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환경의 영향, 이동장치의 영향, 분리막 제거 시 또는 세척-건조 공정 진행을 위해 재권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등에 의해 겔 구조가 뭉게지는 등의 제품 불량 요인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표면이 가공하여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 등 제어된 표면을 갖도록 제조된 에어로겔 복합체, 그리고 제조된 제품에서 분진 발생이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기재를 습윤겔 건조용기 내에 서로 이웃하는 기재들이 이격되게 위치시키고 습윤겔 건조용기 내로 기재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표면가공을 진행하면, 표면 품질이 향상되는 등 우수한 품질의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는, 기재(10)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220)를 포함하는 표면가공부(200); 그리고 상기 기재(10)를 상기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상기 기재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하는 습윤겔 건조용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10)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되는 기재이므로, 졸 용액이 함침된 기재인 함침기재(10)나, 졸 용액의 겔화가 진행되어 기재 내에 습윤겔이 형성되는 겔화기재(1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10)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상기 가이드부(320)가 포함되는 경우, 기재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이 서로 불필요한 결합을 형성하거나 상기 표면가공부에 의해서 가공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10)가 인입되는 기재인입구(310)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simple curve) 형태의 기재수용공간(3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10)가 인입되는 기재인입구(310)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로 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공간이 구분되는 기재수용공간(3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일 곡선은, 곡선 위의 같은 점을 두 번 이상 지나지 않고 자기 자신과의 중복점이 존재하지 않는 연속곡선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단일 곡선이 반드시 곡선일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자기 자신과의 중복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직선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위의 단일 곡선 형태를 가져 그 내부에 상기 표면가공부(200)를 통과한 기재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는 상기 기재수용공간(340)과 이웃하는 기재수용공간(340) 사이를 구분하는 가이드부(320)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분된 상태로 수용되므로, 수용된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의 표면이 서로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기재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된 후에도, 그리고 후술하는 습윤겔로부터 에어로겔을 형성하는 건조과정 등을 거친 후에도 상기 표면가공부에 의하여 표면 가공된 기재의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인입구(310)와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을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i)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제1기재수용공간과, ii) 제2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제2기재수용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기재수용공간과 상기 제2기재수용공간은 가이드부를 일부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상기 기재인입구(310)로부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중앙부로 이어지며 상기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구분되는 나선형의 기재수용공간일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기재인입구(310)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최외각면에 형성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그 내부에 함침용기(100)가 수용되는 함침용기 수용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에는 표면가공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가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를 내부에 갖는 경우,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의 일면에 기재인입구(310)가 위치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가이드부(320)는 유체투과성일 수 있다. 건조와 세척 과정에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용액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야 공정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기재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기재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그 전부 또는 일부에 유체투과성의 특성을 갖는 것이 상기 가이드부로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가이드부는 메쉬 형(mesh type)으로 전체적으로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개구(holes, pores)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메쉬의 구멍 또는 개구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기재수용공간 사이의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유체의 이동이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스테인레스 망, 코팅된 금속 망, 유체투과성 유리섬유, 내식성 폴리머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그 내부에 기재(10)를 권취할 때 그 중심으로 역할하는 코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3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습윤겔이 건조되어 형성된 에어로겔 복합체(10)를 권취할 때 상기 코어가 그 중심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코어를 더 포함하는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에어로겔 복합체를 권취롤 형태로 회수할 수 있어, 탈거 및 회수에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x 방향의 길이 값, y 방향의 길이 값 그리고 z 방향의 길이 값을 갖는 것으로, 상기 z 방향 길이 값은 상기 x 방향 길이 값 또는 상기 y 방향 길이 값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z 방향이 축을 이루고, x 방향으로 말려 있으며(rolled up), y 방향이 기재의 두께를 갖는 권취된 기재일 수 있고, 상기 권취된 기재의 일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를 거처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표면가공부(200)를 통과하는 상기 기재(10)는 x-y면 또는 x-z 면이 바닥을 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가 x-y면이 바닥을 향하며 상기 표면가공부(20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기재(10)의 좁은 면이 바닥을 향하는 세워진 형태로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기재(10)가 x-z 면이 바닥을 향하며 상기 표면가공부(20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기재(10)의 넓은 면이 바닥을 향하는 눕혀진 상태로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되는 상기 기재는 x-y면 또는 x-z 면이 바닥을 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가 x-y면이 바닥을 향하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기재(10)의 좁은 면이 바닥을 향하는 세워진 형태로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의 x-z 면이 바닥을 향하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되는 경우 기재의 넓은 면이 바닥을 향하는 눕혀진 상태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가 나선형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 사이에 가이드부(320)가 위치하여 느슨하게 권취된 형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용된 상태로 습윤겔의 용매를 제거하여(필요에 따라 용매교환, 개질, 건조 등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거쳐) 에어로겔 복합체(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면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가 별도의 분리막을 적용하거나 기재 자체만으로 습윤겔 건조용기(300) 내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습윤겔 건조용기(300) 내에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기 때문에, 기재의 일부가 서로 쓸려서 발생하는 겔 구조의 손상도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상기 절삭부재(220)를 적용하여 상기 기재(10)의 x-z면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부재(220)는 상기 절삭부재의 위치와 형상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230. 도 1의 우측 그림에서 점 패턴으로 표시된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는 기재의 x-z면 중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230)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을 상기 절삭부재를 적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영역(230)의 크기나 형태는 상기 절삭부재(220)의 종류나 형태, 그리고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10)가 상기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할 때, 상기 절삭부재(220)에 의하여 설정된 영역(230) 내에 위치하는 기재(10)의 일부는 그대로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나, 상기 설정된 영역(230) 밖으로 돌출된 부분은 절삭부재(220)에 의하여 절삭되고, 기재(10)의 표면이 가공된다.
상기 절삭부재(220)를 상기 기재의 양 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x-z면 중 일면에 적용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된 영역(230)의 일면에 1 개 이상의 절삭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부재(220)를 상기 기재의 두 개의 x-z면에 모두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는 기재의 양 측의 x-z면 모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1 개 이상의 절삭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상기 절삭부재(220)로 나이프형 절삭부재, 롤형 절삭부재, 실형 절삭부재 및 절삭용 레이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기재가 인입되는 제1개구부(210), 상기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220), 및 상기 기재를 인출하는 제2개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를 통과하여 표면이 정리된 기재(10, 표면처리기재)는 표면의 거칠어짐이 제거되거나 감소되고 표면이 매끄러워지며, 이를 적용하여 제조되는 에어로겔 복합체 역시 표면 특성이 우수하고 분진 발생이 감소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를 이용하여 에어로겔 복합체(10)를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두 개의 롤러 사이에 기재를 통과시키는 등의 압착형 표면정리 방식과 다르게, 압력을 가하지 않고 돌출된 부분의 습윤겔 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표면가공이 진행되기 때문에, 겔 구조의 뭉게짐이나 손상이 현저하게 적다는 장점도 가지며, 이는 제조된 에어로겔 복합체의 표면특성을 보다 균일하게 하고, 성능을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는 장점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상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기재인입구(310) 사이에 압연롤(미도시)로 가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도,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표면가공부(200)를 거친 기재를 압연하는 것이기 때문에, 에어로졸 복합체의 전체적인 밀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에어로젤 복합체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는,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기재인입구(310)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삽입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삽입부(400)는 상기 기재(10)의 적어도 일면에 스페이서(420)를 위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20)는 표면보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기재가 상기 가이드부와 마찰에 의해 쓸리거나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420)는 상기 기재의 두 개의 x-z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설치될 수 있고, 양 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420)는 상기 기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420)는 상기 기재의 상단, 하단, 및 중간부에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20)는 난간 형태, 또는 허들 형태의 지지대일 수 있고, 프레임 형태일 수 있으며, 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20)는 다공성 시트 형태일 수 있고, 유체투과성 시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420)는 상기 가이드부(320)와의 사이에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구조(구체적으로, 구 형태의 돌기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찰저감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삽입부(400)과 함께 또는 별도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은 유체투과성 분리막(미도시)을 상기 기재(10)에 적층하는 기재적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기재(10)가 구분되어 수용되므로, 별도의 유체투과성 분리막을 적용하지 않아도 효율적인 에어로겔 복합체 형성이 가능하나, 별도의 유체투과성 분리막을 더 적용하는 경우에 기재의 이동이나 세척 용기에 인입한 후에 분리용이성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는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연결되는 함침용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용기(100)는 기재(10)를 수용하고 졸 용액을 상기 기재 내에 고르게 함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재(10)에 졸 용액을 함침시킨 후 감압 또는 가압하여 졸 용액이 기재 사이에 고루 함침되고 혹시 발생할 수 있는 기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는, 일 말단이 상기 함침용기(100)와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기재(10)를 이송하는 가공구간 이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는 일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연결되고 타 말단이 습윤겔 건조용기(300)와 연결되며 상기 기재(10)를 이송하는 건조구간 이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구간 이송부 및/또는 건조구간 이송부인 이송부는 구체적으로 컨베이어벨트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벽 형태, 지지대 형태, 난간 허들 형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송부 위의 상기 기재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라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와 일체로 또는 상기 습윤결 건조용기와 별도로 그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표면가공부의 하우징에 또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인입구(3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상기 절삭부재(220)가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표면가공부(200)가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와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가공부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와 별도로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상기 기재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기재(10)의 y 방향 길이 값에 대응하는 값이 상기 기재의 y 방향 길이 값의 1.00 내지 3.00 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5 내지 2.5 배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05 내지 2.0 배일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의 y 방향 길이 값이 기재의 y 방향 길이 값을 기준으로 3.0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에 의하여 상기 기재(10)가 충분하게 지지되지 못할 수 있고, 1.00 배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에 압력이 가해져 겔 구조가 무너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재인입구(310)가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최외각면에 형성되는 경우, 함침용기(100), 표면가공부(200), 그리고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가 순차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침용기(100)에서 졸 용액으로 함침된 함침기재(또는 에이징된 겔화기재)가 함침용기의 기재인출구(110)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표면가공부(200)의 제1개구부(210)을 통해서 인입된다.
이렇게 인입된 함침기재(또는 겔화기재)는 절삭부재(220) 옆의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면서, 설정된 영역(230)에서 벗어나는 기재의 일부가 제거되고, 표면 가공 처리가 진행된 표면처리기재로 형성된다.
상기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여 표면이 가공된 기재(10, 표면처리기재)는 기재인입구(310)를 통해서 습윤겔 건조용기(300)로 이동되고, 상기 기재인입구(310)와 연결되는 기재수용공간(340)에 수용된다.
기재수용공간(340)은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구분되므로, 상기 기재(10)는 상기 가이드부(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게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재인입구(310)가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최외각면에 형성되는 경우, 함침용기(100), 표면가공부(200), 스페이서삽입부(400) 그리고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가 순차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함침용기(100)에서부터 상기 표면가공부(200)까지의 설명은 위의 도 2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표면가공부(200)의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여 표면이 가공된 기재(10)는 스페이서삽입부(400)의 제1개구부(410)를 통해 인입되어 스페이서(420)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스페이서(420)는 상기 표면이 가공된 기재(10)와 함께 스페이서삽입부(400)의 제2개구부(410)을 통해 인출되고 습윤겔 건조용기(300)로 이동된다.
상기 기재(10, 표면처리기재)는 상기 스페이서(420)와 함께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기재인입구(310)로 인입되어 상기 기재인입구(310)와 연결되는 기재수용공간(340)에 수용된다.
기재수용공간(340)은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구분되므로, 상기 기재(10)는 상기 가이드부(3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900)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그 내부에 함침용기(100)와 표면가공부(200)가 수용되는 함침용기 수용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용기(100)에 수용되어 있던 기재(10, 함침기재 또는 겔화기재)는 기재인출구(110)를 통과하여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에 위치하는 표면가공부(200)의 개구부(210)로 인입되며, 절삭부재(220)에 의하여 설정된 영역(230)을 벗어나는 일부 기재가 제거되고, 표면 가공된 기재(10, 표면가공기재)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이 가공된 기재(10)는 표면가공부(200)의 개구부(210)를 통해 인출되고, 기재인입구(310)를 통해서 습윤겔 건조용기(300)로 이동되는데, 상기 기재인입구(310)는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인입구(310)와 연결되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기재수용공간(340)에 상기 기재(10)가 인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구분되므로, 상기 기재(10)는 상기 가이드부(3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위치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상기 기재인입구(310) 사이에는 스페이서 삽입부(4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기재인입구(310)로 인입되는 상기 기재(10)는 스페이서(420)가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기재인입구(310)를 통해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실시예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2 또는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외부 방향에서 내부 방향으로 기재(10)가 기재수용공간(340)에 수용된다면,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함침용기 수용부(350)에서 외부 방향으로 기재(10)가 기재수용공간(340)에 수용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원형 또는 나선형을 예로 들어 기재수용공간(340)을 묘사하였으나, 기재수용공간(340)은 함침기재 또는 겔화기재를 수용하기에 적절하고, 세척, 표면처리, 용매제거 등의 에어로겔 제조과정 진행에 적절하다면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10)가 수용되며,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10)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해 에어로겔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부(320)를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적용하는 경우, 기재 중 서로 이웃하는 부분들이 서로 불필요한 결합을 형성하거나 상기 표면가공부(200)에 의해서 처리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가 인입되는 기재인입구(310)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simple curve) 형태의 기재수용공간(3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10)가 인입되는 기재인입구(310)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로 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공간이 구분되는 기재수용공간(3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위의 단일 곡선 형태를 가져 그 내부에 상기 표면가공부를 거친 기재(1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는 상기 기재수용공간(340)과 이웃하는 기재수용공간(340) 사이를 구분하는 가이드부(320)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분되어 수용되므로,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의 표면이 서로 닿지 않고 상기 표면가공부(200)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기재의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인입구(310)와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을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i)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제1기재수용공간과, ii) 제2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제2기재수용공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기재수용공간과 상기 제2기재수용공간은 가이드부를 일부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상기 기재인입구(310)로부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중앙부로 이어지며 상기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구분되는 나선형의 기재수용공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인입구(310)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최외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0)는 유체투과성일 수 있다. 건조와 세척 공정에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 내는 용액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야 공정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에 수용되는 기재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그 전부 또는 일부에 유체투과성의 특성을 갖는 것이 상기 가이드부로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가이드부(320)는 메쉬 형(mesh type)으로 전체적으로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개구(holes, pores)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메쉬의 구멍 또는 개구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개지수용공간 사이의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유체의 이동이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320)는 스테인레스 망, 코팅된 금속 망, 유체투과성 유리섬유, 내식성 폴리머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그 내부에 기재(10)를 권취할 때 그 중심으로 역할하는 코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3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습윤겔이 건조되어 형성된 에어로겔 복합체(10)를 권취할 때 상기 코어가 그 중심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코어를 더 포함하는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에어로겔 복합체를 권취롤 형태로 회수할 수 있어, 탈거 및 회수에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에 형태, 길이 모양, 권취된 형태, 표면가공부나 습윤겔 건조용기에 인입되는 형태 등등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기재(10)가 나선형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 사이에 가이드부(320)가 위치하여 느슨하게 권취된 형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용된 상태로 습윤겔의 용매를 제거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면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가 별도의 분리막을 적용하거나 기재 자체로 건조용기 내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조용기 내에 가이드부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수용되기 때문에, 기재의 일부가 서로 쓸려서 발생하는 겔 구조의 손상도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인입구(3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절삭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인입구(3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상기 절삭부재(220)에 의해 형성되는 설정된 영역(230)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인입구(3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절삭부재(220)를 포함하는 표면가공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상기 기재인입구(3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상기 절삭부재(220)에 의해 형성되는 설정된 영역(230)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상기 절삭부재(220)를 적용하여 상기 기재(10)의 x-z면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절삭부재와 설정된 영역, 그리고 이들에 의한 기재의 표면가공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절삭부재(220) 또는 상기 표면가공부(200)의 후단에는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으로 인입되는 기재(10) 상에 스페이서(420)를 삽입하는 스페이서 삽입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삽입부와 스페이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10)가 수용되며,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10)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해 에어로겔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함침용기(100)와 표면가공부(200)가 수용되는 함침용기 수용부(350)를 더 포함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는 표면가공부의 하우징(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에 위치하는 함침용기(100)는 기재(10)를 인출하는 기재인출구(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상기 표면가공부(200)에 구비되는 절삭부재(220)에 의하여 설정된 영역(230)을 벗어나는 일부 기재가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표면 처리된 기재(10)는 표면가공부(200)의 개구부(210)를 통해 인출되고, 기재인입구(310)를 통해서 습윤겔 건조용기(300)로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기재인입구(310)는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35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인입구(310)와 연결되는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기재수용공간(340)에 상기 기재(10)가 인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은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구분되므로, 상기 기재(10)는 상기 가이드부(3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표면가공부(200)와 상기 기재인입구(310) 사이에는 스페이서 삽입부(4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기재인입구(310)로 인입되는 상기 기재(10)는 스페이서(420)가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기재인입구(310)를 통해 상기 기재수용공간(340)으로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10)의 표면 일부를 절삭부재(220)를 적용하여 제거하여 표면이 정리된 기재인 표면처리기재를 제조하는 표면처리단계;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상기 표면처리기재(10)가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수용하는 기재수용단계;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습윤겔에 함유된 용매를 제거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표면가공부(200)에 위치하는 상기 절삭부재(220)가 상기 표면가공부(200)에 인입되는 상기 기재(10)의 x-z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230)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표면가공부(200)는 상기 겔화기재의 일면과 맞닿는 절삭부재(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재(220)는 상기 겔화기재의 일면의 표면에서 미리 정해진 표면의 높이보다 더 높은 부분을 절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가공부(200)의 제1개구부(210)로 인입되는 기재(10)가 설정된 영역(230)을 통과하면서 상기 기재(10)의 표면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절삭부재(220)에 의하여 절삭될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단계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상기 표면처리기재(10)의 x-y면 또는 x-z 면이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바닥을 향하게 수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x-y면이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바닥을 향하게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에 수용되는 경우, 권취된 표면처리기재(10)가 세워진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x-z 면이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바닥을 향하게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에 수용되는 경우, 권취된 표면처리기재(10)가 세워진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10)는 x 방향의 길이 값, y 방향의 길이 값 그리고 z 방향의 길이 값을 갖는 것으로, 상기 z 방향 길이 값은 상기 x 방향 길이 값 또는 상기 y 방향 길이 값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z 방향이 축을 이루고, x 방향으로 말려 있으며(rolled up), y 방향이 기재(10)의 두께를 갖는 권취된 기재일 수 있고, 상기 권취된 기재(10)의 일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200)를 거처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로 인입될 수 있다.
이렇게 인입된 기재(10)는 기재수용공간(340)과 이웃하는 기재수용공간(340) 사이를 구분하는 가이드부(320)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분되어 수용되므로,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의 표면이 서로 닿지 않고 상기 표면가공부(200)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기재의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재수용공간(340), 상기 가이드부(320), 상기 절삭부재(220),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기재수용단계 사이에 압연롤 가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기재수용단계 사이에 스페이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설치단계는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스페이서(420)를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재의 두 개의 x-z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설치될 수 있고, 양 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재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재의 상단, 하단, 및 중간부에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수용단계 이전에 분리막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스페이서 설치단계의 전 또는 후에 분리막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설치단계는 상기 기재수용단계에 상기 습윤겔 건조장치로 인입되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일 수 있고, 이때 분리막은 유체투과성 분리막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가이드부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에 기재(10)가 수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분리막을 적용하지 않아도 효율적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하나, 별도의 유체투과성 분리막을 더 적용하는 경우에 기재의 이동이나 세척 용기에 인입한 후에 가이드부와 에어로겔 복합체 사이의 분리용이성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전에 함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기재를 졸 용액으로 함침하는 단계로, 함침용기(100) 내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졸 용액은 지르코니아, 산화이트륨, 하프니아, 알루미나, 티타니아, 세리아, 실리카, 산화 마그네슘, 산화칼슘, 플루오르화 마그네슘, 및 플루오르화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이 때, 용매는 상기 용액에 포함되는 전구제의 특성에 따라 선택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졸 용액으로는 실리카계 졸 용액이 적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물 유리라 불리는 소디움 실리케이트 용액, 포타슘 실리케이트 용액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에어로겔 복합체를 형성될 수 있는, 발포체, 바인더, 섬유, 솜형 섬유 응집체 등이 단독 또는 시트형 기재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소재로는 예를 들어 무기섬유, 유기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섬유는 유리 섬유(glass fibers), 글라스 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세라믹 울(ceramic wool) 보론 섬유(boron fiber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섬유는 나일론, 아라미드 섬유, 카본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염화비닐아세테이트 섬유, 레이온 섬유, 재생 섬유(regenerated fibers), 폐 섬유(waste fibers), 면 섬유, 아마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겔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함침기재에는 촉매를 더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촉매는 산성 촉매가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황산용액, 염산용액, 아세트산용액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기재를 졸 용액으로 함침할 때, 상기 기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며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가압분위기 또는 감압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졸 용액을 상기 기재에 가할 때 감압분위기 또는 가압분위기 조건 하에서 함침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졸 용액이 가해진 기재를 감압분위기 또는 가압분위기 조건 하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함침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함침단계는 압력조절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과정을 상기 함침단계에 적용하면 상기 함침단계에서 졸 용액이 기재 내로 잘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압분위기 조건은 300 Torr 이하로 감압한 상태일 수 있고, 0.001 내지 300 Torr의 범위, 0.001 내지 100 Torr의 범위, 또는 0.001 내지 10 Torr의 범위로 감압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감압으로 졸 용액이 상기 기재에 함침될 때 상기 기재에 포함되는 섬유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압을 통해 함침기재에서 겔화를 통해 형성되고 있는 나노조직의 붕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가압 분위기 조건 또는 가압 조건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분위기 조건 또는 가압 조건은 200 kg/cm2g 이상으로 가압한 상태일 수 있고, 0.5 내지 10 kg/cm2g의 범위, 0.5 내지 5 kg/cm2g 의 범위, 또는 0.5 내지 3 kg/cm2g 의 범위로 가압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가압은 졸 용액이 상기 기재에 함침될 때 졸 용액이 기재 내로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압력조절과정은 1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고, 1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 사이에는 에이징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이징 단계는 상기 함침기재에 포함된 졸 용액을 겔화하는 숙성과정이 포함된다.
상기 에이징단계의 숙성과정은 상기 함침기재가 충분하게 겔화되어 나노 조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압 및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2 내지 48 시간 동안 방치하여 숙성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4 내지 24 시간 동안 방치하여 숙성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숙성되어 형성된 겔화기재는 함침기재와 비교하여 비교적 견고한 나노 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기재수용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용매치환단계, 개질단계 등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용매치환단계는, 다수의 세척용액을 순차로 적용하는 세척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상온 과정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세척은 증류수를 포함하는 1차세척액을 적용하는 1차세척, 아세톤을 포함하는 2차세척액을 적용하는 2차세척, 그리고 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알코올을 포함하는 3차세척액을 적용하는 3차세척이 순차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은 상기 겔화기재에 남아있는 불필요한 이온들을 제거하고, 겔화기재 내에 존재하는 용매들을 교환하는 과정이다.
상기 개질단계는 상기 습윤겔이 소수성 표면을 갖도록 처리하는 과정으로, 상기 용매치환단계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질은 유기용매과 실란화합물을 1: 0.1 내지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개질용액으로 상기 습윤겔을 세척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톨루엔, 자일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실란화합물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TMCS), 헥사메틸디실라잔(HMDS), 디메틸클로로실란(DMCS), 메틸트리클로로실란(MTC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과정은 상기 습윤겔에 함유된 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상압 건조, 초임계 건조 또는 이들 번갈아 적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에어로겔 복합체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의 기재인입부(310)를 통해 또는 별도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300)에 구비되어 개방 가능한 상면부(미도시) 등에 의하여 인출되어 탈거 및 재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습윤겔 건조용기,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표면이 비교적 매끄럽고, 제조된 에어로겔 복합체에서 분진 발생이 감소시킨 에어로겔 복합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기재(함침기재, 겔화기재, 표면처리기재, 에어로겔 복합체)
100: 함침용기 110: 기재인출구
200: 표면가공부 210: 개구부, 제1개구부, 제2개구부
220: 절삭부재 230: 설정된 영역
300: 습윤겔 건조용기 310: 기재인입구
320: 가이드부 330: 건조용기 하우징
340: 기재수용공간 350: 함침용기 수용부
400: 스페이서 삽입부 410: 개구부
420: 스페이서
900: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Claims (25)

  1.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하는 표면가공부; 그리고
    상기 기재를 상기 기재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상기 기재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하여 에어로겔을 형성하는 습윤겔 건조용기;를 포함하는,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가이드부가 위치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가 인입되는 개구부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simple curve) 형태의 기재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유체투과성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를 상기 기재의 x-y면 또는 x-z 면이 바닥 위에 위치하도록 수용하는,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가공부는 상기 절삭부재로 나이프형 절삭부재, 롤형 절삭부재, 실형 절삭부재 및 절삭용 레이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는 상기 표면가공부에 인입되는 상기 기재의 x-z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상기 표면가공부와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에 기재가 인입되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삽입부를 더 포함되며, 상기 스페이서 삽입부는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상기 표면가공부와 연결되는 함침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일 말단이 상기 함침용기와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재를 이송하는 가공구간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는 일 말단이 상기 표면가공부와 연결되고 타 말단이 습윤겔 건조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기재를 이송하는 건조구간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가공부는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에 또는 상기 습윤결 건조용기와 별도로 그 외부에 배치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13.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가 수용되며, 상기 기재를 수용하는 서로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 포함된 습윤겔을 건조하여 에어로겔을 형성하는, 습윤겔 건조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가 인입되는 기재인입구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기재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습윤겔 건조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수용공간은 상기 기재인입구로부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중앙부로 이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구분되는 나선형의 기재수용공간인, 습윤겔 건조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를 상기 기재의 x-y면 또는 x-z 면이 바닥을 향하는 것인, 습윤겔 건조용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기재인입구의 전단 또는 후단에 상기 기재의 표면을 절삭하는 절삭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습윤겔 건조용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그 내부에 함침용기와 표면가공부가 위치하는 함침용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는 상기 함침용기 수용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기재인입구로부터 이어지는 단일곡선 형태의 기재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습윤겔 건조용기.
  19. 졸 용액으로 기재가 함침된 함침기재 또는 상기 함침기재의 겔화가 진행되고 습윤겔을 포함하는 겔화기재인 기재의 표면 일부를 절삭부재를 적용하여 제거하여 표면이 정리된 기재인 표면처리기재를 제조하는 표면처리단계;
    습윤겔 건조용기에 상기 표면처리기재가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수용하는 기재수용단계;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습윤겔에 함유된 용매를 제거하여 에어로겔 복합체를 제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표면가공부에 위치하는 상기 절삭부재가 상기 표면가공부에 인입되는 상기 기재의 x-z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수용단계는, x-y면, y-z면, 및 x-z면을 갖는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x-y면 또는 x-z 면이 상기 습윤겔 건조용기의 바닥을 향하게 수용하는 단계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기재수용단계 사이에 스페이서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설치단계는 상기 표면처리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면처리단계 이전에 함침단계와 에이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침단계는 기재를 졸 용액으로 함침하여 함침기재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에이징단계는 상기 함침기재의 숙성을 유도하여 겔화기재를 제조하는 숙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는 감압분위기 하에서 또는 가압분위기 하에서 진행되는 것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수용단계 이전에 분리막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설치단계는 상기 기재수용단계에 상기 습윤겔 건조장치로 인입되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인,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80012844A 2018-02-01 2018-02-01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190093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44A KR20190093334A (ko) 2018-02-01 2018-02-01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44A KR20190093334A (ko) 2018-02-01 2018-02-01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34A true KR20190093334A (ko) 2019-08-09

Family

ID=6761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44A KR20190093334A (ko) 2018-02-01 2018-02-01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33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635A (ko)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지오스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체 보드 제조방법
KR20170096513A (ko)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용 제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635A (ko)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지오스 실리카 에어로겔 복합체 보드 제조방법
KR20170096513A (ko)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용 제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013B (zh) 气凝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629798B2 (ja) セグメント化ゲル複合材料およびこの複合材料から製造される剛性パネル
KR101118583B1 (ko) 겔 시트의 제조방법
EP2826554B1 (en) Apparatus to manufacture coating compositions, laminates and adsorber elements
JP6612443B2 (ja) エアロゲルシートを含む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583201B1 (ko)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EP32819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ow-dust high-insulation aerogel blanket
JP2021523869A (ja)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EP2933020B1 (en) Processs for producing a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catalyst-supporting honeycomb structure
KR100948578B1 (ko) 에어로겔 단열시트를 구비하는 단열관
KR101928538B1 (ko) 에어로겔 복합체
KR20190093334A (ko)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37425B1 (ko) 에어로겔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JP2022541827A (ja)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
KR102516024B1 (ko)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190081024A (ko) 판형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형 에어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CN115874444A (zh) 一种疏水气凝胶复合卷材及其制备方法
KR102201090B1 (ko) 방열 및 단열 기능성을 갖는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TWI659987B (zh) 聚矽氧多孔片材之製造方法、凍結體及聚矽氧多孔片材之輥體
CN115159259A (zh) 一种气凝胶毡的生产方法及其生产的气凝胶毡
EP4011832A1 (en) Hydrophobic silica aerogel blan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40074994A (ko)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복합 다층 단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복합 다층 단열시트
KR20240013572A (ko) 실리카 에어로겔의 표면 개질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제조 시스템 및 실리카 에어로겔 표면 개질 방법
CN117535976A (zh) 气凝胶毡的防水改性装置及防水改性方法
CN118084450A (zh) 用于二氧化硅湿凝胶毡的超临界干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