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040A -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 Google Patents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040A
KR20190093040A KR1020180012476A KR20180012476A KR20190093040A KR 20190093040 A KR20190093040 A KR 20190093040A KR 1020180012476 A KR1020180012476 A KR 1020180012476A KR 20180012476 A KR20180012476 A KR 20180012476A KR 20190093040 A KR20190093040 A KR 2019009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ersonal
persona
fashion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166B1 (ko
Inventor
문완묵
Original Assignee
문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완묵 filed Critical 문완묵
Priority to KR102018001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첫인상을 긍정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사용자의 얼굴색(피부색) 또는 신체색(모발색,홍채색,입술색), 얼굴형상 및 신체형상, 사용자의 말소리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를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데이터의 신체색에 대응되는 기준 색채 데이터가 저장되는 색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에 대응되는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1제어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어 퍼스널 컬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메칭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Personal Color Analysis System with complex perception of the auditory and visual and fashion persona color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첫인상을 긍정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사용자의 얼굴색(피부색) 또는 신체색(모발색,홍채색,입술색), 얼굴형상 및 신체형상, 사용자의 말소리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를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데이터의 신체색에 대응되는 기준 색채 데이터가 저장되는 색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에 대응되는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1제어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어 퍼스널 컬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메칭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체 색(body color)과 변경를 이루어 생기가 돌고 활기차게 보이도록 하는 개인별 컬러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퍼스널 컬러의 진단(personal color analysis)은 얼굴색과 모발색, 홍채색, 입술색 및 손목혈관색등 신체색(body)을 시지각적으로 관측하여 퍼스널컬러 타입의 분석 데이터를 얻는 방법과 퍼스널컬러진단 드레이핑(타입별 색채 패브릭을 얼굴 가까이에 배치)을 하여 피부색과 이목구비가 가장 돋보이는 퍼스널 컬러타입을 판단하는 방법의 두 가지를 중심으로 시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동아시아 및 한국인의 신체 조성색은 백인(미국. 유럽)이나 흑인과는 판이하게 달라 그들의 기준으로 퍼스널컬러를 진단하기에는 매우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외피두께가 백인에 비해 2배가 두껍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고, 한국인은 외피의 두께가 두꺼워 혈색의 비침 율이 낮고 멜라닌 색소가 중성적(Eumelanin과 Pheomelanin의 혼합비율)특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국인(황색인종)의 피부색은, 올리브색감의 황색(초록색을 띤 황색)와 오커색감의 황색(주황색을 띤 황색), 보랏빛 색감의 핑크와 코랄 색감의 핑크색, 그리고 에보니(Ebony)색감 등의 피부색이 있다.
더하여, 얼굴색이 부분적으로 고르지 않아 이마와 턱, 코 부위는 피부두께가 두껍고, 양볼은 백인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도 하며, 홍채색이나 모발색도 두 종류의 멜라닌 색소(Eumelanin과 Pheomelanin)가 혼합되어 있는데 유멜라닌(Eumelanin)은 검은 색감의 어두운 흑갈색을, 페오멜라닌(Pheomelanin)은 색감이 밝은 황색과 적색을 띠며, 한국인은 전반적으로 유멜라닌의 농도가 많아 모발색이 어둡고, 두 가지 멜라닌의 혼합비가 사람마다 유사하여 모발의 명도차가 크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홍채색의 경우에 눈꺼플이 아래로 향하는 하향형이 많아 눈에 음영이 드리워지므로 홍채색이 실제보다 어둡게 보이거나, 홍채색 색감의 차이를 식별하기 어렵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대한민국 특허 제1563124호에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 및 방법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700)은 이미지 유형 데이터 베이스(100),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 색채 데이터 베이스(300), 이미지 유형 선택 모듈(400), 컬러 매칭 모듈(500) 및 주 제어 유닛(6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유형 데이터 베이스(100)는 이미지 컨설턴트가 이미 컨설팅한 복수의 얼굴 또는 신체와 연관된 여러 항목의 누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얼굴 이미지 데이터(110), 복수개의 유형그룹(120)및 상기 얼굴 이미지 데이터(110)를 유형 그룹 별로 분류한 분류 데이터(130)가 저장된다.
더하여, 상기 이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00)는, 단말 1(205)을 통해 입력한 이용자 입력 데이터는 인터넷망, 근거리 통신망, 유선망 등을 매개로 이용자 입력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상기 이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200)는 이용자 입력 데이터 베이스(210) 및 컨설턴트 입력 데이터 베이스(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색채 데이터 베이스(300)는, 컨설팅을 희망하는 이용자의 직업, 성별, 나이, 모임, 회식, 여행에 적합한 색채를 별도로 선정하여 코디 데이터(320)에 저장하고, 색채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된 색채 데이터(310)는 각 유형 그룹(120)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컬러 매칭 시스템은, 각 개인의 인체색에 매칭되는 퍼스널 컬러만을 도출하는 구성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인체색을 구비할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동일한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게 되어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표현하기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컬러 진단을 위한 요인이 단편적 이어서 신체 특징에서 찾을 수 있는 효과적인 요인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단순히 적합한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퍼스널컬러의 폭넓은 이용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인간은 사회생활을 원활히 하기 위해 외부로 부터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페르소나를 연출하며 생활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역할에 맞게 자신을 표현하고, 효율적인 상호관계의 기능을 위해 페르소나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페르소나(persona)를 심리학에서는 타인에게 비치는 외적 성격을 나타내는 용어로 외적 태도라고도 정의 하였다.
즉, 페르소나는 심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영위할 때 나타나는 행동, 습관, 용모와 자세, 태도, 의복, 얼굴표정, 헤어스타일 등 외관영역까지 영향의 범위를 넓히고, 자율적인 외적 인격의 기능까지 하는 일종의 하위인격이라 볼 수 있다.
더하여, 이러한 연관성을 살펴볼 때 상기와 같은 페르소나 연출을 통하여 이미지 체인징을 할 수 있으며, 사람들에게 보이고자 하는 사회적 모습과 역할을 수행하고자 할 때 퍼스널컬러와 매칭하여 그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미학적, 심리적 기능과 도구로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퍼스널 컬러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 체인징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용되는 예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말소리, 신체형상, 얼굴형상 등 퍼스널 컬러 진단요인을 확장하도록 하여 어느 곳에서나 첫인상의 긍정적 효과를 얻어내는 퍼스널컬러를 명쾌하게 찾아 연출하도록 하고, 목적에 맞으면서 심리적 내면적 사회적으로 상황에 맞도록 외모를 연출하는 폭넓은 페르소나를 구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각 개인에 어울러는 다양한 색체와 배색으로 이미지의 변화가 가능하여 각자의 개성을 한층 더 잘 살릴 수 있도록 하면서 적절한 변화와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색, 신체 체형, 목소리등으로 이루어진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를 통하여 도출되는 색상에 대응되도록 기준 색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기준색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에 대응되는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1제어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어 퍼스널 컬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어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제어부에서 도출되는 각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면서 각 퍼스널 컬러를 이용하도록 입력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패션 페르소나 체인징 컬러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2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이용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사데이터, 사용자의 피부색, 모발색, 홍채색, 입술색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보완조사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형상, 신체형상, 목소리, 설문지로 입력되는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입력수단은, 카메라, 마이크, 키보드로 이루어지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퍼스널 컬러 도출 프로그램과 패숀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 체인징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면서 기준색체데이터가 구축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신체색, 얼굴형상, 신체형상, 목소리, 설문지로 이루어진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패션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 체인징에 필요한 변경 요소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변경요소에 의해 패션 페르소나 이미지 체인징 컬러를 도출하는 단계;
패션 페르소나 이미지 체인징 컬러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진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사데이터는, 사용자의 피부색, 모발색, 홍채색, 입술색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보완조사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형상, 신체형상, 말소리, 설문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수단은, 카메라, 마이크, 키보드로 이루어지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션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의 체인징은, 모발색 컬러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염색을 수행하는 모발색변경, 피부색 컬러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화장을 수행하는 화장색변경, 눈 빛깔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안경색)변경, 광원의 색과 조도와 배광 등을 조정하여 빛의 자극을 변경하는 물리적자극변경, 의복 및 소품과 슈즈색 변경, 실내인테리어 색의 변경을 통한 인테리어색 변경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지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패션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의 체인징은, 모발색 컬러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염색을 수행하는 모발색 변경, 피부색 컬러를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화장을 수행하는 화장색변경, 눈 빛깔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안경색)변경, 광원의 색과 조도와 배등을 조정하여 빛의 자극을 변경하는 물리적자극변경 중 선택되는 하나로서 퍼스널컬러를 체인징 한 후에 패션 페르소나 용어에 맞는 의복 및 소품과 슈즈의 색상과 인테리어색을 체인징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퍼스널 컬러진단을 함에 있어 기존의 방법외에 말소리, 신체 형상, 얼굴형상을 보완조사 하여 퍼스널컬러의 오진단을 방지하고 정확한 퍼스널컬러를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퍼스널컬러 이용 효과를 높혀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진 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개인에게 어울리는 퍼스널 컬러연출은 물론 색체의 변화폭이 넓어져서 각자의 목적에 맞는 패션 페르소나 컬러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변화무쌍한 삶의 터전에서 각자의 역할에 맞는 효율적인 소통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편리하고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컬러사용을 위해 타입별 컬러 외에 페르소나에 맞는 배색을 선택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시 각자 자신이 원하는 페르소나 상징 용어를 선택하면 용어에 맞는 색채와 배색을 찾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실용적이며 이미지 관리에 유용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체인징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체인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는 체인징 이미지 유형을 도시한 색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퍼스널 컬러 유형별 이미지 체인징의 메칭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체인징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체인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는 체인징 이미지 유형을 도시한 색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퍼스널 컬러 유형별 이미지 체인징의 메칭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퍼스널 컬러 및 패션 페르소나 컬러를 결정하기 위한 타입 별 지배적(dominant) 인 색채 구성을 밝은 봄(W1), 선명한 봄(W2), 부드러운 가을(W3), 짙은가을 (W4), 밝은여름 (C1), 차분한여름(C2), 선명한겨울(C3), 깊은 겨울 (C4)등의 8가지 색체 타입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타입 별 지배적인 색채 구성은, 밝은 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하고 중명도에서 고명도의 맑은 색이 지배적이며, 봄타입에 어울리는 대표적인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용어로는 귀여운(pretty),깜찍한(Cute),상냥한(sweet),신선한(Fresh),즐거운(Merry),사랑스런(Warm-lovely),생기있는(Youthful)상쾌한(refreshing)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한다.
그리고, 선명한 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한 채도가 높은 순색, 순색에 가까운 맑은 색이 지배적이고, 선명한 봄타입에 어울리는 대표적인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용어로는 활기찬(Bustling), 능동적인(Active), 격식에 메이지 않는(Casual), 매우 화사한(Brilliant), 선구적인(Avant-garde), 발랄한(sporty) 등 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더하여, 부드러운 가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중명도 고명톤의 색감이 잔잔한 색들이 지배적이며, 부드러운 가을에 어울리는 대표적인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용어로는 온화한(Mild),평화로운(peaceful), 부드러운(Smooth), 소박한(idilic), 자연의(natural), 친화적인(Friendly), 편안한(relaxed),무공해(no pollution) 고상한(Tasteful), 고전적인(classic)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짙은 가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생생한 딥톤과 색감이 짙은 스트롱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짙은 가을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풍부한(Rich), 고급스러운(Luxurious),호화로운(Gorgeous), 매혹적인(Glamourous),이국적인(Exotic, Ethnic),야성적인(Wild), 역동적인(Dynamic),강렬한(Intense)등 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계속하여, 밝은 여름의 상대적 색감이 차고 명도가 중명도에서 고명도 이면서 그레이 톤의 색이 섞여 채도가 낮은 부드러운 색이 지배적임이 이미 밝혀져 있고, 밝은 여름 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섬세한(delicate),기품있는(Refined),귀족적인(noble),청순한(Pure),낭만적(romantic),몽환적(fantasy),조용한(quiet),여성적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더하여, 차분한 여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중명도에서 저명도톤과 색감이 생생한 딥톤의 색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차분한 여름 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침착한(Composed), 우아한(elegance),고상한(Tasteful) 검소한(thrifty),세련된(Chic),순박한(Niave),여성스런(feminine),유순한(dovelike)맵시있는(dressy)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선명한 겨울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선명하고 색감이 강렬한 순색의 톤과 밝고 맑은 톤의 색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선명한 겨울 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예리한(Sharp),총명한(intelligent),우수한(Excellent),멋스런(Stylish),신비한(Mysterious),시원시원한(Cool),도회적(Urban),미래지향적인(Futuristic)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깊은 겨울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맑으며 강렬한 스트롱 톤과 색이 짙고 맑은 톤의 색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깊은 겨울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모던(Modern) 공식적인(Formal),멋진(dandy),진지한(solemn), 남자다운(masculine), 위엄있는(dignified), 정중한(respectful), 깊이감(Depth)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분되면서 서버에 미리 입력된 구분표 및 프로그램에 의해 퍼스널 컬러 및 패션페르소나 컬러를 결정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단말(100)에 일체로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하여 얼굴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입력수단은, 카메라, 마이크, 키보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말소리 입력이나, 얼굴형상 및 신체형상 등에 관한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신체색, 얼굴 형상, 신체 형상, 말소리, 설문지 등은 먼저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표준컬러의 기준색체데이터(310)와 비교하여 얼굴이나 신체의 색체를 판단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서버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사데이터와 보완조사데이터의 관련 메뉴가 미리 저장토록 되어 단말(100)의 연결시 메뉴를 제공토록 하고, 입력된 데이터는 조사데이터저장부(331)와 보완조사데이터저장부(333)에 각각 저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말소리는, 미리 제시한 문장을 낭독한 음성 녹음 파일을 입력토록 하여 보완조사데이터에 저장토록 한다.
더하여, 보완조사데이터는, 신체의 골격 형상이나, 얼굴 형상을 판단하기 위한 정면과 측면 사진을 촬영하여 입력하거나 설문지를 작성하여 입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얼굴형상은 얼굴의 형태를 시,지각적으로 관측하는 것으로 얼굴의 가로 너비와 세로 길이 및 얼굴의 두께(볼륨)를 시,지각적으로 관측한다.(정면, 측면, 45각도 촬영)
또한, 얼굴의 공간면적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눈, 코 입의 대소와 얼굴의 면적비와의 관계비)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얼굴형상의 판단에 관한 프로그램은 서버에 미리 입력되면서 상기와 같은 판단요인의 단계가 프로그램화 되어 얼굴형상에 관한 사진의 입력시 자동 계산을 수행토록 한다.
이때, 상기 얼굴형상은, 이미 알려져 있는 구분법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상인 역삼각, 마름모, 5각, 직사각, 사각, 삼각, 둥근형, 계란형 등의 형태로 일정한 표를 정하여 구분하였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얼굴의 입체, 각, 면적비, 이목구비의 비례관계를 측정하여 크게 웜베이스(B1), 쿨베이스(B2)를 결정하였고, 평면적인 얼굴형상은 웜베이스이며 입체적인 얼굴형상은 쿨베이스에 해당된다.
여기에서, 웜베이스란 모든 색에 노란색이 섞인 색들이 어울리는 사람의 분류이고, 쿨베이스란 모든색에 파란색이 섞인 색들이 어울리는 사람의 분류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색(피부색, 홍채색, 모발색, 입술색등)의 조사데이터에 얼굴형상의 파악을 위한 얼굴의 윤곽, 눈과 코 및 잎의 크기 및 형태, 얼굴의 입체정도를 체크하고, 제시된 문장 등을 통하여 목소리를 입력받아 음색의 특징을 판단하며,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입력받음으로 보완조사 데이터의 입력이 완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관한 데이터의 입력은, 몸매가 드러나는 옷을 입고 촬영한 데이터를 사용하면서 신체의 측면 및 정,후면 골격의 형태와 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평면적인 부류의 사람은 쿨베이스, 입체적인 부류의 사람은 웜베이스로 분류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서 말소리는, 청,지각적으로 측정 하기 위해 타입 별에 해당하는 말소리(음색)의 녹음파일을 제시하고, 제시된 녹음파일을 듣고 사용자와 같거나 유사한 항목에 첵크한다.
이때, 상기 말소리(음색)의 특징은 8타입에 상응되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으며, 그 중에 밝고 짜랑짜랑한 말소리(음색)를 가진 경우에는 웜 베이스에 속하고, 말소리(음색)가 높고 밝지 않으며, 말소리(음색)의 울리는 특징 감별이 힘들 경우(“쩌렁쩌렁”한)에는 쿨베이스에 속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보완조사데이터에 이용되는 사용자의 얼굴의 입체적 형상과 구강구조(목,구,비), 신체 골격형상, 피부의 두께(피부두께와 색소와의 관계) 등의 특징은 서로 유기적인 구도의 상관성을 가지고 있어 말소리(음색)와 신체색(피부색,모발색,홍채색,입술색)과 얼굴형상 및 신체 골격형상을 동시에 체크하면, 종래의 방식인 신체색에 의해서만 측정되는 퍼스널 컬러의 불명확한 진단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퍼스널 컬러의 도출은 퍼스널컬러 도출모듈(350)에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퍼스널 컬러의 구분은, 기존의 특허자료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사용된 보완이미지 데이터는, 입력시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메뉴가 서버에 미리 입력되어 사용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를 제어유닛에 연결되는 단말(100)과 제어유닛(390)에 의해 동작하는 제1제어부(410), 제1제어부(410)에 연결되는 제2제어부(430)가 일체로 구비된다.
즉,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준색채데이터(310)와 비교한 후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에서 도출되는 각 퍼스널 컬러에 변경될 수 있는 패션 페르소나 체인징컬러 데이터(370)가 구비되어 복수의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 이미지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2제어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제2제어부에 연결되어 퍼스널 컬러 또는 패션 페르소나 체인징 컬러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단말에 일체로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는, 얼굴색, 모발색, 눈동자, 입술색등의 신체색을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1차 도출하고, 1차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설문지와 얼굴형상, 신체형상을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2차 도출하며, 2차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입력되는 목소리(음색)을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3차 도출함으로써 퍼스널 컬러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보완조사데이터의 신체형상에 의한 퍼스널 컬러의 선택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신체형상 91% 9% 0%
보완조사데이터의 말소리(음색)에 의한 퍼스널 컬러의 선택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음색 80% 20% 0%
보완조사데이터의 얼굴형상에 의한 퍼스널 컬러의 선택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얼굴형상 90% 10% 0%
이상에서와 같이 보완조사데이터를 통하여 퍼스널 컬러를 도출한 결과 기존의 신체색만을 이용하여 도출되는 퍼스널 컬러가 얼굴형상 및 신체형상을 이용한 보완조사데이터를 보완 적용함으로써 정확한 판단이 가능토록 되었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퍼스널 컬러진단 방법을 기초로 하여 반복적인 실험의 결과, 각 퍼스널 컬러 진단에 삽입된 조사요인의 확장(말소리(음색),신체형상,얼굴형상에 대한 상관성이 80%이상의 만족 효과가 있음)을 통하여 퍼스널컬러 진단을 명쾌하게 해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한편, 한국인의 피부는 피부의 외피층이 두꺼워서 혈색의 비침이 약하고 ,멜라닌 색소가 혼합되어 있어 한 두 가지 화운데이션으로 부자연스럽지 않은 메이크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특별한 결점이 많이 부각되는 경우나 신체적 생리적 변화에 의해 노화가 심한 경우 및 피부색의 특징이 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미지의 체인징이 가능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도출된 퍼스널 컬러를 기초로 하여 반복적인 실험의 결과 각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는 패션 페르소나 이미지의 체인징이 가능함을 도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은,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는 색상은 물론 차선책이면서 퍼스널 컬러에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로 체인징 하기 위하여 적절한 염색을 수행하는 모발색의 변경, 이미지 체인징을 위한 적절한 화장을 하는 화장색의 변경, 이미지 체인징을 위한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의 변경, 의복 및 소품, 슈즈와 인테리어색 변경, 일반적인 광원색 및 조도 등 물리자극량 변경하는 물리적자극변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는 색상은 물론 차선책이면서 퍼스널 컬러에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로 체인징 하기 위하여 적절한 염색을 수행하는 모발색의 변경, 이미지 체인징을 위한 적절한 화장을 하는 화장색의 변경, 이미지 체인징을 위한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의 변경과 광원색의 변경을 통하여 퍼스널컬러 타입을 체인징 한 후에 목적하는 패션 페르소나 체인징(의복 및 소품, 슈즈와 인테리어색을 체인징)하여 전체적인 이미지를 바꿀 수 있다.
이때, 체인징할 타입( 봄, 밝은봄/선명한봄--)이 정해지고 그 정해진 이미지에 맞는 패션컬러(의복 및 소품, 슈즈와 인테리어 색)를 적용시키므로 퍼스널컬러 이상의 효과를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 방법으로 해결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패션 페르소나 이미지 체인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체색( 피부색, 모발색, 홍채색, 입술색)을 변경시키면 이미지의 체인징이 가능하며, 이에 더하여 좀 더 다양한 이미지 연출을 위하여 도4에서와 같이 8타입에 대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로 체인징이 가능하다.
우선, 8타입의 색채 특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밝은 봄(W1)은 순색을 지배적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 선명한 봄(W2) 보다, 모든 봄 타입의 색에 하양이 섞인 색들이 잘 어울리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선명한 봄(W2)을 밝은 봄(W1)으로 체인징 할때에는 모발색의 강함을 약화시키기 위해 명도를 높이고, 눈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렌즈(안경태)를 사용하며, 화장도 밝고 부드러운 색으로 약화 시킴으로써 신선하고 경쾌한 밝은 봄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더하여,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밝은 봄(W1)을 선명한 봄(W2)으로 바꾸고자 할 때에는, 모발색을 강화 시키기 위해 모발색의 명도를 낮춰 진하게 하고, 눈의 홍채색을 선명하게 강화 시키고, 화장색을 강화 시키며, 전체적으로 색상 대비, 명도 대비를 크게 하여 또렷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밝은 봄(W1)을 부드러운 가을(W3)로 바꾸고자 할 때에는 부드러운 가을(W3)은 밝은 봄과 밝은 여름(C1)이 믹서된 경우가 많아 색의 채도가 낮게되어 모발색이나 눈빛을 많이 바꿀 필요는 없으며, 화장 색으로 충분히 바꿀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색은 생기가 사라질 수 있으므로 완벽하게 부드러운 가을 색으로 하기 보다는 밝은 봄과 부드러운 가을 색을 믹서 해서 톤 다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밝은 봄을 밝은 여름으로 체인징 하고자 할 때에는 신체색의 명도는 같고, 색상과 채도가 다르며, 그 중에서 우선 색상이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웜베이스와 상반되는 색들(예>선명하고 찬 파란색계통의 색)을 중성화 시켜 조절하거나 매우 차게 느껴지는 색을 피해서 적용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신의 원래 퍼스널 컬러가 아닐지라도 추구하고자 하는 컬러타입으로 체인징 하고자 할 때에는 색의 삼속성의 특징을 근거로 공통점을 찾아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 을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4계절 타입에서 퍼스널컬러 봄타입의 색상이미지는, 밝은, 투명한, 선명한, 신선한, 귀여운, 유쾌한, 생기발랄한, 활기찬, 능동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며 체인징이 가능한 색채 특징은: 봄 - 가을(색상의 색감이 따뜻하다는 공통점을 적용), 봄-여름(밝다는 공통점을 적용), 봄 - 겨울( 색감이 맑고, 투명하고, 선명하다는 공통점을 적용)로 체인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여름타입의 색상 이미지는, 낭만적, 고상한, 청순한, 우아한, 섬세한, 신비한 차분함을 표현하는 것이며, 체인징이 가능한 색채 특성은: 여름 - 겨울(색상의 색감이 차다는 공통점 적용), 여름 - 봄( 밝다는 공통점 적용), 여름 - 가을(채도가 낮고 부드럽다는 공통점을 적용)로 체인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을타입의 색상 이미지: 친자연적, 수수한, 온화한, 풍부한, 화려한, 깊이감 있는, 이국적인, 매혹적인, 역동적인 등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체인징이 가능한 색채 특성은: 가을 - 봄(따뜻하다는 공통점 적용), 가을 - 여름( 부드럽다는 공통점), 가을 - 겨울( 색채가 짙다, 깊이감이 있다는 공통점)로 체인징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하여, 겨울타입의 색상 이미지는 맑은, 투명한, 예리한, 깊이감 있는 차가운, 명쾌한, 총명한, 심오한, 도회적인, 모던한, 포멀 등을 나타내며, 체인징 이 가능한 색채 특성은: 겨울 - 봄(투명, 선명하다는 공통점 적용), 겨울 - 여름(차다는 공통점 적용), 겨울 - 가을(색채가 짙다, 풍부하다는 공통점 적용)로 체인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8타입을 다시한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에서 밝은 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하고 중명도에서 고명도의 맑은 색 파래트임이 알려져 있고, 밝은 봄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귀여운(pretty), 깜찍한(Cute),상냥한(sweet),신선한(Fresh),즐거운(Merry),사랑스런(Warm-lovely),생기있는(Youthful)상쾌한(refreshing)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선명한 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한 채도가 높은 순색, 순색에 가까운 맑은 색이 지배적인 색 파래트임이 알려져 있고, 선명한 봄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활기찬(Bustling), 선명한(clear), 능동적인(Active), 격식에 메이지 않는(Casual), 매우 화사한(Brilliant), 선구적인(Avant-garde), 발랄한(sporty)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더하여, 부드러운 가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하고 부드러운 중명도 고명톤의 색감이 잔잔한 색들이 지배적인 색 파래트임이 알려져 있고, 부드러운 가을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온화한(Mild),평화로운(peaceful), 부드러운(Smooth), 소박한(idilic), 자연의(natural), 친화적인(Friendly), 편안한(relaxed),무공해(no pollution) 고상한(Tasteful), 고전적인(classic)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짙은 가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생생한 딥톤과 색감이 짙은 스트롱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짙은 가을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풍부한(Rich), 고급스러운(Luxurious),호화로운(Gorgeous), 매혹적인(Glamourous),이국적인(Exotic, Ethnic),야성적인(Wild), 역동적인(Dynamic),강렬한(Intense)등 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밝은 여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명도가 중명도에서 고명도 이면서 그레이 톤의 색이 섞여 채도가 낮은 부드러운 색이 지배적임이 이미 밝혀져 있고, 밝은 여름 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섬세한(delicate), 기품있는(Refined),귀족적인(noble),청순한(pure),낭만적(romantic), 몽환적(fantasy), 조용한(quiet), 여성적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차분한 여름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중명도에서 저명도톤과 색감이 생생한 딥톤의 색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차분한 여름 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침착한(Composed), 우아한(elegance),고상한(Tasteful) 검소한(thrifty),세련된(Chic),순박한(Niave),여성스런(feminine),유순한(dovelike)맵시있는(dressy)-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선명한 겨울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선명하고 색감이 강렬한 순색의 톤과 밝고 맑은 톤의 색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선명한 겨울 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예리한(Sharp),총명한(intelligent),우수한(Excellent),멋스런(Stylish),신비한(Mysterious),시원시원한(Cool),도회적(Urban),미래지향적인(Futuristic)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깊은 겨울의 경우 상대적 색감이 차고 맑으며 강렬한 스트롱 톤과 색이 짙고 맑은 톤의 색들이 지배적임이 이미 알려져 있고, 깊은 겨울타입에 어울리는 색채의 정서적 자극과 연상적, 추상적 표현의 대표적인 용어로는 모던(Modern) 공식적인(Formal),멋진(dandy),진지한(solemn), 남자다운(masculine), 위엄있는(dignified), 정중한(respectful), 깊이감(Depth) 등의 용어가 있으며, 패션 패르소나 컬러 체인징을 할 때 이를 적용하여 패션이미지 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밝은 봄을 밝은 여름으로 체인징 하고자 할 때에는 신체색의 명도는 같고, 색상과 채도가 다른데 , 그중에서 우선 색상이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웜베이스와 상반되는 색들(예>선명하고 찬 파란색계통의 색)을 중성화 시켜 조절하거나 매우 차게 느껴지는 색을 피해서 적용시킨다.
더하요, 본 발명은 도5에서와 같이 의복의 경우에 알맞게 착용하는 것 즉 TPO(시간(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에 따라 의복의 컬러를 선택하고, 상기 의복의 컬러에 대응하여 일부 변경요소를 변경시켜 이미지를 체인징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출원인의 연구와 노력의 결과로 다수의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더 세부적이고 풍부한 퍼스널컬러 타입의 체인징 방법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 패션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 체인징은, 도5에서와 같이 도출된 퍼스널 컬러 봄(W1)이 - 선명한 봄(W2), 부드러운 가을(W3), 밝은 여름(C1)으로 체인징 되며, 퍼스널 컬러 선명한 봄(W2)이 - 밝은 봄(W1), 짙은 가을(W4), 선명한 겨울(C3)로 체인징되고, 퍼스널 컬러 부드러운 가을(W3)이 - 짙은 가을(W4), 밝은 봄(W1), 밝은 여름(C1)으로 체인징 되며, 퍼스널 컬러 짙은 가을(W4)이 - 부드러운 가을(W3), 선명한 봄(W2), 깊은 겨울(C4)로 체인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컬러 밝은 여름(C1)이 - 차분한 여름(C2), 밝은 봄(W1), 부드러운 가을(W3)로 체인징 되며, 퍼스널 컬러 차분한 여름(C2)이 - 밝은 여름(C1), 깊은 겨울(C4), 선명한 겨울(C3)로 체인징 되고, 퍼스널 컬러 선명한 겨울(C3)이 - 깊은 겨울(C4), 선명한 봄(W2), 차분한 여름(C2)으로 체인징되며, 퍼스널 컬러 깊은 겨울(C4)이 - 선명한 겨울(C3), 짙은 가을(W4), 차분한 여름(C2)로 체인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체인징을 통하여 사용자 및 주변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퍼스널 컬러별 이미지 체인징 된 화장색(피부색, 눈, 눈썹, 입술,볼)에 대한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화장색 85% 13% 2%
퍼스널 컬러별 이미지 체인징 된 염색컬러(가발)에 대한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염색컬러 83% 15% 2%
퍼스널 컬러별 이미지 체인징 된 홍채색(안경태)에 대한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홍채색 80% 13% 7%
퍼스널 컬러별 이미지 체인징 된 물리적자극변경에 대한 만족도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물리적자극변경 82% 15% 3%
이상의 표4 내지 표7에서와 같이 20~50대 310명의 참가자를 통하여 화장색, 염색컬러, 홍채색(안경태), 물리적자극(조명)으로 구분하여 연출에 대한 호응도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80% 이상의 참여자가 이미지 체인징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패션 페르소나 체인징에서 체인징 요인으로 화장색, 물리적자극변경, 염색색, 홍채색(안경색)등을 비교한 경우 화장색만 바꾸어도 되는 사람의 만족도 85%, 염색색만 바꾸어도 만족스런 결과를 얻은 사람 사람 83%, 물리적자극변경만 바꾸어도 만족스런 결과를 얻은 사람 82%, 홍채색만 바꾸어도 만족스런 결과를 얻은 사람 80% 였다.
한편, 퍼스널컬러 진단 전문가집단의 경우에는 화장색의 경우 만족도는 86%, 염색컬러의 경우에는 85%, 홍채색(안경테)의 경우에는82%, 물리적자극변경(조명색)의 경우에는90%가 만족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더하여, 복합 이용의 경우 만족도가 더욱 증가하였는데 화장색과 염색컬러를 바꾸어서 만족스런 결과를 얻은 사람 88%, 화장색과 물리적자극변경을 바꾸어서 만족스런 결과를 얻은 사람 90%, 화장색과 물리적자극변경과 홍채색을 바꾸어서 만족한 결과를 얻은 사람 92%, 화장색과 물리적자극변경및 홍채색과 염색컬러를 바꾸어서 만족도가 87%, 홍채색과 화장색을 바꾸어서 만족도 87% 홍채색과 염색색을 바꾸어서 만족도 87%, 홍채색과 물리적자극변경을 바꾸어서 만족도 83%로 나타나 상황에 따라 복합적인 이미지 체인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물리적자극변경(광원,조도 등)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면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의 영역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은, 화장색변경, 눈 빛깔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안경색)변경, 광원의 색과 조도와 배광등을 조정하여 빛의 자극을 변경하는 물리적자극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체인징할 타입( 봄, 밝은봄/선명한봄--)을 정한다.
그리고, 선호하는 이미지에 맞는 패션컬러(의복 및 소품, 슈즈와 인테리어 색)를 적용시키므로 퍼스널컬러 이상의 효과를 패tus 페르소나 컬러 메칭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100...단말 300...서버
310...색체데이터 390...제어유닛
410...제1제어부 430...제2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얼굴색 또는 피부색으로 이루어진 신체색, 얼굴형상 및 신체형상, 사용자의 말소리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데이터의 신체색에 대응되는 기준 채데이터가 저장되는 색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에 대응되는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1제어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어 퍼스널 컬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의 일측에 상기 제1제어부에서 도출되는 각 퍼스널 컬러에 대응되면서 각 퍼스널 컬러를 이용하도록 입력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의 이미지를 도출하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2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이용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데이터는, 사용자의 피부색, 모발색, 홍채색, 입술색 중 하나 이상인 신체색이며,
    상기 보완조사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형상, 신체형상, 말소리, 설문지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수단은, 카메라, 마이크, 키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완조사데이터 중 얼굴형상은, 얼굴의 입체, 각, 면적비, 이목구비의 비례관계를 판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이용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템.
  4. 퍼스널 컬러 도출 프로그램과 패션 페르소나 이미지 체인징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면서 기준색체 데이터가 구축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사데이터 또는 보완조사 데이터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신체 데이터를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도출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진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컬러를 도출하는 단계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변경 요소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변경요소에 의해 패션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데이터는, 사용자의 피부색, 모발색, 홍채색, 입술색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보완조사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형상, 신체형상, 말소리, 설문지 중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수단은, 카메라, 마이크, 키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완조사데이터중 얼굴형상은, 얼굴의 입체, 각, 면적비, 이목구비의 비례관계를 판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르소나 컬러 체인징은,
    퍼스널 컬러
    봄(W1)이 - 선명한 봄(W2), 부드러운 가을(W3), 밝은 여름(C1)으로 체인징 되며,
    선명한 봄(W2)이 - 밝은 봄(W1), 짙은 가을(W4), 선명한 겨울(C3)로 체인징되고,
    부드러운 가을(W3)이 - 짙은 가을(W4), 밝은 봄(W1), 밝은 여름(C1)으로 체인징 되며,
    짙은 가을(W4)이 - 부드러운 가을(W3), 선명한 봄(W2), 깊은 겨울(C4)로 체인징 되고,
    밝은 여름(C1)이 - 차분한 여름(C2), 밝은 봄(W1), 부드러운 가을(W3)로 체인징 되며,
    차분한 여름(C2)이 - 밝은 여름(C1), 깊은 겨울(C4), 선명한 겨울(C3)로 체인징 되고,
    선명한 겨울(C3)이 - 깊은 겨울(C4), 선명한 봄(W2), 차분한 여름(C2)으로 체인징되며,
    깊은 겨울(C4)이 - 선명한 겨울(C3), 짙은 가을(W4), 차분한 여름(C2)로 각각 체인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8. 제4항 내지 도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의 체이징은, 모발색 컬러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염색을 수행하는 모발색변경, 피부색 컬러를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화장을 수행하는 화장색변경, 눈빛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안경색)변경, 일상적인 광원을 조정하여 빛의 자극을 변경하는 물리적자극변경, 의복 및 소품, 슈즈와 인테리어색변경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페르소나 컬러 이미지 체인징은, 모발색 컬러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염색을 수행하는 모발색 변경, 피부색 컬러를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화장을 수행하는 화장색변경, 눈 빛깔의 체인징을 위해 적절한 컬러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색(안경색)변경, 광원의 색과 조도와 배등을 조정하여 빛의 자극을 변경하는 물리적자극변경 중 선택되는 하나로서 퍼스널컬러를 체인징 하고,
    상기 퍼스널컬러 체인징 후에 패션 페르소나 용어에 맞는 의복 및 소품, 슈즈와 인테리어색을 체인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데이터 및 보완조사데이터는, 얼굴색, 모발색, 홍채색,입술색으로 이루어진 신체색 입력을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1차 도출하는 단계;
    설문지와 얼굴형상, 신체형상의 데이터 입력을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2차 도출하는 단계;
    말소리의 입력을 통하여 퍼스널컬러를 3차 도출하는 단계로서 이루어진 특징으로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KR1020180012476A 2018-01-31 2018-01-31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KR10203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76A KR102037166B1 (ko) 2018-01-31 2018-01-31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76A KR102037166B1 (ko) 2018-01-31 2018-01-31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040A true KR20190093040A (ko) 2019-08-08
KR102037166B1 KR102037166B1 (ko) 2019-10-28

Family

ID=6761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476A KR102037166B1 (ko) 2018-01-31 2018-01-31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73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포켓메모리 뎁스 카메라를 이용한 ai 스타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015104A1 (ko) * 2020-07-16 2022-01-20 (주) 코코리색채연구소 멜라닌 지수 및 헤모글로빈 지수를 기초로 한 화장품 추천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620400B1 (ko) * 2022-08-12 2024-01-0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화면 상 얼굴 보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863B1 (ko) * 2021-06-28 2022-08-26 주식회사 한국퍼스널컬러코디네이터협회 퍼스널 스타일링 서비스 방법
KR102503580B1 (ko) 2022-11-11 2023-02-24 김상희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된 스타일링 정보 추천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2132A (ja) * 2000-09-13 2002-03-29 Kao Corp メイクアップアドバイスの提供方法
KR20100101188A (ko) * 2002-04-22 2010-09-16 마시오 마크 아우렐리오 마틴스 애브리우 생물학적 파라미터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27801A (ko) * 2011-09-08 2013-03-18 에버클라우드 주식회사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9769B1 (ko) * 2013-06-14 2014-01-09 주식회사 비투맥스 음성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한 화상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93332A (ko) * 2014-02-07 2015-08-18 정연아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2132A (ja) * 2000-09-13 2002-03-29 Kao Corp メイクアップアドバイスの提供方法
KR20100101188A (ko) * 2002-04-22 2010-09-16 마시오 마크 아우렐리오 마틴스 애브리우 생물학적 파라미터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27801A (ko) * 2011-09-08 2013-03-18 에버클라우드 주식회사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9769B1 (ko) * 2013-06-14 2014-01-09 주식회사 비투맥스 음성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한 화상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93332A (ko) * 2014-02-07 2015-08-18 정연아 퍼스널 컬러 매칭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완묵, and 박연선. "음성과 퍼스널컬러 유형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7권3호 (2013)* *
문완묵, 박연선, "음색과 피부색, 홍채색의 상관관계를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28권2호(201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273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포켓메모리 뎁스 카메라를 이용한 ai 스타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015104A1 (ko) * 2020-07-16 2022-01-20 (주) 코코리색채연구소 멜라닌 지수 및 헤모글로빈 지수를 기초로 한 화장품 추천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1825928B2 (en) 2020-07-16 2023-11-28 Cocory Color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 of recommending cosmetics based on melanin index and hemoglobin index and device thereof
KR102620400B1 (ko) * 2022-08-12 2024-01-0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화면 상 얼굴 보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66B1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166B1 (ko) 시지각과 청지각을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션 페르소나 컬러 메칭방법
US20070047761A1 (en) Methods Of Analyzing Human Facial Symmetry And Balance To Provide Beauty Advice
KR100801115B1 (ko)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료의 선택 방법
Michela Sassi Perceiving colors
KR101987189B1 (ko) 메이크업 제안 키오스크
JP2001292832A (ja) メーキャップカラーイメージ分類法およびメーキャップカラーイメージマップ
JP5599930B1 (ja) 色彩分布図及び用具
Kuleshova et al. Image clothing as a perceptual component of clothing design
Varshovi Facial makeup detection using HSV color space and texture analysis
Marcus et al. Rembrandt's late self-portraits: psychological and medical aspects
US9103728B2 (en) System and method of a personal enhancing color selection
Kuang et al. The Application of Color in Interior Design
KR20030007206A (ko) 피부색과 헤어 컬러 및 메이크업의 컬러 밸런스에 기초한미용 방법
WO2023120525A1 (ja) 印象変更支援方法
KR10213213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맞춤형 메이크업 진단 시스템
Oh et al. Personal color decision system using fuzzy logic
England High Society: British Female Portraiture of the Eighteenth Century Report
CN1695516A (zh) 女性个人色彩规律分析系统和方法
Gaetani et al. Colour proposals consistency in the CMF for car design education
Saper Painting Beautiful Skin Tones with Color & Light: Oil, Pastel and Watercolor
Audsley Colour Harmony in Dress
JP2023092510A (ja) 印象変更支援方法
Ronchi Experimantation Color Vision Psychophysical and Interacting with Color Language
JPH09208428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の選択方法
Kuleshova et al. Image clothing as a component of the professional designer’s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