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375A -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375A
KR20190092375A KR1020197013140A KR20197013140A KR20190092375A KR 20190092375 A KR20190092375 A KR 20190092375A KR 1020197013140 A KR1020197013140 A KR 1020197013140A KR 20197013140 A KR20197013140 A KR 20197013140A KR 20190092375 A KR20190092375 A KR 2019009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plasma
concentration
parvoviru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이 가오
제퍼리 엠. 린넨
Original Assignee
그리폴스 다이어그노스틱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폴스 다이어그노스틱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그리폴스 다이어그노스틱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9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12Q1/701Specific hybridization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5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DNA viruses
    • C12N2750/00011Details
    • C12N2750/14011Parvoviridae
    • C12N2750/14051Methods of production or purification of viral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5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DNA viruses
    • C12N2750/00011Details
    • C12N2750/14011Parvoviridae
    • C12N2750/14211Erythrovirus, e.g. B19 virus
    • C12N2750/142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5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DNA viruses
    • C12N2750/00011Details
    • C12N2750/14011Parvoviridae
    • C12N2750/14311Parvovirus, e.g. minute virus of mice
    • C12N2750/143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1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19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p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25Specific component of sample, medium or buff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37Concentration of a component of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46Concentration of target or temp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혈장, 혈청, 및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을 분석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석 전에 상기 혈장, 혈청 또는 제조 풀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되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반대 이온은 나트륨 이온이 아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라우릴 설페이트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반대 이온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일 수 있다.

Description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유럽 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및 미국 식품의약국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을 비롯한 다양한 규제 기관은 정상적인 헌혈로부터 혈장 유래 제품 및 방출 혈액 성분의 생산 동안 A 형 간염 바이러스, B 형 간염 바이러스, C 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1 및 2, 및 파보바이러스 B19(parvovirus B19)를 비롯한 다수의 상이한 바이러스들에 대한 검사를 요구하고 있다. 파보바이러스 B19 감염은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고역가 혈장 기증물(high-titer plasma donations) 유래의 파보바이러스 B19는 혈장 유래 제품을 받는 환자에서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높은 역가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함유하는 혈장 기증물은 빈번하고 혈장 풀(plasma pool)을 오염시킬 수 있다. 다음에, 오염된 혈장 풀은 파보바이러스 B19가 응고 인자, 피브린 실란트(fibrin sealant), 및 용매/세제 처리된 혈장을 비롯한 혈장 유래 제품을 통해 전염되도록 한다.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는 일반적으로 고역가 기증물을 혈장 풀로부터 배제하기 위해 핵산 검사를 통해 정량화되어, 오염 및 전염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파보바이러스 B19는 바이러스 입자의 응집(aggregation)으로 인해 몇몇 혈장 시료에서 정량화하기가 어렵지만, 파보바이러스 B19를 정량화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들의 다양한 측면은 인간 혈장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manufacturing pool)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시료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처리된 시료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인간 혈장의 분취액(aliquot)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인간 혈장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역치; threshold value)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나트륨의 몰비는 1:10 미만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설페이트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예를들어, 라우릴 설페이트), 이의 반대 이온(예를 들어, 리튬) 및 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라우릴 설페이트), 이의 반대 이온(예를 들어, 리튬) 및 물로 구성될 수 있다(즉, 불가피한 오염물을 제외한 임의의 다른 분자 또는 이온이 없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접촉은 약 4 ℃ 내지 약 37 ℃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계면 활성제 용액 내의 음이온성 게면활성제에 대한 리튬 양이온의 몰비는 약 1:2 내지 약 2:1, 예를 들어, 약 1:1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처리된 시료 내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적어도 4 %, 예를 들어, 적어도 5 %, 4 % 내지 10 % 또는 5 % 내지 10 % 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높거나 낮은지를 결정하는 것은 전사 매개 증폭(TMA) 또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과 같은 핵산 검사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핵산 검사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모든 알려진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 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클 경우 인간 혈장, 제조 풀 또는 그의 하류측 제조 풀을 페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치를 얻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동일 인간 혈장 또는 동일한 제조 풀의 상이한 분취액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이한 측정치들의 변동 계수는,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되고 상기 상이한 분취액들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준비 및 분석 단계들을 거치는 분취액들의 경우 50 % 이하이고; 동일한 인간 혈장 또는 동일한 제조 풀의 상이한 분취액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이한 측정치의 변동 계수는,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상이한 분취액들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료 준비 및 분석 단계를 거치는 분취액들의 경우 50 % 초과이다.
구체예들의 다양한 측면은 혈장 유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혈장 또는 제조 풀의 분취액에서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를 결정하고 상기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인간 혈장 또는 제조 풀로부터 혈장-유래 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혈장-유래 제품은, 예를 들어, 풀링된 혈장(pooled plasma), 용매/세제로 처리된 풀 혈장, 응고 인자, 피브린 실란트, 알부민, 또는 면역 글로불린 제품일 수 있다.
구체예들의 다양한 측면은 본원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혈장-유래 제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들의 다양한 측면은, 파보비리데(Parvoviridae) 바이러스 게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역보체(reverse complement)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증폭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2 개의 증폭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액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나트륨 이온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몰비는 1:1 초과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증폭 프라이머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각각의 알려진 유전자형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증폭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고체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체 지지체는 비드(bead), 멤브레인(membrane),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 폴리펩티드 칩,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고체 상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고체 지지체 상에 고정화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6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사슬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족 사슬은 예를 들어 포화 및/또는 비분지화(unbranched)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지방족 사슬 이외의 비분지된 선형 탄소 사슬이 없을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지방족 사슬의 탄소 원자 이외의 탄소 원자가 전혀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pH 5 내지 10 에서 약 -1의 순전하를 갖는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기 황산염, 설포네이트, 유기 인산염, 유기 포스포네이트 또는 카르복시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설페이트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액체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적어도 4 % (중량/부피), 예를 들어 4 % 내지 약 10 % (중량/부피), 약 5 % 내지 약 10 % (중량/부피), 4 % 내지 약 9 % (중량/부피), 또는 약 5 % 내지 약 9 % (중량/부피)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액체 내의 나트륨 이온의 농도는 1 % (중량/부피) 미만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액체 내의 리튬 이온의 농도는 적어도0.01 % (중량/부피)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은 파보바이러스 B19의 게놈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혈장을 포함하거나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을 포함한다.
구체예들의 다양한 측면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로서, 상기 파보 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이 파보바이러스 B19의 게놈이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 설페이트이고; 상기 액체 중의 라우릴 설페이트의 농도가 적어도 4 % (중량/부피) 이고; 상기 액체 중의 리튬 이온의 농도가 적어도 0.1 % (중량/부피) 이고; 상기 리튬 및 라우릴 설페이트는 상기 액체 중에 약 11:10 내지 약 10:11의 몰비로 존재하고; 상기 액체 내의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0.5 % (중량/부피) 미만이고; 인간 혈장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이 상기 조성물 내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조성물의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은 상기 인간 혈장의 분취액 또는 상기 제조 풀의 분취액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상이한 조건하에서 동결 및 해동 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challenging)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분석된 동결/해동/혼합 조건은 동일한 동결/해동 프로토콜을 거친 혈장 시료 GDFL211의 상이한 분취액들 사이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지 않았다.
도 2는 다양한 상이한 조건하에서 가열 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상승된 온도 (60 ℃)에서 30 분 동안의 혼합은 %CV를 제어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였으나, 이러한 결과는 재현될 수 없었다. 다른 혼합/가열 조건은 동일한 가열 프로토콜을 거친 혈장 시료 GDFL211의 상이한 분취액들 사이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지 않았다.
도 3은 다양한 상이한 조건하에서 가열 및 초음파처리(sonication)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분석된 가열 및 초음파처리 조건은 동일한 가열 및 초음파처리 프로토콜을 거친 혈장 시료 GDFL211의 상이한 분취액들 사이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지 않았다.
도 4는 중성 pH, pH = 3 및 pH = 11에서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pH = 11에서의 분석은 혈장 시료 GDFL211의 상이한 분취액들 사이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였으나, 이러한 조건은 알칼리성 pH가 RNA 반감기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배격되었다.
도 5는 상이한 프로테아제 처리 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상기 분석된 프로테아제들은 동일한 프로테아제 처리를 거친 혈장 시료 GDFL211의 상이한 분취액들 사이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지 않았다.
도 6은 상이한 계면활성제들의 첨가 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혈장 시료 GDFL211의 분석에서 5 % LLS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는 %CV를 개선시켰다. 상기 5 %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시료는 침전물이 포함하여, 검사 결과가 유효하지 않았다. 1 % Triton X-100은 %CV를 개선시키지 않았다.
도 7은 3 % LLS, 4 % LLS, 5 % LLS, 6 % LLS, 7 % LLS, 8 % LLS 및 9 % LLS의 농도에서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LLS)의 첨가 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4 % LLS-처리된 시료는 3 % LLS-처리된 시료에 비해 개선된 %CV를 나타내었고, 5 % LLS-처리된 시료는 4 % LLS-처리된 시료에 비해 개선된 %CV를 나타내었다.
도 8은 4 % LLS, 5 % LLS, 6 % LLS 또는 7 % LLS의 농도에서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LLS)의 첨가 및 저장 없이, 또는 2 내지 8 ℃에서 24 시간 냉장 후 또는 20 ℃에서 72 시간 동결 후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한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된 도전 혈장 시료 GDFL211 (흑색 막대) 및 대조 혈장 시료 (백색 막대)로부터의 분취액들에 대한 변동 계수(%CV)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상기 5 % LLS-처리된 시료는 4 % LLS-처리된 시료에 비해 개선된 %CV를 나타내었다. 냉장 및 동결은 %CV의 LLS-관련 개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9는 LLS로 처리된(흑색 막대) 또는 처리되지 않은(백색 막대) HAV RNA에 대한 WHO 국제 표준 (NIBCS 코드 00/560)의 상이한 희석액에서 A 형 간염 바이러스 RNA의 검출의 분석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상기 HAV RNA 표준에의 LLS의 첨가는 미처리 시료에 비해 LLS-처리된 시료의 핵산 검사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양한 구체예들은 혈장에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lithium lauryl sulfate; LLS)를 첨가하면 상기 혈장 내 파보 바이러스 B19의 검출이 유의하게 증가된 정밀도로 가능하다는 발견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인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가 동일한 혈장 시료 유래의 분취액에서 침전물을 생성하고, SDS-처리된 혈장 시료의 분석이 잘못된 결과를 산출한다는 점에서 예상치 못한 것이다.
LLS 및 SDS는 도데실 설페이트 및 라우리설페이트라고도 알려져 있는 동일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라우릴 설페이트는 단일의 분지되지 않은 불포화 12-탄소 지방족 기를 함유하는 유기 황산염(organosulfate)이다. LLS 및 SDS는 LPS가 반대 이온인 나트륨을 포함하는 반면에 SDS는 반대 이온인 리튬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는 나트륨 이온이 SDS-처리된 혈장 시료를 분석할 수 없다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반대 이온의 선택은 본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서 예상치 못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Triton X-100은 반대이온이 없고, 혈장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정확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혈장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데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래의 실시예 섹션(Exemplification section)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시료에의 LLS의 첨가는 측정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상이한 조건하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정확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LLS는 증가된 역가의 파보바이러스 B19에 대하여 혈장, 혈청, 및 혈장 유래 제품의 제조 풀(manufacturing pool)의 스크리닝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망한 시약이다. LLS는 HAV RNA에 대한 WHO 국제 표준에서 A 형 간염 바이러스 (HAV) RNA의 검출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LLS는 혈액, 혈장 및 혈청 시료의 분석으로부터 얻은 측정치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약으로서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S)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정의에 의해 소수성기 및 순 음전하(net negative charge)를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기의 성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수성 기는 예를 들어 지방족 사슬일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족 사슬을 포함한다.
지방족 사슬의 성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족 사슬은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 O, N, S 또는 Si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 분지(branching), 하나 이상의 호모고리(homocycle) 또는 헤테로고리(heterocycles)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족 사슬의 하나 이상의 양성자는 F, Cl, Br 또는 I와 같은 할로겐, 히드록실 또는 티올로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사슬은 에테르, 티오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사슬은 예를 들어 4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 예컨대 6 내지 26, 8 내지 20 또는 10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사슬은 예를 들어, 적어도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또는 2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사슬은 예를 들어,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또는 2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지방족 사슬을 함유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상기 지방족 사슬의 탄소 원자 이외의 탄소 원자가 전혀 없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연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인간 혈액이나 인간 혈장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인간 혈장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연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순수한 인간 혈장에서 예를 들어 0.1 % (중량/부피) 초과의 농도로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반적인 부류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음전하가 유래 할 수있는 기 형태 (예를 들어,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또는 카르복실기)를 확인하는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및 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에서 유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설페이트 (예를 들어, 라우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예를 들어, 라우레스 설페이트, 마이레스 설페이트),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락틸레이트 (예를 들어,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 알킬 설포네이트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디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지방산 (예를 들어, 스테아레이트)이 있다.
지방족 사슬은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고, 지방족 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라우릴 설페이트는 포화 지방족 사슬을 포함한다. 지방족 사슬은 분지되거나 비분지될 수 있고, 지방족 사슬의 분지화(branching)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라우릴 설페이트는 비분지 된 지방족 사슬을 포함한다. 지방족 사슬은 선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고, 이러한 특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라우릴 설페이트는 선형 지방족 사슬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pH = 7.4 인 중성 pH에서 음의 순전하를 갖는다. 본원에서 정의된 음의 순전하는 -0.5 미만의 전하를 의미하며, 이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분자의 절반 이상이 주어진 세트의 조건(일반적으로 pH에 의해 조절되는) 하에서 음전하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 내지 14 의 pH, 예를 들어 pH 5 내지 10, pH 5 내지 7, pH 6 내지 8, pH 7 내지 9, 또는 pH 8 내지 10 에서 -0.5 미만의 순전하를 가질 수있다. 계면 활성제는 1 내지 14 의 pH, 예를 들어 pH 5 내지 10, pH 5 내지 7, pH 6 내지 8, pH 7 내지 9, 또는 pH 8 내지 10 에서 약 -1의 순전하를 가질 수 있다.
액체 조성물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성질 및 상기 액체 조성물의 다른 성분의 농도에 의존한다. >20 %, >30 %, >40 %, >50 %, >60 %, >70 %, >80 % 또는 >90 %의 인간 혈장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의 경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약 2 %, 3 %, 5 %, 6 %, 7 %, 8 %, 9 % 또는 10 %와 같은 적어도 약 1 %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1 % 내지 약 20 % (중량/부피), 예를 들어 약 3 % 내지 약 9 %, 약 4 % 내지 약 9 %, 약 1 % 내지 약 5 %, 약 3 % 내지 약 7 %, 약 5 % 내지 약 9 %, 약 1 %, 약 2 %, 약 3 %, 약 4 %, 약 5 %, 약 6 %, 약 7 %, 약 8 %, 약 9 %, 또는 약 10 %의 농도로 액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100 mmol/L 내지 약 1 mol/L, 예를 들어 약 150 mmol/L 내지 약 500 mmol/L, 약 150 mmol/L 내지 약 350 mmol/L, 약 100 mmol/L 내지 약 200 mmol/L, 약 150 mmol/L 내지 약 250 mmol/L, 약 200 mmol/L 내지 약 300 mmol/L, 약 250 mmol/L 내지 약 350 mmol/L, 약 120 mmol/L, 약 130 mmol/L, 약 140 mmol/L, 약 150 mmol/L, 약 160 mmol/L, 약 170 mmol/L, 약 180 mmol/L, 약 190 mmol/L, 약 200 mmol/L, 약 210 mmol/L, 약 220 mmol/L, 약 230 mmol/L, 약 240 mmol/L, 약 250 mmol/L, 약 260 mmol/L, 약 270 mmol/L, 약 280 mmol/L, 약 290 mmol/L, 또는 약 300 mmol/L의 농도로 액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상기 액체 조성물에서 파보바이러스 역가의 측정 정확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액체 조성물 중의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치의 반복(replicates)에 대한 변동 계수를 도전 시료의 경우 약 70 % 미만, 예를 들어, 약 60 % 미만, 약 50 % 미만, 약 40 % 미만, 또는 심지어 약 30 %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큰 농도로 액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약 4 % LLS는 액체 조성물 중의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값의 반복에 대한 변동계수를 도전 시료의 경우 약 70 %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LLS의 농도이다. 마찬가지로, 약 5 % LLS는 액체 조성물 중의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치의 반복에 대한 변동 계수를 도전 시료의 경우 약 30 %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LLS의 농도이다.
본원에서 정의된 용어 "도전 시료(challenging sample)"는 핵산 검사(예를 들어, PCR)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파보바이러스 B19와 같은 시료 내의 피분석물(analyte)을 측정할 때. 아래의 예증 섹션에서 기재된 대조 시료와 같은 대표적인 시료 또는 평균 시료의 변이 계수의 50 % 초과 및 2 배 초과인 변이 계수를 나타내는 시료를 의미한다.
B. 반대 이온(COUNTERIONS)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양성자 및 하이드로늄 이온 이외의 양이온인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반대 이온을 갖는 수용액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양이온성 반대 이온" 및 "반대 이온"은 나트륨 이온이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한 나트륨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반대 이온은 칼륨 이온, 티타늄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알루미늄 이온, 규소 이온, 암모늄, 리신, 히스티딘, 또는 아르기닌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상기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반대 이온은 하나 이상의 경질(hard) 루이스 산, 특히 리튬 이온을 포함하거나 그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C. 계면활성제 용액(SURFACTANT SOLUTIONS)
계면활성제 용액은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반대 이온 및 물을 포함하는 액체이다. 계면활성제 용액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반대 이온 및 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적어도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또는 20 %와 같은 적어도 10 % (중량/부피)의 농도로 계면활성제 용액에 존재할 수 있는 라우릴 설페이트일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또는 20 %의 농도로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적어도 약 175 mmol/L,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80 mmol/L, 190 mmol/L, 200 mmol/L, 225 mmol/L, 250 mmol/L, 275 mmol/L, 300 mmol/L, 325 mmol/L, 350 mmol/L, 375 mmol/L, 400 mmol/L, 450 mmol/L, 500 mmol/L, 550 mmol/L, 600 mmol/L, 650 mmol/L, 700 mmol/L, 또는 750 mmol/L의 농도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적어도 약 5 % (중량/부피), 예를 들어, 적어도 약 5 %, 약 6 %, 약 7 %, 약 8 %, 약 9 %, 약 10 %, 약 11 %, 약 12 %, 약 13 %, 약 14 %, 약 15 %, 약 16 %, 약 17 %, 약 18 %, 약 19 % 또는 약 20 %의 농도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75 mmol/L 내지 약 800 mmol/L, 예를 들어, 약 2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4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6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300 mmol 내지 약 500 mmol, 약 400 mmol 내지 약 600 mmol, 약 500 mmol 내지 약 700 mmol, 약 6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7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180 mmol/L, 약 190 mmol/L, 약 200 mmol/L, 약 225 mmol/L, 약 250 mmol/L, 약 275 mmol/L, 약 300 mmol/L, 약 325 mmol/L, 약 350 mmol/L, 약 375 mmol/L, 약 400 mmol/L, 약 450 mmol/L, 약 500 mmol/L, 약 550 mmol/L, 약 600 mmol/L, 약 650 mmol/L, 약 700 mmol/L 또는 약 750 mmol/L의 농도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5 % 내지 약 30 %, 예를 들어, 약 10 % 내지 약 25 %, 약 10 % 내지 약 14 %, 약 12 % 내지 약 16 %, 약 14 % 내지 약 18 %, 약 16 % 내지 약 20 %, 약 18 % 내지 약 22 %, 약 20 % 내지 약 24 %, 약 5 %, 약 6 %, 약 7 %, 약 8 %, 약 9 %, 약 10 %, 약 11 %, 약 12 %, 약 13 %, 약 14 %, 약 15 %, 약 16 %, 약 17 %, 약 18 %, 약 19 %, 약 20 %, 약 21 %, 약 22 %, 약 23 %, 약 24 % 또는 약 25 %의 농도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본질적으로 나트륨 이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트륨 이온은 예를 들어 미량 또는 음이온성 게면활성제에 대하여 1:1 보다 유의하게 낮은 몰비, 예를 들어, 1:5, 1:10, 1:20, 1:25, 또는 1:100 미만의 몰비로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에 존재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용액은 나트륨 이온이 없을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적어도 약 175 mmol/L,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80 mmol/L, 190 mmol/L, 200 mmol/L, 225 mmol/L, 250 mmol/L, 275 mmol/L, 300 mmol/L, 325 mmol/L, 350 mmol/L, 375 mmol/L, 400 mmol/L, 450 mmol/L, 500 mmol/L, 550 mmol/L, 600 mmol/L, 650 mmol/L, 700 mmol/L, 또는 750 mmol/L의 농도로 상기 양이온성 반대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적어도 약 175 mmol/L,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80 mmol/L, 190 mmol/L, 200 mmol/L, 225 mmol/L, 250 mmol/L, 275 mmol/L, 300 mmol/L, 325 mmol/L, 350 mmol/L, 375 mmol/L, 400 mmol/L, 450 mmol/L, 500 mmol/L, 550 mmol/L, 600 mmol/L, 650 mmol/L, 700 mmol/L, 또는 750 mmol/L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적어도 약 0.001 % (중량/부피),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01 %, 약 0.05 %, 약 0.10 %, 약 0.11 %, 약 0.12 %, 약 0.13 %, 약 0.14 %, 약 0.15 %, 약 0.16 %, 약 0.17 %, 약 0.18 %, 약 0.19 %, 약 0.20 %, 약 0.21 %, 약 0.22 %, 약 0.23 %, 약 0.24 %, 약 0.25 %, 약 0.26 %, 약 0.27 %, 약 0.28 %, 약 0.29 %, 약 0.30 %, 약 0.31 %, 약 0.32 %, 약 0.33 %, 약 0.34 %, 약 0.35 %, 약 0.36 %, 약 0.37 %, 약 0.38 %, 약 0.39 %, 약 0.40 %, 약 0.41 %, 약 0.42 %, 약 0.43 %, 약 0.44 %, 약 0.45 %, 약 0.46 %, 약 0.47 %, 약 0.48 %, 약 0.49 %, 약 0.50 %, 약 0.51 %, 약 0.52 %, 또는 약 0.53 %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75 mmol/L 내지 약 800 mmol/L, 예를 들어, 약 2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4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6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300 mmol 내지 약 500 mmol, 약 400 mmol 내지 약 600 mmol, 약 500 mmol 내지 약 700 mmol, 약 6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7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180 mmol/L, 약 190 mmol/L, 약 200 mmol/L, 약 225 mmol/L, 약 250 mmol/L, 약 275 mmol/L, 약 300 mmol/L, 약 325 mmol/L, 약 350 mmol/L, 약 375 mmol/L, 약 400 mmol/L, 약 450 mmol/L, 약 500 mmol/L, 약 550 mmol/L, 약 600 mmol/L, 약 650 mmol/L, 약 700 mmol/L, 또는 약 750 mmol/L의 농도로 상기 양이온성 반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75 mmol/L 내지 약 800 mmol/L, 예를 들어 약 2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4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600 mmol 내지 약800 mmol, 약 300 mmol 내지 약 500 mmol, 약 400 mmol 내지 약 600 mmol, 약 500 mmol 내지 약 700 mmol, 약 6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700 mmol 내지 약 800 mmol, 약 180 mmol/L, 약 190 mmol/L, 약 200 mmol/L, 약 225 mmol/L, 약 250 mmol/L, 약 275 mmol/L, 약 300 mmol/L, 약 325 mmol/L, 약 350 mmol/L, 약 375 mmol/L, 약 400 mmol/L, 약 450 mmol/L, 약 500 mmol/L, 약 550 mmol/L, 약 600 mmol/L, 약 650 mmol/L, 약 700 mmol/L, 또는 약 750 mmol/L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0.001 % (중량/부피) 내지 약 5 %, 예를 들어, 약 0.01 % 내지 약 1.0 %, 약 0.01 % 내지 약 0.10 %, 약 0.05 % 내지 약 0.50 %, 약 0.10 % 내지 약 1.0 %, 또는 약 0.5 % 내지 약 5.0 %의 농도로 상기 양이온성 반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0.001 % (중량/부피) 내지 약 1 %, 예를 들어, 약 0.01 % 내지 약 0.8 %, 약 0.05 % 내지 약 0.60 %, 약 0.10 % 내지 약 0.55 %, 약 0.20 % 내지 약 0.55 %, 약 0.50 % 내지 약 0.55 %, 약 0.01 %, 약 0.05 %, 약 0.10 %, 약 0.11 %, 약 0.12 %, 약 0.13 %, 약 0.14 %, 약 0.15 %, 약 0.16 %, 약 0.17 %, 약 0.18 %, 약 0.19 %, 약 0.20 %, 약 0.21 %, 약 0.22 %, 약 0.23 %, 약 0.24 %, 약 0.25 %, 약 0.26 %, 약 0.27 %, 약 0.28 %, 약 0.29 %, 약 0.30 %, 약 0.31 %, 약 0.32 %, 약 0.33 %, 약 0.34 %, 약 0.35 %, 약 0.36 %, 약 0.37 %, 약 0.38 %, 약 0.39 %, 약 0.40 %, 약 0.41 %, 약 0.42 %, 약 0.43 %, 약 0.44 %, 약 0.45 %, 약 0.46 %, 약 0.47 %, 약 0.48 %, 약 0.49 %, 약 0.50 %, 약 0.51 %, 약 0.52 %, 약 0.53 % 또는 약 0.54 %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4 내지 약 4:1, 예를 들어, 약 1:3 내지 약 3:1, 약 1:2 내지 약 2:1, 약 2:3 내지 약 3:2, 약 3:4 내지 약 4:3, 약 4:5 내지 약 5:4, 약 5:6 내지 약 6:5, 약 6:7 내지 약 7:6, 약 7:8 내지 약 8:7, 약 8:9 내지 약 9:8, 약 9:10 내지 약 10:9, 약 10:11 내지 약 11:10, 또는 1:1의 음이온성 게면활성제에 대한 몰비로 양이온성 반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4 내지 약 4:1, 예를 들어, 약 1:3 내지 약 3:1, 약 1:2 내지 약 2:1, 약 2:3 내지 약 3:2, 약 3:4 내지 약 4:3, 약 4:5 내지 약 5:4, 약 5:6 내지 약 6:5, 약 6:7 내지 약 7:6, 약 7:8 내지 약 8:7, 약 8:9 내지 약 9:8, 약 9:10 내지 약 10:9, 약 10:11 내지 약 11:10, 또는 약 1:1의 라우릴 설페이트에 대한 몰비로 양이온성 반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4 내지 약 4:1, 에를 들어, 약 1:3 내지 약 3:1, 약 1:2 내지 약 2:1, 약 2:3 내지 약 3:2, 약 3:4 내지 약 4:3, 약 4:5 내지 약 5:4, 약 5:6 내지 약 6:5, 약 6:7 내지 약 7:6, 약 7:8 내지 약 8:7, 약 8:9 내지 약 9:8, 약 9:10 내지 약 10:9, 약 10:11 내지 약 11:10, 또는 약 1:1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몰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약 1:4 내지 약 4:1, 예를 들어, 약 1:3 내지 약3:1, 약 1:2 내지 약 2:1, 약 2:3 내지 약 3:2, 약 3:4 내지 약 4:3, 약 4:5 내지 약 5:4, 약 5:6 내지 약 6:5, 약 6:7 내지 약 7:6, 약 7:8 내지 약 8:7, 약 8:9 내지 약 9:8, 약 9:10 내지 약 10:9, 약 10:11 내지 11:10, 또는 약 1:1의 라우릴 설페이트에 대한 몰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20 %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 (중량/부피)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은 편리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4 부의 인간 혈장은 1 % 계면활성제 용액과 배합되어 4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를 생성할 수 있고, 3 부의 인간 혈장은 1 % 계면활성제 용액과 배합되어 5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가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구체예에서, 계면활성제 용액은 20 %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 (중량/부피)를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계면활성제 용액은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설폰산 (HEPES), 숙시네이트, 자성 입자,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자성 입자에 결합된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디티오디피리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DTA), 에틸렌 글리콜-비스(β-아미노에틸 에테르)-N,N,N',N'-테트라아세테이트(EGTA), 에탄올, 붕산, 및/또는 Triton X-100이 본질적으로 없다(essentially free). 계면활성제 용액은 임의의 핵산(예를 들어, 폴리-데옥시 티미 딘과 같은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이 본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계면활성제 용액은 임의의 입자(예를 들어, 자성 입자)가 본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계면활성제 용액은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설폰산 (HEPES), 숙시네이트, 자성 입자,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자성 입자에 결합된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디티오디피리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DTA), 에틸렌 글리콜-비스(β-아미노에틸 에테르)-N,N,N',N'-테트라아세테이트(EGTA), 에탄올, 붕산, 및/또는 Triton X-100이 없다(lack). 계면활성제 용액은 임의의 핵산(예를 들어, 폴리-데옥시 티미 딘과 같은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이 없을 수 있다. 계면활성제 용액은 임의의 입자(예를 들어, 자성 입자)가 없을 수 있다.
D. 시료(SAMPLES)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시료(sample)"은 동물의 혈액으로부터 얻은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가 용어인 시료의 명시적 맥락과 상충되지 않는 한). 시료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항응혈제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와 접촉하고, 시료는 추가의 하류측 처리를 거칠 수 있다. 시료는 선택적으로 순수하다.
혈액은 임의의 연령, 인종, 민족 또는 성별의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부터 얻어질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시료는 혈장이 혈장 기증자로부터 얻어졌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의 분취액(aliquot)으로 구성된다.
시료는 일반적으로, 혈장(인간 혈장과 같은)의 분취액, 혈청(인간 혈청과 같은)의 분취액, 또는 혈장 유래 제품(인간 혈장-유래 제품과 같은)의 제조 풀(manufacturing pool)의 분취액이다. 시료는 혈장(인간 혈장과 같은)의 분취액, 혈청(인간 혈청과 같은)의 분취액, 혈장 유래 제품(인간 혈장 유래 제품과 같은)의 제조 풀의 분취액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혈장, 열청 또는 제조 풀의 분취액은 상기 시료 내에 분산되어 있다. 혈장 유래 제품의 제조 풀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증자의 풀링된 혈장을 포함하는 제조 풀이 아닌 단일 기증자의 혈장을 포함하는 제조 풀인데, 이는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은 단일 기증자의 혈장을 다수의 기증자의 풀링된 혈장으로 통합하기 전에 단일 기증자의 혈장을 여러 기증자의 혈장을 스크리닝(screening)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 풀의 분취액은 풀링된 혈장 또는 이의 하류측 제조 풀을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풀링된 혈장 또는 이의 하류측 제조 풀의 품질 관리 스크리닝을 가능하게 한다.
전혈은 핵산 검사 및 ELISA와 같은 다른 검사를 방해할 수 있는 세포를 함유하기 때문에 시료는 일반적으로 전혈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시료는 예를 들어, 전혈로부터 혈장을 얻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심 분리 단계를 배제하는 것과 같은 편의를 위해 전혈일 수 있거나 전혈을 포함할 수 있다.
시료는 파보바이러스 과(Parvoviridae family)의 바이러스와 같은 피분석물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많은 시료들을 예를 들어 피분석물이 파보바이러스 B19 인 경우, 피분석물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 대상으로부터 얻은 시료와 피분석물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E. 처리된 시료(TREATED SAMPL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처리된 시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진 시료를 의미한다.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액체 조성물이고, 상기 처리된 시료는, 예를 들어 상기 액체 조성물 중에 현탁되는 바이러스 입자와 같은 미립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약 4 % 또는 적어도 약 5 %와 같은 적어도 약 3 % (중량/부피)의 농도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약 4 %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적어도 약 4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약 1 % 내지 약 20 % (중량/부피), 예를 들어, 약 3 % 내지 약 9 %, 약 4 % 내지 약 9 %, 약 1 % 내지 약 5 %, 약 3 % 내지 약 7 %, 약 5 % 내지 약 9 %, 약 1 %, 약 2 %, 약 3 %, 약 4 %, 약 5 %, 약 6 %, 약 7 %, 약 8 %, 약 9 %, 또는 약 10 %의 농도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10 mmol/L,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20 mmol/L, 약 130 mmol/L, 약 140 mmol/L, 약 150 mmol/L, 약 160 mmol/L, 약 170 mmol/L, 약 180 mmol/L, 또는 약 190 mmol/L의 농도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약 150 mmol/L의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적어도 약 150 mmol/L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약 100 mmol/L 내지 약 1 mol/L, 예를 들어, 약 150 mmol/L 내지 약 500 mmol/L, 약 150 mmol/L 내지 약 350 mmol/L, 약 100 mmol/L 내지 약 200 mmol/L, 약 150 mmol/L 내지 약 250 mmol/L, 약 200 mmol/L 내지 약 300 mmol/L, 약 250 mmol/L 내지 약 350 mmol/L, 약 120 mmol/L, 약 130 mmol/L, 약 140 mmol/L, 약 150 mmol/L, 약 160 mmol/L, 약 170 mmol/L, 약 180 mmol/L, 약 190 mmol/L, 약 200 mmol/L, 약 210 mmol/L, 약 220 mmol/L, 약 230 mmol/L, 약 240 mmol/L, 약 250 mmol/L, 약 260 mmol/L, 약 270 mmol/L, 약 280 mmol/L, 약 290 mmol/L, 또는 약 300 mmol/L의 농도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처리된 샘플은 적어도 160 mmol/L, 170 mmol/L 또는 180 mmol/L의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적어도 150 mmol/L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300 mmol/L 미만의 나트륨 이온, 예를 들어, 250 mmol/L 미만, 200 mmol/L 미만, 180 mmol/L 미만, 160 mmol/L 미만, 또는 150 mmol/L 미만의 나트륨 이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간 혈청은 일반적으로, 약 135 내지 145 mmol/L의 나트륨 이온을 함유하므로,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그의 희석 배수에 따라 약 100 mmol/L 내지 145 mmol/L의 나트륨 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처리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0.60 %, 0.55 %, 0.50 %, 0.45 %, 0.40 % 또는 0.35 % 미만의 나트륨 이온과 같은 0.65 % 미만의 나트륨 이온 (중량/부피)을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약 110 mmol/L,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20 mmol/L, 약 130 mmol/L, 약 140 mmol/L, 약 150 mmol/L, 약 160 mmol/L, 약 170 mmol/L, 약 180 mmol/L, 또는 약 190 mmol/L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약 150 mmol/L의 리튬 이온, 예컨대 적어도 약 150 mmol/L의 리튬 이온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약 100 mmol/L 내지 약 1 mol/L, 예를 들어, 약 150 mmol/L 내지 약 500 mmol/L, 약 150 mmol/L 내지 약 350 mmol/L, 약 100 mmol/L 내지 약 200 mmol/L, 약 150 mmol/L 내지 약 250 mmol/L, 약 200 mmol/L 내지 약 300 mmol/L, 약 250 mmol/L 내지 약 350 mmol/L, 약 120 mmol/L, 약 130 mmol/L, 약 140 mmol/L, 약 150 mmol/L, 약 160 mmol/L, 약 170 mmol/L, 약 180 mmol/L, 약 190 mmol/L, 약 200 mmol/L, 약 210 mmol/L, 약 220 mmol/L, 약 230 mmol/L, 약 240 mmol/L, 약 250 mmol/L, 약 260 mmol/L, 약 270 mmol/L, 약 280 mmol/L, 약 290 mmol/L, 또는 약 300 mmol/L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150 mmol/L의 리튬 이온, 예를 들어 적어도 160 mmol/L, 170 mmol/L 또는 180 mmol/L의 리튬 이온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처리된 시료는 적어도 약 0.001 % (중량/부피),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01 %, 약 0.02 %, 약 0.03 %, 약 0.04 %, 약 0.05 %, 약 0.06 %, 약 0.07 %, 약 0.08 %, 약 0.09 %, 약 0.10 %, 약 0.11 %, 약 0.12 %, 약 0.13 %, 약 0.14 %, 약 0.15 %, 약 0.16 %, 약 0.17 %, 약 0.18 %, 약 0.19 %, 약 0.20 %, 약 0.21 %, 약 0.22 %, 약 0.23 %, 약 0.24 %, 또는 약 0.25 %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시료는 약 0.001 % 내지 약 5 %, 예를 들어, 약 0.005 % 내지 2 %, 또는 약 0.01 % 내지 약 1 %의 농도로 양이온성 반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시료는 약 0.001 % (중량/부피) 내지 약 1%, 예를 들어 약 0.01 % 내지 약 0.80 %, 약 0.05 % 내지 약 0.50 %, 약 0.07 % 내지 약 0.40 %, 약 0.01 % 내지 약 0.30 %, 약 0.10 % 내지 약 0.25 %, 약 0.01 %, 약 0.02 %, 약 0.03 %, 약 0.04 %, 약 0.05 %, 약 0.06 %, 약 0.07 %, 약 0.08 %, 약 0.09 %, 약 0.10 %, 약 0.11 %, 약 0.12 %, 약 0.13 %, 약 0.14 %, 약 0.15 %, 약 0.16 %, 약 0.17 %, 약 0.18 %, 약 0.19 %, 약 0.20 %, 약 0.21 %, 약 0.22 %, 약 0.23 %, 약 0.24 %, 약 0.25 %, 약 0.26 %, 또는 약 0.27 %의 농도로 리튬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처리된 시료는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설폰산 (HEPES), 숙시네이트, 자성 입자,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자성 입자에 결합된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디티오디피리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DTA), 에틸렌 글리콜-비스(β-아미노에틸 에테르)-N,N,N',N'-테트라아세테이트(EGTA), 에탄올, 붕산, 및/또는 Triton X-100이 본질적으로 없다(essentially free).
몇몇 구체예에서, 처리된 시료는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설폰산 (HEPES), 숙시네이트, 자성 입자,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자성 입자에 결합된 폴리-데옥시-티미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2'-디티오디피리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DTA), 에틸렌 글리콜-비스(β-아미노에틸 에테르)-N,N,N',N'-테트라아세테이트(EGTA), 에탄올, 붕산, 및/또는 Triton X-100이 없다(lacks).
F. 피분석물(ANALYTE)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시료 또는 처리된 시료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피분석물(analyte)에 관한 것이다. 피분석물은 예를 들어, 파보바이러스 B19와 같은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일 수 있다. 피분석물은 예를 들어,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의 항원일 수 있다. 피분석물은 예를 들어,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피분석물은 예를 들어,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의 핵산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분석물은 선택적으로 단백질 또는 핵산일 수 있고, 상기 피분석물의 정확한 성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G. 분석 조성물(ASSAY COMPOSITIONS)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피분석물을 검출하고/하거나 상대 농도(예를 들어, 상기 농도는 한계 값과 관련이 있다) 또는 절대 농도와 같은 피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법에 관한 것이다. 분석은 예를 들어, 전사 매개 증폭(TMA) 또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과 같은 핵산 검사일 수 있다.
1. TMA
몇몇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액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액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체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액체는 피분석물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또는 이의 역보체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피분석물의 TMA 증폭을 가능하게하는 적어도 2 개의 증폭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증폭 프라이머 중에서, 프로모터 프라이머로 불리우는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는 상기 프라이머의 5' 말단에서 T7 프로모터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체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액체는 적어도 2개의 효소, 즉, 역전사효소 및 T7 RNA 중합효소를 포함하여, 상기 피분석물의 TMA 증폭을 가능하게 한다. TMA 증폭은 RNA 중합효소, DNA 중합효소, 디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리보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프로모터-주형 상보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한다. 상기 증폭의 제 1 단계에서, 프로모터-프라이머는 한정된 부위에서 표적 핵산에 혼성화한다. 역전사효소는 상기 프로모터-프라이머의 3' 말단으로부터 연장하여 표적 핵산의 상보적인 DNA 카피를 생성한다.
반대 스트랜드 프라이머와 새로이 합성된 DNA 가닥과의 상호작용 후, 역전사 효소에 의해 상기 프라이머의 말단으로부터 DNA의 제 2 가닥이 합성됨으로써 이중 가닥 DNA 분자가 생성된다. RNA 중합효소는 상기 이중 가닥 DNA 주형 내의 프로모터 서열을 인식하고 전사를 개시한다. 새로이 합성된 RNA 앰플리콘(amplicon)들은 각각 TMA 과정에 다시 들어가 새로운 라운드의 복제를 위한 주형으로 작용하여 RNA 앰플리콘의 기하 급수적인 팽창을 유도한다. 각각의 DNA 주형이 RNA 앰플리콘의 100 내지 1000 개 카피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은 1 시간 이내에 100 억개 앰플리콘의 생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US 9,752,201호 참조).
2. PCR
몇몇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액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액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체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액체는 피분석물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또는 이의 역보체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피분석물의 PCR 생성물의 PCR 증폭을 가능하게하는 적어도 2 개의 PCR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PCR 프라이머"는 그의 역 보체에 어닐링될 때 적어도 50 ℃의 용융 온도를 갖는 8 내지 40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진 단일 가닥 DNA 분자를 나타낸다.
적어도 2 개의 PCR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10 nM, 예컨대 적어도 50 nM, 적어도 100 nM 또는 적어도 200 nM의 농도로 상기 적어도 2 개의 PCR 프라이머의 각 PCR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적어도 2 개의 PCR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적어도 5 μM의 dNTP들 (즉, 적어도 5 μM의 각각의 dATP, dTTP, dCTP 및 dGTP), 예를 들어 적어도 10 μM의 dNTP들, 적어도 25 μM의 dNTP들, 또는 적어도 50 μM의 dNTPs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적어도 2 개의 PCR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Taq 중합효소와 같은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는 50 ℃의 수용액에서 적어도 60 분의 반감기를 갖는다. 인간 DNA 중합효소는 정의상 열 안정성이 없다.
3. 면역분석
조성물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는 일반적으로, 마우스, 쥐, 기니아 피그, 햄스터, 토끼, 염소, 양, 돼지, 고양이, 원숭이, 개, 당나귀, 말, 소 또는 닭과 같은 인간 이외의 종의 항체이다.
항체는 피분석물의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는 파보바이러스 B19의 에피토프와 같은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의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부분은 비드, 멤브레인, 마이크로타이 터 플레이트, 폴리펩티드 칩,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고체상과 같은 고체 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공유 결합 또는 비공유 결합될 수 있다.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부분은 형광물질(fluorophore), 염료, 효소(예를 들어,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또는 방사성 표지와 같은 검출 라벨에 선택적으로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될 수 있다.
조성물은 일차 항체 및 이차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부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일차 항체 및 이차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이고, 상기 일차 항체는 피분석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이차 항체는 상기 일차 항체의 Fc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조성물은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와 같은 피분석물의 에피토프(예를 들어, 파보바이러스 B19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단백질은 고체 지지체(예를 들어, 비드, 멤브레인,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폴리펩티드 칩,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고체 상)에 고정화되거나 검출 표지(예를 들어, 형광 물질, 염료, 효소 또는 방사성 표지)에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될 수 있다.
H.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상대적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시료 중의 피분석물의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분석물은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의 핵산일 수 있다. 상기 피분석물은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 또는 파보바이러스 과의 바이러스의 핵산일 수 있다. 상기 피분석물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또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핵산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인간 혈장과 같은 혈장, 인간 혈청과 같은 혈청, 또는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시료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처리 된 샘플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예를 들어, 혈장, 혈청, 또는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장, 혈청, 또는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은 상기 시료 내에 선택적으로 분산될 수 있거나, 상기 시료는 상기 분취액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은 60 ℃ 미만, 예를 들어, 약 55 ℃, 약 50 ℃, 약 45 ℃, 약 40 ℃, 또는 약 37 ℃ 미만의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접촉은 약 4 ℃ 내지 약 55 ℃, 예를 들어, 약 4 ℃ 내지 약 50 ℃, 약 4 ℃ 내지 약 40 ℃, 약 20 ℃ 내지 약 50 ℃, 약 20 ℃ 내지 약 40 ℃, 약 4 ℃ 내지 약 37 ℃, 약 4 ℃ 내지 약 25 ℃, 약4 ℃ 내지 약 23 ℃, 약 20 ℃ 내지 약 37 ℃, 또는 약 20 ℃ 내지 약 25 ℃의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방법은 피분석물의 농도가 한계 값의 위인지 또는 아래인 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분석물의 농도가 한계 값의 위인지 또는 아래인 지를 결정하는 것은 TMA와 같은 핵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분석물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또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핵산일 수 있고, 핵산 검사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모든 알려진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 있다.
방법은 피분석물이 시료에 존재하고/하거나 검출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예를 들어 피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치를 얻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분석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TMA와 같은 핵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분석물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또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핵산일 수 있고, 핵산 검사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모든 알려진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시료 중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치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동일 시료의 상이한 분취액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이한 측정치들의 변동 계수는,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되고 상기 상이한 분취액들에서 피분석물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준비 및 분석 단계들을 거치는 분취액들의 경우 50 % 이하이고; 동일한 시료의 상이한 분취액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이한 측정치들의 변동 계수는,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상이한 분취액들에서 피분석물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료 준비 및 분석 단계를 거치는 분취액들의 경우 50 % 초과이다.
방법은 분취액 내의 피분석물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의 것들 중 임의의 것의 혈장, 혈청, 제조 풀 또는 하류측 제조 풀을 폐기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분석물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또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핵산일 수 있고, 상기 한계값은 10,000 IU/mL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분석물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또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핵산일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 또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핵산의 농도가 10,000 IU/mL 초과인 경우 혈장, 혈청, 제조 풀 또는 이의 하류 제조 풀을 폐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 혈액 또는 이의 성분을 방출하는 방법, 풀링된 혈장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혈장-유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전혈 또는 혈액 성분(혈청 또는 혈장과 같은)이, 예를 들어 수혈에 사용하기 위해 안전하게 방출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시료의 분취액 중의 인간 파보 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 미만인 경우 수혈에 사용하기 위한 시료와 관련된 전혈 또는 혈액 성분을 방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시료의 분취액 중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 초과인 경우 수혈에 사용되는 시료와 관련된 전혈 또는 혈액 성분을 저지(withholding)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료에서 피분석물의 농도를 결정하고 혈장-유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장- 유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혈장-유래 제품은 예를 들어, 풀링된 혈장, 용매/세제로 처리된 풀링된 혈장, 응고 인자, 피브린 실란트, 알부민, 또는 면역글로불린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료에서 분석물의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풀링된 혈장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분취액이 혈장의 분취액인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피분석물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작은 경우 풀링된 혈장에 혈장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혈장-유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혈장-유래 제품은 (1)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료에서 피분석물의 농도(예를 들어, 절대 농도 또는 상대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고, (2) 예를 들어 상기 농도가 한계 값 미만이기 때문에 시료 중의 피분석물의 농도가 허용되는 경우 상기 혈장 유래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EXEMPLIFICATION)
실시예 1. 도전 혈장 시료 GDFL211의 최첨단 분석
시료 GDFL211은 바이오매트(Biomat) USA사(Raleigh, NC)로부터 얻었다. 시료 GDFL211은 1000 만 IU/mL 초과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함유하는 혈장 시료이다. 시료 GDFL211은 눈에 띄는 응집을 보이지 않지만, 시료 분석 결과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의 아주 다양한 측정치가 확인된다.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를 결정하기 위해, 희석된 GDFL211 시료의 10 개의 분취액을 Procleix Parvo/HAV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값은 변동 계수 (CV)가 107 % 인 1,922 내지 >100,000 범위였다(표 1, Procleix Parvo/HAV). 희석 된 GDFL211 시료의 8 개 분취액을 뉴욕주 보건부(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에 의해 승인된 검증된 정량적 PCR 분석법으로 검사하기 위해 ARUP Laboratories사(유타주, 솔트 레이크 시티)로 보냈다. 측정 값은 CV가 115 %인 884내지 91,700의 범위였다(표 1, qPCR).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료 GDFL211의 분석
파보바이러스 B19 IU/mL
반복 # Procleix Parvo/HAV qPCR
1 22,589 20,500
2 >100,000 33,700
3 7,744 91,700
4 1,922 2,980
5 >100,000 8,090
6 >100,000 884
7 15,508 44,900
8 8,006 9,330
9 71,582  검사되지 않음
10 20,145  검사되지 않음
평균 IU/mL 55,266 26,511
%CV 107 115
최대 >100,000 91,700
최소 1,922 884
실시예 2. 시료 제조 프로토콜에 대한 일상적인 변형의 스크린은 파보바이러스 B19 핵산 검사에 대한 변동 계수를 개선하지 않는다
냉동되지 않은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1 시간 동안 로커에서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동결시키고, 4 ℃에서 24 시간 동안 해동시킨 다음, 5 초 동안 볼텍싱하였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동결시킨 다음, 1 시간 동안 로커에서 해동시켰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동결시키고, 30 ℃에서 30 분 동안 해동시킨 다음, 5 초 동안 볼텍싱하였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동결시키고, 30 ℃에서 60 분 동안 해동시킨 다음, 15 분 동안 볼텍싱하였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 액들을 동결시킨 다음 37 ℃에서 신속하게 해동시켰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동결시키고, 37 ℃에서 70 분 동안 해동시킨 다음, 5 초 동안 뒤집어서 혼합하였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동결시킨 다음, 시약 준비 인큐베이터에서 회전시키면서 60 ℃로 45 분 동안 해동시켰다. 핵산 검사를 통해 각 시료를 분석했다. 병행하여, 역가 측정에서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지 않는 파보바이러스 B19를 포함하는 대조 혈장 시료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전술한 시료 준비 전략은 희석된 시료 GDFL211의 경우 58 % 내지 141 %의 CV 및 대조 시료의 경우 15 % 내지 24 %의 CV를 나타내었다(도 1).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동결-해동은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30 ℃ 내지 60 ℃ 범위의 온도에서 15 분 내지 60 분 동안 혼합한 다음 핵산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병행하여, 대조 혈장 시료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60 ℃에서 30 분 동안의 혼합은 30 %의 CV를 나타냈는데, 이러한 CV는 대조 시료와 유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재현될 수 없었다(도 2). 60 ℃에서의 인큐베이션과 시료 분석 사이의 시간이 측정 편차에 영향을 주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60 ℃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된 시료의 분취액들을 인큐베이션 후 즉시 검사하거나 검사 전에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러한 시료 준비 프로토콜에 대한 변형은 30 %의 CV를 재현하지 못했기 때문에, 60 ℃에서 30 분 동안의 혼합 후에 얻은 30 %의 관찰된 CV 실제 변동 계수가 아니라 통계적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고온에서의 인큐베이션은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5 내지 30 분 동안 가열한 다음 5 내지 60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다음 핵산 검사에 의해 분석하였다. 병행하여, 대조군 혈장 시료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전술한 샘플 준비 전략은 CV가 시료 GDFL211의 경우 58 % 내지 117 % 및 대조 시료의 경우 17 % 내지 62 %인 결과를 나타냈다(도 3).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음파 처리는 도전 샘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의 pH는 pH 3 또는 pH 11로 조절되거나 조절되지 않았다. 병행하여, 대조 혈장 시료의 분취액들의 pH를 조절하였다. 핵산 검사를 통해 각 시료를 분석했다. 11의 pH는 유리한 CV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그러나, 높은 pH는 RNA 반감기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높은 pH 시료 분석은 바람직하지 않다. pH3에서는 94 %의 CV를 나타내고 중성 pH는 시료 GDFL211의 경우 107 %의 CV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pH의 조절은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프로테아제 EndoZyme® (Hyglos GmbH사, 독일, 재조합 인자 C) 및/또는 프로테이나제 K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다음 핵산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병행하여, 대조군 혈장 시료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각 효소는 1.5 % 농도로 사용하였다. EndoZyme® 시료를 30 ℃ 또는 60 ℃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프로테이나제 K 시료를 50 ℃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EndoZyme®/프로테이나제 K 시료를 60 ℃에서 15 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전술 한 시료 준비 전략은 시료 GDFL211의 경우 53 % 내지 118 % 및 대조 시료의 경우 20 % 내지 23 % 범위의 CV를 나타냈다(도 5).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테아제 처리는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리튬 양이온에 의한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의 나트륨 양이온의 치환은 놀랍게도 변동 계수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인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및 Triton X-100을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에 첨가한 다음 그 분취액들을 핵산 검사를 통해 분량을 분석했다. SDS는 낮은 CV를 나타내지만, SDS를 함유한 시료는 침전물을 형성하고 잘못된 결과를 나타냈다. Triton X-100은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리튬에 의한 SDS의 나트륨 양이온의 단순한 치환은 시료 CV를 개선하고 유효한 결과를 가능하게 했다. 즉, SDS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SLS라고도 알려짐) 대신에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 (LLS 및 리튬 도데실 설페이트라고도 알려져 있음)을 사용하면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변동 계수가 예상치않게 개선되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LLS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5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들을 얻었다.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SDS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5 % SD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들을 얻었다.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미충전된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1 % Triton X-100을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들을 얻었다. 핵산 검사를 통해 각 시료를 분석했다. 병행하여, 역가 측정에서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지 않는 파보바이러스 B19를 포함하는 대조 혈장 샘플을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5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GDFL211 시료는 21 %의 CV를 나타내었다(도 6). 5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대조 시료는 16 %의 CV를 나타내었다(도 6). 유사하게 5 % SD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는 낮은 CV를 나타내었지만(도 6), 이들 시료는 침전물을 함유하고, 5 % SD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로부터 얻은 결과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 % Triton X-100을 포함하는 처리된 GDFL211 시료는 150 %의 CV를 나타내었다(도 6).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SDS 및 Triton X-100은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LLS는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계면활성제(즉, 대전되지 않은 게면활성제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하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반대(즉, 리튬 대 나트륨) 모두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시료에서 나타난 변동 계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LLS 작용 범위의 확인
희석된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 설페이트 및 반대 이온인 리튬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3 % LLS, 4 % LLS, 5 % LLS, 6 % LLS, 7 % LLS, 8 % LLS 및 9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들을 얻었다. 상기 처리된 시료들을 핵산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병행하여, 대조군 혈장 시료들을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3 % LLS, 4 % LLS, 5 % LLS, 6 % LLS, 7 % LLS, 8 % LLS 및 9 % LLS로 처리한 GDFL211 시료들은 각각 104 %, 65 %, 20 %, 30 %, 17 %, 18 % 및 31 %의 CV를 나타냈다(도 7). 처리된 대조 시료들은 19 % 내지 30 % 범위의 CV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약 4 % 이상의 LLS 농도가 도전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체적으로, 4 % LLS는 3 % LLS에 비해 측정 편차를 개선하고 5 % LLS는 4 % LLS에 비해 측정 편차를 개선시켰다(도 7).
실시예 5. LLS-처리된 시료의 저장 조건의 분석
시료 GDFL211의 분취액들을 리튬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4 % LLS, 5 % LLS, 6 % LLS 및 7 % LLS를 포함하는 처리된 시료를 얻은 다음, 2 내지 8 ℃에서 24 시간 동안 냉장하거나 -20 ℃에서 72 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37 ℃에서 신속하게 해동시켰다. 상기 처리된 시료들을 핵산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병행하여, 대조군의 혈장 시료를 처리하고 분석 하였다. 냉동 또는 동결에 의한 저장은 LLS-처리된 시료의 변동 계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내지 7 % LLS는, 예를 들어 3 % LLS (도 7)와 비교하여, 이것이 첨가된 모든 GDFL211 시료(예를 들어, 3 % LLS)에서 변동 계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8).
실시예 6. A형 간염 바이러스 RNA에 대한 LLS-처리 시료의 분석
A 형 간염 바이러스 RNA에 대한 세계보건기구의 최초의 국제 표준(생물학적 표준 및 관리의 국립 연구소 코드: 00/560)을 연속 희석하고 LLS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대조군)후 핵산 검사를 통해 분석했다. 연속 희석된 시료에의 LLS의 첨가는 프로빗(probit) 및 통계 분석에 기초한 A형 간염 바이러스 RNA 검출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표 2 및 도 9).
A 형 간염 바이러스 프로빗 분석
조건 검출 확률 IU / mL 95 % 신뢰 한계
미처리 50 % 0.13 0.04 0.21
95 % 0.97 0.58 2.98
LLS-처리 50 % 0.25 0.14 0.37
95 % 1.23 0.80 2.71
실시예 7. LLS-처리된 시료 중의 파보바이러스 B19 농도의 정확성의 분석
10,000 IU/mL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함유하는 풀링된 혈장 시료의 60 개 분취액들을 6 %의 최종 LLS 농도까지 20 % LLS 용액과 혼합하거나 미처리하였다. LLS로 처리한 시료들은 5370 IU/mL (103.73)의 평균 파보바이러스 B19 농도를 나타냈지만 미처리 시료들은 10,965 IU/mL (104.04)의 평균 파보바이러스 B19 농도를 나타냈다.
반복 처리 미처리 반복 처리 미처리
#1 3.66 4.07 #16 3.68 4.02
#2 3.63 3.98 #17 3.65 3.88
#3 3.86 3.99 #18 3.93 3.88
#4 3.76 3.96 #19 3.77 4.22
#5 3.82 4.04 #20 3.49 4.14
#6 3.71 4.04 #21 3.63 3.91
#7 3.78 4.11 #22 3.57 4.03
#8 3.93 4.04 #23 3.86 4.05
#9 3.72 4.12 #24 3.82 4.04
#10 3.45 4.07 #25 3.74 3.97
#11 3.61 4.04 #26 3.75 3.93
#12 3.63 3.96 #27 3.69 3.98
#13 3.91 3.98 #28 4.00 4.25
#14 3.85 4.12 #29 3.70 3.99
#15 3.72 4.09 #30 3.49 3.96
10,000 IU/mL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함유하는 풀링된 혈장의 분취액들을 6 %의 최종 LLS 농도까지 20 % LLS 용액과 혼합하거나 또는 미처리하였다. 상기 분취액들을 2 내지 8 ℃에서 6 일 동안 냉장하거나 -20 ℃에서 6 일 동안 동결시킨 다음 37 ℃에서 신속하게 해동시켰다. 평균 파보바이러스 정량은 이러한 저장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표 4).
냉장 및 동결은 LLS-처리 시료에서의 파보바이러스 B12 측정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저장 조건 미처리 시료 LLS-처리 시료
저장 없음 4.04 3.73
2 내지 8 ℃에서 6 일간 냉동 4.15 3.80
-20 ℃에서 6 일간 동결 4.05 3.77
파보바이러스 B19를 함유하는 혈장의 분취액들을 다양한 농도로 희석한 다음, 6 %의 최종 LLS 농도까지 20 % LLS 용액과 혼합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방치하였다. LLS는 이러한 시료에서 300 IU/ mL (102.48 IU/mL) 내지 30,000 IU/mL (104.48 IU/mL) 범위의 농도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측정의 정확도 또는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표 5).
파보바이러스 B19 농도는 LLS로 처리된 시료에서 측정 정확도 또는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표적 (Log IU/mL) 4.48 4.00 3.48 3.00 2.48
반복 미처리
#1 4.98 4.26 3.92 3.37 2.70
#2 4.96 4.40 3.77 3.44 2.62
#3 4.87 4.38 3.75 3.36 2.92
#4 4.70 4.31 3.96 3.35 2.63
#5 4.91 4.33 3.89 3.20 2.72
#6 4.95 4.28 3.82 3.38 2.80
#7 4.90 4.41 3.82 3.39 2.66
평균 Log IU/mL 4.90 4.34 3.85 3.36 2.72
반복 LLS-처리
#1 4.66 4.14 3.57 3.16 2.56
#2 4.58 4.04 3.40 3.10 2.47
#3 4.65 3.99 3.52 2.95 2.48
#4 4.80 4.14 3.56 3.12 2.50
#5 4.79 4.14 3.59 3.06 2.48
#6 4.57 4.20 3.57 3.15 2.63
#7 4.58 4.07 3.52 3.09 2.30
#8 4.55 3.97 3.47 3.08 2.33
#9 4.68 4.16 3.73 3.13 2.71
#10 4.69 4.12 3.63 3.12 2.47
평균 Log IU/mL 4.65 4.10 3.56 3.10 2.49
100,000 IU/mL 초과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함유한 실제 혈장 시료의 분취액들을 풀링된 혈장으로 연속 희석하여 파보바이러스 B19 분석의 동적 범위에 속하게 한 다음 6 %의 최종 LLS 농도까지 20 % LLS 용액과 혼합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방치했다. LLS 처리는 일반적으로, 미처리된 분취액들과 비교하여 반복들(replicates)의 군에 대한 낮은 변동 계수에 의한 증거로서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켰다(표 6).
LLS 처리는 미처리 시료에 비해 100,000 IU/mL 초과의 바이러스를 함유한 시료에서 파보바이러스 B19 역가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미처리
시료 ID 696332194 696338087 696340243 217503400 21751410
#1 1200 38070 34867 1227 12455
#2 1251 6051 20999 1377 5972
#3 1652 9355 38987 31579 3082
#4 1425 19950 6015 2580 3590
#5 1228 3414 16516 29080 12153
#6 1101 4847 37465 6043 43009
#7 1421 47029 50641 5576 15762
%CV 14 96 52 120 101
평균 IU/mL 1,325 18,388 29,356 11,066 13,718
LLS-처리
시료 696332194 696338087 696340243 217503400 21751410
#1 965 20207 15002 4337 11950
#2 773 22447 15074 3489 12166
#3 953 15544 9541 5788 8537
#4 1319 14672 14807 5554 6745
#5 1507 11772 17378 5402 9759
#6 774 20913 12119 4329 10090
#7 976 21916 10048 3444 7839
%CV 27 23 22 21 21
평균 IU/mL 1,038 18,210 13,424 4,620 9,584

Claims (32)

  1. 인간 혈장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인간 혈장의 분취액 또는 인간 혈장 유래 제품의 제조풀의 분취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시켜서 처리된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의 위 또는 아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나트륨의 몰비가 1:10 미만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 설페이트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의 반대 이온 및 물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방법.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이 약 4 ℃ 내지 약 37 ℃의 온도에서 일어나는, 방법.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용액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리튬 양이온의 몰비가 약 1:2 내지 약 2:1인, 방법.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된 시료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적어도 4% (중량/부피)인, 방법.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의 위인지 또는 아래인 지를 결정하는 것이 핵산 검사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검사가 전사 매개 증폭 또는 PCR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검사가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모든 알려진 유전자형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간 혈장, 제조 풀, 또는 이의 하류측 제조 풀을 폐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료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치를 얻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동일 인간 혈장 또는 동일한 제조 풀의 상이한 분취액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이한 측정치들의 변동 계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되고 상기 상이한 분취액들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의 위인지 또는 아래인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준비 및 분석 단계들을 거치는 분취액들의 경우 50 % 이하이고;
    동일한 인간 혈장 또는 동일한 제조 풀의 상이한 분취액들에 대하여 얻어진 상이한 측정치의 변동 계수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상이한 분취액들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의 위인지 또는 아래인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료 준비 및 분석 단계를 거치는 분취액들의 경우 50 % 초과인, 방법.
  12.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고,
    분취액 내의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농도가 한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인간 혈장 또는 상기 제조 풀로부터 혈장 유래 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유래 제품이 풀링된 혈장, 용매/세제로 처리 된 풀링된 혈장, 응고 인자, 피브린 실란트, 알부민, 또는 면역글로불린 제품인,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혈장-유래 제품.
  15.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이의 역보체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증폭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2 개의 증폭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상기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 및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나트륨 이온에 대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몰비가 1:1 초과인,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증폭 프라이머는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의 각각의 알려진 유전자형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증폭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고체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체 지지체는 비드, 멤브레인,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폴리펩티드 칩,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고체 상이고,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상기 고체 지지체 상에 고정화되어 있는, 조성물.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6 개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사슬을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사슬이 포화된 것인, 조성물.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사슬이 비분지된 것인, 조성물.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지방족 사슬 이외의 비분지된 선형 탄소 사슬이 없는, 조성물.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지방족 사슬의 탄소 원자 이외의 탄소 원자가 전혀 없는, 조성물.
  23. 제 15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pH 5 내지 10 에서 약 -1의 순전하를 갖는, 조성물.
  24. 제 15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기 황산염, 설포네이트, 유기 인산염, 유기 포스포네이트, 또는 카르복시레이트인, 조성물.
  25.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 설페이트인, 조성물.
  26.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내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적어도 4 % (중량/부피)인, 조성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내의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적어도 약 4 % 내지 약 9 % (중량/부피)인, 조성물.
  28. 제 1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내의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1 % (중량/부피) 미만인, 조성물.
  29. 제 15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내의 리튬 이온의 농도가 적어도 0.01 % (중량/부피)인, 조성물.
  30. 제 15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이 파보바이러스 B19의 게놈인, 조성물.
  31. 제 15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인간 혈장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을 포함하는 조성물.
  32. 제 15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이 파보바이러스 B19의 게놈이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 설페이트이고;
    상기 액체 내의 라우릴 설페이트의 농도가 적어도 4 % (중량/부피) 이고;
    상기 액체 내의 리튬 이온의 농도가 적어도 0.1 % (중량/부피) 이고;
    상기 리튬 및 라우릴 설페이트가 상기 액체 내에 약 11:10 내지 약 10:11의 몰비로 존재하고;
    상기 액체 내의 나트륨 이온의 농도가 0.5 % (중량/부피) 미만이고;
    인간 혈장의 분취액 또는 인간 혈장-유래 제품의 제조 풀의 분취액이 상기 조성물 내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조성물의 파보비리데 바이러스 게놈은 상기 인간 혈장의 분취액 또는 상기 제조 풀의 분취액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197013140A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KR20190092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23113P 2018-01-29 2018-01-29
US62/623,113 2018-01-29
PCT/IB2019/050618 WO2019145900A1 (en) 2018-01-29 2019-01-25 A method to determine parvovirus b19 in clinical sampl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172A Division KR20210031000A (ko)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375A true KR20190092375A (ko) 2019-08-07

Family

ID=654442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986A KR20210033069A (ko)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07172A KR20210031000A (ko)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13140A KR20190092375A (ko)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986A KR20210033069A (ko)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07172A KR20210031000A (ko) 2018-01-29 2019-01-25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42571B2 (ko)
EP (1) EP3538650A1 (ko)
JP (1) JP2020507306A (ko)
KR (3) KR20210033069A (ko)
CN (1) CN110325634A (ko)
AU (1) AU2019212587A1 (ko)
CA (1) CA3087766A1 (ko)
WO (1) WO20191459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920B2 (en) * 2000-09-01 2003-06-24 Gen-Probe Incorporated Amplification of HIV-1 RT sequences for detection of sequences associated with drug-resistance mutations
EP1421095B1 (en) 2001-08-31 2013-10-09 Gen-Probe Incorporated Assay for detection of human parvovirus b19 nucleic acid
US8921039B2 (en) * 2009-02-26 2014-12-30 Gen-Probe Incorporated Assay for detection of human parvovirus nucleic acid
EP2732054B1 (en) 2011-07-15 2019-04-03 Gen-Probe Incorporated Method for detecting human parvovirus nucleic acid in single-plex or multiplex assays
US10093989B2 (en) * 2014-10-20 2018-10-09 Gen-Probe Incorporated Red blood cell lysis solution
CA2983415A1 (en) * 2015-05-12 2016-11-17 Gen-Probe Incorporated Method of pooling blood samples
PL3121268T3 (pl) * 2015-07-23 2019-06-28 Grifols, S.A. Sposoby oczyszczania wirusa wytworzonego in vitro i badania klirensu wiru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42571B2 (en) 2022-02-08
WO2019145900A1 (en) 2019-08-01
US20210115523A1 (en) 2021-04-22
KR20210031000A (ko) 2021-03-18
CA3087766A1 (en) 2019-08-01
AU2019212587A1 (en) 2020-07-30
CN110325634A (zh) 2019-10-11
JP2020507306A (ja) 2020-03-12
EP3538650A1 (en) 2019-09-18
KR20210033069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9462A1 (en) Normalization of polymerase activity
JP5906604B2 (ja) 全血検体の成分測定方法
US11009505B2 (en) Reagent diluent
Teo et al. LightCycler qPCR optimisation for low copy number target DNA
US11421267B2 (en) Nucleic acid amplification and use thereof
US20240026438A1 (en) Detection of nucleic acids using direct rt-pcr from biological samples
Buckweitz et al. Serological,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West Nile virus in a clinically affected dog
Cavalera et al. Development of molecular and antigenic-based rapid tests for the identification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in different tissues
KR20190092375A (ko) 임상 시료 내의 파보바이러스 b19를 균질화하기 위한 방법
JPH0870895A (ja) フィブリノゲン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試薬
AT406019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enthaltend ein oder mehrere plasmaderivate
Joerg et al. Validating bovine sexed semen samples using quantitative PCR
JPWO2006054519A1 (ja) リポ蛋白中成分の分別定量用標準品
Kinoshita et al.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JC polyomavirus in cerebrospinal fluid: a diagnostic and clinical management tool and technique for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US20210164061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tection of zika viral infections
CN111471751B (zh) 一种可定量检测动物血液或组织中人源dna的方法
Brewer et al. A technique for the processing of blood samples for subsequent assay of ATP, and an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standardization of the firefly-luciferase ATP assay
CN114675038B (zh) 一种蛋白质含量的热荧光分析检测方法及试剂盒
CN111378730A (zh) 一种多重逆转录聚合酶链式反应检测试剂缓冲液及其应用
Ciesielski et al. Purification and comparative assay of human mitochondrial single-stranded DNA-binding protein
RU234215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РАСЛЕВОГО СТАНДАРТНОГО ОБРАЗЦА (ОСО)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АНТИГЕНА ВИРУСА ГЕПАТИТА В (HBsAg) ДЛЯ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ТЕСТ-СИСТЕМ И ОПРЕДЕЛЕНИЯ КОЛИЧЕСТВЕН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АНТИГЕНА В СЫВОРОТКЕ (ПЛАЗМЕ) И ПРЕПАРАТАХ КРОВИ ЧЕЛОВЕКА МЕТОДОМ ИФА
JPH04505664A (ja) 抗ストレプトキナーゼ抗体の検出方法
WO2022189784A1 (en) Nucleic acid amplification, kits, methods, and uses
CN111334596A (zh) 一种定量E.coli细胞残留的核酸检测试剂盒
US20200024645A1 (en) Use of anticoagulants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