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849A - 냉각 사이클론 - Google Patents

냉각 사이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849A
KR20190091849A KR1020180010926A KR20180010926A KR20190091849A KR 20190091849 A KR20190091849 A KR 20190091849A KR 1020180010926 A KR1020180010926 A KR 1020180010926A KR 20180010926 A KR20180010926 A KR 20180010926A KR 20190091849 A KR20190091849 A KR 2019009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oling
dust
cooling water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신화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신화이엔피
Priority to KR102018001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849A/ko
Publication of KR2019009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2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with heating or cooling, e.g. quen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을 함유한 유체에서 분진을 분리 및 포집함과 함께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 사이클론(1)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본 발명은 몸체(2)에서 원통형의 상체(21)에 접선방향으로 연통되게 연결된 유체유입관(4)과, 몸체(2)에서 원뿔형의 하체(22)에 하향으로 연통되게 개구된 분진배출구(5)와, 몸체(2)의 상부 가운데에 하향 돌출되면서 상부로 연통되게 구성된 유체배출관(6)으로 된 사이클론에 있어서, 몸체(2)의 일측으로 관통 유입되고 타측으로 관통 유출되게 구성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수공급수단(10)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몸체(2)의 내측에서 유체와 열교환 후 회수되도록 연결 구성된 냉각수순환체(3)가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순환체(3)에 의해 유체와 분진을 냉각시키면서 유체의 선회 흐름을 즉각적이며 신속하게 유도시켜 분진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키며,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분진이나 배출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부대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사이클론{Cooling cyclone}
본 발명은 사이클론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선 방향으로 유입된 분진을 함유한 유체를 사이클론 원래의 기능인 분진의 분리 및 포집과 함께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 사이클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클론(cyclone)은 집진기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이클론은 원통형의 상체와 하부로 좁아지는 원뿔형의 하체로 된 몸체의 상단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는 분진이 함유된 유체를 몸체의 내측에서 하향 선회(旋回)되게 해서 유체에 함유된 분진을 원심력에 의해서 몸체 내벽을 따라 하향 포집되도록 하고, 몸체의 하단에서 하향 선회되던 유체에서 분진이 분리된 후 상향 선회되어 몸체의 상측 가운데에 관통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서 청정유체가 배출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종래 사이클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6년 제585호(1996년 1월 17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로 사용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소정의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체유입덕트와 상기 유체유입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회전시켜 상기 유체 속의 분진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 포집하기 위한 분진 포집부를 구비하며, 집진장치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집진장치의 분진 포집벽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큰 회전유체의 접선방향속도를 가질 수 있는 경로로 구성된 유체유입덕트를 포함하는 바, 이러한 단지 유입되는 유체를 접선방향으로만 유입시켜서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내부에서 유체의 선회가 유입과 동시에 바로 신속하게 발생되지는 않았던 것이며, 유체의 선회 방향이 하향으로 균일하지 못하여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에 방해되는 난류가 발생되므로 분진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입되는 유체가 연소장치 등에서 발생된 연소가스 등의 고온일 경우 사이클론 몸체 내부에서 고온의 상승기류에 의해서 분진이 부유되는 힘이 발생되어 사이클론에서 분진의 분리 및 하강작용이 방해되므로 이 역시 분진의 집진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되었던 것이다.
종래 사이클론으로는 그밖에도 등록특허 제1207131호(2012년 11월 30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오염토양의 선별용 다단형 마이크로 하이드로사이클론이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 역시 내부에 별도의 선회유도수단이나 냉각수단이 없었으며, 등록특허 제1594821호(2016년 2월 18일자 공고)나 등록특허 제1656859호(2016년 9월 12일자 공고)는 몸체의 하부에 조립 배출구의 꼭지부 및 아펙스의 형태적인 변화니 몸체에 결합된 상부배출유닛과 하부배출유닛의 조립구조 및 피로저항코팅층이 도포된 구조의 변화 정도로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가 원활하지 않고, 유입되는 유체나 분진이 고온일 때 사이클론 내부에서의 분진의 집진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1996-0000585 U 1996. 1. 17. KR 10-1207131 B1 2012. 11. 30. KR 10-1594821 B1 2016. 2. 18. KR 10-1656859 B1 2016. 9. 12.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이클론의 몸체 내측으로 쿨링타워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체를 설치하여 사이클론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분진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으면서 냉각수순환체를 사이클론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방향과 동일하게 나선형태로 구성하여 냉각과 동시에 선회 운동을 유도하여 선회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전체적으로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냉각수순환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유도날개를 형성하여 유체의 선회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냉각수순환체의 냉각수와 사이클론의 유체 사이의 열전도가 보다 월등히 향상되도록 함을 추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을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냉각 사이클론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은 원통형의 상체와 하부로 좁아지는 원뿔형의 하체로 이루어진 몸체가 구비되며, 원통형 상체의 상부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분진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게 구성된 유체유입관이 구비되며, 원뿔형 하체의 하단에 하향으로 연통되게 개구되어 몸체 내부에서 선회되는 유체에서 분리된 분진이 하향 배출되게 구성된 분진배출구가 구비되며, 몸체의 상부 가운데에 관통되어 몸체 내부로 하향 돌출되게 유입 설치되면서 상부로 연통되어 몸체 내부에서 선회되는 유체로부터 분진이 분리된 청정 유체가 상향 배출되게 구성된 유체배출관이 구비되며, 이때 몸체의 일측으로 관통 유입되고 타측으로 관통 유출되게 구성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수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몸체의 내측에서 유체와 열교환 후 회수되도록 연결 구성된 냉각수순환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순환체는 유체의 하강 선회 흐름이 유도되도록, 몸체와 유체배출관 사이에서 몸체와 유체배출관에 이격되면서 유체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코일링되게 구성된 나선형태의 이격냉각관이나, 몸체와 유체배출관 사이에서 유체배출관 외측에 접착 고정되면서 유체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코일링되게 구성된 나선형태의 고착냉각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냉각수순환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얇게 돌출되어 유체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가 몸체 내부에서 하강 선회되도록 유도되게 구성된 유도날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은 몸체의 내측에서 배출관 외측으로 냉각수가 유입 후 순환되어 배출되도록 냉각수순환체가 설치되어 유입관으로 유입되면서 몸체 내측에서 선회되어 분진이 분리 포집될 시 유체와 분진을 냉각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진의 집진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수순환체를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구성되며, 냉각수순환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얇게 돌출된 유도날개에 의해서 유체가 사이클론 내측으로 유입 시 하강 선회되는 흐름이 즉각적으로 유도되고, 유체의 선회운동이 균일하여 난류 등에 의한 방해가 없어서 선회 속도가 월등히 향상되어 분진의 분리가 잘 이루어져서 이 역시 분진의 집진효율을 일층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수순환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유도날개에 의해서 냉각수순환체 내부의 냉각수와 사이클론 내부의 유체 및 분진 사이의 열교환이 보다 월등히 이루어지도록 해서 역시 집진효율을 배가시켜서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분진이나 배출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 없어서 부대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및 냉각수공급수단과의 연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수순환체의 제2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수순환체의 제3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수순환체의 제4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냉각수순환체의 제5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수순환체의 제6실례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사이클론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된 분진을 함유한 유체를 사이클론 원래의 기능인 분진의 분리 및 포집과 함께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 사이클론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체(3)가 설치된 것으로서, 몸체(2)는 상부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상체(21)와, 상체(21)의 하부에서 하부로 점점 좁아지는 원뿔형의 하체(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2)에서 원통형 상체(21)의 상부 일측에는 상체(21)의 중심에서 외측에 접선 방향으로 분진이 함유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관(4)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유체를 몸체(2)의 내측에서 하향 선회(旋回)되는 흐름을 갖도록 구성되며, 몸체(2)에서 원뿔형 하체(22)의 하단에는 하체(22)의 가운데에서 하측으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배출구(5)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몸체(2) 내부에서 하향 선회되는 유체에서 원심력에 의해 분리 후 하체(22) 내면을 타고 하강 포집된 분진을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2)의 상부 가운데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몸체(2) 내부가 상부로 연통되면서 상측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굴절되게 형성되고, 하측부가 몸체(2) 내부로 하향 돌출되게 유입 설치되는 유체배출관(6)이 몸체(2) 내부에서 선회되는 유체로부터 분진이 분리되고 난 후의 청정 유체가 사이클론원리에 의해서 상승 선회되어 상향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갖는 몸체(2)의 일측(도면에서는 하부 일측부분임)으로 관통 유입되고, 몸체(2)의 타측(도면에서는 상부 일측부분임)으로 관통 유출되게 구성된 냉각수순환체(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의 몸체(2)와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수공급수단(10)과 냉각수가 순환되게 연결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공급수단(10)은 냉각수가 저수된 저수조(11)의 하부에 펌프(12)가 구비된 공급관(13)에 의해서 냉각수가 공급되게 냉각수순환체(3)의 일측으로 연결 구성되며, 냉각수순환체(3)로 공급된 냉각수가 냉각수순환체(3) 내부를 이동하면서 몸체(2) 내부의 선회하는 유체와 열교환되어 유체와 분진을 냉각시키게 구성되며, 냉각수순환체(3)의 타측으로 열교환 후의 냉각수가 회수관(14)에 의해서 저수조(11)로 회수되게 연결 구성되며, 이때 회수관(14) 단부에 다수의 분사구(16)를 갖는 분사관(15)을 연결 구성하여 회수된 냉각수가 저수조(11)로 분사될 시 상부의 냉각팬(17)에 의해서 냉각수를 냉각시키면서 저수조(11)에 저수되게 구성되며, 이러한 냉각수공급수단(10)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의 쿨링타워나 냉각장치들 중 냉각온도나 냉각용량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와 같은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에서와 같이 별도 구비되는 냉각수공급수단(10)과 공급 및 회수되어 순환되게 연결 구성된 냉각수순환체(3)는 제1실례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서 몸체(2)와 유체배출관(6)에 이격되면서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유체의 하강 선회 흐름이 유도되도록 구성된 나선형태의 이격냉각관(31)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원형 또는 다각형 관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격냉각관(31)으로 된 냉각수순환체(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에 얇게 돌출되는 유도날개(30)를 형성하여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된 유체가 몸체(2) 내부에서 하강 선회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3의 제2실례에서처럼 이격냉각관(31)을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서 내측의 유체배출관(6) 쪽으로 가깝게 형성하여 이격냉각관(31) 일측인 외측의 몸체(2) 쪽으로 얇은 유도날개(30)를 돌출 형성하거나, 도 4의 제3실례에서처럼 이격냉각관(31)을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하여 이격냉각관(31) 양측인 몸체(2)와 유체배출관(6) 모든 쪽으로 얇은 유도날개(30)를 돌출 형성하거나, 도 5의 제4실례에서처럼 이격냉각관(31)을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하여 이격냉각관(31) 양측으로 얇은 유도날개(30)를 돌출시켜서 양측 유도날개(30)의 선단이 각각 몸체(2) 내면과 유체배출관(6) 외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수순환체(3)는 제5실례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서 유체배출관(6) 외측에 접착 고정되면서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유체의 하강 선회 흐름이 유도되도록 구성된 나선형태의 고착냉각관(32)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되는 일측이 개방되어 유체배출관(6)의 외면에 접착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관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착냉각관(32)으로 된 냉각수순환체(3)는 제6실례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착냉각관(32)이 접착 고정된 내측의 반대편 일측인 외측의 몸체(2)를 향해서 얇게 돌출되는 유도날개(30)를 형성하여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된 유체가 몸체(2) 내부에서 하강 선회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착냉각관(32)의 외향 일측에 돌출된 유도날개(30)의 선단은 별도로 도시치는 않았으나 몸체(2)의 내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정화시스템(100)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이 적용된 토양정화시스템(100)은 오염된 토양을 수거하여 일정하게 피딩하여 열탈착장치(110)로 공급해주는 이송공급설비부(120)와, 이송공급설비부(120)에서 공급된 오염된 토양에 고온의 열을 가하여 토양에 함유된 각종 폐유류와 수분을 기화시켜서 오일가스와 분진을 분리 후 정화된 토양을 이송하여 적재토록 한 정화토양배출설비부(130)와, 열탈착장치(110)에서 분리된 오일가스와 분진으로 된 분진이 함유된 유체를 화염에 의해서 연소시키는 연소설비부(140)와, 연소설비부(140)에서 분리된 연소가스로 된 분진이 함유된 유체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정화시키는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로 대분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연소설비부(140)는 열탈착장치(110)에서 배출되는 오일가스와 분진의 정도에 따라서 설비하지 않고, 오일가스와 분진이 합쳐진 유체를 바로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이 적용된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로 보내서 정화 후 대기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체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의 장치가 바로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이며, 이에 더불어서 상기 연소설비부(140)와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에서 발생된 연소재, 연소분진, 미세분진 등을 이용하여 필릿을 제조하여 배출하는 필릿배출설비부(16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은 몸체(2)의 내부로 냉각수공급수단(1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체(3)를 설치하여 몸체(2) 내부에서 선회되는 분진이 함유된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냉각수순환체(3)를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현하여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된 유체를 보다 즉각적으로 선회되도록 유도하면서, 이러한 냉각수순환체(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유도날개(30)에 의해서 유체의 순회 흐름을 한층 즉각적이고 신속하며 균일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 사이클론(1)의 몸체(2) 내부에서 유체에서 분진의 분리 및 포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분진의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이 적용된 도 8의 토양정화시스템(100)에서는 이송공급설비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토양을 열탈착장치(110)에 투입하여 토양에서 폐유류나 수분을 열에 의해서 기화시켜서 고온의 오일가스와 분진을 토양으로부터 분리 배출시키면서 정화된 토양은 열탈착장치(110)에서 배출되어 정화토양배출설비부(130)에서 배출 적재되도록 한다.
상기 열탈착장치(110)에서 토양으로부터 분리 배출된 오일가스와 분진을 연소설비부(140)를 통하여 연소시켜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 또는 연소설비부(140)를 통하지 않고 열탈착장치(110)에서 바로 배출되는 고온의 오일가스와 분진을 대상 유체로 하여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에 적용된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분진이 분리 및 포집된 후 유체배출관(6)으로 배출되는 청정 유체를 배출가스로 해서 추후 백필터(151)를 거쳐 미세분진을 여과시킨 클린가스를 대기로 방출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냉각 사이클론(1) 몸체(2) 내부에는 냉각수공급수단(1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체(3)가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와 분진을 냉각시키고 유체의 선회를 원활하게 유도시켜서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이와 더불어서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의 냉각 사이클론(1)에서 냉각수순환체(3)에 의해서 유체배출관(6)을 통해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냉각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종래 대기오염저감설비부(150)에 구비되던 배출가스 냉각을 위한 별도의 열교환기(152) 등의 냉각장치 없이 백필터(151)로 바로 이송시켜서 미세분진을 여과 후 대기로 방출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냉각장치 등을 없앨 수 있으므로 부대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냉각 사이클론
2:몸체 21:상체 22:하체
3:냉각수순환체 30:유도날개 31:이격냉각관 32:고착냉각관
4:유체유입관
5:분진배출구
6:유체배출관
10:냉각수공급수단 11:저수조 12:펌프 13:공급관 14:회수관 15:분사관 16:분사구 17:냉각팬
100:토양정화시스템 110:열탈착장치 120:이송공급설비부 130:정화토양배출설비부 140:연소설비부 150:대기오염저감설비부 151:백필터 152:열교환기 160:필릿배출설비부

Claims (4)

  1. 원통형의 상체(21)와 하부로 좁아지는 원뿔형의 하체(22)로 이루어진 몸체(2);
    원통형 상체(21)의 상부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분진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게 구성된 유체유입관(4);
    원뿔형 하체(22)의 하단에 하향으로 연통되게 개구되어 몸체(2) 내부에서 선회되는 유체에서 분리된 분진이 하향 배출되게 구성된 분진배출구(5);
    몸체(2)의 상부 가운데에 관통되어 몸체(2) 내부로 하향 돌출되게 유입 설치되며, 상부로 연통되어 몸체(2) 내부에서 선회되는 유체로부터 분진이 분리된 청정 유체가 상향 배출되게 구성된 유체배출관(6);
    몸체(2)의 일측으로 관통 유입되고 타측으로 관통 유출되게 구성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수공급수단(10)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몸체(2)의 내측에서 유체와 열교환 후 회수되도록 연결 구성된 냉각수순환체(3);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사이클론.
  2. 청구항 1에 있어서;
    냉각수순환체(3)는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서 몸체(2)와 유체배출관(6)에 이격되면서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코일링되도록 구성된 나선형태의 이격냉각관(31);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사이클론.
  3. 청구항 1에 있어서;
    냉각수순환체(3)는 몸체(2)와 유체배출관(6) 사이에서 유체배출관(6) 외측에 접착 고정되면서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선회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코일링되도록 구성된 나선형태의 고착냉각관(32);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사이클론.
  4. 청구항 1에 있어서;
    냉각수순환체(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얇게 돌출되어 유체유입관(4)으로 유입된 유체가 몸체(2) 내부에서 하강 선회되도록 유도되게 구성된 유도날개(30);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사이클론.
KR1020180010926A 2018-01-29 2018-01-29 냉각 사이클론 KR20190091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26A KR20190091849A (ko) 2018-01-29 2018-01-29 냉각 사이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26A KR20190091849A (ko) 2018-01-29 2018-01-29 냉각 사이클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849A true KR20190091849A (ko) 2019-08-07

Family

ID=6762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26A KR20190091849A (ko) 2018-01-29 2018-01-29 냉각 사이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8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9303A (zh) * 2020-12-17 2021-04-09 张翔 一种除尘系统用的安全防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85U (ko) 1994-06-16 1996-01-17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207131B1 (ko) 2012-03-26 2012-11-30 현대건설주식회사 오염토양 선별용 마이크로 하이드로사이클론, 이를 이용한 오염토양 선별용 다단형 마이크로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오염토양 선별방법
KR101594821B1 (ko) 2015-08-27 2016-02-18 (주)에코필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세척장치
KR101656859B1 (ko) 2016-02-12 2016-09-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듈식 사이클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85U (ko) 1994-06-16 1996-01-17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207131B1 (ko) 2012-03-26 2012-11-30 현대건설주식회사 오염토양 선별용 마이크로 하이드로사이클론, 이를 이용한 오염토양 선별용 다단형 마이크로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오염토양 선별방법
KR101594821B1 (ko) 2015-08-27 2016-02-18 (주)에코필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세척장치
KR101656859B1 (ko) 2016-02-12 2016-09-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듈식 사이클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9303A (zh) * 2020-12-17 2021-04-09 张翔 一种除尘系统用的安全防护装置
CN112619303B (zh) * 2020-12-17 2022-03-04 张翔 一种除尘系统用的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4529A (en) Entrained droplet separator
US6764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gas
EP0408533A1 (en) Gas-liquid separation
CN109621562A (zh) 一种多级旋流气液分离装置
CN104028052A (zh) 一种气体净化设备
CN101368798A (zh) 热定型机废热空气热管气-气换热净化器
CN102302985A (zh) 混合气体内外双旋风换热除尘设备
CN108072045B (zh) 锅炉烟汽节能低碳减霾系统
KR101653393B1 (ko)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KR20190091849A (ko) 냉각 사이클론
KR20130020138A (ko) 원심분리식 집진장치
CN205690959U (zh) 插入式扰流器及其装置
CN106352364A (zh) 催化裂化焚烧烟气换热分离一体化方法与装置
CN210186616U (zh) 一种气液分离器
CN206531410U (zh) 烟气净化与余热回收装置
CN216654981U (zh) 一种旋风分离器
KR20160018036A (ko) 열교환 집진기
CN203886316U (zh) 一种气体净化设备
CN211425109U (zh) 一种锅炉余热回收装置
CN209204710U (zh) 一种列管式冷凝装置
US2060169A (en) Dust separator and heat exchange apparatus
CN208065955U (zh) 一种新型气液在线分离器
CN208694471U (zh) 一种管束旋汇气液固多相分离器
CN207770081U (zh) 一种空气冷却换热的旋风分离器中心筒
CN206509128U (zh) 一种旋风分离式粉体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