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790A -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790A
KR20190091790A KR1020180010782A KR20180010782A KR20190091790A KR 20190091790 A KR20190091790 A KR 20190091790A KR 1020180010782 A KR1020180010782 A KR 1020180010782A KR 20180010782 A KR20180010782 A KR 20180010782A KR 20190091790 A KR20190091790 A KR 2019009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ibration
coupled
vibration damping
vibration sup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247B1 (ko
Inventor
김길희
김형만
김상우
김승현
김유경
김형국
이용준
김민준
김동환
김두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브구조엔지니어링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브구조엔지니어링,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브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진 장치가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켜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제진 장치로 최상의 진동에너지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VIBRATION CONTROL APPARATUS AND VIBRATION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변국인 일본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지진 규모와 피해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피해사례 보고를 보면, 지진에 대한 사회적 준비와 내진설계 기술의 적용 정도에 따라 인명 및 재산피해 규모에서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지진 청정구역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지진 역사에 대한 연구와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인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우리나라에도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지진 발생 횟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00년 이후에는 연 평균 약 50회에 이르고 있다.
2013년에는 지진 발생 횟수가 93회를 기록하였으며, 2014년에는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또한, 2016년 9월 12일 경상북도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점에서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1978년 지진 관측을 시작한 후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다.
2016년 10월 11일 기상청 보도에 따르면, 경주 지진의 영향으로 규모 4.5의 지진을 비롯하여 총 470회가 넘는 여진이 계속 발생하였고, 이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한 지진의 횟수와 비슷한 정도이다.
지진은 동일한 규모라 하더라도 진앙의 위치, 지반 특성, 주변환경 및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사회적 준비와 내진설계의 적용 등 충분한 대비를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9698호는 캔틸레버 거동식 강재 댐퍼에 관한 것으로, 강재의 소성변형 특성을 이용하되 강재 댐퍼가 캔틸레버 거동을 함으로써 에너지 소산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강재 댐퍼의 캔틸레버 거동을 위하여 한쪽 단은 힌지로, 다른쪽 단은 볼트로 고정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강재 댐퍼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가 많으므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일단이 핀으로 연결되어 외부하중에 저항할 때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지진 에너지 소산 방식에 대해,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방법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제진 장치가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켜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제진 장치로 최상의 진동에너지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제진바; 상기 제1제진바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제진바; 및 상기 제1제진바의 일단과 상기 제2제진바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제진바와, 상기 제1제진바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제진바와, 상기 제1제진바의 일단과 제2제진바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제진 장치; 및 상기 제1제진바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상기 제진 장치로 전달하는 제1강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진 장치가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켜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제진 장치로 최상의 진동에너지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과 도 24는 도 1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1의 제진 장치 중 (e)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0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시스템 중 하나가 건축물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과 도 24는 도 1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1의 제진 장치 중 (e)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0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시스템 중 하나가 건축물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 장치는, 제1제진바(101); 제1제진바(101)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제진바(103); 및 제1제진바(101)의 일단과 제2제진바(103)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105);를 포함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장치, 제진 시스템이 건축물에 적용되어, 지진 등이 발생했을 때 건축물에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됨으로써, 건축물의 붕괴, 파손 등이 방지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제진바(101)는 일예로 강재바로 제공된다.
제2제진바(103)는 제1제진바(101)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제진바(103)는 일예로 강재바로 제공된다.
연결바(105)는 제1제진바(101)의 일단과 제2제진바(103)의 일단을 서로 연결한다.
한편, 연결바(105)의 형상, 제1제진바(101)와 연결바(105)의 연결부분, 제2제진바(103)와 연결바(105)의 연결부분 등의 형상,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한 바, 이하 각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결바(105)는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연결바(105a)는 길이방향으로 폭(너비)이 일정한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제진바(101)와 연결바(105a)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Ca1) 및 제2제진바(103)와 연결바(105a)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Ca2)가 모두 각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제진바(101)와 연결바(105b, 105c, 105d)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Cb1, Cc1, Cd1) 또는 제2제진바(103)와 연결바(105b, 105c, 105d)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Cb2, Cc2, Cd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외측방향 모서리부분과 내측방향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한쪽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번호 중 외측방향 모서리부분만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예는 Cb1, Cb2, Cc1, Cc2이고, 외측방향 모서리부분과 내측방향 모서리부분 모두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예는 Cd1, Cd2로 표시되어 있다.
제1연결부(Cb1, Cc1, Cd1) 또는 제2연결부(Cb2, Cc2, Cd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외측방향 모서리부분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진 등의 발생시 제진 장치가 변형되면서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 면내외 하중을 흡수할 때, 각지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Ca1)와 제2연결부(Ca2) 대비,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하중 흡수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연결바(105c)는, 외측방향 면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내측방향 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05e)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연결바(105f, 105g)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연결바(105f)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바(105fa, 105fb)가 단부에서 연결되는 구조(도 1의 (f))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바(105g)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바(105ga, 105gb)가 단부에서 각각 횡방향 바(105gc)의 양단에 연결되는 구조(도 1의 (g))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바(105')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도 20 내지 도 22 참고).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장치는, 제1제진바(101)의 타단과 제2제진바(103)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결속바(201);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속바(201a)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제진바(101)와 결속바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Cb3, Cc3, Cd3) 또는 제2제진바(103)와 결속바가 연결되는 제4연결부(Cb4, Cc4, Cd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외측방향 모서리부분과 내측방향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한쪽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번호 중 외측방향 모서리부분만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예는 Cb3, Cb4, Cc3, Cc4이고, 외측방향 모서리부분과 내측방향 모서리부분 모두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예는 Cd3, Cd4로 표시되어 있다.
제3연결부(Cb3, Cc3, Cd3) 또는 제4연결부(Cb4, Cc4, Cd4) 중 적어도 어느 한족에서, 외측방향 모서리부분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진 등의 발생시 제진 장치가 변형되면서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 면내외 하중을 흡수할 때,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하중 흡수 효율이 높아지며, 이러한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제1연결부(Cb1, Cc1, Cd1) 또는 제2연결부(Cb2, Cc2, Cd2)의 라운드형 형상으로 인한 효과와 같다.
한편, 결속바(201c)는 외측방향 면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내측방향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물론, 결속바(201b', 201c', 201d')는 결속바(201b, 201c, 201d)와 그 돌출방향이 반대방향(내측방향으로 돌출)으로 형성되도록 제1제진바(101)와 제2제진바(103)를 연결하며 형성된다.
또한, 결속바(201e)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도 19 참고).
더불어, 결속바(201')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된다(도 22 참고).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장치는, 연결바(105)와 결속바(201) 사이에서 제1제진바(101)와 제2제진바(103)를 서로 연결하며 배치되는 결합바(301);를 포함한다.
이처럼 연결바(105)와 결속바(201) 사이에 결합바(301)가 더 구비됨으로써, 제진 장치의 진동 에너지 흡수 효율이 더 높아진다.
물론, 결합바(301)는 한쌍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될 수도 있다(도 15 내지 도 18, 도 19의 (c), 도 22의 (b) 참고).
더불어, 연결바(105)와 결속바(201)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바(30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장치는, 제1제진바(10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되, 제1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부(107);를 포함한다.
일예로, 제1연장플레이트부(107)는 제1제진바(101)에 외측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제1연장플레이트부(107)는 제1제진바(10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속품으로 만들어진 후 제1제진바(101)에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연장플레이트부(107)는 일예로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장치는, 제2제진바(103)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되, 제2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제2연장플레이트부(109);를 포함한다.
제2연장플레이트부(109)는 상술한 제1연장플레이트부(107)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일예로, 제2연장플레이트부(109)는 상술한 제1연장플레이트부(107)와 유사하되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진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도 23 내지 도 27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23과 도 24는 도 1의 제진 장치 중 (a)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4는 도 23의 제진 장치 중 제1제진바(101)의 길이와 제2제진바(103)의 길이가 각각 절반인 경우의 유한요소 해석결과이다.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보면, 제1제진바(101)와 제2제진바(103), 연결바(105) 그리고 결속바(201)가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변형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 소산부는 도면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되었다.
이러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 장치는,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제진바, 연결바, 결속바에서 효과적으로 에너지가 흡수되기 때문에, 건축물뿐만 아니라 에너지(진동 에너지 등 포함)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장치, 구조물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시스템은, 제1제진바(101)와, 제1제진바(101)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제진바(103)와, 제1제진바(101)의 일단과 제2제진바(103)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105)를 포함하는 제진 장치(100); 및 제1제진바(10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부(107)에 결합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제진 장치로 전달하는 제1강재모듈(40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진 장치(100)는, 앞에서 다양한 예로 설명한 제진 장치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강재모듈(401)은 제1연장플레이트부(107)에 결합되는데, 제1강재모듈(401)은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제진 장치(1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1강재모듈(401)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강재모듈(401)은, 일측에 제1연장플레이트부(107)가 제1고정부재(403)로 결합되는 제1강재플레이트부(405); 절곡된 철근의 단부가 각각 제1강재플레이트부(405)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주철근부(407); 및 제1주철근부(407)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제1횡보강근부(409);를 포함한다.
제1강재플레이트부(405)는 일예로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제1강재플레이트부(405)의 일측에는 제1연장플레이트부(107)가 제1고정부재(403)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403)는 일예로 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강재플레이트부(405)에는 외측방향으로 제1리브(411)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리브(411)는 제1강재플레이트부(405)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콘크리트가 제진 장치(100) 쪽으로 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주철근부(407)는 절곡된 철근의 단부가 각각 제1강재플레이트부(405)의 타측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면들에서는 한쌍의 제1주철근부(407)가 제1강재플레이트부(405)의 한쪽면과 다른쪽면에 각각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1횡보강근부(409)는 제1주철근부(407)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제1횡보강근부(409)는 복수개의 철근이 각각 제1주철근부(407)를 감싸면서 서로 이격배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철근으로 제1주철근부(407)를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감싸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 시스템은, 제2제진바(103)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제2연장플레이트부(109)에 결합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제진 장치(100)로 전달하는 제2강재모듈(413);을 포함한다.
제2강재모듈(413)은 제2연장플레이트부(109)에 결합되는데, 제2강재모듈(413)은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제진 장치(100)로 전달한다.
일예로, 제2강재모듈(413)은, 일측에 제2연장플레이트부(109)가 제2고정부재(415)로 결합되는 제2강재플레이트부(417); 절곡된 철근의 단부가 각각 제2강재플레이트부(417)의 타측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주철근부(419); 및 제2주철근부(419)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제2횡보강부(421);를 포함한다.
제2강재모듈(413)의 각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제1강재모듈(401)과 유사하다.
다만, 제1강재모듈(401)에서 제1주철근부(407)를 감싸는 제1횡보강근부(409)의 방식과, 제2강재모듈(401)에서 제2주철근부(419)를 감싸는 제2횡보강근부(421)의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다양한 방식들이 동일하게 같이 적용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앞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한 제1강재모듈(401), 제2강재모듈(413)의 세부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들이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진 시스템은, 건축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지진 등에 의해 건축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진 장치가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시켜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제진 장치로 최상의 진동에너지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진 장치
101 : 제1제진바
103 : 제2제진바
105 : 연결바
107 : 제1연장플레이트부
109 : 제2연장플레이트부
201 : 결속바
301 : 결합바
401 : 제1강재모듈
403 : 제1고정부재
405 : 제1강재플레이트부
407 : 제1주철근부
409 : 제1횡보강근부
411 : 제1리브
413 : 제2강재모듈
415 : 제2고정부재
417 : 제2강재플레이트부
419 : 제2주철근부
421 : 제2횡보강부

Claims (18)

  1. 제1제진바;
    상기 제1제진바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제진바; 및
    상기 제1제진바의 일단과 상기 제2제진바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진바와 상기 연결바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 또는 상기 제2제진바와 상기 연결바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외측방향 모서리부분과 내측방향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한쪽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외측방향 면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내측방향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진바의 타단과 상기 제2제진바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결속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진바와 상기 결속바가 연결되는 제3연결부 또는 상기 제2제진바와 상기 결속바가 연결되는 제4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외측방향 모서리부분과 내측방향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한쪽이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바는,
    외측방향 면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내측방향 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바는,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와 상기 결속바 사이에서 상기 제1제진바와 상기 제2제진바를 서로 연결하며 배치되는 결합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는,
    한쌍이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진바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되, 제1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진바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되,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제2연장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장치.
  15. 제1제진바와, 상기 제1제진바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제진바와, 상기 제1제진바의 일단과 제2제진바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제진 장치; 및
    상기 제1제진바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제1연장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상기 제진 장치로 전달하는 제1강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진바에 일체로 형성되거가 결합되는 제2연장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종방향, 횡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면내외 하중을 상기 제진 장치로 전달하는 제2강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재모듈은,
    일측에 상기 제1연장플레이트부가 제1고정부재로 결합되는 제1강재플레이트부;
    절곡된 철근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1강재플레이트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주철근부; 및
    상기 제1주철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제1횡보강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강재모듈은,
    일측에 상기 제2연장플레이트부가 제2고정부재로 결합되는 제2강재플레이트부;
    절곡된 철근의 단부가 각각 상기 제2강재플레이트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주철근부; 및
    상기 제2주철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제2횡보강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시스템.
KR1020180010782A 2018-01-29 2018-01-29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KR10215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82A KR102154247B1 (ko) 2018-01-29 2018-01-29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82A KR102154247B1 (ko) 2018-01-29 2018-01-29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90A true KR20190091790A (ko) 2019-08-07
KR102154247B1 KR102154247B1 (ko) 2020-09-10

Family

ID=6762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82A KR102154247B1 (ko) 2018-01-29 2018-01-29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24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023A (en) * 1997-12-17 2000-12-26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Compressive/Tensile-Load-Type Damper made of lead and seismic iso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007409A (ko) * 2010-07-14 2012-01-20 쌍용건설 주식회사 층간 변형을 이용한 인방보형 이력댐퍼
KR101146790B1 (ko) * 2011-09-01 2012-05-21 현대엠코 주식회사 점탄성댐퍼와 이력댐퍼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KR20120008642U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소성형 내진댐퍼
KR20140025200A (ko) * 2012-08-22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용 커넥터
KR20140027865A (ko) * 2012-08-27 2014-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변단면 스트립형 강재 댐퍼
KR101404572B1 (ko) * 2013-09-17 2014-06-30 삼영엠텍(주) 학교 건축물의 날개벽을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1487134B1 (ko) * 2014-05-29 2015-01-29 롯데건설 주식회사 베어링을 사용한 캔틸레버형 제진장치
KR101535201B1 (ko) * 2014-03-26 2015-07-09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보 변형을 방지하는 댐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023A (en) * 1997-12-17 2000-12-26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Compressive/Tensile-Load-Type Damper made of lead and seismic isol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007409A (ko) * 2010-07-14 2012-01-20 쌍용건설 주식회사 층간 변형을 이용한 인방보형 이력댐퍼
KR20120008642U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소성형 내진댐퍼
KR101146790B1 (ko) * 2011-09-01 2012-05-21 현대엠코 주식회사 점탄성댐퍼와 이력댐퍼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KR20140025200A (ko) * 2012-08-22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용 커넥터
KR20140027865A (ko) * 2012-08-27 2014-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변단면 스트립형 강재 댐퍼
KR101404572B1 (ko) * 2013-09-17 2014-06-30 삼영엠텍(주) 학교 건축물의 날개벽을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1535201B1 (ko) * 2014-03-26 2015-07-09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보 변형을 방지하는 댐퍼
KR101487134B1 (ko) * 2014-05-29 2015-01-29 롯데건설 주식회사 베어링을 사용한 캔틸레버형 제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247B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580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598350B1 (ko)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1403230B1 (ko)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KR101697753B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강성 조절형 이력 댐퍼
KR102056859B1 (ko) 충격흡수 와이어 마운트 조립체
KR101319698B1 (ko) 캔틸레버 거동식 강재 댐퍼
WO2017074175A1 (en) A nonlinear spring bracing device
KR20140069694A (ko) 면외좌굴 방지 접합부를 구비한 가새형 제진 시스템
JP2012158911A (ja) 耐震構造体
KR101798907B1 (ko) 단계별 변위에 저항하는 인방댐퍼 및 그 시공방법
KR101199684B1 (ko) 점성댐퍼와 이력댐퍼의 복합감쇠기
KR101223531B1 (ko) 복합형 와이어로프 방진장치
KR20190091790A (ko) 제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
KR102056862B1 (ko) 복합 충격흡수 와이어 마운트 조립체
KR102151691B1 (ko) 광대역 진동 흡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로 충격 발생 장치
KR102602629B1 (ko) 제진장치
CN108978924B (zh) 一种带有可更换功能的拉压加载型软钢阻尼器
KR102109285B1 (ko) 면진장치
US20190376281A1 (en) Volumetric compression restrainer
KR20180070999A (ko) 좌굴방지 휨형 강재댐퍼
KR101132708B1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KR102303102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용 댐퍼
KR102018098B1 (ko) 교체 가능한 강성 조절형 이력 댐퍼
KR101640350B1 (ko) 비좌굴 형강을 댐핑요소로 활용한 인방형 제진장치
KR101838688B1 (ko) 다기능 복합형 제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