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701A -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701A
KR20190091701A KR1020180010574A KR20180010574A KR20190091701A KR 20190091701 A KR20190091701 A KR 20190091701A KR 1020180010574 A KR1020180010574 A KR 1020180010574A KR 20180010574 A KR20180010574 A KR 20180010574A KR 20190091701 A KR20190091701 A KR 2019009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rve
uterus
contraction
neur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161B1 (ko
Inventor
안기훈
이수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161B1/ko
Priority to US16/771,626 priority patent/US11759633B2/en
Priority to PCT/KR2018/014965 priority patent/WO2019146901A1/ko
Publication of KR2019009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00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61B5/4356Assessing uterine contr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1Electromyography [EMG] of genito-urina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5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61N1/0524Vagin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35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17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e.g. acoustic or tactile
    • A61N1/37223Circuits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인간에게 신경 신호를 인가하는 신경 전극 기술에 관한 것으로, 신경 전극 조립체는,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는 몸체,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도록 형성되어 몸체에 결합된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몸체에 결합된 자극용 신경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Non-invasive neural electrode assembly and neural electrode control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인간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인간에게 신경 신호를 인가하는 신경 전극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신중인 산모의 조산의 진단 내지 조산 억제를 위한 비침습 형태의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부인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초음파의 원리를 이용하여 태아의 심장 박동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심장 박동 변화를 통해 태아의 건강 및 이상 징후를 검진하였다. 즉, 임신중인 산모는 병원을 방문하여 초음파 검사를 받고 이를 통해 태아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사회 활동에 따른 과도한 업무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환경 오염과 같은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출산 예정일보다 일찍 아이가 태어나는 조산(premature birth)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태아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검진과 더불어, 임산부의 자궁 수축도를 측정하여 조산 위험 정도에 대한 검진을 수행하기도 한다.
조산과 관련된 주된 검사 및 진단 방법은 내진을 통한 경관의 변화 확인 및 질경 검사로 양수 누출 확인 그리고 양수천자로 융모 양막염을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까지 조산과 관련되어 주로 자궁수축억제제(리토드린, 아토시반, 마그네슘 등), 항생제 등의 약물요법이 주로 시행되어 왔다.
한편, 이하에서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는 조산의 유도기전과 이에 관여하는 다양한 원인 및 처치 전략이 소개되어 있으나, 여전히 조산의 명확한 예방과 치료법을 제시하였다고 하기에는 부족하다.
"조산의 최신 처치 지견", 김종화,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산의 예측을 위한 종래의 검사 방법들이 낮은 정확도로 인해 진단적 효용성을 의심받는 문제를 해결하고, 조산의 예방 내지 치료를 위해 의료 현상에서 사용되는 약물 치료 역시 그 효과가 미미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조립체는,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는 몸체;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 자극용 신경 전극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은, 상기 몸체의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은,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을 통해 자궁의 수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은, 감지된 자궁의 수축 정도에 대응하여 조산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강도의 신경 자극 신호를 상기 자궁 유입 신경에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은, 상기 몸체의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 양쪽의 천골인대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천골인대의 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몸체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고, 자궁경부에 인접하여 구조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조립체는,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명령을 무선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을 통해 측정된 신경 신호를 모니터링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자궁 수축 억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은,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어,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고,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신경 전극 조립체를 통해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신경 신호를 수신받고, 자궁의 수축이 감지된 경우 자궁 수축 억제를 위한 명령을 상기 신경 전극 조립체에 전송하여 상기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도록 유도하는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신경 전극 조립체는,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 양쪽의 천골인대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천골인대의 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는 자극용 신경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산의 유도기전에서 나타나는 생리학적 현상인 자궁근 수축을 감지함으로써 조산의 증후를 미리 예측하거나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감지된 신경 신호에 따라 자궁의 수축이 예상되는 경우 비침습형 신경 전극을 이용하여 자궁 유입 신경에 전기 자극을 자동으로 인가함으로써 자궁근 수축을 억제 내지 지연시킴으로써 조산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임신주수에 따른 영아사망률의 추이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신경 전극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기술 분야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소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아이디어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임신주수에 따른 영아사망률의 추이를 예시한 그래프로서, 임신주수가 짧을수록 영아사망률이 극도로 높아지는 반면, 이러한 조산의 위험을 넘기도 정상 출산일에 임박할수록 영아의 사망률을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조산은 임신의 약 10%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저출산 및 인구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신생아 사망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특히, 이러한 영아사망률 추이와 더불어 매년 조산아 내지 저체중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통계 역시 조산 위험 관리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조산(자연조기산통)의 원인으로는 감염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도 혈관 이상, 탈락막의 노화, 자궁의 과팽창, 프로게스테론 작용의 감소, 자궁경부 질환, 모체-태아 사이의 면역학적 관용붕괴, 스트레스 등이 거론된다. 이와 같이 조산의 유도기전에는 다양한 원인이 관여하지만, 그 마지막 생리학적 현상인 자궁근 수축과 자궁경관 확장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현재, 조산의 예측을 위하여 초음파적 자궁경부 길이의 측정, 질내 체액의 치명적인 피브로넥틴(fetal fibronectin) 측정, 양수의 MMP-8 농도 측정 등과 같은 검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확도가 높지 않아 진단적 효용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산의 예측뿐 아니라 그 예방 및 치료 또한 요원한 상태인데 현재 임상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게스테론, 항생제, 조산억제제의 치료적 효과 역시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상기된 문제 인식하에 골반 내 위치한 장기들이 풍부한 자율신경계의 조절하에 있음에 주목하였다. 골반 내에는 자궁, 방광, 직장, 항문이 존재하며 이 모든 장기는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을 포함한 자율신경계의 조절하에 근육의 수축 및 이완 및 기능이 조절되고 있는데, 특히 부교감신경의 자극은 골반 내 장기의 수축, 교감신경의 자극은 골반 내 장기의 이완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자궁을 포함한 골반 내 장기가 상당한 신경학적 조절을 받고 있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골반 내 신경 전달을 조절하여 자연조기산통을 궁극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반 내 장기 중 자궁근 수축 내지 자궁경관 확장에 관여하는 신경을 특정하고, 이러한 신경을 통해 교감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자궁근 수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궁 유입 신경에 인접하여 비침습적으로 삽입되며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신경 전극을 도입하였으며, 복수의 유형의 신경 전극을 통해 자궁의 수축을 측정하거나,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는 제어 모델을 수립하였다. 특히, 이러한 기술적 수단들을 하나의 소형화된 장치 내에 일체 형성함으로써 자연조기산통의 조기진단 및 치료를 도모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몸체는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생체적합성 소재로 형성된 커버(cover)(11)로 씌워지거나 생체적합성 소재로 그 표면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또는 커버(11)는, 인체 조직과 반응이 없는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 가능한데, EVA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와 같은 생체적합성 소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높은 투명도와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 소재로서 PE(Poly Ethylene), PS(Poly Styren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 Vinyl Chloride), PVDC(Poly Vinylidene Chloride), PP(Poly Prophylene), PVA(Poly Vinyl Alcohol) 등의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우수한 접합 특성을 보일 수 있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상기 몸체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링(ring)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원반 형태, 구 형태, 원통 형태, 럭비공 형태 및 바나나 형태 등 자궁 내에 비침습적으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 후 자궁경부에 인접하여 자궁의 내벽에 구조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용 신경 전극(12)은,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다. 이러한 기록용 신경 전극(12)은, 상기 몸체의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조기 산통을 예측 및 감지할 수 있다.
자극용 신경 전극(13)은,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다. 이러한 자극용 신경 전극(13)은,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12)을 통해 자궁의 수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13)은, 감지된 자궁의 수축 정도에 대응하여 조산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강도의 신경 자극 신호를 상기 자궁 유입 신경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13)은, 상기 몸체의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 양쪽의 천골인대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천골인대의 자궁 유입 신경(주로 교감 신경)을 자극하며, 조기 산통 시 적절한 전기 자극을 인가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과 더불어, 도 2의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측정된 신호를 신체 외부에 위치한 모니터링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자궁 수축을 억제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7)를 포함한다. 도 2에 예시된 링 형태의 몸체를 고려할 때, 이러한 통신부(17)는 몸체 내부를 따라 무선 코일(coil)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신경 전극 조립체(10)의 구동과 제어를 위해 전원(19)과 처리부(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원(19)은 신경 전극 조립체(1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처리부(15)는 신경 전극 조립체(10)의 구성들(12, 13, 17, 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거나 명령 수행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신경 전극 조립체(10)의 정면도로서 크게 2가지 유형의 신경 전극을 포함한다.
첫째, 기록용 신경 전극(12)은 자궁경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자궁근의 수축이 발생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둘째, 자극용 신경 전극(13)은 4시, 8시의 양방향에 위치한 전극을 통해 자궁으로 유입되는 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자궁근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응용의 관점에서, 기록용 신경 전극(12)을 통해 자궁에서 수축으로 인한 신호가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자궁 수축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침습형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비침습형으로 질을 통해 삽입되어 자궁경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적화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신체 외부의 모니터링 단말기(20) 내지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예를 들어 조산의 고위험 산모가 임신 20-25주에 착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 일부에 약물을 탑재하여 신경 자극과 더불어 자궁 수축 억제를 병행할 수 있다.
이제, 자궁경부에 위치한 신경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측정된 자궁근 수축 신호를 수신한 모니터링 단말기(20)는 자궁 수축 모니터링을 통해 조산을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단말기(20)에 탑재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자궁 수축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찰, 기록하고, 임계 범위를 벗어난 자궁근 수축이 감지될 경우 자궁 수축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명령을 신경 전극 조립체(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이러한 명령에 따라 인체 허용 범위 내의 전기 자극을 통해 자궁 수축을 억제 내지 지연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조산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자국 수축 억제를 위한 신경 자극 신호의 인가는 도 4를 통해 예시된 모니터링 단말기(20)의 명령에 의거할 수도 있으나, 구현시 요구에 따라서는 신경 전극 조립체(10) 내에서 직접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스스로 측정한 자궁 수축 신호에 기초하여 정상 범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직접 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자궁 수축을 억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각 구성의 개요만을 약술하도록 한다.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는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도록 형성된 기록용 신경 전극(12)과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형성된 자극용 신경 전극(13)을 포함한다.
또한,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기록용 신경 전극(12) 및 자극용 신경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명령을 무선 송수신하는 통신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는,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12)을 통해 측정된 신경 신호를 모니터링 단말기(20)에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20)로부터 자궁 수축 억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13)을 제어하도록 유도한다. 본 신경 전극 조립체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통해 구현된 통신부의 규격을 예시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나아가, 신경 전극 조립체(10)는,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9) 및 신경 신호 기록 내지 전기 자극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집적화된 처리부(15)를 포함한다. 본 신경 전극 조립체의 프로토타입을 통해 구현된 전원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규격을 예시하면 다음의 표 2 및 표 3과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모니터링 단말기(20)는 신경 전극 조립체(10)와 통신하며, 측정된 생체 신호를 기록, 분석, 시각화하거나 자궁 수축을 억제, 지연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산의 유도기전에서 나타나는 생리학적 현상인 자궁근 수축을 감지함으로써 조산의 증후를 미리 예측하거나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감지된 신경 신호에 따라 자궁의 수축이 예상되는 경우 비침습형 신경 전극을 이용하여 자궁 유입 신경에 전기 자극을 자동으로 인가함으로써 자궁근 수축을 억제 내지 지연시킴으로써 조산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를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을 운영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신경 전극 조립체
11: 몸체 또는 커버(cover)
12: 기록용 신경 전극
13: 자극용 신경 전극
15: 처리부
17: 통신부
19: 전원
20: 모니터링 단말기

Claims (10)

  1.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는 몸체;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된 자극용 신경 전극을 포함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은,
    상기 몸체의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은,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을 통해 자궁의 수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은,
    감지된 자궁의 수축 정도에 대응하여 조산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강도의 신경 자극 신호를 상기 자궁 유입 신경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은,
    상기 몸체의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 양쪽의 천골인대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천골인대의 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EVA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E(Poly Ethylene), PS(Poly Styren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 Vinyl Chloride), PVDC(Poly Vinylidene Chloride), PP(Poly Prophylene), PVA(Poly Vinyl Alcohol) 중 어느 하나의 생체적합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링(ring) 형태, 원반 형태, 구 형태, 원통 형태, 럭비공 형태 및 바나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고, 자궁경부에 인접하여 구조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명령을 무선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록용 신경 전극을 통해 측정된 신경 신호를 모니터링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자궁 수축 억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자극용 신경 전극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9. 비침습적으로 자궁 내에 삽입되어,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측정하고,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여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는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신경 전극 조립체를 통해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신경 신호를 수신받고, 자궁의 수축이 감지된 경우 자궁 수축 억제를 위한 명령을 상기 신경 전극 조립체에 전송하여 상기 자궁 유입 신경을 자극하도록 유도하는 모니터링 단말기를 포함하는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전극 조립체는,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자궁의 수축에 따른 신경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록용 신경 전극; 및
    자궁 내 삽입에 의해 자궁경부 양쪽의 천골인대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천골인대의 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상기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는 자극용 신경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KR1020180010574A 2018-01-29 2018-01-29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KR10204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74A KR102040161B1 (ko) 2018-01-29 2018-01-29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US16/771,626 US11759633B2 (en) 2018-01-29 2018-11-29 Non-invasive neural electrode assembly and neural electrode control system using same
PCT/KR2018/014965 WO2019146901A1 (ko) 2018-01-29 2018-11-29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74A KR102040161B1 (ko) 2018-01-29 2018-01-29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01A true KR20190091701A (ko) 2019-08-07
KR102040161B1 KR102040161B1 (ko) 2019-11-04

Family

ID=6739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74A KR102040161B1 (ko) 2018-01-29 2018-01-29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59633B2 (ko)
KR (1) KR102040161B1 (ko)
WO (1) WO2019146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1831B2 (en) * 2016-12-20 2022-04-05 New York University Electrical inhibition (EI) uterine pacemaker for controlling uterine contractions
WO2021061843A1 (en) * 2019-09-23 2021-04-01 E-Bio Corp. Electrical muscle controller system for uterine contraction monitoring and modulation
EP4181772A1 (en) * 2020-07-20 2023-05-24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lvic conditions
WO2024101701A1 (ko) * 2022-11-10 2024-05-16 주식회사 포피랩 자궁 수축 조절을 위한 미세전기자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6974A (ja) * 1992-12-22 1996-07-30 ロバート ガーフィールド, 子宮の電気的および機械的活動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40101190A (ko) * 2001-10-26 2004-12-02 아테나 페미닌 테크날러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양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질 또는 신체 상태의정보변환,감지,작용 및/또는 회음부 근육조직 및 신경을자극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6525099A (ja) * 2003-05-02 2006-11-09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 子宮頚部組織のバイオインピーダンス測定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ヒト子宮頚部の診断および処置のための方法
JP2012523285A (ja) * 2009-04-07 2012-10-04 カソリック ヘルスケア ウェスト 子宮電気刺激システム及び方法
EP2567680A1 (en) * 2011-09-09 2013-03-13 VivoSensMedical GmbH Flexible Ring Pessary
KR101890072B1 (ko) * 2017-11-28 2018-08-21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자궁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임산부의 조산예측기능을 갖는 임산부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4192B2 (en) 2000-07-06 2004-02-17 Impulse Dynamics N.V. Uterus muscle controller
EP2237832B1 (en) 2008-01-25 2017-01-04 Virender K. Sharma Implantable stimulator for treating obesity including an anchoring unit
US8874183B2 (en) * 2010-02-18 2014-10-2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term labor monitor
US9872983B2 (en) * 2010-10-27 2018-01-23 Dignity Health Uterin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9248285B2 (en) * 2012-06-09 2016-02-02 Fempuls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nerves
US9381351B2 (en) 2012-06-09 2016-07-05 Fempuls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nerves
JP6596311B2 (ja) 2015-11-17 2019-10-23 英敏 太田 体内留置筋刺激装置
US11291831B2 (en) * 2016-12-20 2022-04-05 New York University Electrical inhibition (EI) uterine pacemaker for controlling uterine contrac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6974A (ja) * 1992-12-22 1996-07-30 ロバート ガーフィールド, 子宮の電気的および機械的活動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40101190A (ko) * 2001-10-26 2004-12-02 아테나 페미닌 테크날러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양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질 또는 신체 상태의정보변환,감지,작용 및/또는 회음부 근육조직 및 신경을자극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6525099A (ja) * 2003-05-02 2006-11-09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 子宮頚部組織のバイオインピーダンス測定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ヒト子宮頚部の診断および処置のための方法
JP2012523285A (ja) * 2009-04-07 2012-10-04 カソリック ヘルスケア ウェスト 子宮電気刺激システム及び方法
EP2567680A1 (en) * 2011-09-09 2013-03-13 VivoSensMedical GmbH Flexible Ring Pessary
KR101890072B1 (ko) * 2017-11-28 2018-08-21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자궁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임산부의 조산예측기능을 갖는 임산부 모니터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산의 최신 처치 지견", 김종화,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161B1 (ko) 2019-11-04
US20200353247A1 (en) 2020-11-12
US11759633B2 (en) 2023-09-19
WO2019146901A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161B1 (ko) 비침습형 신경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전극 제어 시스템
US9826936B2 (en) Body cavity physiological measurement device
US10039472B2 (en) Preterm labor monitor
US20070255184A1 (en) Disposable labor detection patch
US10413231B2 (en) Orifice probe apparatu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Caroci et al. Evaluation of perineal muscle strength in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Paul et al. A clinical fetal monitor
US20150216472A1 (en) Use of device for measuring cervical and uterine activity for diagnosis of labor and related conditions
WO2016189479A1 (en) Vaginal speculum with electromyographic sensors
Moni et al. Noninvasive monitoring of uterine electrical activity among patients with obesity: A new external monitoring device
US20170035347A1 (en) Method for monitoring pregnancy in mammals
US10080520B2 (en) Labor monitoring of pelvic floor
Huber et al. Potential use of electrohysterography in obstetrics: a review article
Leader The potential value of habituation in the fetus
WO2024101701A1 (ko) 자궁 수축 조절을 위한 미세전기자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U2364336C1 (ru)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аль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сократитель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мышц малого таза
KR20240068184A (ko) 자궁 수축 조절을 위한 미세전기자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90192064A1 (en) Micro-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physiological condition of cervical tissue
Reis‐de‐Carvalho et al. Quality of fetal heart rate monitoring with transabdominal fetal ECG during maternal movement in labor: A prospective study
KR100421475B1 (ko) 요실금 진단 시스템
Mengel et al. Association of family enmeshment with maternal blood pressure during pregnancy: Evidence for a neuroendocrine link expla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enmeshment and infant birth weight.
ASSESSMENT ASSESSMENT OF UTERINE CONTRACTIONS
Xavier Novak Tethering with maternal and fetal catheterization as a model for studying pre-to postnatal continuities
Gibb et al. ANTEPARTUM FETAL SURVEILLANCE
Young Recognition, significance, and recording of the signs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