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694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694A
KR20190091694A KR1020180010550A KR20180010550A KR20190091694A KR 20190091694 A KR20190091694 A KR 20190091694A KR 1020180010550 A KR1020180010550 A KR 1020180010550A KR 20180010550 A KR20180010550 A KR 20180010550A KR 20190091694 A KR20190091694 A KR 2019009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ver
coupled
receptacle connecto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231B1 (ko
Inventor
최정훈
이현우
박수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2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쉘의 내부에 위치하는 절연부의 후방 쪽에서 쉘의 내면 및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쉘은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쉘본체, 절연부와 방수부가 결합되도록 쉘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방수부에 대해 후방 쪽에 위치하도록 쉘본체로부터 후방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버퍼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충전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생활방수에 비해 더 강화된 완전방수 기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면서, 방수 기능이 강화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부를 포함하여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방수부는 실리콘과 같은 포팅(Potting)액을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틈새에 도포한 후에 경화됨으로써 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는 방수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을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대해 고성능 및 소형화 구현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함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 휴대폰에 구비된 안테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경우,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자기기에 대한 종합적인 방수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버퍼부재를 이용하여 포팅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한 번의 포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통해 방수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포팅액이 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 및 상기 쉘의 내부에 위치하는 절연부의 후방 쪽에서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쉘은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쉘본체, 상기 절연부와 상기 방수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쉘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방수부에 대해 상기 후방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로부터 상기 후방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버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퍼부재를 이용하여 포팅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한 번의 포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통해 방수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수부가 직접 결합되는 쉘에 버퍼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방수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포팅액이 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된 신호로 인해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1의 I-I 선을 기준으로 쉘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들 및 미드플레이트가 결합된 절연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방수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쉘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부를 형성하기 위해 포팅액을 도포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9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9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하부 커버 및 제1차단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 및 방수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한부재와 절연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컨택트(2), 쉘(3), 및 절연부(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내측으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본체(30, 도 2에 도시됨)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홈(30a, 도 1에 도시됨)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접속부재(21, 도 2에 도시됨) 및 실장부재(22,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되는 면(面)이다. 상기 절연부(4)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타면은, 상기 절연부(4)의 하면일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2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따라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연결부재(23,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는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연결부재(23)가 부분적으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컨택트(2)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한 컨택트[이하, '제1컨택트(2a)'라 함] 및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하면에 위치한 컨택트[이하, '제2컨택트(2b)'라 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4)의 하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상기 절연부(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부(9,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방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쉘(3)의 내면(31a,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컨택트(2)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3)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3)의 내측에 포팅액이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쉘(3)의 내측, 즉 삽입홈(30a)에 위치하면서, 상기 삽입홈(30a)에 위치하는 절연부(4)의 후방(後方)(BD 화살표 방향)(도 3에 도시됨) 쪽에서 상기 쉘(3)의 내면(31a,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쉘(3)은 버퍼부재(33,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부재(33)는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퍼부재(33)는 상기 방수부(9)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3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는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3)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우고 포팅액을 도포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쉘(3)이 상기 버퍼부재(33)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쉘(3)의 내측에 소정의 포팅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포팅액이 상기 절연부(4)의 상측에 균일하게 형성(이하, "포팅액의 레벨링"이라고 함)되면, 소정의 포팅액을 추가로 도포하고 도포된 포팅액의 레벨링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도포된 포팅액의 끝단이 상기 쉘(3)의 끝단에 도달하면 포팅액을 경화함으로써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팅액 도포 및 포팅액의 레벨링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는 버퍼부재(33)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버퍼부재(33)를 이용하여 포팅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버퍼부재(33)를 통해 포팅액이 유동하는 시간 동안 상기 쉘(3)의 내측에 도포된 포팅액의 레벨링이 완료되고, 이후에 상기 버퍼부재(33)를 유동하는 포팅액이 상기 쉘(3)의 내측에 도달하게 되므로, 한 번의 포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방수부(9)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버퍼부재(33)가 상기 쉘본체(30)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방수부(9)가 형성된 길이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부재(33)가 제2축방향(Y축 방향, 도 3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쉘본체(30)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방수부(9)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된 길이에 비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가 형성된 길이가 길다는 것은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기 위해 도포해야 하는 포팅액이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수부(9)가 형성된 길이에 비례하도록 상기 버퍼부재(33)가 상기 쉘본체(3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포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포팅액이 모두 도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절연부(4), 상기 쉘(3), 상기 커버(5), 및 상기 방수부(9)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의 절연부(4)는 제1절연부(41, 도 4에 도시됨) 및 제2절연부(4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1절연부(41)는 상기 제2절연부(42)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절연부(41)가 상기 삽입홈(3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2절연부(42)가 상기 삽입홈(30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삽입홈(30a)에 위치하는 상기 제1절연부(4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서 상기 쉘(3)의 내면(31a)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41)는 절연본체(411,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본체(411)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본체(411)는 상기 제1절연부(4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본체(41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본체(411)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본체(411)에는 상기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연결부재(23)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본체(411),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41)는 돌출부재(41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2)는 상기 절연본체(41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돌출부재(412)는 상기 절연본체(41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12) 및 상기 절연본체(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절연부(41)는 상기 돌출부재(412)가 상기 쉘(3)의 내면(31a, 도 3에 도시됨)에 접촉되도록 상기 삽입홈(30a)에 삽입되어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412)는 상기 쉘(3)의 내면(31a) 및 상기 제1절연부(41)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42)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42)에는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연결부재(23)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42),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9)가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42a, 도 4에 도시됨)이 아닌 상기 제1절연부(41)의 전면(前面)(41a,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42a) 사이에서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 도 4에 도시됨)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방수부(9)의 위치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실장부재(22)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켜서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통해 상기 방수부(9)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컨택트(2)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위치한 컨택트(2)들의 연결부재(23)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은 상기 쉘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삽입홈(3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삽입홈(30a)에 형성되어 상기 쉘(3)의 내면(31a)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삽입홈(30a)에서 상기 제1절연부(4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삽입홈(30a)에서 상기 돌출부재(41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미드플레이트(8,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비해 상기 방수부(9)에 대한 접착력이 더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절연본체(411)의 상면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과 상기 절연본체(411)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형성된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서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8)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둘러싸는 쉘(3)의 내면(31a)의 전면(全面)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8)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를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서 상기 방수부(9)가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미드플레이트(8)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상기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에 이들과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연결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관통 영역을 갖는 일체형의 절연부(4)를 형성할 경우, 상기 방수부(9)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연결부재에 강하게 접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방수부(9)와 연결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부(4)가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를 포함하도록 구현하고, 금속으로 형성되는 상기 미드플레이트(8)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를 연결하고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수부(9)가 상기 미드플레이트(8)에 강하게 접착되어 수분 침투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미드본체(81 도 2에 도시됨), 접지부재(83, 도 2에 도시됨), 및 결합부재(84,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81)는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미드본체(81)는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본체(411)가 갖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81)는 상기 절연본체(411)의 상면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절연본체(411)의 하면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8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절연본체(411)가 갖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드본체(81)는 상기 절연본체(411)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드본체(81)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본체(411)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본체(81)는 상기 절연본체(411) 및 상기 돌출부재(412)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드본체(81)는 일부가 상기 절연본체(411)에 결합됨과 동시에 일부가 상기 돌출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83)는 접지(Ground)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접지부재(8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부재(83)는 상기 기판에 마련된 접지단자에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접지부재(8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절연부(4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83)는 상기 미드본체(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83)는 상기 미드본체(81)로부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미드본체(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83) 및 상기 미드본체(8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84)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결합부재(84)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84)는 상기 제한부재(7) 및 상기 접지부재(8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84)에는 상기 접지부재(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83)는 상기 결합부재(84)로부터 상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재(8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84) 및 상기 접지부재(8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미드플레이트(8)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가 복수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미드플레이트(8)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이격된 공간(S)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미드플레이트(8)들에 각각 포함된 결합부재(84)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서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결합부재(84)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기 제1절연부(41)가 상기 쉘(3)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우고 포팅액을 상기 쉘(3)의 내측에 도포한다.
다음, 상기 쉘(3)의 내측에 도포된 포팅액은, 상기 쉘(3)의 내측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채워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쉘(3)은 포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포팅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채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채워지면, 포팅액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포팅액은 상기 방수부(9)로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커버(5,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3)은 상기 커버(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표면실장기술(Su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 및 상기 쉘(3)은 부분적으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상기 커버(5)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부 커버(51, 도 2에 도시됨) 및 하부 커버(52,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절연부(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절연부(4)의 상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절연부(4)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52)는 상기 절연부(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하부 커버(52)는 상기 절연부(4)의 하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절연부(4)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양측면은, 상기 상부 커버(51) 및 상기 하부 커버(52)에 의해 전면(全面)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부 커버(51) 및 상기 하부 커버(52)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쉘(3)에 결합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비교예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커버(5)가 상기 쉘(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하는데, 이 경우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해 상기 커버(5)가 상기 쉘(3)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는 정확한 크기로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커버(5)는 불량품으로서 버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5)가 상기 쉘(3)의 외측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커버(5)가 상기 쉘(3)의 외측을 덮을 수 없고, 이러한 경우의 제조 공차를 반영함에 따라 상기 커버(5)가 상기 쉘(3)의 외측 보다 소정의 크기로 더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커버(5) 와 상기 쉘(3) 사이의 유격(裕隔)으로 인해 상기 쉘(3)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커버(5)에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가 상기 상부 커버(51) 및 상기 하부 커버(5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51) 및 상기 하부 커버(52)가 상기 쉘(3)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상기 쉘(3)에 밀착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됨으로써, 비교예와 대비할 때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어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상부 커버(51)가 상기 제2절연부(4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51)는 제3축방향(Z축 방향, 도 2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절연부(42)의 상측에서 상기 제2절연부(42)를 모두 가림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42)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결합된 컨택트(2)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각각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버퍼부재(33)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상부에서 상기 제2절연부(4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버퍼부재(33)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퍼부재(33)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상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제2절연부(42)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쉘본체(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52)는 상기 버퍼부재(33)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는 버퍼부재(33)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버퍼부재(33)를 통해 포팅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퍼부재(33)로 도포된 포팅액이 상기 버퍼부재(33)를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쉘(3)의 내측을 채우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버퍼부재(33)를 통해 포팅액이 유동하는 시간 동안 상기 쉘(3)의 내측에 도포된 포팅액의 레벨링이 완료되고, 이후에 상기 버퍼부재(33)를 유동하는 포팅액이 상기 쉘(3)의 내측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한 번의 포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모두 채우도록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구현하는 한편, 방수부(9)를 형성하는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가 직접 결합되는 쉘(3)에 버퍼부재(33)를 형성하여 포팅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포팅액이 상기 커버(5)와 상기 쉘(3) 사이의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버퍼부재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비교예 대비 본 발명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부재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쉘(11, 도 7에 도시됨)의 내측에 포팅액을 도포하고 도포된 포팅액의 레벨링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방수부를 형성할 경우 공정시간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비교예에 따르면, 커버(14, 도 7에 도시됨)가 쉘(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14)를 통해 포팅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비교예는 커버(14)가 절연부(12)를 모두 가리도록 형성된 것을 고려하여, 커버(14)가 쉘(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포팅액을 도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커버(14)와 쉘(11)은 별도의 제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후 결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커버(14)와 쉘(11) 사이에는 유격(裕隔)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비교예에 따르면 커버(14)를 따라 유동하는 포팅액이 커버(14)와 쉘(11) 사이의 유격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수부(9)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쉘본체(30)에 상기 버퍼부재(33)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수부(9)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포팅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後面)(4b, 도 2에 도시됨)이 상기 삽입홈(30a)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삽입홈(30a)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절연부(4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쉘(3)은 상기 제1절연부(41)의 전면(前面)(4a) 쪽 및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後面)(4b)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3)에서 상기 제1절연부(41)의 전면(4a) 쪽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개방되도록 구현되어야 하지만, 상기 쉘(3)에서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4b) 쪽은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쉘(3)에서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4b) 쪽을 통해 불필요하게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2절연부(42)의 후면 쪽이 상기 쉘(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쉘(3)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하면(下面) 쪽을 통해 불필요하게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절연부(42)의 하면 쪽이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배치된 차단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53)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하면 및 후면(4b)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53)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사된 신호로 인해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 방사된 신호로 인해 휴대폰에 구비된 안테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더라도,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적용 전자기기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적용 전자기기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하부 커버(52)는 하부커버본체(520, 도 9에 도시됨) 및 하부실장부재(521,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본체(520)는 상기 절연부(4)의 하측에서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본체(520)는 상기 하부 커버(52)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52)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들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4)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52)는 하부연결부재(522,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는 상기 하부커버본체(520)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커버본체(520)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절연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52)는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들은 각각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부커버본체(510, 도 9에 도시됨) 및 상부실장부재(511,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본체(510)는 상기 절연부(4)의 상측에서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본체(510)는 상기 상부 커버(5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1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1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1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1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11)가 상기 하부실장부재(52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상부실장부재(511)가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실장부재(51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실장부재(51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 사이에는 수용홈(511a, 도 10에 도시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수용홈(511a)에 솔더 페이스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수용홈(511a)을 통해 상기 상부실장부재(51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들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21)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부연결부재(512,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상부커버본체(510)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커버본체(510)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절연부(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12)가 상기 하부연결부재(52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1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1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커버(52)가 상기 기판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51)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12)들은 각각 상기 상부실장부재(51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53)는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도 11에 도시됨)을 가리기 위한 제1차단부재(53a,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하부 커버(5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52) 및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기 하부연결부재(522)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쉘(3)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커버(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쉘(3)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커버(5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53a)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쉘(3)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53a)를 통해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쉘(3)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은 기판에 실장되기 위해서 상기 쉘(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실장부재(22)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쉘(3)이 결합된 상기 커버(5)가 상기 기판에 고정될 경우, 상기 쉘(3)과 상기 기판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실장부재(22)들을 지지하는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쪽이 해당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53a)를 통해 상기 쉘(3)과 상기 기판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53a)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기판을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커버(5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 커버(5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하부 커버(52)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커버(52)를 통해 접지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차단부재(53a)에는 실장기구(531a, 도 13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기구(531a)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기구(531a)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실장기구(531a)를 통해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53a)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에는 상기 실장기구(531a)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기구(531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 및 상기 하부 커버(52) 사이에는 이음매(5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하부연결부재(522)의 일측 및 상기 제1차단부재(53a)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판재를 벤딩함으로써 좌측에 구비된 하부연결부재(522)의 일측 및 상기 제1차단부재(53a)의 타측 사이에 이음매(532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53a) 및 상기 하부 커버(52)는 사이에 이음매(532a)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스를 이용하여 판재를 타발하고, 타발한 판재를 벤딩 형상의 펀치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제1차단부재(53a), 상기 하부연결부재(522), 및 상기 하부커버본체(520)가 이음매(532a)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53a)의 형상이나 상기 제1차단부재(53a)를 형성하는 공정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쉘(3)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부(4)의 하면(4c)을 가릴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고, 이러한 형상은 어떠한 공정을 통해서든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53)는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을 가리기 위한 제2차단부재(53b,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53b)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기판을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커버(51)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 커버(51)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상부 커버(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51)를 통해 접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되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차단부재(53b)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은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됨에 따라 상기 기판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을 가리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되는 제2차단부재(53b) 만을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높이 등을 반영하여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전부를 가리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하부 커버(52)에도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을 가리기 위한 차단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 커버(51)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제2차단부재(53b)를 구성함으로써,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차단부재(53b) 및 상기 상부 커버(51)를 일체로 형성하는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제2차단부재(53b)를 상기 상부 커버(51)에 대해 벤딩하여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을 가리도록 배치해야 하는데, 벤딩에 의해 상기 제2차단부재(53b)와 상기 상부 커버(51) 사이에 굴곡진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영역의 틈새로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 커버(51)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상기 제2차단부재(5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53b)를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함으로써 신호에 대한 방사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폐쇄부재(54,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함으로써,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54)는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를 막는 것이다.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는, 상기 제2차단부재(53b)가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차단부재(53b)와 상기 상부 커버(51)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54)는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53b) 및 상기 폐쇄부재(54)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54)는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재(54)는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에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폐쇄부재(54)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폐쇄부재(54)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폐쇄부재(54)들을 통해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막음으로써, 틈새들 각각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폐쇄부재(54)들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4)의 후면(4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는 것과 대비할 때,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에는 4개의 폐쇄부재(54)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폐쇄부재(54)들은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제2차단부재(53b)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쇄부재(54)들은 서로 간에 일부가 중첩(重疊)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이음부재(533a,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는 차단본체(530a, 도 14에 도시됨)와 상기 쉘(3)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533a)는 일단이 상기 차단본체(530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쉘본체(3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단본체(530a)와 상기 쉘(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차단본체(530a) 및 상기 차단본체(530a)에 대해 상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는 쉘본체(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차단본체(530a)로부터 상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차단본체(53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삽입홈(30a)에 위치하는 절연부(4)의 후면(後面)을 가리도록 상기 차단본체(53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절연부(4)의 후면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가 상기 이음부재(533a)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에 대한 상기 이음부재(533a)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웰딩부재(36,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웰딩부재(36)는 상기 쉘(3) 및 상기 이음부재(533a)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웰딩부재(36)는 상기 쉘(3) 및 상기 이음부재(533a) 사이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레이저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가 1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웰딩부재(3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복수개의 제1웰딩부재(36)들을 통해 상기 이음부재(533a)를 상기 쉘(3)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쉘(3)에 대한 상기 이음부재(533a)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차단본체(530a) 및 상기 차단본체(530a)에 대해 상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는 쉘본체(30) 사이를 전부 가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절연부(4)의 후면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 발생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이음부재(533a)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533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차단본체(53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53a)가 상기 이음부재(533a)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웰딩부재(36)도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웰딩부재(3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음부재(533a)들 각각을 상기 쉘(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웰딩부재(36)는 상기 이음부재(533a)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실링부재(6,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6)는 전자기기의 프레임(미도시)에 밀참됨으로써 수분, 분진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와의 관계에서도 방수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자기기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쉘(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쉘(3)은 지지부재(31,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실링부재(6)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3)은 상기 지지부재(31)가 상기 커버(5)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커버(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는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커버(5)의 외부에서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실링부재(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지지부재(31)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3)에서 상기 커버(5)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설치홈(50, 도 3에 도시됨)이 위치한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설치홈(50)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부재(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설치홈(50)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각각 상기 설치홈(50)의 일부가 남도록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설치홈(5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6)의 길이 및 상기 설치홈(50)의 길이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쉘(3)에서 상기 커버(5)로부터 돌출된 지지부재(31)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방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쉘(3)은 돌기부재(3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32)는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32)는 상기 실링부재(6)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돌기부재(32)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지지부재(31)에 결합된 실링부재(6)가 상기 쉘(3)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킨 상태로 더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32)는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프레임에 접촉되어서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에 상기 돌기부재(32)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경우, 상기 돌기부재(32)의 크기는 상기 삽입공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재(32)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프레임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32)의 크기는 상기 삽입공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부재(32)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대한 밀폐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32)는 상기 지지부재(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3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32)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부재(32)는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상기 지지부재(31)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실링본체(61, 도 3에 도시됨) 및 제1실링돌기(6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61)는 상기 쉘(3)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실링본체(61)가 상기 쉘(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쉘(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6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본체(6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링본체(61)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형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본체(61)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실링본체(6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쉘(3)에서 상기 실링본체(61)를 향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본체(61)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실링본체(6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0.5mm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실링본체(6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쉘(3)에 설치되면, 상기 커버(5)의 외면에 비해 더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더 우수한 방수 성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상기 실링본체(61)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사다리꼴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사다리꼴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다리꼴형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링돌기(62)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제1실링돌기(6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링돌기(6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본체(6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제2실링돌기(63,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실링돌기(6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본체(6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실링돌기(63)는 상기 실링본체(61)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실링본체(61)는 상기 쉘(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쉘(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6)를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실링본체(61)가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반복적으로 접촉되면서 마모가 발생하는데, 상기 실링본체(61)의 회전이 반복됨에 따라 마모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실링돌기(63)에 의해 상기 실링본체(61)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61)의 마모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실링돌기(63)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와 대비할 때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링부재(6)가 상기 제2실링돌기(6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5)는 지지홈(51a,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는 상기 제2실링돌기(63)가 상기 지지홈(51a)에 삽입되도록 상기 쉘(3) 및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홈(51a)은 상기 제2실링돌기(63)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6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실링돌기(63)는 상기 지지홈(51a)과 동일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실링돌기(63)는 상기 지지홈(51a)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지지홈(51a)이 상기 상부 커버(51)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홈(51a)은 상기 하부 커버(52)에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 커버(51)와 상기 하부 커버(52)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6b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와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절곡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재(2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경사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구현된 경사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와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절곡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재(2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6a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하지 않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의 연결부재(23)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하지 않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결합된 영역의 길이(23A)가 상기 방수부(9)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길이(23B)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결합된 접속부재(21) 및 연결부재(23)들의 길이(23A)를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되는 면적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에 둘러싸인 영역의 길이(23B)를 더 짧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수부(9)가 형성되는 공간을 증가시켜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에 이격된 공간(S)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방수부(9)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위치한 상기 제1컨택트(2a)들과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9)가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 각각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2a)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컨택트(2a)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 각각이 갖는 연결부재(23)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8)가 복수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미드플레이트(8)들 각각의 결합부재(84a, 84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재(84a, 84b)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제한부재(7,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돌출부재(41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재(7)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스톱퍼(Stopper)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7)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7)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3)의 내부에 과다한 거리로 삽입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거나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4)와 별도로 형성된 제한부재(7)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4)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절연부(4)로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에 삽입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충격이 발생하는데 상기 절연부(4)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경우, 상기 충격이 상기 절연부(4)에 설치된 상기 컨택트(2)들로 전부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기판과 상기 컨택트(2)들의 실장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재(7)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절연부(4)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에 대한 가공 없이 별도의 제한부재(7)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의 일부를 상기 쉘(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가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쉘(3)에 대한 가공 없이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의 일부를 상기 쉘(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가공함에 따라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쉘(3)의 방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는 상기 쉘(3)의 일부를 상기 쉘(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가공함에 따라 상기 쉘(3)에 홀(Hole)이 생성된 경우, 생성된 홀을 막기 위해 상기 쉘(3)에 대한 추가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에 대한 추가작업 없이도 상기 쉘(3)의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스톱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비교예와 대비할 때 공정비용을 줄임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재(4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제한본체(70, 도 1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본체(70)는 상기 돌출부재(412)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제한본체(70)는 상기 제한부재(7)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한본체(70)는 상기 돌출부재(41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고정부재(71, 도 19에 도시됨) 및 고정돌기(72, 도 1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제한본체(70)를 상기 돌출부재(4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제한본체(7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1)는 상기 제한본체(70)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72)는 상기 고정부재(7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72)는 상기 고정부재(71)에서 상기 돌출부재(412)를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부재(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고정돌기(7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7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가 상기 고정돌기(7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재(412)는 고정홈(412a, 도 1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12a)은 상기 돌출부재(412)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12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고정돌기(72)가 상기 고정홈(412a)에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돌출부재(412)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홈(412a)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72)가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가 상기 고정돌기(72)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재(412)는 상기 고정홈(412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12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본체(70), 상기 고정부재(71), 및 상기 고정돌기(7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7)는 상기 절연부(4)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한부재(7)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4)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쉘(3)과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절연부(4)가 직접 결합되는 비교예에 대비할 때,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상기 제한부재(7)와 상기 쉘(3)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3)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쉘(3) 및 상기 제한부재(7)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3)에 대한 상기 절연부(4)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2웰딩부재(37,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웰딩부재(37)는 상기 쉘(3) 및 상기 제한부재(7)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웰딩부재(37)는 상기 쉘(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레이저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제한부재(7)를 상기 쉘(3)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4) 및 상기 쉘(3)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에 삽입하고 해제함에 따라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30)는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쉘(3)의 외면은 이음매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쉘(3)이 판재를 절단한 후에 벤딩하는 벤딩공정, 및 벤딩한 판재의 양단을 용접 등의 가공작업을 통해 결합시키는 결합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경우, 상기 쉘(3)에는 상기 결합공정을 통해 이음매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음매는 틈새이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태핑(Tapping)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작업을 통해 메워져야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쉘(3)은 작업공수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 및 제조시간 증대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쉘(3)은 추가작업을 통해 상기 이음매를 메우더라도, 상기 이음매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위험이 존재하므로 낮은 방수 성능을 갖추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30)가 상기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쉘(3)의 외면이 상기 이음매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음매를 메우기 위해 태핑 등과 같은 추가작업 없이도, 상기 쉘(3)이 방수 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작업공수를 줄이면서도 방수 기능을 갖출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30)가 상기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쉘(3)의 외면이 이음매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되므로, 상기 이음매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30)는 판재를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가공하여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쉘본체(30)는 상술한 딥드로잉 공법뿐만 아니라 다른 공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쉘본체(30)는 튜브 포밍(Tube Forimng),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밈(MIM) 공법 등과 같은 공법으로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컨택트
3 : 쉘 4 : 절연부
5 : 커버 6 : 실링부재
7 : 제한부재 8 : 미드플레이트
9 : 방수부 21 : 접속부재
22 : 실장부재 23 : 연결부재
30 : 쉘본체 30a : 삽입홈
31 : 지지부재 32 : 돌기부재
33 : 버퍼부재 41 : 제1절연부
42 : 제2절연부 50 : 설치홈
51 : 상부 커버 52 : 하부 커버
53 : 차단부 53a : 제1차단부재
53b : 제2차단부재 54 : 폐쇄부재
81 : 미드본체 83 : 접지부재
84 : 결합부재 411 : 절연본체
412 : 돌출부재 510 : 상부커버본체
511 : 상부실장부재 512 : 상부연결부재
520 : 하부커버본체 521 : 하부실장부재
522 : 하부연결부재 523 : 제2차단부재

Claims (17)

  1.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2);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4);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된 쉘(3); 및
    상기 쉘(3)의 내부에 위치하는 절연부(4)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서 상기 쉘(3)의 내면(31a)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부(9)를 포함하고,
    상기 쉘(3)은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쉘본체(30), 상기 절연부(4)와 상기 방수부(9)가 결합되도록 상기 쉘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홈(30a), 및 상기 방수부(9)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30)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버퍼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절연부(41) 및 제2절연부(42)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절연부(41)가 상기 삽입홈(30a)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절연부(42)가 상기 삽입홈(30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30)에 결합되고,
    상기 방수부(9)는 상기 제1절연부(41)와 상기 제2절연부(42) 사이의 이격된 공간(S)에서 상기 컨택트(2)들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미드플레이트(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는 상기 미드플레이트(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41)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본체(411), 및 상기 절연본체(41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412)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본체(411)가 상기 쉘(3)의 내면(31a)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3)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방수부(9)는 상기 돌출부재(41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30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3)에 결합된 커버(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의 상부(上部)에서 상기 쉘(3)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1)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51)가 상기 제2절연부(42)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재(33)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상부에서 상기 제2절연부(4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5)는 상기 상부 커버(51)가 상기 버퍼부재(33)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의 하부(下部)에서 상기 쉘(3)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5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 커버(52)가 상기 버퍼부재(33)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3)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 미드플레이트(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드플레이트(8)는 상기 제1절연부(41) 및 상기 제2절연부(42)에 비해 상기 방수부(9)에 대한 접착력이 더 큰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3)에 결합된 커버(5); 및
    전자기기와 상기 쉘(3)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쉘(3)에 설치되는 실링부재(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쉘(3)은 상기 실링부재(6)가 설치된 지지부재(31)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31)가 상기 커버(5)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3)에 결합된 커버(5); 및
    상기 커버(5)에 결합된 차단부(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4)는 후면(後面)이 상기 삽입홈(3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쉘본체(30)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53)는 상기 삽입홈(30a)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절연부(4)의 하면(下面)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된 제1차단부재(5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Ground)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의 상부(上部)에서 상기 쉘(3)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1) 및 상기 쉘(3)의 하부(下部)에서 상기 쉘(3)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하부 커버(52)에 결합되어 상기 절연부(4)의 하면을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부재(21)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재(22)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을 지지하는 제1절연부(41) 및 상기 실장부재(22)들을 지지하는 제2절연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제2절연부(42)의 하면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쉘본체(30)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4)의 하면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53a)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접지된 차단본체(530a) 및 상기 차단본체(530a)를 상기 쉘본체(30)에 연결하는 이음부재(533a)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차단본체(530a) 및 상기 차단본체(530a)에 대해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는 쉘본체(30)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533a)는 상기 삽입홈(30a)에 위치하는 절연부(4)의 후면(後面)을 가리도록 상기 차단본체(530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절연부(4)의 후면(後面)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된 제2차단부재(53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5)는 상기 쉘(3)의 상부(上部)에서 상기 쉘(3)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1) 및 상기 쉘(3)의 하부(下部)에서 상기 쉘(3)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5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단부재(53b)는 상기 상부 커버(51)에 결합되어 상기 절연부(4)의 후면을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80010550A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4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50A KR102446231B1 (ko)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50A KR102446231B1 (ko)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94A true KR20190091694A (ko) 2019-08-07
KR102446231B1 KR102446231B1 (ko) 2022-09-21

Family

ID=6762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50A KR102446231B1 (ko)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4525A (zh) * 2019-09-27 2020-02-1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尾部防尘套件及采用该尾部防尘套件的插头、板间连接器
WO2022139482A1 (ko) * 2020-12-23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752A (ko) * 2014-10-10 2016-04-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085681A (ko) * 2015-01-08 2016-07-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N205543507U (zh) * 2016-01-26 2016-08-3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KR20170100392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00393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01080A (ko) * 2016-02-26 2017-09-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752A (ko) * 2014-10-10 2016-04-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085681A (ko) * 2015-01-08 2016-07-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N205543507U (zh) * 2016-01-26 2016-08-3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KR20170100392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00393A (ko) * 2016-02-25 2017-09-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01080A (ko) * 2016-02-26 2017-09-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4525A (zh) * 2019-09-27 2020-02-1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尾部防尘套件及采用该尾部防尘套件的插头、板间连接器
WO2022139482A1 (ko) * 2020-12-23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231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6621B (zh) 插座连接器
CN211238649U (zh) 插座连接器
TWI605642B (zh) 連接器的製造方法及連接器
KR102510778B1 (ko) 방수용 커넥터
KR10215826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108475878B (zh) 插座连接器
JP202111159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2021111598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10244623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5477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8000008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5477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5292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9148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제조방법
KR10223500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6667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90097454A (ko)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30812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6662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0010184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0443632Y1 (ko) 전자기 차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