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623A -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623A
KR20190091623A KR1020180010403A KR20180010403A KR20190091623A KR 20190091623 A KR20190091623 A KR 20190091623A KR 1020180010403 A KR1020180010403 A KR 1020180010403A KR 20180010403 A KR20180010403 A KR 20180010403A KR 20190091623 A KR20190091623 A KR 20190091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load device
user
exercis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434B1 (ko
Inventor
백광일
Original Assignee
백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광일 filed Critical 백광일
Priority to KR102018001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4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59Exercising apparatus with rewar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는, 운동부하장치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운동정보 획득부와, 감지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정보를 획득하는 움직임정보 획득부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복수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운동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운동정보 또는 상기 움직임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객체의 이동정보를 가변시켜 상기 운동부하장치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운동부하장치와 연결된 채굴장치를 구동시켜 가상화폐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하여 운동콘텐츠 상에 반영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VIRTUAL MONEY MINING TYPED EXERCISE MANAGEMENT APPARATUS USING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부하장치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운동콘텐츠를 제공하며, 운동량에 따라 가상화폐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트레드밀 운동은 런닝머신 위에서 사용자가 속도를 설정하여 달리는 운동이다. 그러나, 트레드밀 운동은 실내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쉽게 흥미를 잃게 되어 운동효과를 보기 어렵다. 최근에는 트레드밀에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텔레비전 방송을 보면서 운동하도록 하여 운동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는 단순히 텔레비전 프로그램 외에 운동을 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을 원하고 있다.
스피닝 운동은 2명 이상의 참가자가 전문 강사의 지도 아래 한 공간에 모여 음악에 맞춰 운동하는 그룹 운동 프로그램(Group Exericse Progame, GX) 형태이다. 그룹 운동 프로그램은 강사를 중심으로 여러 명의 운동 참여자가 강사의 동작을 따라 하는 그룹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개인적인 장소에서 스스로 학습하기 힘들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모든 운동참여자들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없고 개개인에 적합한 동작 지도가 어려워 초보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감소시킨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416호(2017년04월13일 공개)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서 자전거 페달을 굴려 바퀴를 회전시키면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통해 야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전후좌우상하 이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스피닝장치와 디스플레이 외에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트레드밀 장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하여 운동콘텐츠 상에 반영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운동부하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와 같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면서 미션패턴이나 소리패턴을 유도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운동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는, 운동부하장치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운동정보 획득부와, 감지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정보를 획득하는 움직임정보 획득부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복수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운동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운동정보 또는 상기 움직임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객체의 이동정보를 가변시켜 상기 운동부하장치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운동부하장치와 연결된 채굴장치를 구동시켜 가상화폐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동정보 획득부는, 상기 운동부하장치의 계기판을 촬영하여 속도, 이동거리 및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콘텐츠 상에 기 설정된 움직임에 대한 미션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정보와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소리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콘텐츠 상에 기 설정된 소리정보에 대한 소리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리정보와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사용자를 그룹화한 운동그룹에 기 설정된 운동점수를 설정하고, 상기 운동그룹에서 상기 운동점수를 달성하면 각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보상하는 보상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하여 운동콘텐츠 상에 반영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운동부하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와 같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면서 미션패턴이나 소리패턴을 유도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클라우드 운동관리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가 운동부하장치에 거치되어 채굴장치에 의해 보상을 받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에서 제공하는 운동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운동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클라우드 운동관리시스템의 관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운동관리시스템은 운동부하장치(10), 관리서버(20), 채굴장치(30) 및 운동관리장치(100)를 포함한다.
운동부하장치(10)는 트레드밀(treadmill), 스피닝(spinning)과 같은 운동부하가 있는 운동기구이다. 이 경우, 운동부하장치(10)는 모니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동형 또는 비전동형일 수 있다. 모니터는 운동관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운동콘텐츠가 출력된다. 모니터는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운동관리장치(100)와 연결시 운동콘텐츠만이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운동부하장치(10)는 계기판이 형성되어 운동정보가 수치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운동관리장치(100)는 운동부하장치(10)의 계기판 상의 운동정보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동부하장치(10)에는 운동관리장치(100)가 탈착될 수 있는 거치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20)는 운동관리장치(100)와 통신하며 운동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관리서버(20)는 운동관리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한다. 관리서버(20)는 운동관리장치(100)의 위치정보나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객체를 생성하여 운동콘텐츠 상에 매핑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복수의 사용자를 가상객체로 생성하여 운동콘텐츠 상에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서버(20)는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여 운동관리장치(100) 내에 내려받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외부의 은행결제서버와도 연결되어 사용료의 결제, 포인트지급 등을 처리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각 운동관리장치(100)로부터 운동정보나 움직임정보를 획득하여 운동콘텐츠 상에 이동정보를 가변시켜 반영할 수 있다.
채굴장치(30)는 운동부하장치(1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장치이다. 채굴장치(30)는 운동부하장치(10)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충전한다. 이 경우, 충전된 전력은 운동부하장치(10)의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채굴장치(30)는 관리서버(20)를 통해 블록체인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채굴 알고리즘을 통해 가상화폐와 같은 보상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채굴장치(30)는 사용자가 운동부하장치(10)를 이용한 시간만큼 보상을 획득하여 사용자 계정으로 적립할 수 있다.
운동관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이다. 운동관리장치(100)는 운동부하장치(10)에 탈부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운동관리장치(100)는 운동부하장치(10) 또는 관리서버(20)와 통신이 가능하다. 운동관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운동정보, 움직임정보, 소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획득하여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관리장치(100)는 카메라, 조도센서,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녹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운동관리장치(100)는 운동콘텐츠를 내려받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운동부하장치(10)의 모니터로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동종의 운동을 하는 사용자간의 가상의 공간에서 같이 운동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운동관리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100)는 통신부(110), 운동정보 획득부(120), 움직임정보 획득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운동부하장치 또는 외부의 관리서버와 통신한다. 통신부(110)는 운동부하장치의 모니터에 운동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운동콘텐츠는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로 표현되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가 표현되어 이동정보가 표시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동부하장치가 트레드밀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의 가상객체들이 서로 달리기를 하면서 이동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운동부하장치와 고유한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 통신부(110)는 운동부하장치의 모니터에 운동콘텐츠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의 관리서버와 통신한다. 관리서버는 운동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관리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운동콘텐츠를 제공하고, 각 사용자의 가상객체가 운동콘텐츠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관리서버와 기 설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정보나 움직임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가상객체가 운동콘텐츠 내에서 가변되는 이동정보로 활용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해 이동통신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수수료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금융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운동정보 획득부(120)는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한다. 운동정보는 사용자가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운동정보는 속도, 시간, 거리, 경사도, 운동패턴, 칼로리, 혈압, 맥박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정보 획득부(120)는 운동부하장치와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부하장치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운동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변경되면 운동정보를 초기화하고 새로운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 획득부(1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동부하장치의 계기판을 촬영하여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부하장치의 계기판에는 속도, 시간, 거리, 경사도, 운동패턴, 칼로리, 혈압, 맥박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운동정보 획득부(120)는 기호, 문자, 숫자를 인식하여 운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운동정보 획득부(120)는 운동부하장치의 모델에 따라 계기판의 배열정보가 미리 설정되고, 촬영된 계기판 이미지를 모델의 배열정보와 매칭하여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움직임정보 획득부(130)는 감지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정보를 획득한다. 움직임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부하장치에서 실제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정보 획득부(130)는 운동부하장치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무게, 조도, 가속도의 변화 여부로 동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부하장치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의 종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움직임정보 획득부(13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움직임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체나 하체의 일부분을 촬영하여 변위차가 발생하는 경우 움직임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운동관리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전면에 있는 카메라와 후면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카메라는 운동부하장치의 계기판을 촬영하여 운동정보를 획득하고, 후면 카메라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운동부하장치에는 양방향 촬영이 가능하도록 거치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관리서버로부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운동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운동콘텐츠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설정되거나,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현실 상의 경로영상에 가상객체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운동콘텐츠에 표시되는 가상객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 성별정보, 나이정보, 선호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운동정보 또는 움직임정보에 따라 가상객체의 이동정보를 가변시킨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가 8km/h로 움직이고, B라는 사용자가 10km/h로 움직이는 이동정보를 가지는 경우, 운동콘텐츠 내에서 B사용자의 가상객체가 A사용자의 가상객체를 추월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운동콘텐츠를 운동부하장치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운동콘텐츠 상에 기 설정된 움직임에 대한 미션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미션패턴은 사용자의 움직임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행동유도 방식이다. 예를 들어, 운동부하장치가 스피닝인 경우 'ㅁ', 'X', '∇'과 같은 미션패턴이 제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패턴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움직임정보를 획득하영 머리의 움직임이 미션패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점수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별로 미션패턴에 대한 점수를 비교하여 랭킹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운동부하장치와 연결된 채굴장치를 구동시켜 가상화폐를 획득하도록 한다. 이 경우, 채굴장치에는 기 설정된 블록체인서버의 암호를 해독하는 채굴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굴장치는 블록체인서버에 접속하여 운동부하장치가 구동되는 동안 채굴알고리즘으로 암호를 해독하고, 그에 따라 가상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는 동안 가상화폐가 채굴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으로 가상화폐를 적립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100)는 소리정보 획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정보 획득부(150)는 주변의 소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리정보 획득부(150)는 소리의 크기인 데시벨정보를 획득하거나, 음성을 분석하여 특정 단어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리정보 획득부(15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표출하는 음성이나, 박수소리와 같은 소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소리정보 획득부(150)는 대기모드로 있다가 기 설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입력되면 활성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운동콘텐츠 상에 기 설정된 소리정보에 대한 소리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리패턴은 '야호', '좋아'와 같은 단어일 수 있으며, '짝짝'과 같이 파열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소리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소리패턴을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별로 소리패턴에 대한 점수를 비교하여 랭킹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콘텐츠를 이용하면서 소리패턴을 따라하면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100)는 보상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관리부(160)는 운동콘텐츠 상에서 사용자의 가상객체의 이동정보, 미션패턴이나 소리패턴에 따라 점수에 따라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 같은 보상을 사용자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보상관리부(160)는 가상객체의 이동경로상에 기 설정된 보상아이템을 제공하고, 가상객체가 이에 도달하면 보상아이템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콘텐츠 내 기 설정된 영역에 광고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상관리부(160)는 복수의 사용자를 그룹화한 운동그룹에 기 설정된 운동점수를 설정하고, 운동그룹에서 운동점수를 달성하면 각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보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그룹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친구그룹이나 동호회그룹이 단체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도달하면 전체 그룹의 사용자 계정으로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와 같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점수는 미션패턴이나 소리패턴을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가 운동부하장치에서 운동정보 및 움직임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운동관리장치화면에는 운동정보, 움직임정보, 그룹정보 및 보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운동관리장치는 자체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정보는 운동관리장치가 운동부하장치의 계기판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는 운동관리장치가 운동부하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동정보에는 거리, 속도,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또한, 운동정보에는 경사도, 가속도, 온도, 습도와 같은 정보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움직임정보는 운동관리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을 획득하여 움직임 여부를 획득한다. 이 경우, 운동관리장치는 전면 및 후면 카메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움직임정보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사용자의 영상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아이디, 나이, 키, 몸무게, 장소 등과 같은 정보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움직임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전동형 운동부하장치를 통해 실제로 움직임을 갖지 않는 경우를 가려내기 위함이다.
그룹정보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그룹정보를 나타낸다. 그룹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위치에 따라 구분되거나 선호도에 의해 그룹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운동그룹 중 함께 운동을 하고자 하는 그룹을 선택하여 운동정보 및 움직임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 간에도 함께 운동을 하는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상정보는 운동부하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하면서 운동부하장치와 연결된 채굴장치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양에 따라 획득하는 보상정보가 표시된다. 보상정보는 사용자가 기 설정량 운동량을 획득하는 경우에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콘텐츠나 게임콘텐츠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상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획득한 총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에서 제공하는 운동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동콘텐츠(400)에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401)가 표시된다. 이 경우, 각 가상객체(401)에는 사용자 아이디, 현재 운동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각 가상객체(401)는 현재의 오프라인 상에서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운동정보나 움직임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정보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운동을 막 시작한 사용자는 먼저 운동중이던 사용자보다 뒤쳐져 있지만, 운동속도의 차이에 따라 앞서가던 사용자를 추월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타인의 가상객체(401)를 설정하면 상대방에 대한 기 설정된 소개정보, 연락처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객체(401)는 운동부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외에서 실제 달리기나 사이클을 타는 사용자도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달리기나 사이클을 하는 사용자는 웨어러블 단말 등을 통해 운동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운동콘텐츠(400) 상에서는 운동부하장치를 사용하는 가상객체(401)와는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동콘텐츠(400)에는 일정한 이동거리에 보상아이템(402)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km를 운동하면 그에 대한 보상으로 보상아이템(402)을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상아이템(402)은 기 설정된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 중 어느 하나로 보상되며, 사용자 계정에 적립이 될 수 있다. 보상아이템(402)은 사용자에게 미션이 주어지고 이를 수행하면 추가적으로 제공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동콘텐츠(400)에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객체(401) 외에 추가적으로 게임아이템(403)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아이템(403)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 늑대, 곰, 말, 호랑이 등과 같은 야생동물로부터 추격을 받도록 하여 심리적으로 쫓기는 기분으로 달리기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게임아이템(403)로 유명 연예인의 형상이나 좀비와 같은 캐릭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운동콘텐츠(400)에는 광고콘텐츠(404)가 표시될 수 있다. 광고콘텐츠(404)는 운동콘텐츠(400) 중 일정 영역에 표시되어 계약된 사업자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광고콘텐츠(404)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변동될 수 있다. 광고콘텐츠(404)가 표시되는 동안 보상아이템(402)은 광고콘텐츠(404)와 관련한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콘텐츠(404)는 팝업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도 2에 따른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운동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콘텐츠(500)에는 스피닝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501)가 표시된다. 가상객체(501)는 위치, 나이, 성별 등에 따라 그룹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가상객체(501)에는 운동부하장치의 운동정보나 움직임정보에 따라 이동정보가 차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운동콘텐츠(500)에는 미션패턴(502)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자 형태의 패턴이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머리를 'V'자 형태로 움직여 해당 움직임 정보가 미션패턴(502)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션패턴(502)을 성공하여 점수를 획득하면 추가적으로 이동정보 상에 혜택을 받게 된다. 또한, 운동콘텐츠(500)에는 소리패턴(503)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A! PA!"와 같은 의성어 미션이 제시되면, 사용자는 운동부하장치 상에서 같은 의성어를 출력하면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이동정보 상에 혜택을 받게 된다. 또한, 미션패턴(502), 소리패턴(503)의 성공여부에 따라 보상아이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하면서 제시되는 미션패턴(502)이나 소리패턴(503)을 따라함에 따라 운동효과를 높이고 흥미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운동부하장치
20 : 관리서버
30 : 채굴장치
100 : 운동관리장치
110 : 통신부
120 : 운동정보 획득부
130 : 움직임정보 획득부
140 : 제어부
150 : 소리정보 획득부
160 : 보상관리부
300 : 운동관리장치화면
301 : 운동정보
302 : 움직임정보
303 : 그룹정보
304 : 보상정보
400 : 운동콘텐츠
401 : 가상객체
402 : 보상아이템
403 : 게임아이템
404 : 광고콘텐츠
500 : 운동콘텐츠
501 : 가상객체
502 : 미션패턴
503 : 소리패턴

Claims (5)

  1. 운동부하장치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운동부하장치로부터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운동정보 획득부;
    감지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정보를 획득하는 움직임정보 획득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복수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가상객체를 포함하는 운동콘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운동정보 또는 상기 움직임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객체의 이동정보를 가변시켜 상기 운동부하장치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운동부하장치와 연결된 채굴장치를 구동시켜 가상화폐를 획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정보 획득부는,
    상기 운동부하장치의 계기판을 촬영하여 속도, 이동거리 및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동정보를 획득하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콘텐츠 상에 기 설정된 움직임에 대한 미션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정보와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주변의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소리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콘텐츠 상에 기 설정된 소리정보에 대한 소리패턴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리정보와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사용자를 그룹화한 운동그룹에 기 설정된 운동점수를 설정하고, 상기 운동그룹에서 상기 운동점수를 달성하면 각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보상하는 보상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KR1020180010403A 2018-01-29 2018-01-29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KR10205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03A KR102058434B1 (ko) 2018-01-29 2018-01-29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03A KR102058434B1 (ko) 2018-01-29 2018-01-29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23A true KR20190091623A (ko) 2019-08-07
KR102058434B1 KR102058434B1 (ko) 2019-12-23

Family

ID=6762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403A KR102058434B1 (ko) 2018-01-29 2018-01-29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35B1 (ko) * 2019-09-24 2021-01-25 조장환 산림 생태계 서비스 정보를 활용한 트레드밀 속도 추출 장치
KR20220151496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야나두 단체 트레이닝 미션을 통한 홈 트레이닝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830B1 (ko) * 2021-04-26 2023-07-25 주식회사 유니브이알 동작 인식 및 운동 게임 혼용 리드믹 실내 바이크 시스템
KR102567999B1 (ko) 2022-06-24 2023-08-16 최영빈 가상화폐를 이용한 운동활성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81B1 (ko) * 2013-03-18 2013-07-05 한국과학기술원 단합된 운동 동작에 기초한 다참여자 운동 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35B1 (ko) * 2019-09-24 2021-01-25 조장환 산림 생태계 서비스 정보를 활용한 트레드밀 속도 추출 장치
KR20220151496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야나두 단체 트레이닝 미션을 통한 홈 트레이닝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434B1 (ko)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434B1 (ko) 운동부하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채굴형 운동관리장치
KR101966040B1 (ko) 댄스 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댄스 게임 방법
US20150379777A1 (e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recording medium, and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CN102906667B (zh) 用于提供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CN110249631A (zh) 显示控制系统及显示控制方法
KR101962578B1 (ko) Vr을 이용한 피트니스 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832114B2 (ja) 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50739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sed images to remote recipients for descrambling and interpretation
KR101213022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가상 보물찾기 시스템 및 방법
JP6903805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CN114253393A (zh) 信息处理设备、终端、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8132975A (zh) 智能交互系统
KR20200083109A (ko) 치매환자용 복합 인지재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5328A (ko) 댄스 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댄스 게임 방법
US11656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nteractions with visual content presented in a mixed reality environment
KR102433084B1 (ko)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감정 분석 방법, 플레이어 감정 기반 가상 현실 서비스 운용 방법 및 가상 현실 시스템
JP6843410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
JP202208082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CN207924670U (zh) 智能交互系统
US116388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2089466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6475776B2 (ja) 拡張現実システムおよび拡張現実提供方法
JP202009686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Marín-Lora et al. Comparative study of interaction methods for mobile gaming while running on a treadmill
WO2021181851A1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