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188A -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 Google Patents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188A
KR20190090188A KR1020180008752A KR20180008752A KR20190090188A KR 20190090188 A KR20190090188 A KR 20190090188A KR 1020180008752 A KR1020180008752 A KR 1020180008752A KR 20180008752 A KR20180008752 A KR 20180008752A KR 20190090188 A KR20190090188 A KR 2019009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variable
support
stru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1865B1 (en
Inventor
손정익
Original Assignee
(주)창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광이앤씨 filed Critical (주)창광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0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865B1/en
Publication of KR2019009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an impact-absorbing variable pole uni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which firstly absorbs collision energy with falling rocks by installing a wire mesh supported by a lateral elastic wire rope on 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curved main poles and lateral poles when rocks fall on a slope around a road or the like, and secondly absorbs collision energy while tilting to a prescribed angle when colliding with falling rocks by installing a wire mesh supported by variable poles supported on an elastic wire rope to be installed on an end of each curved main pole, and a longitudinal wire rope cross-bound to a lateral elastic wire rope connecting the variable poles. The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an impact-absorbing variable pole unit comprises: a foundation pile unit (1) buried in the ground; a plurality of curved main poles (2)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foundation pile unit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lateral poles (3) laterally reinforcing a gap between the curved main poles; a first wire mesh (4) to block a space formed by the curved main poles and the lateral poles; a variable pole unit (5) installed on each end of the curved main poles; and a second wire mesh unit (6) to block a space between the variable pole units.

Description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본 발명은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도로 경사면에 위치한 경사면을 통해 낙석 발생시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연결된 가변지주가 낙석과의 충격을 흡수하여 방호시설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최대한 많은 낙석을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낙석방호시설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a shock-absorbing variable str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a shock absorbing variable str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configured to support as many rockfall as possible while preventing damage,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산악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는 도로 건설을 위해 산을 절개하거나 터널을 뚫어 건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도로 주변에 경사지게 절개된 암벽이 운행중인 자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지진에 의한 진동 그리고 계절변화나 자연재해 또는 식물의 뿌리작용에 의한 수축과 팽창 때문에 탈리된 낙석이 도로에 떨어질 수 있어서 도로 안전상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다.In Korea, which has a lot of mountainous terrain,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road is constructed by cutting mountains or drilling through tunnels. In this case, rocks sloped around the roads are subject to vibrations caused by automobiles in operation, vibration caused by earthquakes, Or fallen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caused by the root action of the plant may fall on the road, leaving the roads very vulnerable to safety.

이러한 낙석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도로주변 경사지대의 암벽 등에는 각종 낙석방지 수단을 시공하여 예방을 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낙석 방지망과 같은 낙석 방호시설이 있다. 낙석 방지망은 비포켓식 또는 포켓식과 같은 여러 형태로 시공되는데 기본적인 시공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낙석방지를 위해 필요로 하는 시공부위에 그물망(예: PVC 코팅된 철망)을 덮고 이 그물망을 경사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최상부에는 다수의 주앵커 볼트를 횡방향을 따라 설치 후 종방향 와이어로프 상단을 단단히 고정시킨 후 하부로 늘어뜨려 놓고,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된 다수의 횡방향 와이어로프들을 순차적으로 각각 다수의 종방향로프를 가로질러 교차되게 설치하면서 매 교차 지점 또는 말단 지점마다 락볼트를 이용하여 경사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철망이 다수의 종방향 및 횡방향 와이어 로프에 의해 지지되어 낙석을 방지하거나 낙석이 도로에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rockfall, various kinds of anti-rocking means are installed on the rock walls of the slopes around the roads, and a preventive measure is provided. Typically, there is a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such as a rockfall prevention network. The rockfall prevention network is installed in various forms such as non-pocket type or pocket type. If you look at the basic construction structure roughly, cover the construction site needed to prevent rockfall by covering the mesh (eg PVC coated wire mesh) A plurality of main anchor bolts are install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n the upper end of the longitudinal wire rope is firm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wire rop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e vertically arranged The wire ne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wire ropes to prevent falling, or the rocks are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road Falling.

또 다른 낙석 방호시설로는 도로변의 지중에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한 후 직접 다수개의 철재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지중에 박은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설치하거나 타설 이후 앵커와 같은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기초공사부에 다수개의 철재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지주 사이 공간을 와이어로프와 철망을 사용하여 막아 경사면에서 발생한 낙석이 도로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울타리(휀스)가 있다. As another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after concrete foundation work is done in the ground of the roadside, a large number of steel piles are directly put into the ground at a certain interval and then poured into the concrete, or after the pouring, There are fences (fences) which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installed pillars by using wire rope and wire mesh to prevent falling rocks on the slopes from spilling on the roads.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석 방호시설 중 지주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 방호시설은 낙석이 발생하여 철망, 와이어로프 및 지주에 하중이 전달되었을 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에 가해지는 하중이 지주가 견딜 수 있는 하중보다 클 경우 지주의 설치구조가 변형되어 도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변형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정상적인 운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mo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ockfall protection facilities, a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using a pillar and a wire rope can not bear the load applied to the pillar installed vertically when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wire net, the wire rope and the pil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is deformed and tilted toward the road so that it is deformed to interfere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또한 일반적인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주는 낙석이 쌓일 경우 비록 지주가 낙석의 하중을 지지한다 하더라도 지주가 낙석을 지지하는 높이 또는 부위 또는 면적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 상부를 통해 일부 낙석이 도로로 떨어질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ertical struc- tu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even if the struc- ture supports the struc- ture of the struc- ture, even if the struc- ture does not have sufficient height or area or area to support the struc- ture, There are structural drawbacks to this.

또한 콘크리트 기초공사부 타설시 함께 시공된 고정 구조의 지주일 경우 보수 공사시 콘크리트 타설부를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보수가 어렵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undation of the concrete foundation is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repair it because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concrete casting part during the repair work.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06327(2015.03.20.)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06327 (Feb.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135582(2006.12.29.)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135582 (December 29, 2006)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94247(2011.12.0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4247 (2011.12.08.)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44975(2006.01.1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4975 (Jan. 13, 20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주변 경사지 등에서 낙석 발생시 복수개의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로 이루어진 골격에 횡방향 탄성형 와이어로프로 지지되는 철망을 설치하여 낙석과의 충돌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고, 각 곡률형 주지주의 끝단부에서 탄성형 와이어로프에 지지되어 설치된 가변 지주들과 이 가변 지주들간을 연결하는 횡방향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교차 결속된 종방향 와이어로프로 지지되는 철망을 설치하여 낙석과의 충돌시 일정각도록 기울어지면서 충돌에너지를 2차로 흡수하도록 구성한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net which is pro- vided by a transverse carbon forming wire on a skeleton formed of a plurality of curved main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at the time of a fall in a slope near a road,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strands each of which is pro- vided with a longitudinal wire cross-linked with a transversely carbon-form-formed wire rope connecting between the variable struts and the variable struts supported by the carbon-formed wire rope at each curvature- And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secondarily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event of collision with the rockf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석과의 충돌시 상부에 위치한 가변 지주의 최대 기울기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다중 전도방지수단을 구비하여 경사지에서 흘러내린 낙석이 도로에 곧바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도로를 벗어나 멀리 떨어지도록 구성한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equipped with a multi-turn prevention means for restricting a maximum inclination of a variable post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n a collision with a rockfall to maintain a certain angle so that a rockfall flowing down from an inclined road does not fall directly on the road, And to provide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configured to fall of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률형 주지주를 지중 기초지주부와 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연결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수 공사시 콘크리트 타설된 기초지주부를 해체하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낙석 방호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capable of performing maintenance without dismantling a concrete foundation paved with concrete at the time of repair work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curvature-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반에 매설된 기초지주부와; 기초지주부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곡률형 주지주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횡방향으로 보강하는 다수개의 횡지주와;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가 이루는 공간부를 막는 제 1 철망부와; 상기 곡률형 주지주의 끝단부 마다 설치된 가변 지주부와; 가변 지주부간의 공간을 막는 제 2 철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plurality of curvilinear type main teeth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part of a base support;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for reinforcing the curved main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first wire mesh part for blocking a space part formed by the curved main bearing and the lateral bearing; A variable ground circumference portion provided at each of the curvilinear isosceles end portions; And a second wire mesh part for blocking a space between the variable ground and the variable ground main part.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초지주부는, 곡률형 주지주의 설치 간격에 맞춰 지반에 매설되어 주변이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보강되며, 상부 일부가 지반 위로 돌출된 복수개의 철재 기초지주와; 상기 지반에 돌출된 기초지주 간을 연결하도록 철근 콘크리트 타설된 옹벽과; 상기 옹벽 시공시 각 기초지주 위치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되어 일부가 옹벽 상부로 돌출된 L형 앵커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ndation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teel foundation posts embedded in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a curvilinear well-known installation interval, the periphery of which is reinforced by being poured into concrete, A retaining wall pierced with reinforced concrete so as to connect the protruded foundation posts to the ground; And an L-shaped anchor bolt welded to the reinforcing bars laid at the respective foundation post positions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nd partially protru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곡률형 주지주는 철재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기초 지주부의 옹벽에 돌출된 L형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는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이 배열되어 구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가 형성된 부분부터 일구간까지는 수직부로 구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도로방향쪽으로 곡률을 이루면서 돌출 신장된 곡률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main bearing is made of iron, and a base plate is fastened to the L-shaped anchor bolt protruding from the retaining wall of the base supporting part. A plurality of holes may be arranged and a vertical section may be formed from a portion where the base plate is formed to one section and a remaining section may be constituted by a curved portion that protrudes and extends while forming a curvature toward the road dire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횡지주는 인접한 곡률형 주지주 간을 횡방향으로 보강하여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철재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verse struts are steel members that are fastened to support adjacent curvilinear main grooves so as to be reinfor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transverse strut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철망부는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가 이루는 공간부를 막는 철망과; 곡률형 주지주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철망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로 구성하되,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wire mesh part comprises: a wire net blocking a space formed by the curved main feeder and the transverse feeder; And a first bullet forming wire rope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curved main bulge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net,

상기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다단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쪽 단위 와이어로프에는 단방향 충격흡수부가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shrink-molded wire rop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ag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t least one or mor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s connected between the unit wire ropes, and the one- A one-way shock absorber can be constructed.

바람직한 실시예로,상기 가변 지주부는 곡률형 주지부의 끝단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로 구성된 전도방지부와; 하부 일지점이 전도방지부와 축결합되고, 하부에 형성된 축 결합용 양측 홀 주변에 1차 전도방지편이 돌출 형성된 상부지주와; 상부 지주가 기울어질때 탄력 지지하도록 상부지주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연결하여 체결된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variable strut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n end portion of the curvilinear shaped tab portion, and includes a box-shaped cas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 upper support having a lower turning point axially coupled to the anti-detachment portion and formed with a first anti-revers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both side holes for shaft coupling; And a second bullet-forming wire rope connected to the upper strut and the curvilinear prong blank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strut when tilted.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도방지부는 축결합된 상부지주가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전방부는 상부 일부 구간이 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성을 가지고 후방부는 수직한 구조 또는 하부 일부 구간이 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ductive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xially coupled upper strut is inclined forward at an angle, the front por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artial sec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And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sid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도방지부를 구성하는 좌측판과 우측판의 내측면 홀 주변에는 각각 상부지주의 기울기 각도를 제한하는 1차 전도방지편이 돌출형성되어 상부지주에 형성된 1차 전도방지편과 한쌍을 이루어 상부지주 회전시 1차 전도방지편 간의 유격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on preventing piece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and left plates constituting the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 protrude from the upper support to restrict the tilt angles of the upper pillars, So that it can be inclined forward by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learance between the primary transition prevention pieces when the upper support is rotated.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는 가변 지주부가 탄력적으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아이볼트가 상부지주 및 곡률형 주지주의 일 지점과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bullet-forming wire rope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the unit wire ropes with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so that the variable strut portion can be flexibly tilted, It can be fastened with a nut and a curvature-type dominant point.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철망부는 가변 지주부를 구성하는 상부지주간의 공간을 막는 철망과; 상부지주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철망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상하로 다단 배열되어 설치된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 간을 교차결속구를 이용하여 교차결속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로 구성하되,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wire mesh part comprises: a wire net block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struts constituting the variable strut part; A third bullet forming wire rop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net;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arranged wire ropes arranged in a multi-stage arrang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다단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 쪽 단위 와이어로프에는 단방향 충격흡수부가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third brass forming wire rop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t least on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unit wire ropes, A one-way shock absorber may be constructed.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양방향 충격흡수부는 일측단에 걸림단이 형성된 2개의 단위 와이어로프가 동시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걸림단이 형성된 각 단위 와이어로프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된 이탈방지와셔부;로 구성되되,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comprises: a coil spring having two unit wire ropes having hooking end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penetrating the unit wire rope inwardly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unit wire rop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nd having hooking ends formed therein,

상기 이탈방지와셔부는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어 2개의 단위 와이어로프가 통과되고, 장공 양측단쪽에 회전방지용 스톱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이탈방지와셔와; 제 1 이탈방지와셔에 대응하여 1개의 단위 와이어로프와 스톱퍼가 삽입되는 개구가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체결 홀이 형성된 제 2 이탈방지와셔와; 상기 각 볼트체결 홀에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ti-deviation washer has a long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washer, two unit wire ropes are passed through, a stopper for rotation preven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 hole, and a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the stopper. A second escape prevention washer formed with symmetrical openings into which one unit wire rope and a stopper ar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scape preventing washer respectively and having bolt fastening hole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bolts and nuts fastened in the bolt fastening holes.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단방향 충격흡수부는 단위 와이어로프의 끝단과 체결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에 위치한 곡률형 주지주 또는 상부지주를 관통하는 아이볼트와; 아이볼트와 축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아이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위 와이어로프가 당겨질 때 코일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와셔와; 아이볼트에 체결되어 와셔와 아이볼트가 곡률주지주 또는 상부지주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includes an eye bolt coupled to an end of a unit wire rope and passing through a curved main or upper support locat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A coil spring axially coupled with the eye bol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washer which generates an elastic force by pressing the coil spring when the unit wire rope is pulled while preventing the eye bolt from being detached; And a nut which is fastened to the eye bolt to prevent the washer and the eye bolt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curvature guide groove or the upper support.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은 도로주변 경사지 등에서 낙석 발생시 복수개의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로 이루어진 골격에 횡방향 탄성형 와이어로프로 지지되는 철망을 설치하여 낙석과의 충돌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고, 각 곡률형 주지주의 끝단부에 탄성형 와이어 로프에 지지되어 설치된 가변 지주들과 이 가변 지주들간을 연결하는 횡방향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교차결속된 종방향 와이어로프로 지지되는 철망을 설치하여 낙석과의 충돌시 기울어지면서 충돌에너지를 2차로 흡수함으로써 도로에 낙석이 쏟아져 도로가 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과,The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the variable pillar for shock absor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rock falls on a slope near the road, etc., a plurality of curved main rockers and a transverse pillar A supporting wire net is installed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with the rockfall firstly and the variable struts supported by the carbon wire rope at each curvilinear isthmus end and the transverse carbon wire rope connecting the variable struts A wire mesh that is pro-supported by cross-linked longitudinal wires is installed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secondarily while being inclined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a rockfall, thereby preventing the road from being controlled due to falling rocks on the road,

또한 곡률형 주지주의 상단 끝단부에 설치된 가변 지주의 기울기를 다중 제한하는 전도방지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낙석과의 충돌시 상부에 위치한 가변 지주의 최대 기울기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한되어 경사지에서 흘러내린 낙석이 도로에 곧바로 떨어지지 않거나 도로를 벗어나 멀리 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과,In addition, since the falling prevention means for restricting the inclination of the variable suppor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urvilinear dominant upper limit is limited so that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variable support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fallout is limited to maintain a certain ang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vehicle can be safely operated by constructing the vehicle so as not to fall directly on the road or to move away from the road,

또한 곡률형 주지주를 지중 기초지주부와 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연결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수 공사시 콘크리트 타설된 기초지주부를 해체하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urvature type ground joint is connected to the foundation of the underground foundation through the base plate, so that it can be repaired without dismantling the foundation bearing portion poured concrete during the repair work. It is the invention that i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의 측면 설치 구조를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곡률 주지주와 기초지주부와의 체결구조를 보인 상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양방향 충격흡수부 및 그 체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단방향 충격흡수부 및 그 체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지주부 구성을 보인 상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를 보인 상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의 다중 각도 조절을 통한 가변 지주부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를 보인 상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의 다중 각도 조절을 통한 가변 지주부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structur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curvature guide main body and a base support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and a fastening structure of a carbon-made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and its fastening structure of a carbon-made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spout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condu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strut portion through the multiple angle adjustment of the inversion preve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evers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strut portion through multi-angle adjustment of the inversion preven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의 측면 설치 구조를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곡률 주지주와 기초지주부와의 체결구조를 보인 상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양방향 충격흡수부 및 그 체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단방향 충격흡수부 및 그 체결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지주부 구성을 보인 상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를 보인 상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의 다중 각도 조절을 통한 가변 지주부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를 보인 상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의 다중 각도 조절을 통한 가변 지주부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 sid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structur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curvature guide and a bas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of a carb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and its fastening structure of a carbon-form wire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efl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variable support portion through multi-angle adjustment of the anti- FIG. 9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efl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variable support part through multiple angle adjustment of the anti-refle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은 지반에 매설된 기초지주부(1)와; 기초지주부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곡률형 주지주(2)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횡방향으로 보강하는 다수개의 횡지주(3)와;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가 이루는 공간부를 막는 제 1 철망부(4)와; 상기 곡률형 주지주의 끝단부 마다 설치된 가변 지주부(5)와; 가변 지주부간의 공간을 막는 제 2 철망부(6)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the variable strut for absorbing sh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ndation pillar main body 1 embedded in the ground; A plurality of curvilinear type main spindles (2)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of the basic supporting part;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3) for reinforcing the curved main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first wire netting part (4) for blocking a space part formed by the curved main cutting edge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strut; A variable padding (5) installed at each of said curvilinear ends; And a second wire netting portion (6) for blocking the space between the variable edge portions.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은 낙석이 발생할 수 있는 경사지대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어 낙석 발생시 낙석이 도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멀리 떨어지도록 하여 도로를 보호하게 구성된다. The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installed on a road adjacent to an inclined zone where rockfall may occur, so that the rockfall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road when the rock falls, or the road is protected.

상기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은 도면에서는 일측에만 경사지가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만약 도로 양쪽에 경사지가 있을 경우 도시된 도면과 대칭된 구조를 가진 터널형방호시설이 각 도로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벽한 터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unnel-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having the shock-absorbing variable pillar has an inclined surface on only one side of the figure. If there is a slope on both sides of the road, a tunnel-type protection with a symmetrical structure Facilities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each road. In this case, it can have a perfect tunnel-like structure.

상기 기초지주부(1)는 경사지와 인접한 도로주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곡률형 주지주(1)의 하부와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지반 위로 상부 일부면이 돌출되는 각 기초지주(11)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곡률형 주지주의 설치 간격에 맞춰 일정간격으로 지반(12)에 매설된다. 매설된 기초지주 주변은 콘크리트(13)로 타설하여 보강하여 구성한다. 기초지주는 철재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강성과 콘크리트 타설시 결합력이 좋은 H형 빔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foundation supporting part 1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a plurality of curved main supporting guides 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road adjacent to the inclined places to support a load, And the pillars 11 are embedded in the ground 12 at regular intervals in accordance with the curvilinear spacing of installatio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The periphery of the buried foundation pillars is reinforced by pouring with concrete (13). The foundation struc- ture is made of steel, and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it with an H-type beam having good rigidity and good bonding force when pouring concrete.

이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부로 돌출된 기초지주 간을 연결하는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옹벽(14)을 시공하여 형성한다. 옹벽은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하기 전에 기초지주 주변을 철근(도시생략)으로 배근하면서 L형 앵커볼트(15)를 배근용 철근과 용접하여 일체화시킨다. L형 앵커볼트는 곡률형 주지주의 하단부마다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6개를 배근과 용접한다. When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it is formed by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14 made of reinforced concrete connecting the protruded base pillars. The retaining wall is welded to the reinforcing bars by integrating the L-shaped anchor bolts (15), while reinforcing bars (not shown) are laid around the foundation pillars before concrete is laid. The L-shaped anchor bolt has a structure for fastening a base plate formed at each curvilinear prismatic lower end.

배근용 철근에 L형 앵커볼트가 용접되면 거푸집(도시 생략)을 이용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When the L-shaped anchor bolt is welded to the reinforcement for the reinforcement, the concrete is laid and cured using the formwork (not shown).

양생이 끝나면 옹벽 상부로 돌출된 6개의 L형 앵커볼트에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을 삽입시킨 후 너트를 조여 체결한다. 이처럼 L형 앵커볼트와 옹벽 위에 시공되는 곡률형 주지주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체결되어 일체화되면 기초지주와 직접 연결되지 않은 곡률형 주지주(2)의 하중이 옹벽 구조를 통해 기초지주가 지지하게 된다.After curing, insert the holes formed in the base plate into the six L-shaped anchor bolts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and tighten the nut. When the L-shaped anchor bolt and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curvilinear basin formed on the retaining wall are fastened and integrated, the load of the curved main bearing 2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support is supported through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

상기 곡률형 주지주(2)는 철재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강성과 체결구조가 좋은 H형 빔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곡률형 주지주(2)는 베이스플레이트(21)가 형성된 부분부터 일구간까지는 수직부(22)로 구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도로방향쪽으로 곡률을 이루면서 돌출 신장된 곡률부(23)로 구성된다. Preferably, the curvature-shaped main paper 2 is made of an iron material and is preferably made of an H-shaped beam having good rigidity and fastening structure. The curved main lance 2 is constituted by a vertical portion 22 from a portion where the base plate 21 is formed to one sec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curved portion 23 protruding and extending while curving toward the road direction.

이와 같이 수직부와 곡률부로 구성한 이유는 낙석 발생시 수직부는 발생한 낙석이 순차적으로 쌓이도록 하여 지지하고, 곡률부는 수직부 높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직접 도로에 떨어지는 낙석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곡률부는 일체로 연결된 수직부를 기준으로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낙석과 충돌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는 구조적 장점을 가진다.The vertical portion and the curvature portion are constructed such that the vertical portions are stacked successively while the vertical portions are stacked, and the curvature portion is designed to block the falling rocks falling directly on the roa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vertical portion height. Also, since the curvature portion has an elastic force based on a vertically connected unit, it has a structural advantage that it can not be easily deformed even if it collides with a rockfall momentarily.

한 실시예로 곡률형 주지주는 터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곡률부 길이가 수직부 길이 만큼 신장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곡률부의 길이를 특정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곡률부가 터널형상을 가질 수 있게 신장되어 상기 곡률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In one embodiment,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the curvature portion by a vertical length so as to have a tunnel-like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length of the curvature portion to a specific numerical value. It is sufficient that the curvature portion can be stretched so as to have a tunnel shap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urvature portion.

곡률형 주지주(2)의 하부는 기초지주부(1)의 옹벽(104)에 형성된 L형 앵커볼트(15)와 체결되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가 용접되어 일체화된 구성을 가진다.The lower part of the curvature type main bearing 2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21 fastened and coupled with an L-shaped anchor bolt 15 formed on a retaining wall 104 of the base support main body 1 is welded and integrated.

베이스플레이트(21)는 옹벽(14) 상단에 돌출된 L형 앵커볼트(15)와 체결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곡률형 주지주(2)와 선용접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체결할 수도 있고, 베이스플레이트(21)를 설치 후 곡률형 주지주(2)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The base plate 21 may b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late is linearly welded to the curved base plate 2 and integrated when the base plate 21 is fastened to the L-shaped anchor bolt 15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wall 14, After the plate 21 is installed, the curved base paper 2 may be welded and integrate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곡률형 주지주간의 용접 일체화 시점은 현장 시공 여건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 것으로 중요한 것은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곡률형 주지주의 하부 메이스플레이트가 용벽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L형 앵커볼트에 체결됨으로써 곡률형 주지주가 지중에 매설되지 않아도 지중에 매설된 기초지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보수시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구조를 가지게 구성한다는 것이다.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welding integration point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curved main plate main body according to the site construction conditions. Importantly, the curvilinear main low-level lower mace plate integrated by welding is proj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and fastened to the exposed L- So that it can be supported by the foundation pillars buried in the ground even if the curved main bearing stock is not buried in the ground.

또한 곡률형 주지주(2)는 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홀(24)이 상하로 일정간격마다 배열되어 복수개의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가 인접하는 곡률형 주지주(2)간을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urvature type main feeder 2 has a plurality of holes 24 arranged laterally at regular intervals to connect a plurality of first carbon forming wire ropes through adjacent curved main feed rods 2 .

상기 횡지주(3)는 인접한 곡률형 주지주(2) 간을 횡방향으로 보강하여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철재 보강재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The transverse strut 3 is a steel reinforcing material fastened in a lateral direction to support adjacent curvilinear main grooves 2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piec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곡률형 주지주(2)와 횡지주(3)간의 체결 방법은 횡지주의 양단부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간을 연결하여 이어주는 연결철판(31)을 상부면과 하부면의 경계부에 각각 던댄 후 연결철판과 곡률형 주지주간 그리고 연결철판과 횡지주간을 연통하는 홀에 볼트를 체결 후 너트로 조여 결합하면 된다.In the method of fastening between the curved main lobe 2 and the transverse strut 3, the connecting plate 31 is connect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y connecting the two ends of the transverse strut to the curved main lobe, After each bolt is tightened, it is necessary to tighten the bolts with the nuts and tighten them to the connecting plate, the curved plate, and the hole that connects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plate.

상기 횡지주는 바람직하게는 강성과 체결구조가 좋은 H형 빔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verse strut is made of an H-shaped beam preferably having good rigidity and fastening structure.

상기 제 1 철망부(4)는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가 이루는 공간부를 막는 구성으로, 그 구성은 철망(41)과; 곡률형 주지주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철망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42)로 구성된다.The first wire netting part (4) is constituted to block the space part formed by the curved main cutting edge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strut. And a first bullet-shaped wire rope (42) provided in a transversely direc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mesh,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curved main winding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철망(41)은 곡률형 주지주(2)와 횡지주(3)가 이루는 공간부 마다 설치되고 미도시된 끈, 합성수지재 타이, 클립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연결하면 된다.The wire net 41 is installed in each space portion formed by the curved main lance 2 and the transverse strut 3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randed wire rope 3 by various fastening means such as a string, .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42)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다단 설치된다.A plurality of first brute-forming wire ropes 42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각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42)는 곡률형 주지주(2)의 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홀(24) 중 동일 높이에 위치한 이웃하는 곡률형 주지주에 형성된 홀간을 연속 관통하여 설치하고, 양단이 각각 일측단 및 타측단 곡률형 주지주(2)와 체결되어 고정된다.Each first molded wire rope 42 is formed by continuously passing holes formed in neighboring curvilinear groove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mong the holes 24 perfora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urvature- And both ends thereof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curvilinear type main paper 2, respectively.

상기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42)는 낙석과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고 철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43)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44)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 곡률형 주지주(2)와 체결되는 단위 와이어로프(44)는 각각 일측단 또는 타측단에 단방향 충격흡수부(45)가 구비되어 양방향 충격흡수부(43) 및 단방향 충격흡수부(45)를 구성하는 각 코일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게 구성된다.The first bullet forming wire rope 4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43 for absorbing impact energy in collision with a fall stone and preventing the wire net from being broken, And the unit wire rope 44 fastened to the one side end or the other side end curvature type main feed 2 is provided with a un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45 at one end or the other end to form a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43 And the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45,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by the tensile force of each of the coil springs.

상기 양방향 충격흡수부(43)는 일측단에 걸림단이 형성된 2개의 단위 와이어로프(44)가 동시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코일스프링(430)과;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각 단위 와이어로프(44)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걸림단(440)이 형성된 단위 와이어로프(44)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되어 낙석과의 충격으로 단위 와이어로프가 당겨질 때 코일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이탈방지와셔(431)부;로 구성된다.Th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art 43 includes a coil spring 430 having two unit wire ropes 44 having hooking end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penetrating the unit wire ropes 44 inward at the same time; The unit wire rope 44 formed with the engaging end 440 is fastened so as not to be caught and removed so that the unit wire rope is pulled by the impact with the fall rock, while the unit wire rope 44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nd a release preventing washer 431 for pressing the coil spring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상기 이탈방지와셔부(431)는 중앙에 장공(4311)이 형성되어 2개의 단위 와이어로프(44)가 통과되고, 장공(4311) 양측단쪽에 회전방지용 스톱퍼(4312)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 체결홀(4313)이 형성된 제 1 이탈방지와셔(4310)와; 제 1 이탈방지와셔에 대응하여 1개의 단위 와이어로프(44)와 스톱퍼(4312)가 삽입되는 개구(4321, 4322)가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 체결홀(4323)이 형성된 제 2 이탈방지와셔(4320)와; 상기 각 볼트체결 홀을 관통하는 볼트(4330)와; 볼트를 조이는 너트(4340);로 구성된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washer portion 431 has a long hole 4311 formed at its center to allow two unit wire ropes 44 to pass therethrough and a stopper 4312 for preventing rotation is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long hole 4311, A first escape prevention washer 4310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4313 formed therein; Openings 4321 and 4322 into which the single unit wire rope 44 and the stopper 4312 are inserted are formed symmetrical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departure prevention washers and a second release Prevention washers 4320; Bolts 4330 passing through the bolt fastening holes; And a nut 4340 for tightening the bolt.

상기 단방향 충격흡수부(45)는 단위 와이어로프(44)의 끝단과 체결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 곡률형 주지주(2)를 관통하는 아이볼트(450)와; 아이볼트와 축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451)과; 아이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위 와이어로프(44)가 당겨질 때 코일스프링(451)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와셔(452)와; 아이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와셔와 아이볼트가 곡률형 주지주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453)로 구성된다.The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45 includes an eye bolt 450 fastened to an end of the unit wire rope 44 and passing through the one end or the other end curvilinear element 2; A coil spring 451 axially coupled with the eye bol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washer 452 which generates an elastic force by pressing the coil spring 451 when the unit wire rope 44 is pulled while preventing the eye bolt from being detached; And a nut 453 screwed to the eyebolt to prevent the washer and the eyebolt from falling out of the curved base.

상기 가변 지주부(5)는 곡률형 주지주의 끝단부 마다 설치되어 곡룰형 주지주의 곡률부에 낙하된 낙석이 도로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 2 철망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낙석이 도로에서 좀더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The variable ground portion 5 is provided at each of the curvilinear isosceles end portions to prevent falling rocks falling on the curvilinear isosceles curvature portion from falling toward the roads and to prevent the second wire net portions from being broken or falling rocks to be further away from the roads So as to be inclined at an angle.

가변 지주부의 구성은 곡률형 주지부의 끝단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로 구성된 전도방지부(51)와; 하부 일지점이 전도방지부와 축결합된 상부지주(52)와; 상부 지주가 기울어질때 탄력 지지하도록 상부지주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연결하여 체결된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53);로 구성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strut por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nd portion of the curvilinear type main portion, and includes a non-conductive portion 51 constituted by a box-shaped case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An upper strut (52) axially joined to the lower end point; And a second bullet forming wire rope (53) connected by connecting the upper strut and the curvilinear main beam main so that the upper strut is elastically supported when tilted.

상기 전도방지부(51)는 축결합된 상부지주(52)가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전방부는 상부 일부 구간이 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성을 가지고 후방부는 하부 일부 구간이 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부지주는 후방쪽으로는 거의 기울어지지 않고, 전방 방향으로는 제한된 일정각도로만 기울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In order to allow the axially coupled upper strut 52 to be tilted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ront por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artial sec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portion has the lower partial section rearward It has a constant angle inclined structure. By having such a shape, the upper strut can be inclined only at a limited angle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out being inclined to the rear side.

구체적으로 전도방지부(51)를 구성하는 하부판(511)은 곡률형 주지주(2)와 상하 볼트 체결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고 표면을 상하 관통하는 홀이 가공된 형태로 구성되고, 이 하부판(511) 상부쪽으로 둘레 4면을 구성하는 전면판(512), 후면판(513), 좌측판(514), 우측판(515)이 용접되어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lower plate 511 constituting the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 51 has a hole projecting forward and rearward so as to secure an area for vertically and bolt-tightening the curved main spout 2, And a front plate 512, a rear plate 513, a left plate 514 and a right plate 515 are welded to upper portions of the lower plate 511 to form four peripheral surfaces.

상기 좌측판(514)과 우측판(515)은 전방부 형상이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수직한 형상을 가지다가 일정구간부터 전방쪽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사선 가공된다. The left side plate 514 and the right side plate 515 have a shape in which the front part is vertical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are slanted so as to be inclined forward from a certain section toward the front side.

또한 후방부 형상은 기본적으로 도 7 및 도 8처럼 하부와 상부가 직각지게 형성되게 구성한다. Also, the shape of the rear part is basically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are formed at right angles as shown in Figs.

또한 후방부 형상은 다른 실시형태로 도 9 및 도 10처럼 하부에서 전방방향으로 사선 가공되다가 일정 구간부터는 상부방향으로 수직한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obliquely process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upper portion in a certain period as shown in FIGS. 9 and 10 in another embodiment.

이에 따라 전면판은 상부쪽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꺽인 형상을 가지고, 후면판은 기본형상은 수직한 형상 또는 다른 실시형태로는 하부쪽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꺽인 형상을 가지게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front plate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inclined forwardly, and the rear plate has a shape in which the basic shape is a vertical shape or a shape in which the lower side is inclined backward in another embodiment.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부지주가 전방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경사 가공된 부분 때문에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경사 가공 각도 근처까지 기울어지면서 일정각도로 기울기가 단속되고, 후방쪽으로는 수직 가공부분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여 후방 쪽으로의 기울기가 단속되어 거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upper strut is tilted forward, there is no interference phenomenon when it is tilted forward due to the inclined part,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trut tilts to near the tilting angle and the tilting is controlled at a certain angle. Interference occurs, and the inclination toward the rear side is interrupted to maintain the almost vertical state.

또한 상기 좌측판(514)과 우측판(515)에는 각각 상부지주(52)와 축결합하는 축(54)이 관통되는 홀(5141, 5151)이 형성되고, 또한 좌측판과 우측판의 홀 주변 내측면에는 각각 상부지주의 기울기 각도를 제한하는 1차 전도방지편(5142, 5152)이 내측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된다. 1차 전도방지편(5142, 5152)은 상부지주(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축(54)이 관통되는 홀(524) 양측 주변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1차 전도방지편(521, 522)과 한쌍을 이루어 동일면상에서 도넛 형태를 이루는데,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유격(55)을 가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격 구간이 상부지주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 구간에 해당한다. The left plate 514 and the right plate 515 are formed with holes 5141 and 5151 through which the shaft 54 which is axially coupled with the upper strut 52 passes, On the inner side surface, primary prevention pieces 5142 and 5152 for limi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support are respectively protruded in the inward direction. The first conduction preventing pieces 5142 and 5152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52 and include first and second conduction preventing pieces 521 and 522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hole 524 through which the shaft 54 passes, A pair of donuts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nd some of the sections are cut so as to have a clearance 55. Such a clearance section corresponds to an angle section in which the upper strut can rotate.

즉, 최초 상부지주(52)가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부지주에 형성된 1차 전도방지편과 좌측판 및 우측판에 형성된 1차 전도방지편간에는 후방쪽이 맞닿아 있고, 전방쪽이 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인해 후방으로는 상부지주가 움직일 수 없도록 단속된다.That is, when the first upper support pillars 52 are vertically installed, the first side transition preventing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pport and the first side transition preventing member formed on the left side plate and the right side plate are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 As a result, the upper strut can not be moved back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도방지부(51)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지주(52)에 낙석에 의한 하중의 인가나 충돌로 인해 상부지주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1차로는 상부지주(51)에 형성된 1차 전도방지편(521, 522)이 축(54)을 중심으로 상부지주(51)와 함께 축회전하면서 전도방지부(51)의 좌측판(514) 및 우측판(515)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1차 전도방지편간(5142, 5152)에는 전방쪽이 맞 닿아 있고, 후방쪽이 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로인해 더 이상의 회전이 일어나지 않고 기울기가 일정각도로 단속되게 된다.8, when the upper strut is tilted forward due to the application or collision of the lower strut 52 with the load caused by the lowering stone, as shown in Fig. 8, the upper strut 51 The primary prevention members 521 and 522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eft side plate 514 and the right side plate 515 of the non-conductive portion 51 while being axially rotated together with the upper support 51 about the axis 54, The primary s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imary prevention pieces 5142 and 5152 protruding from the first secondary prevention pieces 5142 and 5152, As a result, no further rotation occurs and the tilt is interrupted at a certain angle.

또한 추가적인 낙석의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2차로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로 구성된 전도방지부(51)의 전방부 형상이 전면판(512) 상부 일부 구간이 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성을 가지게 구성됨으로써 상부지주가 걸려 전방 방향으로는 제한된 일정각도로만 기울어져 단속되어 다중 단속되게 된다. Even if an additional load of rockfall is applied, the front portion of the underside portion 51 constituted by the box-shaped case with the upper portion opene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512 is inclined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pper support is hooked and tilted only at a limited angle in the forward direction to be interrupted and multiple interrupted.

또한 이와 같은 1차, 2차로 구성된 전도방지부의 다중 각도 제한 구성 뿐만 아니라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부지주와 연결된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53)에 의해 지속적으로 내측 방향 즉, 도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어 경사지대에서 발생한 낙석이 도로로 낙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되고, 설사 넘어가더라도 곡률형 주지주의 곡률부가 도로쪽으로 돌출된 구성돠 상부지주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최대한 도로에서 먼 바깥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as well as the multi-angle limit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on preventing portions, the force to be continuously pulled in the inward direction, that is,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second bullet forming wire rope 53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So that the curved struc- tural curvature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road, and the upper struc- ture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struc- ture falls far away from the roa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제 2 탄성형 탄성형 와이어로프(53)는 가변 지주부(5)가 낙석과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고 철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력적으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533)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단위 와이어로프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아이볼트(534)가 상부지주 및 곡률형 주지주의 일 지점과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The second carbon-made carbon fiber-wound wire rope 53 has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not shown) so as to be able to be flexibly tilted so as to absorb collision energy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rockfall and to prevent the wire mesh from being broken And an eye bolt 534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wire rope is fastened and fixed by an upper support and a curvilinear point and a nut.

양방향 충격흡수부의 구성은 상기 제 1 탄성형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구성 및 작동방식이 동일 또는 유사한 코일스프링(531), 이탈방지와셔(532), 일측단에 걸림단을 가진 2 이상의 단위와이어로프(533)를 포함하여 구비되는데 하부 구성 및 상세설명은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bidirectional shock absorbing por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carbonized carbon forming wire rope. The coil spring 531, the separation preventing washer 532, the two or more unit wire ropes 533, but the description of the lower structur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상부지주(52)는 원통관 철재로 구성되어, 양측 횡방향으로 홀(520)이 형성되어 제 2 철망의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홀(520)은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개수에 대응하게 상하로 일정간격을 복수개 배열되어 구성된다.The upper strut 52 is formed of a circular tube made of steel and has holes 520 formed on both lateral sides thereof to connect the third bullet forming wire rope of the second wire net. These holes 520 are formed by vertic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third brass forming wire rope.

또한 복수개로 횡 배열 된 상부지주(52) 중 양측단에 위치한 상부지주(52)는 각각 제 3 탄성와이어로프의 양측단에 형성된 단방향 충격흡수부가 설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truts 52 located at the opposite ends of the upper struts 52 arranged in a plurality of transversely arranged structures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un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elastic wire rope, and are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by a spring.

또한 각 상부지주는 후방쪽으로 홀(523)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탄성형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일측단에 형성된 아이볼트가 관통되어 내측에서 너트로 고정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upper strut is formed with a hole 523 at the rear side thereof, and an eye bolt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arbon-made charcoal-forming wire rope passes through and is fixed with a nut from the inside.

상기 제 2 철망부(6)는 가변 지주부를 구성하는 상부지주(52)간의 공간을 막는 구성으로, 철망(61)과; 상부지주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철망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62)와; 상하로 다단 배열되어 설치된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 간을 교차결속구(64)를 이용하여 교차결속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63)로 구성된다.The second wire mesh part 6 is configure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truts 52 constituting the variable strut part and includes a wire mesh 61; A third bullet forming wire rope (62)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upper land side and installed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net; And a longitudinal wire rope 63 for cross-binding the third brick-formed wire ropes provided in a multi-stage arrangemen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y using the cross binders 64. [

상기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62)는 낙석과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고 철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65)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66)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 상부지주와 체결되는 단위 와이어로프는 각각 일측단 또는 타측단에 단방향 충격흡수부(67)가 구비되어 코일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게 구성된다.The third bullet forming wire rope 6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65 for absorbing impact energy in collision with a fallout and preventing the wire net from being broken, And the unit wire rope fastened to one side end or the other side upper end support is provided with a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67 at one end or the other end so as to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by a tensile force of the coil spring.

상기 양방향 충격흡수부와 단방향 충격흡수부의 구성은 상기 제 1 탄성형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구성 및 작동방식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전술한 구성 설명으로 대신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단방향 충격흡수부는 제 1 탄성형 탄성형 와이어로프의 곡률형 주지주 대신 상부지주에 설치되는 것이 다르고, 설치 장소가 상부지주 내부 또는 상부지주 바깥방향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 다르다.The configuration of th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and the un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carbonized carbon forming wire rope, and thus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However, the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is different from that provided in the upper strut in place of the curvature type main strap of the first carbon-form molded carbon wire rope, and the installation site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upper strut o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upper strut.

또한 상기 교차결속구는 횡방향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가 교차 결속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면 충분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it is sufficient that the cross-linking member has a known construction in which crosswise and longitudinal wire ropes can be cross-link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종방향 와이어로프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를 배열하여 구성되고, 양단은 교차 결속구 대신 도시된 것처럼 직접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결속하여 고정하여 구성된다.The longitudinal wire ropes are constitu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arranged wire rop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both ends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third wire forming wire rope directly as shown in the place of the crossing binding sphere.

상기 철망은 상부지주가 이루는 공간부 마다 설치되고 미도시된 끈, 합성수지재 타이, 클립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연결하면 된다.The wire net is installed in each space formed by the upper stru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stranded wire rope by various fastening means such as unillustrated string, synthetic resin tie, clip,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 기초지주부 (2) : 곡률형 주지주
(3) : 횡지주 (4) : 제 1 철망부
(5) : 가변 지주부 (6) : 제 2 철망부
(11) : 기초지주 (12) : 지반
(13) : 콘크리트 (14) : 옹벽
(15) : L형 앵커볼트 (21) : 베이스플레이트
(22) : 수직부 (23) : 곡률부
(24) : 홀 (31) : 연결철판
(41) : 철망 (42) :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
(43) : 양방향 충격흡수부 (44) : 단위 와이어로프
(45) : 단방향 충격흡수부 (51) : 전도방지부
(52) : 상부지주 (53) :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
(54) : 축 (55) : 유격
(61) : 철망 (62) :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
(63) : 종방향 와이어로프 (64) : 교차결속구
(65) : 양방향 충격흡수부 (66) : 단위 와이어로프
(67) : 단방향 충격흡수부 (430) : 코일스프링
(431) : 이탈방지와셔 (440) : 걸림단
(450) : 아이볼트 (451) : 코일스프링
(452) : 와셔 (453) : 너트
(511) : 하부판 (512) : 전면판
(513) : 후면판 (514) : 좌측판
(515) : 우측판 (520, 523, 524) : 홀
(521, 522) : 1차 전도방지편 (531) : 코일스프링
(532) : 이탈방지와셔 (533) : 단위 와이어로프
(534) : 아이볼트 (4310) : 제 1 이탈방지와셔
(4311) : 장공 (4312) : 회전방지용 스톱퍼
(4313) : 볼트 체결홀 (4320) : 제 2 이탈방지와셔
(4321, 4322) : 삽입되는 개구 (4323) : 볼트 체결홀
(4330) : 볼트 (4340) : 너트
(5141, 5151) : 홀 (5142, 5152) : 1차 전도방지편
(1): foundation foundation main part (2): curvature type main note
(3): transverse support (4): first wire netting
(5): Variable spigot part (6): Second wire net part
(11): foundation post (12): ground
(13): Concrete (14): Retaining wall
(15): L-shaped anchor bolt (21): Base plate
(22): vertical portion (23): curvature portion
(24): hole (31): connecting plate
(41): wire net (42): first-form molded wire rope
(43):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44): unit wire rope
(45): unidirectional shock absorbing part (51): inversion preventing part
(52): upper strut (53): second stranded wire rope
(54): shaft (55): clearance
(61): wire mesh (62): third-form molded wire rope
(63): longitudinal wire rope (64): cross-linkage
(65):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66): unit wire rope
(67):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430): coil spring
(431): separation prevention washer (440): engagement step
(450): eye bolt (451): coil spring
(452): washer (453): nut
(511): lower plate (512): front plate
(513): rear plate (514): left plate
(515): right side plate (520, 523, 524): hole
(521, 522): primary turning prevention piece (531): coil spring
(532): separation preventing washer (533): unit wire rope
(534): Eye bolt (4310): First release prevention washer
(4311): Long hole 4312: Stopper for rotation prevention
(4313): bolt fastening hole (4320): second release prevention washer
(4321, 4322): opening 4323 to be inserted: bolt fastening hole
(4330): Bolt (4340): Nut
(5141, 5151): holes (5142, 5152): primary conduction preventing pieces

Claims (12)

지반에 매설된 기초지주부(1)와;
기초지주부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곡률형 주지주(2)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횡방향으로 보강하는 다수개의 횡지주(3)와;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가 이루는 공간부를 막는 제 1 철망부(4)와;
상기 곡률형 주지주의 끝단부 마다 설치된 가변 지주부(5)와;
가변 지주부간의 공간을 막는 제 2 철망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A base support main body (1) embedded in the ground;
A plurality of curvilinear type main spindles (2)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of the basic supporting part;
A plurality of transverse supports (3) for reinforcing the curved main main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first wire netting part (4) for blocking a space part formed by the curved main cutting edge and the transverse supporting strut;
A variable padding (5) installed at each of said curvilinear ends;
And a second wire net portion (6) for blocking a space between the variable ground main por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지주부(1)는 곡률형 주지주의 설치 간격에 맞춰 지반에 매설되어 주변이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보강되며, 상부 일부가 지반 위로 돌출된 복수개의 철재 기초지주와;
상기 지반에 돌출된 기초지주 간을 연결하도록 철근 콘크리트 타설된 옹벽과;
상기 옹벽 시공시 각 기초지주 위치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되어 일부가 옹벽 상부로 돌출된 L형 앵커볼트;로 구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teel foundation posts (1) embedded in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a curvilinear spacing interval, the periphery of which is reinforced by being poured into concrete, and a part of the top is protruded above the ground;
A retaining wall pierced with reinforced concrete so as to connect the protruded foundation posts to the ground;
And an L-shaped anchor bolt welded to the reinforcing bars arranged at the respective foundation post positions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nd partially protru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retaining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률형 주지주(2)는 철재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기초 지주부의 옹벽에 돌출된 L형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는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이 배열되어 구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가 형성된 부분부터 일구간까지는 수직부로 구성되고, 나머지 구간은 도로방향쪽으로 곡률을 이루면서 돌출 신장된 곡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ved main ladder main body 2 is made of iron and has a base plate to be fastened to an L-shaped anchor bolt protruding from a retaining wall of a foundation supporting part in a lower part thereof, and a plurality And the other part is composed of a curved portion that protrudes and elongates while curving toward the direction of the road. The tuning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Type rockfall protection facil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지주는 인접한 곡률형 주지주 간을 횡방향으로 보강하여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철재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verse strut is an iron member fastened to support adjacent curvilinear main grooves so as to be laterally reinforced and arrang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망부(4)는 곡률형 주지주와 횡지주가 이루는 공간부를 막는 철망과; 곡률형 주지주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철망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로 구성하되,
상기 제 1 탄성형 와이어로프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다단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쪽 단위 와이어로프에는 단방향 충격흡수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re net part (4) comprises: a wire net covering a space part formed by a curved main and a lateral support; And a first bullet forming wire rope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curved main bulge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net,
Wherein the first shrink-molded wire rop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ag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t least one or mor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s connected between the unit wire ropes, and the one- Wherein the unidirectional shock absorb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주부는 곡률형 주지부의 끝단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케이스로 구성된 전도방지부와; 하부 일지점이 전도방지부와 축결합되고, 하부에 형성된 축 결합용 양측 홀 주변에 1차 전도방지편이 돌출 형성된 상부지주와; 상부 지주가 기울어질때 탄력 지지하도록 상부지주와 곡률형 주지주간을 연결하여 체결된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strut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n end portion of the curvilinear shaped lid and includes a box-shaped case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upper support having a lower turning point axially coupled to the anti-detachment portion and formed with a first anti-revers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both side holes for shaft coupling; And a second bullet-shaped wire rope connected to the upper strut and the curvilinear main beam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strut when til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부는 축결합된 상부지주가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전방부는 상부 일부 구간이 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성을 가지고 후방부는 수직한 구조 또는 하부 일부 구간이 후방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of claim 6,
The front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side and a rear portion is configured in a vertical structure or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shaft- Wherein the shock-absorbing variable support has a photo structur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부를 구성하는 좌측판과 우측판의 내측면 홀 주변에는 각각 상부지주의 기울기 각도를 제한하는 1차 전도방지편이 돌출형성되어 상부지주에 형성된 1차 전도방지편과 한쌍을 이루어 상부지주 회전시 1차 전도방지편 간의 유격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on preventing members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and left plates, respectively. The first conduction prevent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first conduction preventing member to limit the tilt angle of the upper support. Wherein the variable inclination support portion is inclined forward by an angle corresponding to a clear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ation preventing piec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형 와이어로프는 가변 지주부가 탄력적으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아이볼트가 상부지주 및 곡률형 주지주의 일 지점과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bullet-forming wire rope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to connect the unit wire ropes so that the variable strut portion can be flexibly tilted, and the eye bol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bullet- Wherein the fixed support portion is fixed by being fixed at one point and a n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철망부(6)는 가변 지주부를 구성하는 상부지주간의 공간을 막는 철망과; 상부지주간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철망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와; 상하로 다단 배열되어 설치된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 간을 교차결속구를 이용하여 교차결속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로 구성하되,
상기 제 3 탄성형 와이어로프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다단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방향 충격흡수부를 구비하여 단위 와이어로프간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 쪽 단위 와이어로프에는 단방향 충격흡수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wire mesh part (6) comprises a wire mesh which blocks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truts constituting the variable strut part; A third bullet forming wire rop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net;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arranged wire ropes arranged in a multi-stage arrang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third brass forming wire rop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t least one b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unit wire ropes, Characterized in that a un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tunnel.
청구항 5, 청구항 9,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충격흡수부는 일측단에 걸림단이 형성된 2개의 단위 와이어로프가 동시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여 걸림단이 형성된 각 단위 와이어로프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된 이탈방지와셔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탈방지와셔부는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어 2개의 단위 와이어로프가 통과되고, 장공 양측단쪽에 회전방지용 스톱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 체결홀이 형성된 제 1 이탈방지와셔와; 제 1 이탈방지와셔에 대응하여 1개의 단위 와이어로프와 스톱퍼가 삽입되는 개구가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체결 홀이 형성된 제 2 이탈방지와셔와; 상기 각 볼트체결 홀에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9, and 10,
Wherein the bidirectional shock absorbing portion comprises: a coil spring having two unit wire ropes having hooking end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penetrating the unit wire rope at the same time inward; And a plurality of unit wire rop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nd having hooking ends formed therein,
The first anti-deviation washer has a long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washer, two unit wire ropes are passed through, a stopper for rotation preven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 hole, and a bolt fastening hole is formed on the stopper. A second escape prevention washer formed with symmetrical openings into which one unit wire rope and a stopper ar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scape preventing washer respectively and having bolt fastening hole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bolt and a nut fastened to each of the bolt fastening holes.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충격흡수부는 단위 와이어로프의 끝단과 체결되고 일측단 또는 타측단에 위치한 곡률형 주지주 또는 상부지주를 관통하는 아이볼트와; 아이볼트와 축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아이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위 와이어로프가 당겨질 때 코일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와셔와; 아이볼트에 체결되어 와셔와 아이볼트가 곡률주지주 또는 상부지주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10,
Wherein the unidirectional shock absorber comprises: an eye bolt coupled to an end of the unit wire rope and passing through a curved main or upper support locat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A coil spring axially coupled with the eye bol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washer which generates an elastic force by pressing the coil spring when the unit wire rope is pulled while preventing the eye bolt from being detached; And a nut secured to the eyebolt to prevent the washer and the eye bolt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curvature guide groove or the upper support.
KR1020180008752A 2018-01-24 2018-01-24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KR102081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52A KR102081865B1 (en) 2018-01-24 2018-01-24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52A KR102081865B1 (en) 2018-01-24 2018-01-24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88A true KR20190090188A (en) 2019-08-01
KR102081865B1 KR102081865B1 (en) 2020-02-26

Family

ID=6761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52A KR102081865B1 (en) 2018-01-24 2018-01-24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86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1968A (en) * 2019-12-29 2020-05-0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Large karst cavity tunnel large deformation frame rock fall preven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2681164A (en) * 2020-12-14 2021-04-20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Adjustable slope collapse rock protector
KR102269067B1 (en) * 2020-03-19 2021-06-24 심석래 Impact absorbing device for falling objects in the protective netting
KR102429680B1 (en) * 2021-12-23 2022-08-04 나재술 falling rock prevention stur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wire ring
KR102458257B1 (en) * 2021-12-23 2022-10-24 나재술 Sturcture for preventing falling rock using wire ring
KR102497123B1 (en) 2022-07-15 2023-02-07 (주)대한지오이엔씨 Fall Prevention Fence System
CN116641404A (en) * 2023-07-27 2023-08-25 西南石油大学 Slope protection assembl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02Y1 (en) * 2001-01-30 2001-07-19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Equipment of protection falling rock by high density polyethylene netron
KR200281831Y1 (en) * 2002-04-01 2002-07-13 채종술 Rockfall prevention fence prefab
KR20050034702A (en) * 2005-03-24 2005-04-14 김길평 Attachment structure of falling rock prevention for road
KR100544975B1 (en) 2005-09-26 2006-01-24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Falling rock prevent apparatus of slope for road
KR20060135582A (en) 2006-12-09 2006-12-29 장안상 Falling rock net with disjoint wire rope
KR101094247B1 (en) 2008-12-08 2011-12-19 (주) 에스에스 Falling rock prevention fence for impact absorption
KR101225007B1 (en) * 2012-06-14 2013-01-25 손정익 Protective fence for falling rock with shockabsorber
KR101506327B1 (en) 2014-12-19 2015-03-26 김정애 Fixing and bumper unit cross position of rockfall protecting n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ockfall protection net using this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02Y1 (en) * 2001-01-30 2001-07-19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Equipment of protection falling rock by high density polyethylene netron
KR200281831Y1 (en) * 2002-04-01 2002-07-13 채종술 Rockfall prevention fence prefab
KR20050034702A (en) * 2005-03-24 2005-04-14 김길평 Attachment structure of falling rock prevention for road
KR100544975B1 (en) 2005-09-26 2006-01-24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Falling rock prevent apparatus of slope for road
KR20060135582A (en) 2006-12-09 2006-12-29 장안상 Falling rock net with disjoint wire rope
KR101094247B1 (en) 2008-12-08 2011-12-19 (주) 에스에스 Falling rock prevention fence for impact absorption
KR101225007B1 (en) * 2012-06-14 2013-01-25 손정익 Protective fence for falling rock with shockabsorber
KR101506327B1 (en) 2014-12-19 2015-03-26 김정애 Fixing and bumper unit cross position of rockfall protecting n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ockfall protection net using this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1968A (en) * 2019-12-29 2020-05-0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Large karst cavity tunnel large deformation frame rock fall preven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269067B1 (en) * 2020-03-19 2021-06-24 심석래 Impact absorbing device for falling objects in the protective netting
CN112681164A (en) * 2020-12-14 2021-04-20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Adjustable slope collapse rock protector
KR102429680B1 (en) * 2021-12-23 2022-08-04 나재술 falling rock prevention stur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wire ring
KR102458257B1 (en) * 2021-12-23 2022-10-24 나재술 Sturcture for preventing falling rock using wire ring
KR102497123B1 (en) 2022-07-15 2023-02-07 (주)대한지오이엔씨 Fall Prevention Fence System
CN116641404A (en) * 2023-07-27 2023-08-25 西南石油大学 Slope protection assembly
CN116641404B (en) * 2023-07-27 2023-10-03 西南石油大学 Slope protecti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865B1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188A (en) Tunnel type rockfall protection structure having variable pole part for shock absorbing
CA2260331C (en) Safety net system for debris and mud slides
EP1728924B1 (en) Device for holding sliding masses or bodies
US3390865A (en) Safety fences
JP4936232B2 (en) Protective bodies such as avalanches and rockfalls
KR102122768B1 (en) Wirenet assembly for reinforcing slop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6644975B2 (en) Protective fence
KR101572505B1 (en) Fence for protecting from rocks falling on slope
KR101283689B1 (en) Structure of reinforcement supporter for traffic safety facility
JP5557166B2 (en) Protective fence
JP3143816U (en) Rock fall protection net structure
JP5953281B2 (en) Protective fence
JP5415641B1 (en) Protection device such as rockfall
KR102009686B1 (en) Wirenet assembly for reinforcing slop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2004162486A (en) Guard fence
JP2002322615A (en) Protection fence
JP5490670B2 (en) Rock fall protection net structure
JP2011153491A (en) Safety barrier
KR200287832Y1 (en) wire rope a distance maintenance structure for rockfall protection fence
EA020081B1 (en) Open-type dam for protection against mud torrent
JP2003003425A (en) Shock-absorbing guard fence
JP3002130B2 (en) Suspended protection and sabo dam with suspended protection
KR200445244Y1 (en) Civil Rockfall Guard Net Cap
KR101104124B1 (en) A assembly of the fence for preventing falling stone
KR100704308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rocks with scrapped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