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124A -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 Google Patents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124A
KR20190090124A KR1020180008548A KR20180008548A KR20190090124A KR 20190090124 A KR20190090124 A KR 20190090124A KR 1020180008548 A KR1020180008548 A KR 1020180008548A KR 20180008548 A KR20180008548 A KR 20180008548A KR 20190090124 A KR20190090124 A KR 2019009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rane
display unit
lower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7763B1 (en
Inventor
정경규
윤만중
오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엠엔씨
Priority to KR102018000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6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onitoring device for a crane, which can detect a dangerous region at a lower portion of a cra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afety monitoring device for a crane comprising: a crane main body; a trolley movably installed at the crane main body; a region display unit installed at the trolley to project light of a predetermined range to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to display a safe area; and an image filming unit installed at the crane main body while fil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Here, the region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ing mean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means; an opening unit coupled to the bracket and having a lower portion formed to be opened; an upper body having a height adjustment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unit; a light-emit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upper body and projecting light; a lower body having a rotating member at an upp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an elongated groove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wherein the light projected by the light-emitting element passes through the elongated groove to form a safe area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Description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0001]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0002]

본 발명은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하부의 위험지역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visually grasping a dangerous area under a crane.

일반적으로, 장치 산업을 위한 제조 업종 등에서 작업 현장에 대형 금형 및 반제품, 그리고 제품의 원료 또는 완성된 제품을 담은 중량물을 손쉽게 운반하기 위해서 일정한 동선을 갖춘 작업장 내에 레일을 설치하고, 설치된 레일을 따라 크레인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바,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중량물을 지정된 장소로 손쉽게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Generally, in a manufacturing industry for the apparatus industry, in order to easily carry large-sized molds and semi-finished products and heavy materials containing raw materials or finished products at work sites, rails are installed in a workplace having a certain copper wire, So that various heavy objects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a designated place by using a crane.

즉, 크레인은 작업 현장 내에 평행하게 부설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부재와, 두 지지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빔과, 빔에 장착되어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와, 호이스트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어 상, 하 수직으로 이동되는 후크로 이루어져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호이스트와 후크의 위치 조절로 중량물을 이송시켜주게 된다.That is, the crane moves along a pair of rails installed in parallel in a work site. The crane includes a pair of support members mounted with wheels at the lower end, a beam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members, And a hook which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hoist. The hoist is moved along the rail while the hoist and the hook are mov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ist.

이러한 크레인은 기계요소, 기계장치 및 전기기기의 집합체로서의 설비이며, 중량물을 운반함에 따라 사고 발생 시 중대재해로 이어질 위험성이 커서 안정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Such a crane is a facility as a collection of mechanical elements, mechanical devices, and electrical equipment, and it is important to ensure stability by carrying heavy objects, which leads to a major disaster when an accident occurs.

상기한 사고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0884호 '크레인'에서는 크레인 본체와, 크레인 본체의 상단 구조물에 설치되어 권상물을 권상 및 권하하는 트롤리와, 트롤리에 의해 권상 및 권하되는 권상물의 예상위치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상에 권상물의 예상위치를 표시하는 영상투영기를 통해 작업자가 권상물의 예상 위치를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 작업 구역 내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권상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the conventional 'Cranes' 10-2015-0110884, a crane body, a trolley installed 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crane body to hoist and wind the hoist, An image projector that displays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hoist on the gr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grasp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hoist hoisted and tuged by the trolley allows the operator to visually grasp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hoist, So that the operator located can transport the hoist while securing the safety distance.

한편, 종래의 크레인은 단순히 트롤리 하부에 가시적으로 지상에 예상위치를 표시할 뿐, 권상되는 중량물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중량물의 예상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지 못하므로, 작업자는 정확한 위치에 중량물을 이송시키지 못하며, 권하되는 위치 근방에서 작업 또는 이동 중인 다른 작업자는 안전 영역을 정확하게 인지 하지 못하여 안전 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crane simply displays an expected position on the gr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trolley and can not accurately display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depending on the size or type of the object to be hoisted. And other workers who are working or moving in the vicinity of the recommended position can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safe area and are exposed to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에 권상되는 중량물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지상에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하여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작업자에게 중량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capable of visually grasping an area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size or type of a crane, And to provide a safety monitoring apparatus for a cran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는 크레인 본체와, 상기 크레인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되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일정 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안전 영역을 표시하는 영역 표시부와, 상기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트롤리의 하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 표시부는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 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와, 상부에는 회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하부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안전 영역을 형성시키는 장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afety monitoring apparatus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ane main body, a trolley movably installed on the crane main body, an are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trolley, for illuminating a certain range of light to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And a video image capturing unit mounted on the crane main body and photographing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wherein the area display unit includes driving mean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nd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bracket and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a light emitting element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and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he lower body and is formed reces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passes through to be emitted by the light emitter comprises a elongated groove to form a safety zone in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또한, 상기 영역 표시부는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은 상기 트롤리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다각형 형상의 안전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area display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nd each of the area display portions illuminates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to display a safe area of a polygonal shape.

또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구동 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와 축 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피동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driving moto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 driving pulley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a driving pulle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through one end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bracket at one side thereof.

또한, 상기 영역 표시부로부터 형성된 안전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영상 촬영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the safe area formed from the area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또한, 상기 영역 표시부는 상기 안전 영역에 사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 센서와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ea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or object in the safe area and a warning display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ane bod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ly with the detection sensor to emit a warning light or a warning sound .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는 영역 표시부가 브라켓, 상부 몸체, 하부 몸체 및 발광 소자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장형홈이 형성되되 상부 몸체와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하부 몸체에 의해 발광 소자와 장형홈의 거리 및 방향을 조절하여 트롤리에 권상된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트롤리 하부의 지상에 신뢰도 높은 안전 영역을 표시하여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monitoring safety of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display unit comprises a bracket, an upper body, a lower body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n elongated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 worker by displaying a reliable safe area on the ground below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ight hoisted on the trolley by adjus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또한, 영역 표시부는 트롤리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각각에서 라인 형상으로 조사된 광을 트롤리에 권상된 중량물과 같은 단면의 형상으로 안전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주변의 작업자에게 중량물의 예상 권하 위치를 가시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rea display sec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nd the light irradiated in the form of a line in each of them can be displayed in the shape of a section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at of the heavy article hoisted on the trolley. It is possible to visually inform the estimated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더불어, 트롤리 하부에 영역 표시부로 표시된 안전 영역에 사람 또는 사물과 같은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에서 장애물을 감지한 신호에 따라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고 표시부를 통해 크레인 작업자 또는 주변 작업자에게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crane operator or a neighboring worker is provided with a warning indicator for emitting a warning light or a warning sound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such as a person or an object in a safe area indicated by an area display portion below the trolle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providing a danger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역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역 표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 디스플레이부 및 경고 표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re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eg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capturing unit, a display unit, and a warning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는 크레인 본체(100), 트롤리(200), 영역 표시부(300) 및 영상 촬영부(400)를 포함한다.1, the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ne body 100, a trolley 200, a region display unit 300, and a photographing unit 400.

본 발명의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는 컨테이너와 같은 중량물을 권상 및 권하 작업을 통해 목표한 지점까지 운반하는 작업을 일정한 작업 영역 내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eatedly carry out a work of transporting a heavy object such as a container to a target point through hoisting and jacking operations within a certain work area.

또한, 상기 크레인 본체(100)는 지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갠트리(gantry) 크레인뿐만 아니라, 지면에 고정상태를 유지토록 설치되는 정치식 타워 크레인, 집 크레인, 오버헤드 크레인, 타워 크레인, 엔진 룸 크레인 등의 다양한 크레인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집(jib), 트롤리(trolley), 호이스트(hoist) 등을 구비하여 중량물의 운반 작업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rane body 100 includes not only a gantry cran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ground but also a stationary tower crane, a house crane, an overhead crane, a tower crane, an engine room cran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various types of cranes. Such a crane typically has a jib, a trolley, a hoist, etc. to carry heavy objects.

그리고 상기 트롤리(200)는 상기 크레인 본체(10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로프와 후크가 결합되어 중량물을 권상 또는 권하할 수 있다.The trolley 200 is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a guide rail of the crane main body 100, and the rope and the hook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avy goods can be hoisted or unwound.

다음으로, 상기 영역 표시부(300)는 상기 트롤리(200)의 하부에 일정 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안전 영역(SA)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트롤리(200)에 권상된 중량물이 지상에서 일정간격 상승하여, 로프 또는 후크의 파손에 따라 중량물이 낙하되는 지점과 같은 위험 지역에 광을 조사하여 지상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에게 이를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area display unit 300 displays a safe area SA by irradiating light of a certain range to the lower part of the trolley 200. When the heavy object hoisted by the trolley 200 is lif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a dangerous area such as a point where a heavy object falls due to breakage of a rope or a hook, thereby visually grasping the worker who is working on the ground.

그리고 상기 영상 촬영부(400)는 상기 크레인 본체(100)에 설치되되 상기 트롤리(200)의 하부를 촬영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 표시부(300)에 의해 표시된 상기 안전 영역(SA)을 촬영하게 된다.The image capturing unit 400 captures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200 mounted on the crane main body 100 and preferably photographs the safe area SA displayed by the area display unit 300 do.

이때,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영역 표시부(3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2 to 3, the area display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역 표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역 표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표시부(300)는 구동 수단(310), 브라켓(320), 상부 몸체(330), 발광 소자(340), 하부 몸체(350) 및 장형홈(360)을 포함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re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reg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area display unit 300 includes a driving unit 310, a bracket 320, an upper body 330, a light emitting device 340, a lower body 350, and an elongated groove 360.

먼저, 구동 수단(310)은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20)을 회전 구동시킨다.First, the driving means 31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nd drives the bracket 320 to rotate.

이때, 상기 구동 수단(310)은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311)와, 상기 구동 모터(311)와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3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풀리(312)와, 상기 구동 풀리(31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구동 벨트(313)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312)와 축 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브라켓(320)과 결합되는 피동 풀리(314)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310 includes a driving motor 311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 driving pulley 312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311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11, And a driven pulley 314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ing pulley 312 and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312 via a driving belt 313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racket 320, .

먼저, 상기 구동 모터(311)는 상기 트롤리(200)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 모터(311)를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함 형상의 구동 박스(311a)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311 i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olley 200 and can be accommodated in a driving box 311a having a shape for protecting the driving motor 311 from foreign matter such as dust have.

그리고 상기 구동 풀리(312)는 상기 구동 모터(311)와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3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 박스(311a)의 일측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 모터(311)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 박스(311a) 외측에서 상기 구동 풀리(312)와 결합된다.The driving pulley 312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311 and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11.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box 311a and the driving motor 311 is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312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outside the driving box 311a.

또한, 상기 피동 풀리(314)는 상기 구동 풀리(31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구동 벨트(313)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312)와 축 결합된다. 상기 구동벨트(313)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벨트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 풀리(312)와 상기 피동 풀리(314)에 감겨지며 상기 구동 풀리(312)의 동력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피동 풀리(314)를 회전시킨다.The driven pulley 314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pulley 3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312 through the driving belt 313. [ The drive belt 313 may be a timing belt or a chain belt and is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312 and the driven pulley 314 and rotates by the power of the drive pulley 312 to rotate the driven pulley 314, .

상기 피동 풀리(314)는 상기 브라켓(320)과 결합되어, 상기 피동 풀리(314)가 회전되면, 그에 따라 상기 브라켓(320)은 도 3의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축 회전된다.The driven pulley 314 is engaged with the bracket 320 so that when the driven pulley 314 is rotated, the bracket 32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ference to FIG.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330)와 상기 하부 몸체(350)는 상기 브라켓(320)이 상기 피동 풀리(314)에 의해 축 회전되면, 상기 상부 몸체(330)와 상기 하부 몸체(350)는 상기 브라켓(320)과 같은 방향으로 축 회전된다.When the upper body 330 and the lower body 350 are pivoted by the driven pulley 314, the upper body 330 and the lower body 350 are rotated by the brackets 320 in the same direction.

따라서, 상기 브라켓(320)이 상기 트롤리(200)의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몸체(330)와 상기 하부 몸체(350)가 상기 트롤리(200)의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안전 영역(SA)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The bracke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trolley 200 so that the upper body 330 and the lower body 35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rolley 2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safety area SA.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320)은 상기 구동 수단(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는 결합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32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상부 몸체(330)와 하부 몸체(350)가 수용된다.Next, the bracke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means 310, and coupling holes 321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bracket 320 is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upper body 330 and the lower body 350 are accommodated inside.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330)는 상기 결합공(321)을 관통하는 결합 볼트(322)를 통해 상기 브라켓(320)과 결합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미도시)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The upper body 330 is coupled to the bracket 320 via a coupling bolt 322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321 and has an opening (not shown) A height adjust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이때, 상기 상부 몸체(330)는 상기 결합공(321)에 대응되는 제2 결합공(미도시)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1)과 상기 제2 결합공에 상기 결합 볼트(322)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320)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upper body 330 has a second coupling ho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2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coupling bolt 322 Is fastened to the bracket 320.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340)는 상기 상부 몸체(3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레이저 포인트, 조명등 및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상기 장형홈(360)을 통하여 상기 트롤리(200)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body 330 and emits light. 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may include a laser point, an illumination light, an LED, and the like. 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may be mounted on the trolley 200 to be irradiated with light.

다음으로, 상기 하부 몸체(350)는 상부에는 회전 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Next, the lower body 350 is provided with a rotary member (not shown)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330)와 결합된다.The height adjusting member is formed of male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the rotating member is formed of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body 330.

이때, 상기 하부 몸체(350)는 상기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을 통해 상기 상부 몸체(330)와 결합되므로, 상기 하부 몸체(35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부 몸체(350)를 상기 상부 몸체(330) 방향으로 상향 이동이 가능하고,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부 몸체(350)를 상기 상부 몸체(330)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lower body 35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330 through the male thread and the female thread so that the lower body 350 is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so as to move the lower body 350 toward the upper body 330. [ The lower body 350 can be mov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body 330 and can be rotated to the right or left so as to move the lower body 350 downwar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body 330.

또한, 상기 장형홈(360)은 상기 하부 몸체(350)의 하부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340)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안전 영역(SA)을 형성시킨다.The elongated groove 36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35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passes therethrough to form a safety region SA at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

따라서, 상기 하부 몸체(350)가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향 이동되어 상기 발광 소자(340)와 상기 장형홈(360)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거리가 멀 때보다 상기 발광 소자(340)를 통해 조사되는 광이 상기 트롤리(200) 하부에 더욱 긴 상기 레이저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340)와 상기 장형홈(360)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면, 거리가 가까울 때보다 짧은 상기 레이저 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and the elongated groove 360 is reduced by moving the lower body 350 up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The longer the laser line can be formed under the trolley 20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340 and the elongated groove 360 is shorten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short laser line.

즉, 상기 트롤리(200)에 권하되는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부 몸체(3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상에 상기 중량물과 같은 크기의 안전 영역(SA)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lower body 350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vy object to be trolled to the trolley 200, so that the safety area SA having the same size as the heavy object can be formed on the ground.

또한, 상기 하부 몸체(35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장형홈(360)은 상기 하부 몸체(3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장형홈(360)도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발광 소자(340)에 의해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라인 또한 회전 가능하게 된다.The elongated groove 36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350 may be rotated along the elongated groove 360 as the lower body 350 is rotated and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340 The laser line formed by the light is also rotatable.

그리고 상기 영역 표시부(300)는 상기 트롤리(200)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영역 표시부(300) 각각은 상기 트롤리(200)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지면에 다각형 형상의 상기 안전 영역(SA)을 표시하게 된다.A plurality of the area display units 30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olley 200.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area display units 300 irradi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200 with light, The safety area SA of the shape is displayed.

이때, 상기 영역 표시부(300)는 일예로, 상기 트롤리(200)의 네 면에 각각 4개가 구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4개의 선을 형성하여 사각형 형상의 안전 영역(SA)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area display unit 300 includes four trolleys 200 on four sides and four lines are formed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 1 to form a rectangular safe area SA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영역 표시부(300)는 상기 트롤리(200)의 측면에 3개 이상 구비되어,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안전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rea display unit 300 may be provided at three or more sides of the trolley 200, so that various types of safe areas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nu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 안정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영역 표시부(300)로부터 상기 트롤리(200) 하부에 형성된 안전 영역(SA)을 촬영하는 상기 영상 촬영부(400)와 무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영상 촬영부(400)에서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rane stability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400 that captures the safe area SA formed under the trolley 200 from the area display unit 300, And a display unit 500 for display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400.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영상 촬영부(400)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3차원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는 것으로, 조종 단말기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작업실의 모니터 상에 제공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0 receives the image signal of the image capturing unit 400 and displays it in a three-dimensional graphic form to an operator. The display unit 500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terminal, and may be provided on the monitor of the operation room.

그리고 상기 영상 촬영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200) 하부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410)과, 상기 촬영 모듈(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420)과, 상기 저장 모듈(420)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43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440)을 포함한다.4, the image capturing unit 4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module 410 for capturing the bottom of the trolley 200, a storage module 420 for storing image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module 410, A transmission module 430 for transmitting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20 to the display unit 500 and a reception module 44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50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송신 모듈(430)에서 송신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510)과, 상기 수신 유닛(510)에서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520)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520)에 표시된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530) 및 상기 제어 유닛(530)의 제어 신호를 상기 영상 촬영부(400)에 전송하는 송신 유닛(540)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500 includes a receiving unit 510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430, a display unit 520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510, A control unit 530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20 and a transmission unit 54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30 to the image capturing unit 400.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상기 트롤리(200)의 하부의 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 시, 상기 저장 모듈(420)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 원인 규명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200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analyze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420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

또한, 본 발명의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는 경고 표시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 표시부(300)는 상기 안전 영역(SA)에 사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경고 표시부(600)는 상기 크레인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 센서와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산한다.In addition, the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rning display unit 600, the area display unit 300 includes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 person or object in the safe area SA, The warning display unit 6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ane body 100 and transmits / receives wirelessly with the detection sensor to emit a warning lamp or a warning sound.

상기 감지 센서는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영역 표시부(300)의 각각에 구비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영역 표시부(300)가 조사하는 광의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면, 지면에 형성된 상기 안전 영역(SA)으로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When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light irradiated by the plurality of the area display units 300 occurs, th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area display units 300, Or an object has entered.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경고 표시부(600)에 상기 안전 영역(SA)에 침입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 표시부(600)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침입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크레인 본체(100) 주변의 작업자에게 경고음 또는 경고등으로 이를 알리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크레인을 조종하는 작업자에게 상기 안전 영역(SA)에 사람 또는 사물이 침입한 것을 알리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detection sensor transmits an intrusion signal to the display area 500 and the warning display part 600 in the safe area SA. When the intrus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sensor 600, And informs the operator around the crane main body 100 of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light. The display unit 500 informs the operator operating the crane that the person or the object has entered the safe area SA, Provides a possi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영역 표시부(30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안전 영역(SA)의 내부의 적외선을 측정하는 열화상 측정 유닛(70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ran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ermal image measurement unit 700 for measuring infrared rays inside the safe area SA formed through the area display unit 300. [

상기 열화상 측정 유닛(700)은 상기 안전 영역(SA)에 접근하는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고, 측정된 체온 정보를 상기 수신 유닛(510)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 유닛(530)은 상기 영상 촬영부(400)에서 촬영한 영상과 상기 열화상 측정 유닛(700)에서 감지된 체온을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520)에서 합성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The thermal image measuring unit 700 senses a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approaching the safe area SA and transmits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unit 510. The control unit 530 controls the image capturing The image synthesized by the display unit 520 is displayed by synthesiz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400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ed by the thermal image measurement unit 700. [

따라서, 상기 열화상 측정 유닛(700)으로 상기 안전 영역(SA)의 내부의 적외선을 측정하여 상기 영역 표시부(300)의 상기 감지 센서와 비교하여 침입 신호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infrared image of the inside of the safe area SA is measured by the thermal image measuring unit 700 and compared with the detection sensor of the area display unit 300,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intrusion signal.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크레인 본체
200 : 트롤리
300 : 영역 표시부
310 : 구동 수단
311 : 구동 모터
311a : 구동 박스
312 : 구동 풀리
313 : 구동 벨트
314 : 피동 풀리
320 : 브라켓
321 : 결합공
322 : 결합 볼트
330 : 상부 몸체
340 : 발광 소자
350 : 하부 몸체
360 : 장형홈
400 : 영상 촬영부
410 : 촬영 모듈
420 : 저장 모듈
430 : 송신 모듈
440 : 수신 모듈
500 : 디스플레이부
510 : 수신 유닛
520 : 디스플레이 유닛
530 : 제어 유닛
540 : 송신 유닛
600 : 경고 표시부
700 : 열화상 측정 유닛
SA : 안전 영역
100: Crane body
200: Trolley
300:
310: driving means
311: Driving motor
311a: drive box
312: Driving pulley
313: Drive belt
314: driven pulley
320: Bracket
321: Coupling ball
322: coupling bolt
330: upper body
340: Light emitting element
350: lower body
360: Long Sleeve Home
400:
410: photographing module
420: storage module
430: Transmission module
440: receiving module
500:
510: Receiving unit
520: display unit
530: control unit
540: Transmitting unit
600: Warning indicator
700: thermal image measuring unit
SA: safety zone

Claims (5)

크레인 본체와, 상기 크레인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되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일정 범위의 광을 조사하여 안전 영역을 표시하는 영역 표시부와, 상기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트롤리의 하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 표시부는,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 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
상부에는 회전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하부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안전 영역을 형성시키는 장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
A trolley mounted on the crane main body, an are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trolley, for displaying a safe area by irradiating light of a predetermined range to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And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a lower portion of the crane,
The area display unit displays,
Driving mean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trolley;
A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means;
An upper body coupled to the bracket, the upper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by opening the lower portion,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A light emitting element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and emitting light;
A lower body having a rotation memb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being vertically movably coupled with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nd
And an elongated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o allow a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pass therethrough to form a safety region under the trolle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표시부는,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은 상기 트롤리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다각형 형상의 안전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display unit displays,
Wherein a plurality of trench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side surfaces of the trolleys, and each of the trolleys illuminates a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to display a polygonal safe z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트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구동 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풀리와 축 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피동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driving pulley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and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a driving pulley which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ing pulley, And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rack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표시부로부터 형성된 안전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영상 촬영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되,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image capturing unit capturing the safe area formed from the area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표시부는,
상기 안전 영역에 사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 센서와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display unit displays,
Further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or an object in the safe area,
And a warning display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ane main body and transmitting / receiving radio waves to / from the detection sensor to emit a warning light or a warning sound.
KR1020180008548A 2018-01-24 2018-01-24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KR102007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48A KR102007763B1 (en) 2018-01-24 2018-01-24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48A KR102007763B1 (en) 2018-01-24 2018-01-24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24A true KR20190090124A (en) 2019-08-01
KR102007763B1 KR102007763B1 (en) 2019-08-06

Family

ID=6761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548A KR102007763B1 (en) 2018-01-24 2018-01-24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6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8768A (en) * 2021-01-26 2021-06-11 北京安捷工程咨询有限公司 Hoisting object falling early warning and emergency danger avo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positioning technology
KR20220008728A (en) * 2020-07-14 2022-01-21 김해경 Marking system for predicted dropping position of lifted objects on tower crane
KR102485505B1 (en) * 2022-04-08 2023-01-06 반도호이스트크레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KR102610131B1 (en) * 2023-09-05 2023-12-05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Multi-joint robot with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detecting danger within variable safety are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281A (en)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osition control system for crane
KR20150062932A (en) * 2013-11-29 2015-06-08 김용한 Warning device using laser beam, overhead crane having the same, and warn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281A (en)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osition control system for crane
KR20150062932A (en) * 2013-11-29 2015-06-08 김용한 Warning device using laser beam, overhead crane having the same, and warn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728A (en) * 2020-07-14 2022-01-21 김해경 Marking system for predicted dropping position of lifted objects on tower crane
CN112938768A (en) * 2021-01-26 2021-06-11 北京安捷工程咨询有限公司 Hoisting object falling early warning and emergency danger avo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positioning technology
CN112938768B (en) * 2021-01-26 2024-02-09 北京安捷工程咨询有限公司 Positioning technology-based lifting crane falling early warning and emergency danger avoiding method and system
KR102485505B1 (en) * 2022-04-08 2023-01-06 반도호이스트크레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KR102610131B1 (en) * 2023-09-05 2023-12-05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Multi-joint robot with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detecting danger within variable safety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63B1 (en)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124A (en) Safety monitoring device of crane
US9868618B2 (en)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US9108826B2 (en) Crane control
JP6582045B2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shared areas
US20150142174A1 (en) Cra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JP2019010704A (en) Illumination light display device
CN112828903A (en) Hanging telescopic inspection robot
CN106829741A (en) Driving tele-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120109954A (en) Monitoring apparatus of building exrerior wall
JP2021054585A (en) Collision prevention device in crane
KR20140075281A (en) Position control system for crane
CN210480653U (en) Novel bridge crane plays to rise device
KR20150110884A (en) crane
CN207748759U (en) A kind of bridge crane
KR1019089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fety of crane
CN110715608A (en) Rail-mounted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operating equipment for cables
KR102152456B1 (en) Anti-fall system of a sophisticated work vehicle
JP3222128U (en) Work space restriction warning device for railway construction
CN210393472U (en) Novel double-trolley bridge crane lifting device
JP4090963B2 (en) Multi-dimensional moving positioning device
KR101981863B1 (en) A Crane Hook Having Auto-Alarm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 Distance From An Object of Collision
KR1024855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KR200191025Y1 (en) Video watching system for tower crane
JP2015224447A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inside of chimney
CN216694859U (en) Automatic scanning meas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