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588A -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588A
KR20190089588A KR1020180008312A KR20180008312A KR20190089588A KR 20190089588 A KR20190089588 A KR 20190089588A KR 1020180008312 A KR1020180008312 A KR 1020180008312A KR 20180008312 A KR20180008312 A KR 20180008312A KR 20190089588 A KR20190089588 A KR 2019008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block
information collecting
health information
block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722B1 (ko
Inventor
권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Priority to KR102018000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는, 스마트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온도나 소음 또는 조도와 같은 환경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환경용 센서가 탑재되는 환경정보 수집블럭; 및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건강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인체용 센서가 탑재되며,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인체용 센서의 센싱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건강정보 수집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Smart environmentqal 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모바일기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에 부착 사용이 가능하여 항상 휴대가 가능하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 뿐만 아니라,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인체 정보를 휴대 상태에서 의식하지 않고도 자연스럽에 획득할 수 있도록, 구조 및 프로세스가 개선된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장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도나 습도 또는 소음 등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장치들은, 주로 실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고,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인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장치들은,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져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휴대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건강 등의 이유로 의식적으로 상기 센서 장치를 사용해 주어야 하기 하나,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부주의나 무관심 또는 건망증 등에 의해 상기 인체 정보가 적시에 획득되지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체 정보의 경우 환경이 미치는 영향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인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장치의 경우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심박이나 체온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따른 인체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에 부착 사용이 가능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 뿐만 아니라,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인체 정보를 휴대 상태에서 의식하지 않고도 자연스럽에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는, 스마트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온도나 소음 또는 조도와 같은 환경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환경용 센서가 탑재되는 환경정보 수집블럭; 및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건강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인체용 센서가 탑재되며,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인체용 센서의 센싱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건강정보 수집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의해 수집된 환경 정보 및 건강정보 수집블럭에 의해 수집된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은, 상기 환경용 센서 및 그 센서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 회로부품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스마트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그 반대측은 상기 스마트폰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과 건강정보 수집블럭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대회전되는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대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대한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들을 구비하는 조절부재; 상기 힌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조절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되고, 그 조절부재의 각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탄성볼; 및 상기 힌지부의 외부에서 그 힌지부 및 상기 조절부재를 순차로 관통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비원형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그 조절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비원형 중심부와, 각각 상기 힌지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마주하는 비원형홈에 삽입되어서 그 건강정보 수집블럭과 함께 회전되는 한 쌍의 비원형 가장자리부들을 구비하는 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은,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원형판 형태의 일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충전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충전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은,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과 최대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그 원형판 형태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에 부착 사용이 가능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 뿐만 아니라,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인체 정보를 휴대 상태에서 의식하지 않고도 자연스럽에 획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가 활동하는 실시관 환경 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힌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힌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힌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된 힌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를 휴대하고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식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정보에 따른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건강정보를 획득하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정보 수집블럭(1)과 건강정보 수집블럭(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은, 실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스마트폰(3)에 필요에 따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활동 환경에 대한 온도나 소음 또는 조도와 같은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은, 예컨대 리무버블 결합층을 구비하여서 그 리무버블 결합층이 스마트폰(3)에 탈부착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3)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와 같은 환경용 선서를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활동 환경에 부합하는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은, 사용자가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그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연결되되, 도 5와 같이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건강정보 수집블럭(2)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건강정보를 센싱하는 심박센서나 체온센서와 같은 인체용 센서(221)가 탑재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3)과 같은 휴대용 단말에 부착 사용이 가능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 뿐만 아니라,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인체 정보를 휴대 상태에서 의식하지 않고도 자연스럽에 획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가 활동하는 실시관 환경 상황에 맞게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우고 스마트폰(3)을 사용하는 경우에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건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본체에 끼워진 손가락과 인체용 센서(221)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건강정보 수집블럭(2)에 끼워진 상태에서만 상기 환경용 센서(121)가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환경용 센서(121)의 무의미한 작동에 따른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인체용 센서(221)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인체용 센서(221)가 작동되게 하고, 이러한 인체용 센서(221)의 작동신호를 환경용 센서(121)의 작동신호로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로 구성을 간소화하고 전력소비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 및 건강정보 수집블럭(2)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를, Bluetooth 나 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폰(3)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3) 앱을 통해 실시간 활동 환경의 환경정보와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스마트폰(3) 단말과는 별개로 외부 서버를 마련하여 두고, 스마트폰(3) 단말에 저장된 환경정보와 건강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환경에 관한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의해 수집된 환경 정보 및 건강정보 수집블럭(2)에 의해 수집된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3) 단말에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환경정보 수집블럭(1)은, 본체부(12)와 결합부(14)와 힌지부(16)와 각도조절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2)는, 상기 환경용 센서(121) 및 그 센서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 회로부품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결합부(14)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본체부(12)에 연결되고 타측은 앞서 설명한 리무버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부(12)를 스마트폰(3)에 착탈(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힌지부(16)는, 상기 본체부(12)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1)과 건강정보 수집블럭(2)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각도조절부(18)는, 상기 힌지부(16)에 의해 상대회전되는 건강정보 수집블럭(2)의,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대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을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대해 회전되게 하여 휴대 및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본 실시예를 각도조절이 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거치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18)는, 조절부재(181)와 탄성볼(182)과 축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부재(181)는,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6)에 내장되고,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의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대한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81a)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볼(182)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6)에 내장되고, 상기 조절부재(181) 측으로 탄성 가압되어서 조절부재(181)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각 걸림홈(181a)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상기 축부재(4)는,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을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6)의 외부에서 그 힌지부(16) 및 상기 조절부재(181)를 순차로 관통하고, 비원형 중심부(41)와 한 쌍의 비원형 가장자리부(4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원형 중심부(41)는, 상기 조절부재(181)의 비원형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축부재(4)가 조절부재(181)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비원형 가장자리부(42)들은, 각각 상기 힌지부(16)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의 마주하는 비원형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축부재(4)를 그 건강정보 수집블럭(2)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비원형 가장자리부(42)들을 통해 상기 축부재(4)와 건강정보 수집블럭(2)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비원형 중심부(41)를 통해 상기 축부재(4)와 조절부재(181)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여, 결국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이 도 5와 같이 회전되는 경우에 축부재(4)가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181)가 회전됨으로써, 건강정보 수집블럭(2)의 환경정보 수집블럭(1)에 대한 상대회전 및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환경정보 수집블럭(1)은,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2)은, 상기 원형판 형태의환경정보 수집블럭(1)을 도 5와 같이 수용할 수 있는 원형링 형태로 이루어져서, 컴팩트하고 심플한 디자인 설계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16)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판 형태의 일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충전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충전 포트(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충전 포트(161)는, 외부에서의 전력 공급 또는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건강정보 수집블럭이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대해 일방향 축선을 따라 회전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이 건강정보 수집블럭과 함께 타방향 축선을 따라 상대회전 및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타방향 축선은 상기 일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축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을 회전중심축을 제공하는 중심허브와, 그 중심허브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채용된 센서 및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본체허브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심허브에는 본체허브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본체허브에는 상기 각 걸림홈에 탄성 가압된 상태로 삽입되는 탄성볼이 마련되게 함으로써,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이 건강정보 수집블럭과 함께 타방향 축선을 따라 상대회전 및 각도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환경정보 수집블럭 12:본체부
121:환경용 센서 14:결합부
16:힌지부 161:충전 포트
18:각도조절부 181:조절부재
181a:걸림홈 182:탄성볼
2:건강정보 수집블럭 221:인체용 센서
3:스마트폰 4:축부재
41:비원형 중심부 42:비원형 가장자리부

Claims (5)

  1. 스마트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온도나 소음 또는 조도와 같은 환경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환경용 센서가 탑재되는 환경정보 수집블럭; 및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체의 심박이나 체온과 같은 건강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인체용 센서가 탑재되며,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인체용 센서의 센싱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건강정보 수집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의해 수집된 환경 정보 및 건강정보 수집블럭에 의해 수집된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단말에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은,
    상기 환경용 센서 및 그 센서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 회로부품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스마트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그 반대측은 상기 스마트폰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과 건강정보 수집블럭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대회전되는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대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힌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에 대한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들을 구비하는 조절부재;
    상기 힌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조절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되고, 그 조절부재의 각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탄성볼; 및
    상기 힌지부의 외부에서 그 힌지부 및 상기 조절부재를 순차로 관통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비원형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그 조절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비원형 중심부와, 각각 상기 힌지부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의 마주하는 비원형홈에 삽입되어서 그 건강정보 수집블럭과 함께 회전되는 한 쌍의 비원형 가장자리부들을 구비하는 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은,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원형판 형태의 일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충전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충전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건강정보 수집블럭은, 상기 환경정보 수집블럭과 최대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그 원형판 형태의 환경정보 수집블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하는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KR1020180008312A 2018-01-23 2018-01-23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KR10212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12A KR102122722B1 (ko) 2018-01-23 2018-01-23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12A KR102122722B1 (ko) 2018-01-23 2018-01-23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88A true KR20190089588A (ko) 2019-07-31
KR102122722B1 KR102122722B1 (ko) 2020-06-26

Family

ID=6747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12A KR102122722B1 (ko) 2018-01-23 2018-01-23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7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794A (ko) * 2011-09-28 2013-11-06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20140016122A (ko) * 2012-06-22 2014-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가락 착용형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1572780B1 (ko) * 2015-06-11 2015-11-27 이시헌 바이오인증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160125813A (ko) * 2015-04-22 2016-11-01 김근제 헬스케어를 위한 센서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430A (ko) * 2014-04-01 2016-11-18 애플 인크. 링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70034544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스마트 체온계 데이터 수집 및 체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KR20170114420A (ko) * 2016-04-04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794A (ko) * 2011-09-28 2013-11-06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20140016122A (ko) * 2012-06-22 2014-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가락 착용형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160132430A (ko) * 2014-04-01 2016-11-18 애플 인크. 링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60125813A (ko) * 2015-04-22 2016-11-01 김근제 헬스케어를 위한 센서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780B1 (ko) * 2015-06-11 2015-11-27 이시헌 바이오인증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170034544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스마트 체온계 데이터 수집 및 체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KR20170114420A (ko) * 2016-04-04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722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279B1 (en) Customized configuration for an exoskeleton controller
US85198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y feedback
US20180014103A1 (en) Comparative analysis of sensors to control power status for wireless earpieces
KR102355149B1 (ko)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703113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pairing
US20210037932A1 (en) Ring-type wearable device
CN105591662B (zh) 可佩戴手表式移动终端
KR102457325B1 (ko) 광 센서들을 이용한 광통신
CN105850002B (zh) 电池充电器
JP2018516702A5 (ko)
US2016010359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rol
US10747337B2 (en) Mechanical detection of a touch movement using a sensor and a special surface pattern system and method
US11009921B1 (en)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hinges
ATE473678T1 (de) Tragbare drahtlos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analyse und mitteilung des physiologischen status
EP2718918A1 (en) Sensory user interface
KR20190096098A (ko) 착탈식 측정 모듈과 부착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70147033A1 (en) Wearable Ring Control Device
CN105559763A (zh) 一种移动病房系统
WO2018081416A1 (en) Carpal tunnel informatic monitor
KR20190089588A (ko)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KR102158048B1 (ko)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US10188346B2 (en) Cubital tunnel infomatic monitor
KR20180043051A (ko) 애완동물 지정 거리 이탈 방지방법 및 장치
WO2015061807A2 (en) Data-capable band management in an integrated application and network communication data environment
CN211068899U (zh) 一种跳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