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538A -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538A
KR20190089538A KR1020180008188A KR20180008188A KR20190089538A KR 20190089538 A KR20190089538 A KR 20190089538A KR 1020180008188 A KR1020180008188 A KR 1020180008188A KR 20180008188 A KR20180008188 A KR 20180008188A KR 20190089538 A KR20190089538 A KR 20190089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put
control buttons
control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144B1 (ko
Inventor
김경아
Original Assignee
김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아 filed Critical 김경아
Priority to KR102018000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1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카드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온라인 인증을 위한 일회용 암호를 임시 생성하는 OTP 기능과 제한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출원권한을 인증하는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상에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교번하여 활성화되는 두 개의 태그를 구비하고, OTP 생성기와 태그를 탑재함으로써,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하나의 박형카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THIN TYPE CARD HAVING OTP GENERATING AND ACCESS AUTHENTICAT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형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인증을 위한 일회용 암호를 임시 생성하는 OTP 기능과 제한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출원권한을 인증하는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뱅킹, 인터넷 결제, 또는 인터넷 쇼핑 등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인증시 이용되는 보안카드는 플라스틱 카드에 기록된 수십 개의 4자릿수 숫자 암호를 시스템에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복사가 용이하여 실제 사용자 외에 보안카드가 악용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보안카드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OTP(One Time Password) 생성기가 제안되었다. OTP 생성기는 저장된 OTP 생성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번 다른 숫자로 구성되는 암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무수히 많은 암호를 생성할 수 있고 보안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한편, 오프라인 분야에서도 사용자를 인증하는 수단으로서 출입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카드는 특정 회사나 단체는 그에 소속된 사원이나 단체원이 그 회사나 단체의 소속임을 증명하는 사원증 또는 출입증의 기능을 하며,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에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이 기록된 바코드 또는 마그네틱 바를 형성하거나, IC칩 또는 RFID칩 등을 탑재하여 리더를 통해 출입 제어기나 서버의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전자식 잠금장치를 개폐함으로써, 출입을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OTP 생성기 및 출입카드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 출입보안과 시스템보안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인증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분실 또는 도난 발생시, 비정상 취득자에게 모든 인증기능을 넘겨줄 수 밖에 없는 보안상 헛점을 내포하고 있다.
비록, 분실 또는 도난시 관리자에게 신고하여 해당 제품의 인증기능을 취소하는 시스템적 조치가 가능하더라도 조치가 되기 전까지는 비정상적인 취득자의 사용을 차단할 만한 별도의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9697호(공개일자: 2008.10.0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 뱅킹 등에서 사용자 인증에 이용되는 OTP 생성기와, 회사 또는 기관 등 출입이 제한된 장소에 방문하기 위한 출입카드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한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의 분실시, 이를 습득한 타인에 의해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정된 입력수단만을 이용하여 장치의 사용상태 및 유휴상태로의 전환 및 설정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면에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접속단을 갖는 안테나 배선과, 상기 기판의 일측에 인접하여 나란히 실장되고, 상기 제1 접속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태그와, 상기 제1 및 제2 태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접속단과의 전기적 연결을 결정하는 스위칭부와, N(N은 자연수)자리 숫자에 각각 대응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제어버튼과,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간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유휴상태 또는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는 전원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 및 스위치의 제어기능이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기록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와, 상기 스위칭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은,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따라 임시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OTP 생성모듈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에 의한 숫자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모듈과,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모듈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값과 상기 비밀번호 저장모듈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안테나 배선 및 제2 태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유휴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한 후, 일정시간 경과시 상기 유휴상태로 재전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증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재설정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가 일정시간 지속 입력되면, 비밀번호 재설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 저장모듈은 관리자 비밀번호가 더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관리자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두 개가 상기 전원버튼과 함께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을 통해 숫자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와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고, 비밀번호 설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타입이고, 상기 기판이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의 구동방법은, 상기 전원버튼의 입력에 따라 전원 온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와,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숫자를 비교하여, 일치시 사용상태로 전환하고, 불일치시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상태로 전환 이후, 일정시간 경과시, 유휴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온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재설정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가 일정시간 지속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른 숫자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온 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버튼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관리자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두 개가 함께 입력되는 단계이고, 상기 전원 온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른 숫자와 관리자 비밀번호가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상에 스위칭부의 제어에 따라 교번하여 활성화되는 두 개의 태그를 구비하고, OTP 생성기와 태그를 탑재함으로써,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하나의 박형카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형카드에 사용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비밀번호 설정 및 입력수단 탑재함으로써, 분실시에도 타인이 권한없이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정된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그 입력수단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치의 사용상태 및 유휴상태로의 전환 및 설정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가 사용상태로 전환시 도 1의 'T'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에 탑재되는 제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 등의 용어와,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장치(device)"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 "모듈" 및 "장치"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가 사용상태로 전환시 도 1의 'T'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1)는, 기판(10)과, 제1 및 제2 접속단(21, 22)을 갖는 안테나 배선(20)이 기판(10)의 내측 인접하여 폐곡선을 이루며 실장되고, 제1 접속단(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태그(30)와, 제1 및 제2 태그(30) 중, 어느 하나와 제2 접속단(22)과의 전기적 연결을 결정하는 스위칭부(40)와, 4자리 숫자에 각각 대응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제어버튼(50)과,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간 일치여부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하여 유휴상태 또는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60)와, 복수의 제어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와,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는 전원버튼(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은 플렉서블 타입이고, 박형카드(1)는 기판(10)이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케이스(9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본 발명의 박형카드(1)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가 실장되는 기판으로써, 플렉서블 타입 인쇄회로기판(flexible type print circuit board)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MT 공정에 의해 복수의 소자가 실장될 수 있고, 얇은 두께를 가짐에 따라 박형카드를 구현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기판도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 배선(20)은 활성화시, 외부의 리더기(미도시)로의 접근에 의해 태깅(tagging)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태그에 의한 RF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배선(20)은 기판(10)의 각 측단과 인접하여 나선형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판(10)의 일 측단에 치우쳐 나선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배선(20)은 양 끝이 두 개의 제1 접속단(21) 및 하나의 제2 접속단(2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접속단(21)은 제1 및 제2 태그(30) 모두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접속단(22)이 제2 태그(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태그(3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RFID칩 또는 NFC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태그(31)는 I2C 통신방식에 따라 제1 신호선(L1)을 통해 제어부(60)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태그(32)는 제어부(60)의 출력단에 제2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태그(30)는 각각 제2 접속단(22)과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태그(30)는, 박형카드(1)의 출하전에는 제어부(60)가 I2C통신 가능 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외부 공정장치로부터 제어부(60)에 데이터 쓰기(writing)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하후에는 I2C 통신이 비활성화됨에 데이터 수신기능이 무효화된다.
제2 태그(31)는 활성화시, 즉 안테나 배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외부의 리더기에 RF신호를 송출함에 따라 보안태그 기능을 갖게 된다.
스위칭부(40)는 제2 접속단(22)과, 제1 및 제2 태그(30) 중,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칭부(40)의 제어단은 제2 신호선(L2)을 통해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접속단(22)과 제1 태그(31), 또는 제2 접속단(22)과 제2 태그(32)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유휴상태로서, 안테나선(20)과 제1 태그(31)가 연결된 상태이고, 출입인증 또는 OTP 인증시에는 사용상태로서, 안테나선(20)과 제2 태그(32)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제어버튼(50)은 복수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10진수 자리수에 대응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4자리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박형카드(1)의 사용전 제어버튼(50)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이후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정상 사용자임을 인증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사용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제어버튼(50) 중, 일부는 특수버튼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비밀번호 재설정 및 박형카드 초기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비밀번호 설정 이후,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자 하면, 유휴상태에서 사용자가 'C'버튼을 3초정도 누른상태를 유지하면 비밀번호 재설정 기능이 활성화되어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전원버튼과 동시에 'A'버튼 및 'C'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관리자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관리자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고 재설정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본 발명의 박형카드(1)에 탑재되는 각 구성부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유휴상태에서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제1 태그(31)와 안테나 배선(20)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어버튼(50)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정상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정상인증시 제어부(60)는 확대된 부분(T)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제2 태그(32)와 안테나 배선(20)이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제어버튼(50)의 입력내용과, 사용상태에서 생성된 OTP 번호가 디스플레이부(7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는 범용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CU)으로 구성될 수 있고, 탑재된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박형카드(1)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비밀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원버튼(80)은 하나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60)는 박형카드(1)를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부들은 기판(10)상에 실장되어 케이스(90) 내 탑재될 수 있다. 케이스(9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공간 내 기판(10)이 배치됨에 따라 각 구성부들이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단, 제어버튼(50) 및 전원버튼(80)과, 디스플레이부(70)의 화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는 출입용 카드의 태그기능과 OTP카드의 비밀번호 표시기능을 평상시에는 무효상태로 설정해두고 사용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그 시점부터 일정시간 동안만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며, 분실과 도난에 대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상 취득자 즉 사용자만이 보안구역의 출입과 시스템 로그인을 허용하도록 인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박형카드는 정상 사용자가 자신만 아는 임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기능과, 이미 재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관리자에게 의뢰하여 비밀번호를 재설정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이 유효한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의 제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에 탑재되는 제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의 제어부(60)는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 및 스위치의 제어기능이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기록된 메모리(61), 메모리(6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63) 및, 스위칭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6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1)는 제어부(60)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기록되고,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61)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은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따라 임시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OTP 생성모듈(611)과, 복수의 제어버튼에 의한 숫자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모듈(613)과,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모듈(615)과,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값과 비밀번호 저장모듈(615)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안테나 배선 및 제2 태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모듈(617)로 구성될 수 있다.
OTP 생성모듈(611)은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으며, 제어부(60)의 실행에 따라 현재 시간에 따른 임의의 OTP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비밀번호 설정모듈(613)은 비밀번호 설정단계에서 실행되며, 제어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4자를 숫자를 비밀번호로서 등록하고, 비밀번호 저장모듈(61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1)는 별도의 공간내 사용자가 설정하는 비밀번호 이외에, 박형카드 제조공정에서 입력되는 관리자 비밀번호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61)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RAM) 및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CPU(63)는 메모리(61)에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CPU(63)는 전술한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65)를 통해 박형카드에 탑재된 제어버튼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그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CPU(63)는 산출논리 연산장치(ALU), 레지스터(Register), 쉬프터(Shif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5)는 기판상의 각 구동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65)는 CPU(63)와 외부 회로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AD/DA 변환기, SPI, USART, I2C 등의 통신모듈,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각 구동부를 제어하여 유효상태 및 사용상태로 박형카드의 구동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박형카드(1)는 출하전 제조공정에서 관리자 기능을 통해 초기 설정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관리자 기능은 제품 출하전 제조 공장내에서만 수행되는 기능으로서, 박형카드(1)는 사용자에게 출하될 때에는 활성화(activation)된 상태로 배포되게 된다.
먼저, 박형카드(1)는 관리자에 의해 전원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전원 온 되고(S100), 초기상태로서 제1 태그가 안테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의 I2C 통신이 활성화됨에 따라, 데이터 수신을 대기하게 된다(S110).
이어서, 박형카드(1)는 공정장치(5)의 리더기에 인접하여 위치됨에 따라 태그 리더기와 접속하면 통신이 시작되고(S120), 공정장치(5)에서 데이터전송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박형카드(1)의 상태값 읽기 명령을 전송한다(S130).
이에 따라, 박형카드(1)의 제어부는 자신의 정보와 현재 상태 정보를 공정장치(5)에 전송하게 되며(S140), 공정장치(5)는 카드의 정보에 따라 유효한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50), 유효카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공정을 중지하며, 유효카드이면, 카드의 기능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S160).
다음으로, 기능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한 박형카드(1)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의 메모리에 기록하게 된다(S170). 특히, 박형카드(1)는 카드의 초기화시 필요한 관리자 비밀번호를 내부 변수에 기록하게 된다.
S170 단계에 의해 성공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공정장치(5)는 박형카드(1)에 그 카드에 대한 활성화(activation)하는 명령을 전송하며(S180), 이러한 명령을 수신한 박형카드(1)는 데이터 수신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 즉, 사용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S190). 이러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박형카드(1)의 데이터 수신기능은 무효화 된다.
전술한 단계를 거쳐 준비된 박형카드는 사용자에게 배포되며, 사용자는 박형카드의 사용전 자신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카드의 사용준비를 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박형카드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준비 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배포된 박형카드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전원 온 상태로 전환된다(S200).
이어서, 초기 사용임에 따라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박형카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비밀번호의 설정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210).
이후, 사용자가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이 의도한 4자리의 숫자를 비밀번호로서 입력하고(S220), 동일 숫자를 재차 입력하여 박형카드의 제어부는 직전 입력한 숫자와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확인 과정을 거친다(S230).
S320 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비밀번호 설정단계인 S210 단계를 재차 진행하며, 일치하면 입력된 숫자를 메모리의 내부 변수에 저장하여 비밀번호로 설정한다(S250).
비밀번호가 설정되면 유휴상태로 전환되며, 박형카드의 사용 준비가 완료된다(S260). 전술한 유휴상태에서는 제어버튼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은 가능하나,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전까지 그 기능이 상실된 제1 태그가 활성화됨에 따라, OTP 번호 생성 또는 보안태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도 6은 사용 준비된 박형카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 도면으로서, 전원버튼의 입력에 따라 전원 온 하는 단계와,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와,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숫자를 비교하여, 일치시 사용상태로 전환하고, 불일치시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사용상태로 전환 이후, 일정시간 경과시, 유휴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박형카드는 구동개시 하고(S300), 비밀번호 입력대기 상태가 된다(S310). 이때,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비밀번호의 입력 안내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어버튼을 조작하여 N(N 자연수)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입력하면(S320), 박형카드의 제어부는 숫자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하고(S330), 설정된 비밀번호 즉, 메모리의 내부변수로 저장된 숫자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S340).
S340 단계에서 입력된 숫자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S310 단계를 재수행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2 태그와 안테나 배선이 결선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함에 따라, 박형카드는 사용상태로 전환된다(S350). 또한, S350 단계에서 제어부는 현재 박형카드가 사용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S350 단계에 따라, 사용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박형카드를 출입태그로 이용할 수 있고, 제어버튼의 조작을 통해 OTP 번호를 생성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상태에서 일정시간, 일예로서 30초 경과 후 사용자에 의해 어떠한 조작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제1 태그와 안테나 배선이 결선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함에 따라, 박형카드는 유휴상태로 전환된다(S36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카드의 비밀번호 재설정과 관련된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박형카드의 전원 온 하는 단계 이후, 복수의 제어버튼 중, 재설정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가 일정시간 지속 입력되고,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른 숫자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 재설정을 위한 관리자 모드 진입 방법으로서, 전원 온 단계는 전원 버튼과, 복수의 제어버튼 중, 관리자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두 개가 함께 입력되는 단계이고, 전원 온 단계 이후,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른 숫자와 관리자 비밀번호가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비밀번호 재설정 단계는 전원버튼의 입력에 따라 박형카드가 구동개시 하고(S400), 제어버튼 중, 특수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가 일정시간 동안 눌림이 유지되면, 비밀번호 설정기능이 활성화됨에 비밀번호 입력대기 상태가 된다(S410). 이에 사용자가 제어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S420), 설정된 비밀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430).
S430 단계에서, 입력된 숫자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S410 단계를 재차 수행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밀번호 설정 대기 상태로 진입함에 따라 도 5의 '가'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림에 따라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고 재설정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 사용자는 박형카드의 제조사 또는 판매사의 창구를 방문하여 관리자에게 비밀번호의 초기화를 위탁해야 한다.
이에, 박형카드를 위탁한 관리자는 제어버튼 중, 특수버튼으로 지정된 제1 및 제2 버튼과 전원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박형카드를 관리자 모드로 전원 온 하면(S500), 제어부는 관리자 비밀번호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510).
이후, 관리자가 제어버튼을 눌러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S520), 메모리의 내부변수로 저장된 관리자 비밀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530).
S530 단계에서, 입력된 숫자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S510 단계를 재차 수행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밀번호 설정 대기 상태로 진입함에 따라 도 5의 '가'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 : 박형카드 10 : 기판
20 : 안테나 배선 21 : 제1 접속단
22 : 제2 접속단 30 : 태그
31 : 제1 태그 32 : 제2 태그
40 : 스위칭부 50 : 제어버튼
60 : 제어부 70 : 디스플레이부
80 : 전원버튼 90 : 케이스
L1 : 제1 신호선 L2 : 제2 신호선

Claims (11)

  1.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접속단을 갖는 안테나 배선;
    상기 기판의 일측에 인접하여 나란히 실장되고, 상기 제1 접속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태그;
    상기 제1 및 제2 태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접속단과의 전기적 연결을 결정하는 스위칭부;
    N(N은 자연수)자리 숫자에 각각 대응하고,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제어버튼;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간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유휴상태 또는 사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하는 전원버튼
    을 포함하는 박형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 및 스위치의 제어기능이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기록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및
    상기 스위칭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박형 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은,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따라 임시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OTP 생성모듈;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에 의한 숫자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모듈;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값과 상기 비밀번호 저장모듈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안테나 배선 및 제2 태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박형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휴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한 후, 일정시간 경과시 상기 유휴상태로 재전환하는 박형카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증번호를 표시하는 박형카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재설정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가 일정시간 지속 입력되면, 비밀번호 재설정 상태로 전환하는 박형카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저장모듈은 관리자 비밀번호가 더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관리자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두 개가 상기 전원버튼과 함께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을 통해 숫자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와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고, 비밀번호 설정 상태로 전환하는 박형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타입이고, 상기 기판이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박형카드.
  9. 청구항 1에 기재된 박형카드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전원버튼의 입력에 따라 전원 온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숫자를 비교하여, 일치시 사용상태로 전환하고, 불일치시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상태로 전환 이후, 일정시간 경과시, 유휴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형카드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재설정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하나가 일정시간 지속 입력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른 숫자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형카드의 구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버튼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 중, 관리자 버튼으로 지정된 어느 두 개가 함께 입력되는 단계이고,
    상기 전원 온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른 숫자와 관리자 비밀번호가 일치시, 설정된 비밀번호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의 입력에 따라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형카드의 구동방법.
KR1020180008188A 2018-01-23 2018-01-23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5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88A KR102057144B1 (ko) 2018-01-23 2018-01-23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88A KR102057144B1 (ko) 2018-01-23 2018-01-23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38A true KR20190089538A (ko) 2019-07-31
KR102057144B1 KR102057144B1 (ko) 2019-12-18

Family

ID=6747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188A KR102057144B1 (ko) 2018-01-23 2018-01-23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43A (ko) * 2021-05-13 2022-11-22 (주)이.씨테크날리지 비접촉식 카드의 다중 와이어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인레이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697A (ko) 2007-04-02 2008-10-08 (주)아이디에스 Otp 디스플레이 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68Y1 (ko) * 2014-10-06 2015-01-27 (주)네모플레이 Nfc 멀티 태그
US20170289127A1 (en) * 2016-03-29 2017-10-05 Chaya Coleena Hendrick Smart data cards that enable the performance of various functions upon activation/authentication by a user's fingerprint, oncard pin number entry, and/or by facial recognition of the user, or by facial recognition of a user alone, including an automated changing security number that is displayed on a screen on a card's surface following an authenticated biometric match
KR101632932B1 (ko) 2015-06-18 2016-06-24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697A (ko) 2007-04-02 2008-10-08 (주)아이디에스 Otp 디스플레이 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343A (ko) * 2021-05-13 2022-11-22 (주)이.씨테크날리지 비접촉식 카드의 다중 와이어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인레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144B1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110B1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카드 동작 방법
US10452831B2 (en) Trusted device
JP5129857B2 (ja) 動的にプログラマブルなrfidトランスポンダ
US20080028230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proximity card
US69552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smart card
WO2007072480A2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transactions
US89916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docking
US20070283145A1 (en) Multi-Factor Security System With Portable Devices And Security Kernels
JP2002358576A (ja) Pos拡張マネージャ/オペレータ・オーバライド・システム
TW201643787A (zh) 卡片及應用程式產品
JP2014511047A (ja) 検証手段を有するスマートカード
US828686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ssociation with security parameter
US8347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 PIN validation signal in a data processing unit
US11797816B2 (en) Multi-purpose smart card with user trusted bond
KR20100105704A (ko) 메모리 영역으로의 액세스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 해당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JPH11195102A (ja) センサー付きicカード
US200400494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e of an electronic authorization/credit card
KR20190089538A (ko) Otp 생성 및 출입인증 기능을 갖는 박형카드 및 이의 구동방법
EP1857966B1 (fr) Objet portable à élément à puce personnalisée susceptible d'être interrogée par une unité de lecture externe
KR200401587Y1 (ko)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용 스마트카드 리더 장치
KR20180118583A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카드 동작 방법
JPH1091533A (ja) Icカード用携帯端末装置およびキー照合方法
US20230334131A1 (en) Biometrically protected device
KR100727866B1 (ko)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용 스마트카드 리더 장치
JP2006172158A (ja) 決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