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522A - 강사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강사 추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522A
KR20190089522A KR1020180008151A KR20180008151A KR20190089522A KR 20190089522 A KR20190089522 A KR 20190089522A KR 1020180008151 A KR1020180008151 A KR 1020180008151A KR 20180008151 A KR20180008151 A KR 20180008151A KR 20190089522 A KR20190089522 A KR 2019008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light
camer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983B1 (ko
Inventor
유혜인
Original Assignee
유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인 filed Critical 유혜인
Priority to KR102018000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9
    • H04N5/23203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는, 팬틸트 위에 설치되며 복수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갖는 촬영부;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팬틸트의 회전을 제어함으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 중 하나를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의 공유 영역으로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공유 영역을 나가는 제 2 위치에,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생한 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를 각각 구비하고, 강사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지나는 경우에 상기 발생한 광의 차단을 감지함으로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는 촬영 영역 사이에 공유 영역을 설정하고, 강사가 공유 영역을 지나는 경우에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영역 경계에서 발생하는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강사 추적 장치{DEVICE FOR TRACKING LECTURER}
본 발명은 강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강의 녹화 시스템의 강사 추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강의 녹화 시스템은 카메라, 컨트롤러,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강의 녹화 시스템은 강단의 일정한 높이에 일렬로 적외선 센서를 설치한다. 그리고 강사가 일정 반경 내에서 좌우로 움직일 때 이를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의 발광부는 계속 적외선을 발사하고 수광부는 강사에 의해 부딪쳐 반사된 신호를 수신한다. 컨트롤러가 수신된 센서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러한 종래의 강사 위치 추적을 이용한 강의 녹화 시스템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고, 강사의 이동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잘못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하는 경계 부분에서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하는 경계 부분에서 오동작을 줄일 수 있는 강사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는, 팬틸트 위에 설치되며 복수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갖는 촬영부;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팬틸트의 회전을 제어함으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 중 하나를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의 공유 영역으로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공유 영역을 나가는 제 2 위치에,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생한 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를 각각 구비하고, 강사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지나는 경우에 상기 발생한 광의 차단을 감지함으로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는, 복수의 촬영 영역 각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를 갖는 촬영부;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대응하는 촬영 영역을 촬영 및 편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의 공유 영역으로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공유 영역을 나가는 제 2 위치에,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생한 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를 각각 구비하고, 강사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지나는 경우에 상기 발생한 광의 차단을 감지함으로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광은 레이저빔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에 있는 각각의 발광부에서 2개의 광을 각각의 수광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는 이웃하는 2개의 촬영 영역에 공유 영역을 설정하고, 공유 영역의 시작과 끝부분에서 광(예를 들면, 레이저빔)의 차단에 의한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강사 추적 장치는 연속되는 두 개의 감지 신호를 통해 촬영 영역을 변경함으로, 촬영 영역 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카메라의 촬영 영역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한 강의 녹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에서 강사가 B 촬영 영역에서 A 촬영 영역과 C 촬영 영역으로 이동한 모습을 각각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한 강의 녹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강의 녹화 시스템(1000)은 강사 추적 장치(1100)와 영상 제작 장치(1200)를 포함한다. 강사 추적 장치(1100)는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강의 내용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제작 장치(1200)는 강의 내용을 수강생들이 볼 수 있도록, 강사 추적 장치(1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편집 또는 제작할 수 있다.
강사 추적 장치(1100)는 촬영부(1110), 제어부(1120), 그리고 센서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10)는 팬틸트(pantilt)와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팬틸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팬틸트 위에 고정되어 있고, 팬틸트는 강사를 추적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촬영부(111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는 회전 동작 없이 강사의 위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만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는 팬(pan), 틸트(tilt), 및 줌(zoom) 기능을 사용하여, 강사의 판서 및 강의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센서부(1130)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촬영부(1110)의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20)는 팬틸트의 회전을 제어함으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의 촬영 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고, 이웃하는 두 촬영 영역은 공유 영역(share area)을 가질 수 있다. 강사가 공유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어부(1120)는 현재 촬영 영역과 이동하려는 촬영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센서부(113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센서부(1130)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팬틸트를 회전함으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센서부(1130)는 제어부(1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130)는 엑스비(xbee)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제어부(112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1130)는 강사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1120)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13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에서 광이 발사되고, 발사된 광은 수광부로 입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부(1130)에는 광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에서 수광부로 흐르는 광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하에서는 레이저빔이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레이저빔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흐름은 강사의 이동에 따라 차단될 수 있다. 강사가 레이저빔과 수광부 사이를 지나게 될 때 전기적 신호의 흐름은 차단될 수 있다. 센서부(1130)는 레이저빔의 차단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1120)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130)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각각 복수의 레이저와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저와 센서는 강단의 양쪽 맞은편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센서는 칠판쪽에 위치하고, 레이저는 수강생이 있는 강단 끝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가 강단 끝부분에 위치하고, 레이저가 칠판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센서는 칠판 아랫쪽에서 일정한 높이와 간격으로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는 복수의 센서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강단의 끝부분에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130)의 레이저부와 수광부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레이저부에서 발사된 레이저빔은 거울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될 수도 있다. 일체로 구성된 센서부(1130)는 칠판쪽 또는 강단 끝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영상 제작 장치(1200)는 강사 추적 장치(1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고 강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영상 제작 장치(1200)는 강사 추적 장치(1100)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제작 장치(1200)가 강사 추적 장치(110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 영상을 편집하고 강의 영상을 제작하는 동작은 촬영부(1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촬영은 촬영부(1110)에서 수행되고, 영상 편집 및 제작은 제어부(1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강사 추적 장치(1101)는 촬영부(1110), 제어부(1120), 그리고 센서부(1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120)는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의 촬영 영역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영역은 A, B, C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촬영 영역이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A 및 B 촬영 영역은 제 1 영역(111)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B 및 C 촬영 영역은 제 2 영역(112)을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영역(111)을 제 1 공유 영역이라 하고, 제 2 영역(112)을 제 2 공유 영역이라고 한다. 강사가 B 촬영 영역에서 A 촬영 영역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120)는 A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카메라를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강사가 B 촬영 영역에서 C 촬영 영역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120)는 C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카메라를 회전할 수 있다.
제 1 공유 영역(111)의 양 끝에는 제 1 및 제 2 센서가 설치되고, 제 2 공유 영역의 양 끝에는 제 3 및 제 4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강단의 한쪽면에는 제 1 및 제 2 센서에 레이저빔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레이저와, 제 3 및 제 4 센서에 레이저빔을 제공하는 제 3 및 제 4 레이저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레이저 사이의 간격, 즉 제 1 공유 영역(111)의 길이는 강사의 몸통 길이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강사가 제 1 공유 영역(111)을 이동할 때 제 2 센서와 제 1 센서로 향하는 레이저빔이 순차적으로 차단되고 감지 신호가 오동작 없이 발생하도록, 제 1 공유 영역(111)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공유 영역(111)의 길이는 약 1m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1100)는 이웃하는 2개의 촬영 영역에 공유 영역을 설정하고, 공유 영역의 시작과 끝부분에서 레이저빔의 차단에 의한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강사 추적 장치(1100)는 연속되는 두 개의 감지 신호를 통해 촬영 영역을 변경함으로, 촬영 영역 경계에서 발생하는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에서 강사가 B 촬영 영역에서 A 촬영 영역과 C 촬영 영역으로 이동한 모습을 각각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강사가 B 촬영 영역에서 A 촬영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 1 공유 영역(111)을 지나게 된다. 강사가 제 1 공유 영역(111)을 지날 때, 제 2 레이저에서 제 2 센서로 흐르는 레이저빔과 제 1 레이저에서 제 1 센서로 흐르는 레이저빔이 연속해서 차단된다. 제어부(도 2 참조, 1120)는 제 1 및 제 2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촬영부(1110)의 카메라가 A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강사가 B 촬영 영역에서 C 촬영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 2 공유 영역(112)을 지나게 된다. 강사가 제 2 공유 영역(112)을 지날 때, 제 3 및 제 4 센서로 흐르는 레이저빔이 연속해서 차단된다. 제어부(도 2 참조, 1120)는 제 3 및 제 4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촬영부(1110)의 카메라가 C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 1은 레이저빔이 차단되는 센서에 따른 촬영 영역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센서에 흐르는 레이저빔이 차단되는 경우에, 카메라는 B 촬영 영역으로 향한다. 제 3 및 제 4 센서에 흐르는 레이저빔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C 촬영 영역으로 향한다. 제 2 및 제 1 센서에 흐르는 레이저빔이 순서대로 차단되는 경우에는 A 촬영 영역으로 촬영하고, 제 4 및 제 3 센서에 흐르는 레이저빔이 순서대로 차단되는 경우에는 B 촬영 영역으로 향한다.
경우 센서A 센서B 촬영 영역
CASE 1 1 2 B
CASE 2 3 4 C
CASE 3 2 1 A
CASE 4 4 3 B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강사 추적 장치(2100)는 촬영부(2110), 제어부(2120), 그리고 센서부(21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 및 B 촬영 영역은 제 1 공유 영역(211)을 공유한다. 그리고 B 및 C 촬영 영역은 제 2 공유 영역(212)을 공유한다.
센서부(2130)는 레이저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부는 제 1 내지 제 4 레이저로 구성되고, 수광부는 제 1 내지 제 4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저에서 대응하는 센서로 2개의 레이저빔이 발사될 수 있다. 2개의 레이저빔이 발사되는 이유는 마이크선 등에 의한 레이저빔 차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강사가 B 촬영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데, 마이크선이 제 3 및 제 4 센서 앞을 지남으로 레이저빔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2110)의 카메라는 C 촬영 영역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레이저에서 2개의 레이저빔이 발사될 수 있다. 2개의 레이저빔 사이의 거리는 마이크선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레이저빔 사이의 간격은 약 10cm 정도일 수 있다. 각각의 센서는 2개의 레이저빔이 동시에 차단되는 경우에만, 레이저빔의 차단으로 인식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21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강사 추적 장치(3100)는 촬영부(3110), 제어부(3120), 그리고 센서부(31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 및 B 촬영 영역은 제 1 공유 영역(311)을 공유한다. 그리고 B 및 C 촬영 영역은 제 2 공유 영역(312)을 공유한다.
촬영부(3110)는 복수의 카메라(3111-3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3111)는 A 촬영 영역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3112)는 B 촬영 영역을 촬영하고, 제 3 카메라(3113)는 C 촬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3120)는 강사의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카메라(3111-3113) 중에서 하나만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0)는 강사가 제 1 공유 영역(311)을 지나 A 촬영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 1 카메라(3111)가 동작하도록 촬영부(311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120)는 강사가 제 2 공유 영역(312)를 지나 C 촬영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 3 카메라(3113)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부(3110)에서 촬영한 영상은 영상 제작 장치(도 1 참조, 12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20)는 강사의 이동에 관계없이 제 1 내지 제 3 카메라(3111-3113)가 모두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카메라(3111)는 A 촬영 영역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3112)는 B 촬영 영역을 촬영하고, 제 3 카메라(3113)는 C 촬영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3120)는 강사의 이동에 따라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만을 영상 제작 장치(1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영상 편집을 쉽게 하고, 강의 녹화를 다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에 센서부(3130)의 오동작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센서부(3130)에서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정상 촬영 영역을 촬영한 영상으로 재편집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강사 추적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강사 추적 장치(4100)는 촬영부(4110), 제어부(4120), 그리고 강사 위치 추적부(41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 및 B 촬영 영역은 제 1 공유 영역(411)을 공유하고, B 및 C 촬영 영역은 제 2 공유 영역(412)을 공유한다.
제어부(4120)는 강사 위치 추적부(4130)의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촬영부(4110)의 촬영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강사 위치 추적부(4130)는 강사의 몸에 부착된 위치 추적기 또는 GPS 위치 추적 등을 이용하여 강사의 이동을 추적하고 위치 정보를 제어부(4120)로 제공할 수 있다.
강사가 (b) 영역에서 (a)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 1 영역(421)을 지나게 된다. 제 1 영역(421)의 양쪽 라인(L1, L2)을 지날 때, 제어부(4120)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촬영부(4110)의 카메라가 A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강사가 (b) 영역에서 (c)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 2 영역(422)을 지나게 된다. 제 2 영역(421)의 양쪽 라인(L3, L4)을 지날 때, 제어부(4120)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촬영부(4110)의 카메라가 C 촬영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20)는 강사의 위치 추적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하거나,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만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사 추적 장치는 촬영 영역 사이에 공유 영역을 설정하고, 강사가 공유 영역을 지나는 경우에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변경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영역 경계에서 발생하는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강의 녹화 시스템
1100, 2100, 3100, 4100: 강사 추적 장치
1110, 2110, 3110, 4110: 촬영부
1120, 2120, 3120, 4120: 제어부
1130, 2130, 3130: 센서부
4130: 강사 위치 추적부
1200: 영상 제작 장치

Claims (4)

  1. 팬틸트 위에 설치되며 복수의 촬영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갖는 촬영부;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팬틸트의 회전을 제어함으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 중 하나를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의 공유 영역으로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공유 영역을 나가는 제 2 위치에,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생한 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를 각각 구비하고, 강사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지나는 경우에 상기 발생한 광의 차단을 감지함으로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강사 추적 장치.
  2. 복수의 촬영 영역 각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를 갖는 촬영부;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가 대응하는 촬영 영역을 촬영 및 편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촬영 영역의 공유 영역으로 들어가는 제 1 위치와 상기 공유 영역을 나가는 제 2 위치에,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생한 광을 입력받는 수광부를 각각 구비하고, 강사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지나는 경우에 상기 발생한 광의 차단을 감지함으로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강사 추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레이저빔인 강사 추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에 있는 각각의 발광부에서 2개의 광을 각각의 수광부로 제공하는 강사 추적 장치.
KR1020180008151A 2018-01-23 2018-01-23 강사 추적 장치 KR10202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51A KR102029983B1 (ko) 2018-01-23 2018-01-23 강사 추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51A KR102029983B1 (ko) 2018-01-23 2018-01-23 강사 추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22A true KR20190089522A (ko) 2019-07-31
KR102029983B1 KR102029983B1 (ko) 2019-10-08

Family

ID=6747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151A KR102029983B1 (ko) 2018-01-23 2018-01-23 강사 추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2957A (zh) * 2021-04-22 2022-10-25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中的快速拍照的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54A (ko) * 2003-06-16 2004-12-23 (주)지온소프트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
KR20060089110A (ko) * 2005-02-03 2006-08-08 김용직 레이저 광선 각도 조절 장치
KR100684961B1 (ko) * 2006-09-15 2007-02-22 (주)파비스 매트형 강사위치 추적 시스템
KR100770431B1 (ko) * 2006-05-08 2007-10-26 (주)지온소프트 강사 자동 추적 시스템용 센서 어셈블리
KR20090076112A (ko) * 2008-01-07 2009-07-13 유로원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KR20120104657A (ko) * 2011-03-14 2012-09-24 (주)컴버스테크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KR20120139914A (ko) * 2011-06-20 2012-12-28 주식회사 드림정보기술 자동 위치 추적 및 녹화 시스템
KR20130080710A (ko) * 2012-01-05 2013-07-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서 내용도 함께 촬영하여 제공하는 판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KR20160082291A (ko) * 2014-12-30 2016-07-08 채수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54A (ko) * 2003-06-16 2004-12-23 (주)지온소프트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
KR20060089110A (ko) * 2005-02-03 2006-08-08 김용직 레이저 광선 각도 조절 장치
KR100770431B1 (ko) * 2006-05-08 2007-10-26 (주)지온소프트 강사 자동 추적 시스템용 센서 어셈블리
KR100684961B1 (ko) * 2006-09-15 2007-02-22 (주)파비스 매트형 강사위치 추적 시스템
KR20090076112A (ko) * 2008-01-07 2009-07-13 유로원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KR20120104657A (ko) * 2011-03-14 2012-09-24 (주)컴버스테크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KR20120139914A (ko) * 2011-06-20 2012-12-28 주식회사 드림정보기술 자동 위치 추적 및 녹화 시스템
KR20130080710A (ko) * 2012-01-05 2013-07-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판서 내용도 함께 촬영하여 제공하는 판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KR20160082291A (ko) * 2014-12-30 2016-07-08 채수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2957A (zh) * 2021-04-22 2022-10-25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中的快速拍照的方法
CN115242957B (zh) * 2021-04-22 2024-01-23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中的快速拍照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83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785B2 (en) Ligh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A2908719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quipment related to image capture
JP4708581B2 (ja) 座標入力装置、座標入力指示具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527426A (zh) 一种室内多目轨迹规划系统及其方法
US20160071486A1 (en) Immersive projection lighting environment
CN104615132B (zh) 自主式移动载体以及自动跟随系统
KR101573681B1 (ko) 카메라 모듈 초점 조정 장치 및 방법
EP3674830A1 (en)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ser irradiation of movement path of robot, and robot that moves based thereon
GB2501398A (en) Active infrared detection device for monitoring a detection zone
CN111405735A (zh) 一种自动焦点定位式舞台追灯追踪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029983B1 (ko) 강사 추적 장치
JP2011134058A (ja) 光学式自己位置検知装置及び方法
IL123734A (en) Method of providing background patterns for camera tracking
CA2848879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mechanical elements
US11429014B2 (en) Laser animation proj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26731A (ja) マーカー装置
US9599988B2 (en) Adapted mobile carrier and auto following system
US9310667B2 (en) Orientation system for image recording devices
KR20160121958A (ko) 피사체의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시스템
JP2005062486A (ja) 投射システム、投射装置、及び投射方法
KR101367700B1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KR102542241B1 (ko) 패턴 묘화 장치 및 패턴 묘화 방법
JP2011120186A (ja) ビデオカメラ撮像用装置
WO2022208571A1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102436036B1 (ko) 생존자 탐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