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700B1 -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700B1
KR101367700B1 KR1020110022182A KR20110022182A KR101367700B1 KR 101367700 B1 KR101367700 B1 KR 101367700B1 KR 1020110022182 A KR1020110022182 A KR 1020110022182A KR 20110022182 A KR20110022182 A KR 20110022182A KR 101367700 B1 KR101367700 B1 KR 10136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structor
sensing
area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657A (ko
Inventor
이돈원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riority to KR102011002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70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66Tracking system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감지센서를 천장에 설치하여 아랫방향으로 강사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강단영역에 가까이 앉은 수강생들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
본 발명은 강단영역의 천장 또는 벽면에 다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강의를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 또는 하단의 가로방향으로 감지센서를 설치하되,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을 전면 하방 또는 전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강의 또는 교육용 강의 콘텐츠는 강사가 실제 강의하는 내용을 녹화하여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한 교육용 영상 콘텐츠는 최근 인터넷이 발달되고 인터넷 사용자가 늘면서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교육용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발달되고 있다.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하여, 강사가 강의를 실시하는 강의실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조작이 능숙한 카메라 촬영 기사가 강의를 녹화한다. 촬영기사는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를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강사를 촬영하여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강의 촬영 방법은 강사의 강의 내용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의 조작이 능숙한 촬영 기사를 반드시 필요로 하였고,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 기사가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촬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강의 내용을 촬영하는 촬영 기사는 매우 분주하게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촬영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으로 강사를 추적하여 강의를 촬영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일례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7954호(2004.12.23공개),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에 제시되고 있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은 강단의 한쪽면에 일정한 높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100); 줌인/줌아웃 기능과 틸팅, 패닝 동작이 가능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강사를 추적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300); 및 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강사 위치로 비디오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컨트롤러(200)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 1에 의하면, 다수의 센서들은 적외선 감지센서들로 구성된다. 적외선 감지센서들은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발광부를 통하여 적외선을 전방으로 발사하고 발사된 적외선이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부로 수광함으로써 물체를 감지한다. 감지거리는 조정볼륨을 통하여 강단의 전후 폭을 감안하여 대략 1.5m 이내로 조정된다. 또한, 강단의 우측 또는 좌측에 교탁이 설치된 경우에는 교탁이 감지되지 않도록 대응하는 센서들의 감지거리를 조정하여 세팅한다.
즉,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100)는 통상 칠판(420)의 하단 위치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물체 여부를 감지한다. 즉, 강사(510)가 있으면, 강사를 물체로 감지한다. 센서(100)의 감지거리가 길면, 수강생(520)이나 교탁(45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들의 감지거리를 조정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센서는 감지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정확한 감지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는 고가이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탁(450) 등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강단(450)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각 센서(100)의 감지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단영역의 천장 또는 벽면에 다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강의를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 또는 하단의 가로방향으로 감지센서를 설치하되,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을 전면 하방 또는 전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센서를 일렬로 배열하여 설치하되, 감지센서에 가로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차단막을 설치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단영역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상기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단영역의 벽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감지센서의 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되, 2개 이상의 인접한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면 인접한 감지센서들의 평균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막은 상기 천장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길이가 긴 면이 상기 천장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차단막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감지센서들은 하나의 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센서를 천장에 설치하여 아랫방향으로 강사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강단영역에 가까이 앉은 수강생들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을 전면 하방 또는 전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함으로써, 감지센서의 감지거리를 조절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에 가로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감지센서의 감지범위를 보다 세밀하게 설정하여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센싱기반 강사추적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강사위치를 검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6은 종래기술에 의한 감지센서의 지향각에 따른 감지영역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의 차단막의 구성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싱부 11 : 감지센서
20 : 제어부 30 : 카메라
40 : 강단영역 41 : 벽면
42 : 칠판 43 : 천장
44 : 바닥 45 : 교탁
51 : 강사 60 : 차단막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은 센싱부(10), 카메라(30), 및,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센싱부(10)는 강단영역(40)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11)를 포함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상기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단영역(40)은 강사가 강의를 하는 영역으로서, 일측면은 벽면(41)으로 되어 있다. 강사(51)는 통상 벽면(41)을 등에 대고 그 반대방향을 바로 보며 강의를 한다. 그리고 강단영역(40)의 벽면(41)에는 통상 칠판(4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강단영역(40)의 정면에는 교탁(45)이 놓여질 수 있다. 또한, 강단영격(40)의 위쪽은 천장(43)이 있고, 그 아래쪽은 바닥(44)이다.
다수의 감지센서(11)는 강단영역(40)의 천장(43)에 일렬로 설치된다. 또, 도 3과 같이, 각 감지센서(11)는 천장(43)의 아랫방향으로 향하여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싱부의 감지센서(11)들은 하나의 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감지센서(11)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물체 감지센서)로 구현된다. 즉, 물체 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발광부를 통하여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전방으로 발사한다. 그리고 물체 감지센서는 발사된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수광부를 통하여 적외선을 수광함으로써 물체를 감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센서(11)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움직임 감지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도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된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수광한다.
이때, 방출된 초음파(또는 적외선)는 외계의 물체에 충돌하여 반사되고 다시 수신되는데 수신된 초음파 신호(또는 적외선 신호)에는 외계의 물체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수신되는 초음파(또는 적외선)는 외계의 지형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패턴을 판독하여 외계의 지형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는 내부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여, 수광부를 통해 수집한 외계의 지형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센서의 컨트롤러는 현재 수광부를 통해 수집된 신호 패턴과 기록된 신호패턴을 비교하여, 신호패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체 감지센서를 이용하면, 교탁(45) 등 고정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강사(51)를 감지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반응한다. 그러나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면, 교탁(45) 등 고정물체가 감지되지 않고, 움직이는 강사(51)만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강사(51)가 움직이지 않은 채 강의만 하는 경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없게 되므로, 움직임 감지센서는 강사(51)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움직임 감지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카메라(30)의 촬영방향도 고정하면 되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지센서(11)는 물체 감지센서나 움직임 감지센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움직임 감지센서로 구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교탁 등 고정물체가 있다하더라도 강사(51)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감지센서(11)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 변화를 감지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Pyroelectric Infrared Sensor)는 열 센서의 일종으로서 동작 감지를 위한 센서로 사용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는 측정 영역 내에 발생하는 열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화시킴으로써 측정 영역 내의 물체 또는 동작의 변화 및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해낸다.
다음으로, 카메라(30)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강단영역(40) 내를 촬영한다. 즉, 도 2와 같이, 강단영역(40) 내에는 강사(51)가 위치하고 있으며, 강사(51)의 맞은편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강사(51)를 추적 촬영하는 카메라(30)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30)는 팬/틸트 발판(Pan/Tilt Pedestal)이 장착된 고해상도 이미지의 비디오 카메라이다. 카메라(30)는 피사체의 밝기 및 배경 조명상태 유지를 위한 자동노출 및 배경조명 보정기능이 있으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항상 안정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오토 줌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감지센서(11)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카메라(30)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도록 카메라(30)를 제어한다. 카메라(30)는 RS-232C 케이블(혹은 리모콘신호) 등을 통해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강사를 추적한다.
제어부(20)는 감지되는 감지센서(11)의 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되, 2개 이상의 인접한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면 인접한 감지센서들의 평균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한다.
도 4a의 예에서, 감지센서 11d에서 감지되면, 11d의 위치에서 강사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 도 4b에서, 감지센서 11f와 11g에서 동시에 감지되면, 11f와 11g의 위치 사이에 강사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그 위치는 11g와 11g의 평균 위치(또는 중간 위치)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의 구성의 문제점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등에 의해 물체(또는 물체의 움직임)를 감지한다. 따라서 감지센서(11)는 음파 또는 빛의 성질을 이용하므로, 직진성으로 인한 일정한 지향각에 의해 감지하는 영역(A)이 한정된다. 즉, 도 5에서 감지영역은 영역 A부분이고, 감지되지 않은 영역은 영역 B이다. 즉, 강사가 영역 A로 들어오면 감지되고, 영역 B로 나가면 감지되지 않는다. 이때, 도 5에서 각 P가 곧 지향각이다.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차단할 수 있는 실린더 케이스 등을 이용하면, 감지센서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83936호,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 등에 개시되고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지향각에 의한 감지영역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 6a와 같이, 지향각을 작게 설정하면, 감지영역이 작아 강단영역(40)의 뒤쪽과 앞쪽의 위치를 감지할 수 없다. 즉, 강사가 위치 C나 D에 위치하면 강사를 감지할 수 없다. 이 경우,
도 6b와 같이, 지향각을 크게 설정하면, 감지영역이 커지므로 인접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11)들이 모두 감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점 E에 강사가 위치하면, 인접한 감지센서(11) 3개에서 모두 강사를 감지한다. 따라서 강사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강사의 위치를 정밀하게 감지하면서 전체 강단영역(40)을 포괄하여 감지하려면, 도 6c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열(row)로 감지센서(11)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감지센서를 2배 이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의 차단막의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의 둘레에 차단막(60)을 설치한다. 도 7a는 차단막(60)이 설치된 감지센서(11)의 정면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감지센서의 (천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때, 도 7b와 같이, 차단막(60)을 천장(43)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또는 도 7c와 같이, 차단막(60)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의 길이가 긴 면이 천장(43)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인 형태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차단막(60)을 감지센서(11)의 둘레에 설치하면, 가로방향의 지향각이 세로방향의 지향각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감지센서(11)에 의한 감지영역은 도 8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감지센서(11)의 감지영역은 세로로 길쭉해짐으로써, 이웃하는 감지센서(11)의 감지영역과만 중복이 이루어지며, 강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면서도, 전체 강단영역(40)을 포괄하여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11)는 차단막(60)과 일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감지센서(11)를 강단영역(40)의 벽면(41)에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차이점만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은 센싱부(10), 카메라(30), 및,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센싱부(10)는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11)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는 그 감지방향을 강단영역(40)의 전면의 하방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즉, 감지센서(11)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지향각을 강단영역(40)의 바닥(44)으로 향하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서의 감지영역이 강단영역(40)의 바닥(44)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물체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교탁(45)의 안쪽 내의 바닥(44)으로 감지영역이 설정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11)의 센싱방향(또는 지향각)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로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감지센서(11)에도 제2 실시예의 차단막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감지센서(11)를 벽면 하단에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차이점만 설명한다.
센싱부(10)는 강단영역의 벽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11)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는 그 감지방향을 강단영역(40)의 전면의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즉, 감지센서(11)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지향각을 강단영역(40)의 상단으로 향하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서의 감지영역이 교탁(45) 등 고정물체의 위쪽 방향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벽면(41) 측면은 90도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11)의 센싱방향(또는 지향각)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로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감지센서(11)에도 제2 실시예의 차단막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강의를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1)

  1.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상기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막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은 이웃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영역과만 중복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는 내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이며,
    상기 내부 컨트롤러는 수광부를 통해 수집한 외계의 지형 정보를 기록하며, 현재 수광부를 통해 수집된 신호 패턴과 기록된 신호패턴을 비교하며, 신호패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2.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막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은 이웃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영역과만 중복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는 내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이며,
    상기 내부 컨트롤러는 수광부를 통해 수집한 외계의 지형 정보를 기록하며, 현재 수광부를 통해 수집된 신호 패턴과 기록된 신호패턴을 비교하며, 신호패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3.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벽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막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은 이웃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영역과만 중복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는 내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이며,
    상기 내부 컨트롤러는 수광부를 통해 수집한 외계의 지형 정보를 기록하며, 현재 수광부를 통해 수집된 신호 패턴과 기록된 신호패턴을 비교하며, 신호패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감지센서의 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되, 2개 이상의 인접한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면 인접한 감지센서들의 평균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감지센서들은 하나의 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KR1020110022182A 2011-03-14 2011-03-14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KR10136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82A KR101367700B1 (ko) 2011-03-14 2011-03-14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82A KR101367700B1 (ko) 2011-03-14 2011-03-14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57A KR20120104657A (ko) 2012-09-24
KR101367700B1 true KR101367700B1 (ko) 2014-02-28

Family

ID=4711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82A KR101367700B1 (ko) 2011-03-14 2011-03-14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983B1 (ko) * 2018-01-23 2019-10-08 유혜인 강사 추적 장치
KR102461869B1 (ko) * 2021-05-21 2022-10-31 (주)알앤씨미디어 강의 녹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54A (ko) * 2003-06-16 2004-12-23 (주)지온소프트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
KR100683936B1 (ko) * 2006-01-09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
KR100770431B1 (ko) * 2006-05-08 2007-10-26 (주)지온소프트 강사 자동 추적 시스템용 센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954A (ko) * 2003-06-16 2004-12-23 (주)지온소프트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
KR100683936B1 (ko) * 2006-01-09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
KR100770431B1 (ko) * 2006-05-08 2007-10-26 (주)지온소프트 강사 자동 추적 시스템용 센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57A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508B2 (en) Virtual studio position sensing system
US86107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calibration of a projector image display towards a display screen, and a display screen for such use
US8068154B2 (en) Digital camera with non-uniform image resolution
US8390686B2 (en)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US2005011703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calibration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JP2015510586A (ja) 3dズーム撮像装置
KR101287019B1 (ko) 판서 내용도 함께 촬영하여 제공하는 판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US7583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image scenes with a camera
US20080239250A1 (en) Computer projector method and apparatus
US8306415B2 (en) Single seat-kill camera system
US6550922B2 (en) Audio-video recording of overhead projector based presentations
KR20180014141A (ko) 스크린골프 시스템의 골프볼 궤적분석장치
KR101367700B1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CN111259824B (zh) 基于教室尺寸自动生成扫描路径的方法
WO2019220752A1 (ja) 自動追尾録画システムおよび録画制御装置
JP5491354B2 (ja) スキャナ装置および該スキャナ装置における撮影対象の置き場所検出方法
JP4436990B2 (ja) ボール弾道計測装置
CN104279979B (zh) 用于确定投影机的辐射区域中的手势的方法和装置
US20040142772A1 (en) Ball trajectory measuring apparatus
KR100770431B1 (ko) 강사 자동 추적 시스템용 센서 어셈블리
KR102029983B1 (ko) 강사 추적 장치
KR101502683B1 (ko) 3차원 센서를 이용한 강사 추적 시스템
US7394917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trajectory
US20170188018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epth map using a camera
JP2004198817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