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869B1 - 강의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의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869B1
KR102461869B1 KR1020210065473A KR20210065473A KR102461869B1 KR 102461869 B1 KR102461869 B1 KR 102461869B1 KR 1020210065473 A KR1020210065473 A KR 1020210065473A KR 20210065473 A KR20210065473 A KR 20210065473A KR 102461869 B1 KR102461869 B1 KR 10246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cture
frame
inclined surface
lectu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주)알앤씨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앤씨미디어 filed Critical (주)알앤씨미디어
Priority to KR1020210065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04N5/23206
    • H04N5/23218
    • H04N5/23299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뒤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강사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카메라가 항시 강사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강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동작 감지 센서;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추적하면서 강의 영상을 촬영하는 강사 추적 카메라; 강의 중인 강사가 필기하기 위한 칠판; 강의 중인 강사가 물건을 올려 놓거나,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강의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자 교탁;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판독하며, 판독된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제어를 위한 촬영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로 전달하며,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로부터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에서 촬영된 강의 영상을 전달받는 원격 컨트롤러; 및 상기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강의 영상을 수신받으며, 수신된 강의 영상을 강의를 수강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강의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의 녹화 시스템{LECTURE RECORDING SYSTEM}
본 발명은 강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뒤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강사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카메라가 항시 강사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강의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업 또는 강의의 평가를 위해 강사의 강의 영상을 녹화한 교육용 영상 컨텐츠 등이 제작되는데, 이러한 교육용 영상 컨텐츠의 제작시에는 강사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강의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카메라를 통한 녹화를 진행하기 위해 녹화를 제어하는 컴퓨터가 구비된다.
벽면에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은 녹화시스템 이외에도 벽면에 센서를 장착해야 하기에 설치 비용 이외에 시설 공사비용이 추가로 들어 비용이 높아질 뿐아니라 벽면에 장착된 센서와 강사를 인식하는 거리도 다른 방식에 비해 제한적이다. 또한 강사의 목걸이나 펜에 장착된 센서 등을 인식하여 추적하는 방식은 강사가 불편해 하는 경우가 많고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센서 인식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45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343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뒤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강사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카메라가 항시 강사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강의 녹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은,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동작 감지 센서;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추적하면서 강의 영상을 촬영하는 강사 추적 카메라; 강의 중인 강사가 필기하기 위한 칠판; 강의 중인 강사가 물건을 올려 놓거나,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강의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자 교탁;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판독하며, 판독된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제어를 위한 촬영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로 전달하며,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로부터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에서 촬영된 강의 영상을 전달받는 원격 컨트롤러; 및 상기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강의 영상을 수신받으며, 수신된 강의 영상을 강의를 수강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강의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은, 강사가 강의 중인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칠판이 설치되는 벽체의 일측에 상기 벽체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1 벽체, 상기 칠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벽체의 타측에 상기 벽체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2 벽체, 및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를 올려 놓기 위한 카메라 선반이 설치되는 제3 벽체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벽체 모듈; 및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부가 상기 하부 설치홈에 삽입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설치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설치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을 지지하는 프레임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단 경사면에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간격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설치홈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기어는,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휠;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뒤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강사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카메라가 항시 강사를 촬영하여 양질의 강의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듈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프레임 간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10)은, 동작 감지 센서(100), 강사 추적 카메라(200), 칠판(300), 전자 교탁(400), 원격 컨트롤러(500) 및 강의 제공 서버(600)를 포함한다.
동작 감지 센서(100)는, 상용의 동작 감지 센서(Motion Detection Sensor) 등으로 형성되며,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센싱하며, 사용자를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센싱값을 원격 컨트롤러(500)로 절단한다.
강사 추적 카메라(200)는, 원격 컨트롤러(50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제어신호에 의해 구동 제어되어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동시에 줌인 또는 줌아웃의 줌 기능을 통해 강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강의 영상을 원격 컨트롤러(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강사 추적 카메라(200)는, 영상 촬영을 촬영 수단과, 촬영 수단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수단 등을 동시에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칠판(300)은, 강의 중인 강사가 필기할 수 있도록 강의 공간에 구비되는 벽체 등에 설치된다.
전자 교탁(400)은, 강의 중인 강사가 물건을 올려 놓거나,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410)를 이용하여 강의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교탁(400)은, 원격 컨트롤러(500)로부터 수신되는 강의 자료 등의 영상을 구비된 모니터(4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강사가 강의 도중 자신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모니터링용 스피커(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 컨트롤러(500)는, 동작 감지 센서(100)로부터 전달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판독하며, 판독된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강사 추적 카메라(200)의 촬영 위치 제어를 위한 촬영제어신호를 생성시켜 강사 추적 카메라(200)로 전달하며, 강사 추적 카메라(200)로부터 강사 추적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강의 영상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영상을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 컨트롤러(5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컨트롤러(500)는, 판서형, 강연형, 혼합형 등 다양한 방식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 추적 카메라(200)를 움직이면서 줌인 또는 줌아웃을 통해 바스트샷, 웨스트샷, 풀샷 등으로 미리 설정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강의 제공 서버(6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 컨트롤러(500)로부터 강의 영상을 수신받으며, 수신된 강의 영상을 강의를 수강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P)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강의 제공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기(P)에게 제공될 웹 서비스를 위한 고화질 WMV/MP4파일과 모바일용 저화질 MP4 파일을 멀티인코딩, 녹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니터링을 통해 강의녹화실의 강의 상황을 파악하여 필요 시 강의녹화/정지 등을 컨트롤할 수 있으며, 시스템 문제 발생 시 원격제어솔루션을 통하여 장비상태를 점검하고 문제를 파악,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P)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10)은,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센싱한 뒤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강사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카메라가 항시 강사를 촬영하여 양질의 강의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10)은, 강의실에 설치하면 강사가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강의 유형별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어 강의내용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 학습자 입장에서 집중도가 높은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퀄리티 있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은 물론 녹화된 동영상을 온라인 콘텐츠 개발과 강사의 교수법 분석 등 강사의 역량을 한층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20)은, 동작 감지 센서(100), 강사 추적 카메라(200), 칠판(300), 전자 교탁(400), 원격 컨트롤러(500), 강의 제공 서버(600), 조립식 벽체 모듈(700) 및 모듈 지지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작 감지 센서(100), 강사 추적 카메라(200), 칠판(300), 전자 교탁(400), 원격 컨트롤러(500) 및 강의 제공 서버(6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조립식 벽체 모듈(700)은, 강사가 강의 중인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칠판(300)이 설치되는 벽체(B)의 일측에 벽체(B)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1 벽체(710), 칠판(300)을 사이에 두고 제1 벽체(710)와 대향하면서 벽체(B)의 타측에 벽체(B)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2 벽체(720), 및 제1 벽체(710)와 제2 벽체(720)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측에 강사 추적 카메라(200)를 올려 놓기 위한 카메라 선반(730a)이 설치되는 제3 벽체(730)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선반(730a)은, 원격 컨트롤러(50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어 강사 추적 카메라(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벽체(720)는, 강사 또는 기타 사용자가 조립식 벽체 모듈(7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720a)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 지지대(800)는,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조립식 벽체 모듈(70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의 녹화 시스템(20)은, 강사가 강의를 진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강의실을 학교 또는 학원 등으로부터 대여하지 아니하고 강사 스스로 제작 구성함으로써, 강사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동영상 촬영을 위한 강의실을 손쉽게 구현하여 온라인 강의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모듈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듈 지지대(800)는, 상부 프레임(810), 하부 설치홈(820), 하부 프레임(830), 프레임 간격 지지부(840) 및 받침대(85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810)은, 상부(810a)가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조립식 벽체 모듈(700)을 지지하며, 하측에 하부 설치홈(820)이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820)은, 상부 프레임(810)의 하측으로부터 상부 프레임(810)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프레임 간격 지지부(840)와 하부 프레임(830)이 순차적으로 삽입 안착된다.
하부 프레임(830)은, 상부가 하부 설치홈(820)에 삽입된 뒤 프레임 간격 지지부(840)에 의해 지지되고, 하측(830a)이 받침대(850)의 전단 경사면(850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프레임 간격 지지부(840)는, 하부 설치홈(820)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 설치홈(820)에 삽입되어 있는 하부 프레임(830)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조립식 벽체 모듈(700)이 흔들리거나 외부 충격이 발생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810)과 하부 프레임(830)이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발생되는 흔들림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조립식 벽체 모듈(70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받침대(850)는, 조립식 벽체 모듈(700)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단 경사면(850a)에 하부 프레임(83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듈 지지대(800)는, 구조물 설치 비숙련자인 강사가 설치한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흔들림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프레임 간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간격 지지부(9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9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9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설치홈(820)의 상측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이 형성되며, 1 측면 지지 프레임(9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9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920a)을 형성하며, 제1 상부 경사면(920a)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의 제1 하부 경사면(95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의 절곡 프레임 바디(921), 수직 지지 바아(9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9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은, 절곡 프레임 바디(921), 수직 지지 바아(9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923)을 포함한다.
절곡 프레임 바디(921)는,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제1 렉기어(956)가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920a)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 바아(922)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수직 지지 바아(92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절곡 프레임 바디(9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921a)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923)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완충 스프링(923)은,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 바아(922)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절곡 프레임 바디(921)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측면 절곡 프레임(930)은,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930a)을 형성하며, 제2 상부 경사면(930a)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의 제2 하부 경사면(96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제2 지지 플레이트(94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하부 프레임(830)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측에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은,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1 상부 경사면(920a)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95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1 하부 경사면(950a)이 제1 상부 경사면(920a)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 바디(951), 바디 상부 지지대(952), 제1 스프링(953), 제2 스프링(954), 제3 스프링(955), 제1 렉기어(956), 제2 렉기어(9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958)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은, 지지 프레임 바디(951), 바디 상부 지지대(952), 제1 스프링(953), 제2 스프링(954), 제3 스프링(955), 제1 렉기어(956), 제2 렉기어(9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9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바디(951)는,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941)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하부 경사면(950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951)는, 상부 슬라이딩홈(94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부 슬라이딩홈(94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상부 지지대(952)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91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 프레임 바디(9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9511)에 삽입 설치되어 제1 스프링(953)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상부 지지대(952)는, 하부 슬라이딩홈(91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하부 슬라이딩홈(9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프링(953)은, 상부 지지홈(951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952)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바디 상부 지지대(952)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스프링(954)은, 상부 슬라이딩홈(94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 바디(951)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제3 스프링(955)은, 하부 슬라이딩홈(91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952)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즉, 제2 스프링(954)과 제3 스프링(955)은, 지지 프레임 바디(951)과 바디 상부 지지대(95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측 방향, 즉 제2 상부 경사면(930a)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이 상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을 극복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을 통해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제1 렉기어(956)는, 간격 지지 기어(958)를 사이에 두고 제2 렉기어(957)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상부 경사면(92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9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렉기어(957)는, 간격 지지 기어(958)를 사이에 두고 제1 렉기어(956)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하부 경사면(95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9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 기어(958)는, 제1 렉기어(956)와 제2 렉기어(9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9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렉기어(956) 및 제2 렉기어(957)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9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어(958)는, 기어 본체(9581), 제1 가이드 휠(9582) 및 제2 가이드 휠(958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본체(9581)는, 제1 렉기어(956)와 제2 렉기어(9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1 가이드 휠(9582)이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가이드 휠(9583)이 연결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휠(958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958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9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렉기어(9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9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L1)에 안착된다.
제2 가이드 휠(958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958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9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제1 렉기어(9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L3) 제3 슬라이딩 유도홈(L3)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9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L4)에 안착된다.
즉, 간격 지지 기어(958)는, 절곡 프레임 바디(9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렉기어(956)와 제2 렉기어(957)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951)를 이동시키거나, 지지 프레임 바디(951)가 각 스프링(954, 955)들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절곡 프레임 바디(9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 프레임(96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95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9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9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2 상부 경사면(930a)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96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9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9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2 하부 경사면(960a)이 제2 상부 경사면(93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간격 지지부(900)는,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흔들림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조립식 벽체 모듈(7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강의 녹화 시스템
100: 동작 감지 센서
200: 강사 추적 카메라
300: 칠판
400: 전자 교탁
500: 원격 컨트롤러
600: 강의 제공 서버
700: 조립식 벽체 모듈
800: 모듈 지지대

Claims (6)

  1.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동작 감지 센서;
    강의 중인 강사의 움직임을 추적하면서 강의 영상을 촬영하는 강사 추적 카메라;
    강의 중인 강사가 필기하기 위한 칠판;
    강의 중인 강사가 물건을 올려 놓거나,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강의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자 교탁;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판독하며, 판독된 강의 중인 강사의 현재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의 촬영 위치 제어를 위한 촬영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로 전달하며,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로부터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에서 촬영된 강의 영상을 전달받는 원격 컨트롤러; 및
    상기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강의 영상을 수신받으며, 수신된 강의 영상을 강의를 수강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강의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강사가 강의 중인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칠판이 설치되는 벽체의 일측에 상기 벽체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1 벽체, 상기 칠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벽체의 타측에 상기 벽체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제2 벽체, 및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의 각 전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강사 추적 카메라를 올려 놓기 위한 카메라 선반이 설치되는 제3 벽체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벽체 모듈; 및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부가 상기 하부 설치홈에 삽입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설치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설치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을 지지하는 프레임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조립식 벽체 모듈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단 경사면에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강의 녹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간격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설치홈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강의 녹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하는, 강의 녹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강의 녹화 시스템.
KR1020210065473A 2021-05-21 2021-05-21 강의 녹화 시스템 KR10246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73A KR102461869B1 (ko) 2021-05-21 2021-05-21 강의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73A KR102461869B1 (ko) 2021-05-21 2021-05-21 강의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869B1 true KR102461869B1 (ko) 2022-10-31

Family

ID=8380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73A KR102461869B1 (ko) 2021-05-21 2021-05-21 강의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8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237U (ko) * 2007-07-05 2009-01-08 (주) 대흥인포컴 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
KR100989142B1 (ko) * 2009-10-21 2010-10-20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전자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4657A (ko) * 2011-03-14 2012-09-24 (주)컴버스테크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KR101483434B1 (ko) 2014-08-05 2015-01-28 주식회사 이베스트 강의 영상 녹화 시스템
KR101554574B1 (ko) 2014-02-06 2015-10-05 김하준 투명 칠판을 이용한 강의 동영상의 녹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237U (ko) * 2007-07-05 2009-01-08 (주) 대흥인포컴 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
KR100989142B1 (ko) * 2009-10-21 2010-10-20 디브이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전자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4657A (ko) * 2011-03-14 2012-09-24 (주)컴버스테크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KR101554574B1 (ko) 2014-02-06 2015-10-05 김하준 투명 칠판을 이용한 강의 동영상의 녹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483434B1 (ko) 2014-08-05 2015-01-28 주식회사 이베스트 강의 영상 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42B1 (ko) 전자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7333022B (zh) 多视角图像/视频采集设备及系统
CN202601002U (zh) 手自一体录播系统
CN206058576U (zh) 一种教学录播系统
US20110123972A1 (en) System for automatic production of lectures and presentations for live or on-demand publishing and sharing
CN102402927B (zh) 存储信息输出系统、输出控制装置以及输出控制方法
CN109474801B (zh) 一种交互对象的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6100033A (ja) 再生制御装置
KR101686143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2461869B1 (ko) 강의 녹화 시스템
CN203193774U (zh) 基于空间网格技术的自动跟踪机
CN103546679A (zh) 减少被摄像物体发生脱离拍摄窗口的装置及方法
CN109635787B (zh) 一种跟踪摄像教学系统
KR102279487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CN209657528U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立体教学系统
CN107241535A (zh) 闪光灯调节装置及终端设备
Keep et al. Remediating Vertov: Man with a movie camera phone
TW20113569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73160A (ko) 휴대용 강의저장 및 방송 시스템
KR101502683B1 (ko) 3차원 센서를 이용한 강사 추적 시스템
KR102618052B1 (ko) 집짓기 교구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교육 시스템
Engelbert et al. The use and benefit of a Xbox Kinect based tracking system in a lecture recording service
KR101595880B1 (ko)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Xu et al. Towards intelligent interaction in classroom
Labacher The evolution of the cellphone as film and video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