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880B1 -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880B1
KR101595880B1 KR1020090105491A KR20090105491A KR101595880B1 KR 101595880 B1 KR101595880 B1 KR 101595880B1 KR 1020090105491 A KR1020090105491 A KR 1020090105491A KR 20090105491 A KR20090105491 A KR 20090105491A KR 101595880 B1 KR101595880 B1 KR 10159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photographing apparatus
tracking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778A (ko
Inventor
신행재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8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은 영상 추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자신의 동영상이나, 동영상 강좌 등을 셀프 촬영할 수 있다.
동영상, 촬영, 지시 장치

Description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영상 추적을 이용하여 셀프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날로 사이버화, 개인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날로 심해지는 경쟁 사회 속에서도 개인의 공간을 마련하여 안정감 및 휴식을 취하기 원하는 현대인들의 모습이 이러한 상황을 연출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개인 인터넷 블로그, UCC 등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지식의 전파속도가 급속하게 빨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외의 유수의 대학교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대학의 각종 강좌를 무료로 인터넷에 올리고 이를 원격으로 시청할 수 있는 홈 페이지를 개설하기도 하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들에서 인터넷에 강좌를 개설하여 웹 기반의 사이버 강좌를 통해 교육내용을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한 상황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은 촬영자가 1명이 있고, 피촬영자가 강의나 연기를 하는 방식으로 동영상을 찍게 된다. 이는 동영상 결과물을 얻기 위 해서는 최소 2명 이상의 사람이 필요한 경우이다.
일인 촬영 방식, 즉 셀프 촬영 방식에서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나 웹 카메라를 촬영하려는 배경에 맞추어 놓고 촬영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사설 학원이나 인터넷 강좌에서, 강의실 뒤편에 카메라가 혼자서 배경에 맞추어진 상태로 해당 강좌를 촬영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촬영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삼각대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얼굴 추적기능이 있는 웹카메라를 통해서 촬영을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캠코더나 웹 카메라를 촬영하려는 배경에 맞춰놓고 촬영할 경우에는 피촬영자 개인의 움직임의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그래서 위치를 이동하려고 할 경우에는 다시 배경에 자신을 맞춰놓고 촬영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포커스가 맞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고, 줌 기능의 사용 역시 제한된다. 삼각대 등을 이용하여 셀프 방송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각도의 설정은 쉽지만, 역시 촬영을 하는 중간 중간마다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해야 번거로움이 있다. 팬틸트 얼굴 추적 혹은 물체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의 경우는 얼굴만 추적하기 때문에, 피 촬영대상자가 셀프 강좌를 하고 있을 경우나 쇼핑몰에서 제품 홍보를 하고 있을 경우에는 칠판이나, 소개하려는 제품으로 카메라 화면을 이동시킬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만으로는 유용한 셀프 촬영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칠판에 글씨를 쓰고 있는 상황에서 카메라가 손의 움직임을 쫓아가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개인이 타인의 도움없이 자신이 출연하는 동영상을 찍을 수 있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동영상에 출연하는 자신, 강좌를 위한 칠판, 또는 소개하는 상품의 동영상을 개인 블로그, 교육사이트, UCC 또는 쇼핑 몰에 업로드 및 셀프 강좌 등을 하는데 편리한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영상 추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자신의 동영상이나, 동영상 강좌 등을 셀프 촬영할 수 있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촬영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지시 장치를 포함하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시 장치는 영상 추적을 위한 온 스위치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발산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지시 장치로부터의 광원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지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지시 장치로부터의 광원을 수신하면, 상기 지시 장치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지시 장치로부터 광원을 수신하면, 상기 지시 장치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시 장치는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키 버튼 동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버튼은 줌인/줌 아웃 기능 및 팬틸트 조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치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촬영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지시 장치를 포함하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은 상기 지시 장치의 온 스위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온 스위치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원이 발산되는 단계; 상기 지시 장치로부터의 광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지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지시 장치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지시 장치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영상 촬영 방법은 상기 지시 장치의 키 버튼 동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촬영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버튼은 줌인/줌 아웃 기능 및 팬틸트 조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이 타인의 도움없이 개인 혼자서도 자신의 동영상 촬영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피 촬영 대상자 혼자서, 카메라의 팬틸트 및 줌 기능을 제어하면서, 자연스러운 동영상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촬영 시스템(100)은 촬영 장치(110), 지시 장치(120) 및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촬영 장치(110)와 영상 표시 장치(130)를 분리하여 설명하지만, 촬영 장치(110)와 영상 표시 장치가 일체형일 수 있다.
촬영 장치(110)는 피촬영자의 동영상을 촬영한다. 촬영 장치(110)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캠코더, DVR, PTZ(Pan Tilt Zoom) 카메라 등을 포함하며, 팬틸트 구동 및 줌 구동이 가능하다. 팬틸트 구동은 팬(Pan, 수평방향) 및 틸트(Tilt, 수직 방향) 2개의 모터를 구동하여 지정한 목표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촬영 장치(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영상 표시 장치(130)는 촬영 장치(110)가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표시 장치(130)는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PC) 등을 포함한다. 피촬영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영상 표시 장치(130)를 통해 촬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시 장치(120)는 촬영 장치(110)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지시 장치(120)는 영상 추적을 위한 온 스위치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발산한다. 지시 장치(120)는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며, 키 버튼 동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촬영 장치(110)에 전송한다. 키 버튼은 촬영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기능 버튼들, 줌인/아웃 버튼, 팬틸트 버튼 등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시 장치(120)의 예시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지시 장치(120)가 지시봉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좌측 에 도시된 지시봉은 추적용 램프가 꺼져있는 상태이고, 우측에 도시된 지시봉은 추적 램프가 켜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추적용 램프, 즉, 지시봉의 온 스위치가 켜짐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램프가 켜지게 되고, 촬영 장치(110)가 이를 감지하여, 영상 표시 장치(130)의 화면상에 기 설정된 위치, 예를 들면 중앙 또는 특정 모서리 부분으로 지시봉이 위치하도록 팬틸트가 구동된다.
촬영 장치(110)는 지시 장치(120)로부터의 광원을 수신하고, 영상 표시 장치(130)의 화면상에 위치할 지시 장치(120)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팬틸트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촬영 장치(110)는 지시 장치(120)가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거나 또는 특정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팬틸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촬영 시스템(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10)의 일예로 팬틸트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고, 지시 장치(120)의 일 예로 전자 지시봉, 영상 표시 장치(130)의 일 예로 PC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PC는 자신이 촬영되고 있는 상황을 모니터링 하거나 저장할 수 있으며, 팬틸트 카메라는 팬틸트줌(PTZ)이 가능하며 적외선 또는 RF방식으로 전자 지시봉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가 있으며,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또는 PC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전자 지시봉은 영상 추적 또는 움직임 추적할 수 있도록 특정 색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복합적인 동작을 적외선 또는 RF 방식으로 팬틸트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팬틸트 카메라는 화면상에 전자 지시봉의 끝에서 특정 색상을 On/OFF할 경우 에 이를 추적할 수 있는 영상 추적기능을 구비하며, 이러한 영상 추적 방식은 특정 색상을 발산하는 광원이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는 기능 또는 해당 광원이 화면의 특정 모서리 부근으로 위치하도록 카메라 팬틸트를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전자 지시봉은 끝단에 광원이 있어 해당 광원을 켰을 때, 팬틸트 카메라가 광원을 추적하도록 한다. 또한 RF혹은 적외선 통신 송신기를 내장하여 단순 추적 외에도 각종 카메라 제어 명령, 예를 들면 팬틸트줌 동작 및 버튼에 옵션으로 매핑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버튼 기능들은 피 촬영 대상자가 모니터를 보면서 RF통신 방식에 의한 송신기능을 통해 화면을 좀더 섬세하게 조정하거나 확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물론 지시봉이 화면 바깥으로 나가서 카메라의 추적기능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버튼에 내장된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위치시키거나, 줌배율 및 팬틸트 각도를 저장하거나 호출하는 기능을 버튼에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전자 지시봉의 인터페이스를 버튼 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이스틱, 다이얼 등의 인터페이스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지시봉은 영상 추적 기능 외에 셀프 강좌나 쇼핑몰의 제품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제품을 가리키거나, 칠판의 특정 공식을 가리키는 포인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칠판에 공식을 쓰거나 피촬영자가 움직일 경우에는 램프를 꺼놓고 진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카메라가 원하지 않는 움직임을 쫓아오지 않고, 사용자가 처음에 램프를 켜서 지정해 놓은 위치에 머물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시 장치(120) 온에 따른 화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전자 지시봉을 잡고 있는 피촬영자가 화면(400)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피촬영자가 화면의 중심으로 오도록 하고 싶을 때, 전자 지시봉의 영상 추적을 위한 온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특정 파장의 빛을 내고, 팬틸트 카메라의 영상 추적 기능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팬틸트 카메라의 팬틸트 구동을 하여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 지시봉이 화면의 중심(420)에 오도록 팬틸트 구동량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1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장치(110)는 제어부(111), 수신부(112), 영상 촬영부(113), 추적부(114), 저장부(115) 및 구동부(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 장치(110)의 기본적인 기능, 예를 들면 광학부와 영상 처리 및 저장에 관한 구성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구성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촬영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부(112)는 지시 장치(120)로부터 영상 추적을 위해 발산한 광원을 감지한다. 여기서, 수신부(112)는 적외선 수신부 또는 RF 수신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영상 추적을 위한 광원과 함께 촬영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들도 수신한다.
추적부(114)는 지시 장치(120)로부터의 감지한 특정 파장의 광원을 추적한다. 여기서, 물체 추적(Object Tracking)은 촬영된 이미지상의 물체를 추적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물체의 모양을 이용하여 추적하는 방식과 물체의 컬러를 이용하 여 추적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지시 장치(120)로부터 발산된 특성 파장, 즉 특정 색상을 검출하여 영상 추적을 수행한다. 물체의 색상은 물체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내는 요소이므로 물체의 모양이 왜곡 변경 및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예를 들면 줌인 또는 줌 아웃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저장부(115)는 미리 설정된 지시 장치(120)의 화면상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지시 장치(120)의 키 버튼들과 매칭된 촬영 장치(110)의 제어 정보들, 예를 들면 줌 배율 정보, 팬틸트 구동량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11)는 추적부(114)를 통해 지시 장치(120)의 위치를 제공받아, 화면상에 위치할 지시 장치의 위치, 즉 기 설정된 위치가 화면의 중앙 또는 모서리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구동부(116)에 제공한다.
구동부(116)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촬영하기 위해 팬틸트, 즉 팬틸트 모터를 구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지시 장치가 온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지시 장치의 온은 영상 추적을 위한 피촬영자의 입력을 의미한다. 단계 602에서, 촬영 장치가 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지시 장치로부터 발산된 특정 파장의 광원을 감지함으로써 영상 추적을 개시한다.
단계 604에서, 지시 장치의 표시 화면상의 위치를 판단한다. 영상 추적을 위한 온 입력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위치가 화면 중앙인지 또는 화면 모서리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606에서, 해당 위치에 지시 장치가 위치하도록 팬틸트를 구동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영상 촬영 시스템(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1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시 장치(120) 온에 따른 화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시 장치(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동영상 촬영 시스템 110: 촬영 장치
120: 지시 장치 130: 영상 표시 장치
111: 제어부 112: 영상 촬영부
114: 추적부 115: 저장부
116: 구동부

Claims (10)

  1.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촬영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지시 장치;를 포함하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시 장치는,
    영상 추적을 위한 온 스위치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발산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지시 장치로부터의 광원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지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추적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구동부의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지시 장치로부터의 광원을 수신하면, 상기 지시 장치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중심 또는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의 구동부의 팬틸트 구동을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장치는,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키 버튼 동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촬영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키 버튼은,
    줌인/줌 아웃 기능 및 팬틸트 조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105491A 2009-11-03 2009-11-03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59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491A KR101595880B1 (ko) 2009-11-03 2009-11-03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491A KR101595880B1 (ko) 2009-11-03 2009-11-03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778A KR20110048778A (ko) 2011-05-12
KR101595880B1 true KR101595880B1 (ko) 2016-02-19

Family

ID=443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491A KR101595880B1 (ko) 2009-11-03 2009-11-03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0748A4 (en) 2012-07-06 2016-03-09 H4 Eng Inc AUTOMATIC TRACKING SYSTEM FOR REMOTELY CONTROLLED VIEWING APPARATUS
CA3096312C (en) 2020-10-19 2021-12-28 Light Wave Technology Inc. System for tracking a user during a videotelephony session and method ofus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125A (ja) * 1998-10-16 2000-04-28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125A (ja) * 1998-10-16 2000-04-28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778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16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content from any location and any time
US110059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8330714B2 (en) Electronic device
US9955209B2 (en) Immersive viewer, a method of providing scenes on a display and an immersive viewing system
JP6192940B2 (ja) 撮影機器及び連携撮影方法
US20060044399A1 (en) Control system for an image capture device
JP2015029227A (ja) 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10443B2 (ja) 撮影方法及び撮影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
JP2015119277A (ja) 表示機器、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287019B1 (ko) 판서 내용도 함께 촬영하여 제공하는 판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KR101595880B1 (ko)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US9742987B2 (en) Image pickup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444924B2 (ja) 撮像装置
CN107241535A (zh) 闪光灯调节装置及终端设备
Chu et al. Design of a motion-based gestural menu-selection interface for a self-portrait camera
JP201501255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Engelbert et al. The use and benefit of a Xbox Kinect based tracking system in a lecture recording service
KR102359465B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피사체 추적장치
TWI662841B (zh) 影像播放裝置
JP2018125729A (ja) 撮像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214882A (ja) 撮像装置
CN102316256A (zh) 便携式设备及再现显示方法
JP6412222B2 (ja) 撮影機器、連携撮影方法及び連携撮影プログラム
KR20230033368A (ko) 경로 기반의 대상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20230033367A (ko) 짐벌 카메라를 이용한 대상 트래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