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62A - 공기층이 있는 저면 급수용 식물 재배 상자 - Google Patents

공기층이 있는 저면 급수용 식물 재배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62A
KR20190088862A KR1020180100503A KR20180100503A KR20190088862A KR 20190088862 A KR20190088862 A KR 20190088862A KR 1020180100503 A KR1020180100503 A KR 1020180100503A KR 20180100503 A KR20180100503 A KR 20180100503A KR 20190088862 A KR20190088862 A KR 2019008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water
culture soil
pearlite
ai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동현
Original Assignee
배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현 filed Critical 배동현
Publication of KR2019008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가 없는 화분에서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배수구가 없는 화분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망과 섬유로 조합된 화분 속주머니를 만들어 배수구 없는 화분 속에 넣고 퍼라이트와 캐시미론 배양토 순으로 층을 만들어 식물을 재배하도록 한 것이다.
저장된 물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분 하단에 다공성 물질인 퍼라이트를 채워, 저장된 물이 다공성 물질인 퍼라이트에 표면적이 넓은 상태로 저장되게 하여 용존산소량이 많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화분 상단의 배양토와 하단 퍼라이트의 경계면에 캐시미론 층을 두어 공기층을 만들어 뿌리호흡을 원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시미론 층은 상단의 배양토에서 흘러내리는 유기물이 하단 퍼라이트에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퍼라이트에 저장된 액비가 배양토로 직접 공급되는 것을 방지고 뿌리를 고정해 식물의 지지를 원활하게 한다.
망과 섬유로 조합된 화분 속주머니는 하단 퍼라이트에 저장된 물을 모세관 현상으로 상단 배양토로 물을 공급할 때 배양토의 외부에서 내부로 확산 되므로 배양토의 내부가 다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뿌리의 수분 이용률을 높였다.
물의 공급은 화분 외벽에 1개 이상의 구멍을 상하로 뚫고 그 주위에 덮개를 부착한 것으로 물의 공급과 동시에 영양소 공급이 용이 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배수되는 물이 없으므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고 저장된 물이 무동력으로 공급되므로 장시간 화분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omitted}
본 발명은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가 없는 화분의 내벽에 재단된 섬유를 고정하고, 퍼라이트 층과 배양토 경계면에 공기층을 형성한 배수구 없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물 공급은 화분 외벽에 부착한 급수 통을 통하여 화분 하단의 퍼라이트 층까지만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물 공급은 섬유의 모세관 현상으로 상부 배양토로 공급되게 한 것이다.
화분 하단에 다공성 물질인 퍼라이트는 물의 표면적을 넓혀 용존산소량을 많게 하고 저장된 물의 부패를 방지한다.
화분 하단의 퍼라이트와 상단 배양토의 경계면에는 탄성이 있는 캐시미론 층을 두어 화분 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뿌리호흡을 원활하게 하였고, 퍼라이트에 흡수 저장된 물이 배양토로 직접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화분 외벽에는 상하로 1개 이상의 구멍을 내고 그 위에 급수 통을 부착하여 물의 공급과 양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 내의 물 관리를 편리하게 하였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공급된 물이 퍼라이트에 흡수 저장되어 있으므로, 배수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해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화분 내벽에 고정된 섬유에 의해 배양토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확산 공급되어, 배양토의 내부가 다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퍼라이트와 배양토의 경계면에 캐시미론 층을 형성하여 공기층을 만들어 뿌리 호흡을 증진한다, 외부에 부착된 급수 통은 급수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종래의 화분은 화분 하단에 배수 구멍을 내고 배양토를 채운 후 식물을 식재하는 구조다. 배수구가 없는 상태에서 화분 하단에 물이 고이면 부패 현상으로 뿌리가 고사하기 때문에 화분에서의 배수 구멍은 필수였다.
이러한 구조는 화분 상부에서 급수를 할 때 물이 배양토에 흡수되기 전 화분 배수구로 배수되어 물을 자주 공급해야 하고, 물에 용해된 영양소가 배수되므로 주변을 오염시켜 화분 관리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화분은 화분 안의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을 관리할 때 배수로 인해 적당한 물을 자주 공급해 주었으며 배수로 화분 주변이 오염되었다. 화분 하단에 물이 고여 있으면 부패해 뿌리가 고사함으로 관리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저당된 물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분 하단에 퍼라이트 층을 두어 물의 표면적을 넓혀 용존 산소량을 풍부하게 하여 부패를 방지하고, 퍼라이트 층 위에 캐시미론을 사용한 공기층을 만들어 뿌리 호흡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섬유의 모세관 현상으로 저장된 액비가 상부 배양토에 무동력으로 공급될 때 배양토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뿌리의 수분 이용률을 높이고 급수 통을 이용하여 물의 공급과 저장된 양의 관찰이 용이해 급수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배수로 주변의 오염이나 물의 낭비가 없어 장시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관리할 수 있다.
하단 부분에 다공성 물질인 퍼라이트를 채워 물을 저장하므로 저장된 물의 표면적이 넓어져 용존 산소량이 많아져 부패가 방지되고, 하단에 저장된 물은 섬유의 모세관 현상으로 상단 배양토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하단 퍼라이트에 저장된 물이 상단 배양토로 직접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 퍼라이트와 상단 배양토의 경계면에 탄성이 있는 캐시미론 층을 두었으며, 캐시미론 층에 저당된 공기는 뿌리호흡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기존 화분에서 식물을 재배할 때 배수로 물의 낭비와 주변 오염 및 잦은 급수 관리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배수구로 유출되는 영양소와 물의 낭비를 줄이고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상태에 따라 영양소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캐시미론 층은 화분 내에 공기를 저장하므로 뿌리호흡을 왕성하게 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2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가)화분 덮개의 하단에 재단된 1) 망과 2) 섬유를 고정하고 가)화분 안에 넣는다. 1) 섬유 안에 3) 퍼라이트를 1/2가량 채우고 4) 캐시미론을 넣은 다음 그 위에 )피트모스 등의 5) 배양토를 채운 다음 식물을 식재한다.
다)급수 통을 통하여 6) 물을 채우면 3) 퍼라이트에 저장된 6) 물은 2) 섬유의 모세관 현상으로 상부 5) 배양토의 외부에서부터 내부로 확산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가)화분의 외부로부터 6) 물이 과다 공급될 때는 급수 통이 화분의 1/2 지점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5) 배양토가 다습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인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은 채소재배 상자로 할 수 있으며, 교육기관에서 액비 실험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하면 물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부담하는 대규모 온실 농업에도 사용 가능하다.

Claims (3)

  1. 화분 내에 퍼라이트 층, 캐시미론 층, 배양토 층을 구성한,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섬유의 모세관 현상으로 배양토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공급하도록 한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
  3. 청구항 1 에 있어서 화분 외벽에 급수 통을 부착하여 물 공급과 관찰이 편리하도록 한 공기층을 내장한 배수구 없는 화분.
KR1020180100503A 2018-01-19 2018-08-27 공기층이 있는 저면 급수용 식물 재배 상자 KR20190088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070 2018-01-19
KR1020180007070 2018-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62A true KR20190088862A (ko) 2019-07-29

Family

ID=6748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03A KR20190088862A (ko) 2018-01-19 2018-08-27 공기층이 있는 저면 급수용 식물 재배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8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22209A (ja) 植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植林システム
JP5283024B2 (ja) 植栽ベース
KR20190089391A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CN201967407U (zh) 无土自浇水可视水位花盆
JP2004173564A (ja) 壁面緑化用植生コンテナ
KR101313866B1 (ko) 시스템 식재 포트
KR20190088862A (ko) 공기층이 있는 저면 급수용 식물 재배 상자
TWM532149U (zh) 儲水型栽培容器及其容槽
JP4901835B2 (ja) 栽培容器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CN2759140Y (zh) 保湿花盆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JP2016073264A (ja) 底灌水多品種栽培システム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3128320U (ja) 栽培容器
CN210987520U (zh) 一种植物高湿度培养装置
CN212065019U (zh) 一种可回收利用雨水的环保雨水种植容器
JP2018139573A (ja) 底潅水培養土2層栽培
CN215912649U (zh) 一种防蚊蓄水盆组合体
RU2026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ва горшечных растений
TWM550537U (zh) 植物種苗栽培裝置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JP2011254763A (ja) 貯水式植物栽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