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07A -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07A
KR20190088807A KR1020180007328A KR20180007328A KR20190088807A KR 20190088807 A KR20190088807 A KR 20190088807A KR 1020180007328 A KR1020180007328 A KR 1020180007328A KR 20180007328 A KR20180007328 A KR 20180007328A KR 20190088807 A KR20190088807 A KR 2019008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hour meter
meter
install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8807A/ko
Publication of KR2019008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4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가 수용가에 설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설치확인버튼이 구비되어, 실제 수용가에 설치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수용가에 설치된 후 도전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력량계는 전력선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침하는 미터기; 상기 전력선과 상기 수용가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미터기에 측정되는 전력량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모뎀; 상기 미터기, 상기 터미널부 및 상기 통신모뎀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통신모뎀을 개방하기 위한 터미널커버와 모뎀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터미널커버와 상기 모뎀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전점검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가에 설치되는 벽면에 제공되어 상기 수용가 벽면에 설치시 상기 제어부에 접촉되며 도전감지를 작동시키는 설치확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 {ELECTRONIC METER}
본 발명은 전력의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활용되는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사용이 이루어지는 수용가에 설치된 이후의 도전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개선된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사용이 이루어지는 수용가에서는, 실제로 사용한 전력량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량계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량의 사용을 측정하는 미터기와, 미터기의 사용량을 초기화하는 리셋스위치 및 전력사용상태를 서버 등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력량계는 미터기와 전력선을 연결하는 터미널부를 개방하는 터미널 커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원칙적으로 터미널 커버는 봉인처리된 상태로 제공되고, 전력량계의 설치, 수리 등을 위해 인가된 작업자에 의해서만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력량계를 조작하거나, 조작된 계량기를 사용하여 실제 사용한 전력량을 왜곡하거나, 도전(盜電)하는 사례가 발생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전력량계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도전기능을 추가하고 있으며, 예컨대 터미널 커버의 개방을 감지하여 미터기에 기록하고, 통신 모뎀을 통해 서버 등으로 터미널 커버의 개방여부를 전송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량계는, 수용가에 설치되기 전에 발생하는 생산이나 시험 등으로 인한 여러 조작사항 및 터미널에 전력선을 연결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터미널 커버의 개방이 도전 기록으로 기록되어 알람이 발생하고, 통신모뎀을 통해 도전 기록이 자동으로 전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때마다 도전 기록을 초기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컨대, 종래에는 전력량계의 제조, 시험과정에서 전원투입후 터미널 커버가 열어 내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전력량계는 도전으로 인식하여 알람을 발생하고, 도전관련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전력량계는 수용가에 설치되기전, 전력량계의 동작여부 및 프로그램 입력 등의 사전 점검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력량계는 실사용조건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알람 및 도전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실제 전력량계 설치후 통신모뎀을 통해 도전 정보를 상위의 서버 등으로 전달하게 되어, 도전상황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실제 전력량계 설치후 원격 및 통신으로 알람 관련 데이터를 초기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력량계를 설치된 벽면으로부터 분리한 후, 터미널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후면을 통해 터미널과 연결하여 도전할 경우, 도전상태를 인지할 수 없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력량계는 수용가에 설치되기 전에 여러 조작사항이 기록됨에 따라 제품의 사용여부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가 수용가에 설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설치확인버튼이 구비되어, 실제 수용가에 설치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수용가에 설치된 후 도전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는 전력선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침하는 미터기; 상기 전력선과 상기 수용가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미터기에 측정되는 전력량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모뎀; 상기 미터기, 상기 터미널부 및 상기 통신모뎀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통신모뎀을 개방하기 위한 터미널커버와 모뎀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터미널커버와 상기 모뎀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전점검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가에 설치되는 벽면에 제공되어 상기 수용가 벽면에 설치시 상기 제어부에 접촉되며 도전감지를 작동시키는 설치확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도전감지작동을 위한 누름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확인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회전에 의해 출하위치와 사용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가 벽면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확인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덕트와, 상기 장착덕트에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와, 상기 연장덕트의 단부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갖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연장덕트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덕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며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는 작동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노브는 상기 연장덕트에 삽입되는 노브몸체(162)와, 상기 노브몸체(16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덕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4)와, 상기 돌출부(164)의 둘레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덕트 내측에 걸림되는 플랜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66)는 상기 출하위치와 상기 사용위치에 따라 두께가 가변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66)는 상기 출하위치에서 상기 노브몸체(162)의 단부가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도록 위치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제1단차부(166a)와, 상기 출하위치에서 상기 사용위치로 회전시 상기 노브몸체(162)의 단부가 상기 누름스위치와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제2단차부(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6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감지방법은 전술한 전력량계를 이용한 도전감지방법으로, 상기 전력량계의 설치전 상기 설치확인부를 출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변경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상기 전력량계의 설치에 따라 상기 설치확인부가 제어부를 가압함에 따른 입력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설치여부를 판단하고, 도전점검정보를 기록하는 전력량계 설치단계; 상기 전력량계 설치단계 후 상기 모뎀커버 또는 상기 터미널커버의 개방이 감지되면,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전력량계 설치단계가 완료된후, 상기 전력량계의 이상 또는 도전상황 발생시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모뎀커버 또는 상기 터미널커버의 개방이 감지되면,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설치확인부가 제어부를 가압함에 따른 입력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2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제2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도전점검정보의 발생시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제2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도전점검정보의 발생시 상기 미터기에 도전점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량계가 수용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전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량계가 수용가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전력량계의 생산 및 시험, 인증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람 및 도전점검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어 불필요한 도전점검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전상황으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량계를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여 터미털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도전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게 도전점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출하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출하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벽면에 설치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작동노브를 확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를 이용한 도전감지방법의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100)는 전력선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전력량계(100)는 전력선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침하여 숫자 등의 기호로 표시하는 미터기(110)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력선과 수용가의 전력선을 연결하는 터미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량계(100)는 미터기(110)에서 검침되는 전력량을 원격으로 검침하기 위한 통신모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뎀(130)은 미터기(110)에서 검침되는 전력량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마련된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뎀(130)은, 미터기(110)에서 검침되는 전력량 외에도 전력량계(100)의 각종 상태 정보 등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원격으로 미터기(110)에 검침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전력요금 등을 산정할 수 있고, 전력량계(100)의 고장이나, 이상 작동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력량계(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미터기(110), 터미널부(120) 및 통신모뎀(130)이 수용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2)에는 적어도 터미널부(120)와 통신모뎀(130)은 외부에서 전력선을 연결하거나, 각종 내부 작업을 위해 개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개방된 터미널부(120)와 통신모뎀(130)을 개폐하기 위한 터미널커버(122) 및 모뎀커버(132)가 제공될 수 있다.
터미널커버(122)와 모뎀커버(132)는 일측을 축으로 회전개폐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 등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미터기(110) 등을 포함하는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미터기(110)와 일체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제공되는 인쇄회로기판(142)에 실장되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미터기(110)의 제어외에도 터미널커버(122)와 모뎀커버(132)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도전점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에는 도전점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에는 터미널커버(122)와 모뎀커버(132)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2)의 후면에는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 등이 연결되는 고리부재(114)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2)의 후면에는 수용가의 벽면(10)과 일정 거리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116)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량계(100)는 수용가의 벽면(10)에 체결부재를 설치하고, 이 체결부재에 하우징(112)의 고리부재(114)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터미널부(120)에 계통과 연결된 전력선과 수용가에 연결되는 전력선을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100)는 수용가에 설치되는 벽면(10)의 하우징(112)에 전력량계(100)의 설치여부를 확인하는 설치확인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출하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의 확대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설치확인부(15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확인부(150)는 수용가 벽면(10)에 설치되는 하우징(112), 예컨대 하우징(112)의 후면에 제공되며, 수용가 벽면(10)에 설치시 벽면(10)에 의해 가압되며 제어부(140)에 접촉됨으로써 도전감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하우징(112)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42)의 일측에 설치되어 누름작동에 의해 도전감지작동을 시작하는 누름스위치(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확인부(150)는 하우징(112)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회전에 의해 출하위치와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설치확인부(150)는 출하위치에 위치될 경우, 누름스위치(144)를 누른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의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설치확인부(150)은 사용위치로 이동시, 누름스위치(144)와 떨어진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가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벽면(10)에 설치된 측면도인 도 8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설치확인부의 확대도인 도 9를 참고하면, 전력량계(100)는 설치확인부가 사용위치에 이동된 후, 수용가의 벽면(10)에 장착되며, 이 과정에서 설치확인부(150)가 벽면(10)에 가압되며 눌러질 수 있다.
누름스위치(144)는 설치확인부(150)가 출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되며 떨어진 이후, 최초로 눌려지는 시점에서 전류가 공급되며 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최초 누름스위치(144)가 눌려지는 시점에서 누름스위치(144)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전력량계(100)가 설치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량계(100)의 설치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력량계(100)는 제어부(140)에 입력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터미널부(120)에 계통측 전력선과 수용가측 전력선이 연결되면, 미터기(110)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검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량계(100)는 전력량을 검침함과 동시에 전력량계(100)의 도전기록을 시작하고, 미터기(110)에 점검되는 정보를 데이터로 변환/처리하며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확인부(150)는 하우징(112)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덕트(152)과, 이 장착덕트(152)의 내주면에서 하우징(11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덕트(154)는 소정의 중공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 연장덕트(154)의 단부에는 다이어프램(diaphragm)(156)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프램(156)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연장덕트(154)에는 누름스위치(144)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노브(160)가 삽입될 수 있다.
작동노브(160)는 연장덕트(1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다이어프램(156)과 접촉되고, 타단은 장착덕트(152)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작동노브(160)는 장착덕트(152)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전력량계(100)를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할 때 벽면(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돌출된 부분이 가압되며 연장덕트(154) 쪽으로 밀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56)을 가압하여 누름스위치(144)를 누를 수 있다.
다이어프램(156)은 전력량계(100)가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되기 전에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작동노브(160)를 하우징(112)의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어프램(156)은 작동노브(160)가 벽면(10)에 설치되며 가압됨에 따라 탄성변형되며 누름스위치(144)를 누르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156)은 전력량계(100)가 벽면(10)으로부터 이탈되어 작동노브(160)를 누르는 힘이 없어질 경우, 원상태로 복원되며 작동노브(160)를 원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작동노브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작동노브(160)는 연장덕트(154)에 삽입되는 노브몸체(162)와, 이 노브몸체(162)의 일단에 구비되어 장착덕트(152)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4)는 전력량계(100)를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시 벽면(10)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4)의 둘레 하단에는 장착덕트(152) 내측에 걸림되는 플랜지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덕트(152)의 일측에는 플랜지부(166)가 걸림되는 지지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노브(160)는 전력량계(100)가 수용가 벽면(10)에 설치되기 전, 즉 설치확인부(150)가 출하위치에 있을 경우, 연장덕트(154)에 삽입되어 다이어프램(156)을 가압하며 누름스위치(144)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작동노브(160)는 설치확인부(150)가 사용위치로 이동될 때, 다이어프램(156)에 의해 돌출부(164)가 장착덕트(15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작동노브(160)는 출하위치와 사용위치에 따라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작동노브(160)의 플랜지부(166)는 출하위치와 사용위치에 따라 두께가 가변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66)는 출하위치에서는 소정의 제1두께를 갖는 제1단차부(166a)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166)의 소정의 제1두께는 장착덕트(152)의 지지턱에 걸릴 때, 노브몸체(162)의 단부가 다이어프램(156)을 가압하며 누름스위치(144)를 누르도록 위치되는 두께일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66)는 사용위치에서는 소정의 제2두께를 갖는 제2단차부(166b)로 형성될 수 있다. 여지서, 플랜지부(166)의 소정의 제2두께는 장착덕트(152)의 지지턱에 걸릴 때, 다이어프램(156)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노브(160)의 돌출부(164)가 장착덕트(152)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로, 노브몸체(162)의 단부가 다이어프램(156)을 가압하거나 누름스위치(144)를 누르지 못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두께일 수 있다.
즉, 작동노브(160)는 출하위치에서는 플랜지부(166)의 제1단차부(166a)가 장착덕트(152)의 지지턱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플랜지부(166)는 출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시, 두께가 점차 감소되고, 최종적으로 사용위치에 위치시 제1단차부(166a)에 비해 두께가 감소된 제2단차부(166b)가 장착덕트(152)의 지지턱에 걸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치확인부(150)는, 출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변경될 때, 작업자가 작동노브(16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16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돌출부(16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요홈부(168) 사이에 작업자가 손을 넣고 잡을 수 있는 손잡이(164a)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를 이용한 도전감지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를 이용한 도전감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100)는 설치확인부(150)가 출하위치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전력량계(100)는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하기 전에 설치확인부(150)를 회전시켜, 설치확인부(150)를 출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변경하는 준비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준비단계에서 설치확인부(150)를 회전하면, 작동노브(160)의 플랜지부(166)는 제1단차부(166a)에서 제2단차부(166b)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작동노브(160)는 다이어프램(156)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부(164)가 장착덕트(152)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준비단계에서 제어부(140)의 누름스위치(144)는 설치확인부(150)의 작동노브(160)와 이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출하단계에서 제어부(140)에 기록된 도전점검정보 등이 초기화될 수 있다.
준비단계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전력량계(100)를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하는 전력량계(100) 설치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전력량계(100) 설치단계는, 전력량계(100)의 하우징(112)의 수용가의 벽면(10)에 설치할 수 있다. 전력량계(100)는 벽면(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설치확인부(150)가 수용가의 벽면(10)에 닿게 되며, 이때 작동노브(160)의 돌출부(164)가 수용가 벽면(10)에 가압되며 눌려질 수 있다. 또한, 전력량계(100)는 벽면(10)에 완전히 밀착될 때, 작동노브(160)는 다이어프램(156)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며 누름스위치(144)를 누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누름스위치(144)가 눌려짐에 따라 입력전압 및 전류검출이 진행될 수 있고, 전력량계(100) 설치기록을 생성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상위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량계(100) 설치단계에서 전력량계(100)가 설치되면, 전력량계(100)의 도전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되며, 전력량계(100)의 이상 또는 도전점검정보가 검출되면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도전점검상황에 따라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와, 제2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제어부(140)에 연결된 센서를 통해 모뎀커버(132) 또는 터미널커버(122)의 개방이 감지되면, 모뎀커버(132)의 조작 또는 터미널에 연결된 전력선을 통해 도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도전점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점검정보가 생성되면, 통신모듈을 통해 상위의 서버로 도전점검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2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전력량계(100)를 수용가의 벽면(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와 같이, 설치확인부(150)를 가압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면 다이어프램(156)의 복원력에 의해 설치확인부(150)의 작동노브(160)가 밀려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140)의 누름스위치(144)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노브(160)가 누름스위치(144)와 이격되면, 누름스위치(144)로부터 입력전압이 감지되지 않게 되고, 제어부(140)는 전력량계(100)가 이탈되거나 고장 등이 발생한 상태로 판단하여 도전점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점검정보가 생성되면, 통신모듈을 통해 상위의 서버로 도전점검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통신모듈을 통해 상위의 서버로 도전점검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도전점검정보의 발생시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터미널커버(122)나 모뎀커버(132)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전력량계(100)가 수용가의 벽면(10)으로부터 이탈되는 도전점검상황의 발생시 소리나 빛의 점멸 등을 통해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터미널커버(122)나 모뎀커버(132)의 개방을 감지하거나, 전력량계(100)가 수용가의 벽면(10)으로부터 이탈되는 도전점검상황의 발생시, 미터기(110)에 도전점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터기(110)에는 도전점검정보가 표시됨에 따라, 통신모뎀(130) 등의 이상작동으로 인해 도전점검정보가 서버 등으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 미터기(110)의 도전점검표시를 확인하여 도전점검상황이 발생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량계(100)가 수용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전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량계(100)가 수용가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전력량계(100)의 생산 및 시험, 인증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람 및 도전점검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어 불필요한 도전점검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전상황으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량계(100)를 벽면(10)으로부터 분리하여 터미털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도전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게 도전점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전력량계 110: 미터기
112: 하우징 120: 터미널부
122: 터미널커버 130: 통신모뎀
132: 모뎀커버 140: 제어부
142: 인쇄회로기판 144: 누름스위치
150: 설치확인부 152: 장착덕트
154: 연장덕트 156: 다이어프램
160: 작동노브 162: 노브몸체
164: 돌출부 166: 플랜지부
166a: 제1단차부 166b: 제2단차부

Claims (11)

  1. 전력선으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침하는 미터기;
    상기 전력선과 상기 수용가의 전력선이 연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미터기에 측정되는 전력량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모뎀;
    상기 미터기, 상기 터미널부 및 상기 통신모뎀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통신모뎀을 개방하기 위한 터미널커버와 모뎀커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터미널커버와 상기 모뎀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전점검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가에 설치되는 벽면에 제공되어 상기 수용가 벽면에 설치시 상기 제어부에 접촉되며 도전감지를 작동시키는 설치확인부;
    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전감지작동을 위한 누름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확인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회전에 의해 출하위치와 사용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가 벽면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도록 제공되는 전력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확인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는 장착덕트와,
    상기 장착덕트에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와,
    상기 연장덕트의 단부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갖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연장덕트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덕트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며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는 작동노브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노브는
    상기 연장덕트에 삽입되는 노브몸체와,
    상기 노브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덕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둘레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덕트 내측에 걸림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출하위치와 상기 사용위치에 따라 두께가 가변형성되는 전력량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출하위치에서 상기 노브몸체의 단부가 상기 누름스위치를 누르도록 위치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제1단차부와,
    상기 출하위치에서 상기 사용위치로 회전시 상기 노브몸체의 단부가 상기 누름스위치와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량계를 이용한 도전감지방법으로,
    상기 전력량계의 설치전 상기 설치확인부를 출하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변경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상기 전력량계의 설치에 따라 상기 설치확인부가 제어부를 가압함에 따른 입력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설치여부를 판단하고, 도전점검정보를 기록하는 전력량계 설치단계; 및
    상기 전력량계 설치단계가 완료된후, 상기 전력량계의 이상 또는 도전상황 발생시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도전감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모뎀커버 또는 상기 터미널커버의 개방이 감지되면,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1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설치확인부가 제어부를 가압함에 따른 입력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전점검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2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도전감지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도전점검정보의 발생시 알람을 발생하는 도전감지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점검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도전점검정보의 발생시 상기 미터기에 도전점검정보를 표시하는 도전감지방법.
KR1020180007328A 2018-01-19 2018-01-19 전력량계 KR20190088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28A KR20190088807A (ko) 2018-01-19 2018-01-19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28A KR20190088807A (ko) 2018-01-19 2018-01-19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07A true KR20190088807A (ko) 2019-07-29

Family

ID=6748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28A KR20190088807A (ko) 2018-01-19 2018-01-19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8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2308A (zh) * 2021-08-05 2021-11-0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用电客户负荷智能安全预警装置和方法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2308A (zh) * 2021-08-05 2021-11-0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用电客户负荷智能安全预警装置和方法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51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bration analysis
CA2638449C (en) Tamper detection apparatus for electrical meters
KR20190088807A (ko) 전력량계
KR20170053661A (ko) 전압 부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20100057401A1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testing gas monitors
KR102019603B1 (ko) 전력량계 봉인장치 및 방법
WO2007111239A1 (ja) 可搬型基地局装置
US2010004233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network for testing gas monitors
CN109781201A (zh) 操作具有智能电源的燃气表
JP2010277379A (ja) 盗難防止装置
EP3279674A1 (en) Metering system tamper detection
US6433982B1 (en) Connection verifying trip unit
JP5162766B2 (ja) ガスメータ
JP2019193542A (ja) 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異常検知方法
EP3975147B1 (en) Peripheral for an alarm system installation
TW202304068A (zh) 用於電連接器殼體及封閉式電路板之系統及方法
KR101240034B1 (ko) 사용자 설정 화면표시장치를 갖는 계전기
KR200294711Y1 (ko) 도전방지 장치를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CN209913074U (zh) 接线夹
CN209342041U (zh) 通孔工位检测装置
NO334326B1 (no) Elektronisk forseglingsanordning
CN111537034A (zh) 一种防拆式无线远传膜式燃气表
WO2018159068A1 (ja) バッテリーユニット
CN214669368U (zh) 一种苹果验机检测仪
JP2019179722A (ja) コンセント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