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922A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7922A KR20190087922A KR1020180014076A KR20180014076A KR20190087922A KR 20190087922 A KR20190087922 A KR 20190087922A KR 1020180014076 A KR1020180014076 A KR 1020180014076A KR 20180014076 A KR20180014076 A KR 20180014076A KR 20190087922 A KR20190087922 A KR 201900879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electrical contact
- soldering
- contact terminal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하면은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한쪽 측벽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가동 단부와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전기 전도도가 좋고, 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며, 솔더링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1354호에서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 상기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내열 고무 코팅층; 및 한 면이 상기 절연 내열 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내열 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다른 면에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필름은 양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 내열 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상기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의 하면은 폭 방향 양단에서 중간 부분을 향해 파인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서는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지만,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서는 코어가 힘이 인가되는 쪽의 반대쪽으로 밀려 비대칭적으로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전기접촉단자의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는 적절하게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직방향의 힘에 의한 코어의 눌림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금속층의 접히는 부분에서 금속층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표면 실장이 원활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적은 힘에 의해서 잘 적응 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및 수평방향, 특히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대상물의 가압에 의한 반복적인 접힘에 의해 금속층이나 전기전도성 코팅층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 실장이 원활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적은 힘에 의해서 잘 반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하면은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한쪽 측벽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가동 단부와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무코팅층; 및 상기 코어의 하면에서 고무코팅층 위에 고무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금속 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의 한쪽 측벽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가동 단부와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 사이에 이격공간(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 단부의 단면은 하방으로 향하며, 상기 가동 단부는, 상기 솔더링부와 맞닿도록 길이가 연장되거나, 상기 가동 단부의 단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코어를 생산하는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기접촉단자에 측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가해지는 힘은 상기 이격공간에 의해 분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하면은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측벽 중 하나는 상기 관통구멍의 바닥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고 일체화되어 경사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측벽에 의해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의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무코팅층; 및 상기 코어의 하면에서 고무코팅층 위에 고무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금속 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의 측벽 중 하나는 상기 관통구멍의 바닥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고 일체화되어 경사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측벽에 의해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의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의 단면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무게 대칭을 위하여 상기 코어의 양쪽 솔더링부의 형상과 회로기판에 솔더링 되는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에 측벽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 질 때, 상기 가해지는 힘은 상기 수용공간에 의해 분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솔더링 되는 회로기판의 솔더 패턴의 외곽치수는 상기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폭보다 커서 상기 솔더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전기접촉단자 폭 방향 양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픽업은 진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릴 테이핑되어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격공간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측면에 접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접힘 홈에서 상기 코어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힘 홈이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금속층을 타고 올라 솔더링 된 솔더의 끝 지점보다 상측일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과 상기의 구조에 의해 수평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한 가동 단부의 변위를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이 잘 흡수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하부로 인가되는 힘에 의한 가동 단부의 변위를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이 흡수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작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대상물의 가압에 의한 반복적인 접힘을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이 흡수함으로써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쪽의 금속층 또는 전기전도성 코팅층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격공간 또는 수용공간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미는 힘이나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줄일 수 있고 적은 힘에 의해 쉽게 잘 반응한다.
또한, 코어의 좌측과 우측의 무게 대칭은 솔더 크림의 도포 면적이나 솔더링부와 코어의 형상을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솔더링 되는 회로기판의 솔더 패턴의 외곽치수는 전기접촉단자의 폭보다 커서 솔더 패턴의 일부는 전기접촉단자의 폭 방향 양단으로 노출되어 표면 실장이 용이하고 신뢰성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7(a)과 7(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7(a)과 7(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데, 도 1(a)은 사시도이고, 도 1(b)은 정면도이다.
전기접촉단자(100)는 탄성 코어(core; 110), 코어(110)를 감싸도록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120)으로 구성되는데, 폴리머 필름(120)의 외면에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130)이 일체로 형성되고, 반대면은 접착제층(미도시)을 개재하여 코어(110)에 접착된다.
이하, 전기접촉단자(1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어(110)는 탄성, 내열성과 절연성을 가질 수 있는데, 리플로우 솔더링을 위한 내열성과 탄성을 갖는 비발포 내열 탄성고무, 예를 들어 실리콘고무일 수 있다.
접촉단자(100)의 진공 픽업을 위하여 코어(110)의 상면은 수평으로 편평하게 픽업부(115)가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에는 솔더링부(111, 112)가 형성되는데, 솔더링부(111, 112)는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직접 접촉하여 실장되는 부분으로 이 실시 예와 같이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솔더링부(111, 112)는 하면에서 수평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코어(110)에는 코어(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16)이 형성되는데, 코어(110)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서 약간 위쪽으로 형성되어 코어(11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코어(110)의 양측에 형성된 솔더링부(111, 112)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이 부분에서의 살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코어(110)의 한쪽 측벽은 분리되어 가동 단부(114)와 솔더링부(112)로 이격된다. 여기서, 가동 단부(114)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힘에 의해 가동하는 부분으로 솔더링부(112)와 맞닿거나 솔더링부(112)를 덮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가동 단부(114)와 솔더링부(112) 사이에는 이격공간(113)이 형성되는데, 이격공간(113)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가령, 가동 단부(114)의 길이를 연장하여 솔더링부(112)와 맞닿도록 하거나, 이 실시 예와 같이, 가동 단부(114)의 단면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이격공간(113)은 코어(110)를 생산하는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크건 작건 관계없이 이격공간(113)에 의해, 도 1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한 가동 단부(114)의 변위를 이격공간(113)이 흡수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접촉단자(100)에 측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가해지는 힘은 이격공간(113)에 의해 분산된다.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하부로 인가되는 힘에 의한 가동 단부(114)의 변위를 이격공간(113)이 흡수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작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대상물의 가압에 의한 반복적인 접힘을 이격공간(113)이 흡수함으로써 이격공간(113)이 형성되는 쪽의 금속층(13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격공간(11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미는 힘이나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이격공간(113)에 의해 코어(110)의 좌측과 우측이 무게 대칭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솔더링시 용융 솔더에 의해 뒤틀림이나 비틀림이 생길 수 있는데, 코어(100) 단면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무게 대칭을 위하여 코어(100)의 양쪽 솔더링부(111, 112)의 형상과 회로기판에 솔더링 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접착제층은 코어(110)와 폴리머 필름(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여 코어(110)와 폴리머 필름(120)을 신뢰성 있게 접착하며, 솔더링 전후에도 접착력과 탄성을 유지한다.
접착제층은 내열성을 갖는 고무로 구성되며, 가령 액상 실리콘고무가 열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액상 실리콘고무가 경화하면서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착을 가지며 경화 후 고상의 내열고무 접착제로 형성되고 한번 경화된 후에는 탄성을 유지하며 다시 열이 가해져도 접착력을 유지한다.
폴리머 필름(120)은, 예를 들어, 솔더링 온도를 수용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이나 기타의 내열 폴리머 필름일 수 있다.
폴리머 필름(120)의 외면에는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1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령 금속베이스 위에 폴리머 필름에 대응하는 액상의 폴리머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접착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폴리머 필름(120)이 코어(110)를 모두 감싸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데,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코어(110)의 측벽 중 하나는 관통구멍(116)의 바닥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고 일체화되어 경사 측벽(117)을 형성하고, 경사 측벽(117)에 의해 솔더링부 중 하나(112)의 상부에 수용공간(113a)이 형성된다.
전기접촉단자(100a)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해 코어(110)의 경사 측벽(117)이 접힐 때, 수용공간(113a)이 경사 측벽(117)을 수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데, 도 3(a)은 사시도이고, 도 3(b)은 정면도이다.
전기접촉단자(200)는, 코어(210)와 코어(2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무코팅층(220), 코어(210)의 하면에서 고무코팅층(220) 위에 고무 접착제(230)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금속 박(240)으로 구성된다.
코어(210)는, 가령 솔더링의 조건을 만족하는 실리콘고무나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비발포고무이거나, 발포고무일 수 있다.
도 1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코어(210)의 한쪽 측벽이 분리되어 가동 단부(214)와 솔더링부(212)로 나누어지며, 가동 단부(214)와 솔더링부(212) 사이에 이격공간(213)이 형성된다.
코어(210)의 상면 일부는 진공 픽업이 용이하도록 평면을 이루는 픽업부(215)가 형성된다.
고무코팅층(220)은, 가령 전기전도성 입자가 혼합되어 분산된 액상의 실리콘고무가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고무코팅층(220)은 코어(210)의 전체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코어(110)의 하면에 대응하는 일부분에서 고무코팅층(220)을 형성하지 않고 코어(110)와 고무 접착제(230)가 직접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금속 박(240)은 솔더링 강도 및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0.02 내지 0.2㎜인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가 도금된 구리 박일 수 있고, 금속 박(240)의 폭은 코어(110)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데,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다.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할 때, 가동 단부(214)는 연장되어 관통구멍(216)의 바닥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고 일체화되어 경사 측벽(217)을 형성하며, 경사 측벽(217)에 의해 솔더링부(212)의 상부에는 수용공간(213a)이 형성된다.
전기접촉단자(200a)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해 코어(210)의 경사 측벽(217)이 접힐 때, 수용공간(213a)이 경사 측벽(217)을 수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격공간(113)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서 관통구멍(116)의 측면에 접힘 홈(116a)을 형성하여 이 지점에서 코어(110)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 실시 예에서, "접힘"이라 함은 외부에서 힘을 가할 때 가장 먼저 또는 가장 많이 기구적 치수가 변하도록 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접힘 홈(116a)은 솔더링에 의해 용융 솔더가 금속층(130)을 타고 올라온 끝 지점보다 위쪽에 위치하여 상부에서 인가되는 힘을 가장 먼저 받고 가장 많이 흡수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용융 솔더가 부착된 금속층(130)의 끝 지점에서 금속층(130)의 반복적인 접힘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접힘 홈(116a)은 접촉단자(100)의 높이의 1/2 이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대상물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접촉단자(100)가 힘을 받는 경우, 접힘 홈(116a)이 형성된 부분에서 코어(110)의 측벽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접힘 홈(116a)이 가장 먼저 눌리게 되며, 그 결과 인가된 힘의 대부분이 분산 및 흡수된다.
따라서, 종래 금속층에서 솔더가 덮인 부분과 덮이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 지점에서 접힐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이 지점에서 반복적인 접힘에 의해 금속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이 실시 예에서도, 수용공간(113a)의 반대쪽에서 관통구멍(116)의 측면에 접힘 홈(116a)을 형성하여 이 지점에서 코어(110)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한다.
도 7(a)과 7(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전기접촉단자(200, 200a)는, 코어(210)와 코어(2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무코팅층(220), 코어(210)의 하면에서 고무코팅층(220) 위에 고무 접착제(230)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금속 박(240)으로 구성되고, 이격공간(213)이나 수용공간(213a)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서 관통구멍(216)의 측면에 접힘 홈(216a)을 형성하여 이 지점에서 코어(210)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한다.
상기의 각 실시 예에서, 전기접촉단자(100, 100a, 200, 200a)가 솔더링 되는 회로기판의 솔더 패턴의 외곽 치수는 전기접촉단자(100, 100a, 200, 200a)의 폭보다 커서 솔더 패턴의 일부는 전기접촉단자(100, 100a, 200, 200a)의 폭 방향 양단으로 노출된다.
또한, 전기접촉단자(100, 100a, 200, 200a)의 픽업은 진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기접촉단자(100, 100a, 200, 200a)는 릴 테이핑되어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200, 200a: 전기접촉단자
110: 코어
111, 112: 솔더링부
113: 이격공간
114: 가동 단부
115: 픽업부
116: 관통구멍
120: 폴리머 필름
130: 금속층
110: 코어
111, 112: 솔더링부
113: 이격공간
114: 가동 단부
115: 픽업부
116: 관통구멍
120: 폴리머 필름
130: 금속층
Claims (15)
-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하면은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한쪽 측벽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가동 단부와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무코팅층; 및
상기 코어의 하면에서 고무코팅층 위에 고무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금속 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의 한쪽 측벽은 분리되어 형성되는 가동 단부와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가동 단부의 단면은 하방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가동 단부는, 상기 솔더링부와 맞닿도록 길이가 연장되거나, 상기 가동 단부의 단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코어를 생산하는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에 측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가해지는 힘은 상기 이격공간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이격공간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측면에 접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접힘 홈에서 상기 코어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7에서,
상기 접힘 홈이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금속층을 타고 올라 솔더링 된 솔더의 끝 지점보다 상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의 외면에 형성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하면은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심 부분을 향하여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측벽 중 하나는 상기 관통구멍의 바닥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고 일체화되어 경사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측벽에 의해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의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상면에 픽업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솔더링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무코팅층; 및
상기 코어의 하면에서 고무코팅층 위에 고무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금속 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의 측벽 중 하나는 상기 관통구멍의 바닥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고 일체화되어 경사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측벽에 의해 상기 솔더링부 중 하나의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9 또는 10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에 측벽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 질 때, 상기 가해지는 힘은 상기 수용공간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9 또는 10에서,
상기 이격공간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측면에 접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접힘 홈에서 상기 코어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2에서,
상기 접힘 홈이 형성되는 높이는 상기 금속층을 타고 올라 솔더링 된 솔더의 끝 지점보다 상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2, 9 및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코어의 단면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무게 대칭을 위하여 상기 코어의 양쪽 솔더링부의 형상과 회로기판에 솔더링 되는 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 2, 9 및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솔더링 되는 회로기판의 솔더 패턴의 외곽치수는 상기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폭보다 커서 상기 솔더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전기접촉단자 폭 방향 양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픽업은 진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릴 테이핑되어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006312 | 2018-01-17 | ||
KR1020180006312 | 2018-01-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922A true KR20190087922A (ko) | 2019-07-25 |
KR102006793B1 KR102006793B1 (ko) | 2019-08-02 |
Family
ID=6746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076A KR102006793B1 (ko) | 2018-01-17 | 2018-02-05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679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0034A (ko) * | 2009-08-21 | 2011-03-02 | 두성산업 주식회사 |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탄성 접촉 단자 |
KR20130088681A (ko) * | 2012-01-31 | 2013-08-08 | 제이씨텍(주) | 도전성 개스킷 및 제조방법 |
KR20170048109A (ko) * | 2015-10-23 | 2017-05-08 | 조인셋 주식회사 | 탄성을 갖는 복합 필터 |
-
2018
- 2018-02-05 KR KR1020180014076A patent/KR1020067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0034A (ko) * | 2009-08-21 | 2011-03-02 | 두성산업 주식회사 |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탄성 접촉 단자 |
KR20130088681A (ko) * | 2012-01-31 | 2013-08-08 | 제이씨텍(주) | 도전성 개스킷 및 제조방법 |
KR20170048109A (ko) * | 2015-10-23 | 2017-05-08 | 조인셋 주식회사 | 탄성을 갖는 복합 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6793B1 (ko) | 2019-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9893B1 (ko) |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US8907229B2 (en) | EMI shielding gasket | |
KR101662261B1 (ko) |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20190088842A (ko) |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0888238B1 (ko) |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2340421B1 (ko) | 부착 강도가 향상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전도성 개스킷 | |
KR101415306B1 (ko) |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1562938B1 (ko) | 전기접촉단자 | |
KR20100120993A (ko)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1046765B1 (ko) |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1001355B1 (ko) | 표면 실장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20190087922A (ko)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0941929B1 (ko) |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1591658B1 (ko)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
KR20160023513A (ko)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
KR101662253B1 (ko)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
KR102594639B1 (ko) |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 |
KR102651162B1 (ko) |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 및 그 실장 구조 | |
KR20200134031A (ko) | 탄성 전기접속단자 어셈블리 | |
KR102212350B1 (ko) |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
KR20240069172A (ko) | 탄성 전기전도성 개스킷 | |
KR20230087209A (ko)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CN110767623B (zh) | 一种基材及其制备方法与电路基板 | |
KR101318945B1 (ko)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US20230299526A1 (en) | Electrical contact terminal having elasticit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