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556A -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556A
KR20190087556A KR1020197018250A KR20197018250A KR20190087556A KR 20190087556 A KR20190087556 A KR 20190087556A KR 1020197018250 A KR1020197018250 A KR 1020197018250A KR 20197018250 A KR20197018250 A KR 20197018250A KR 20190087556 A KR20190087556 A KR 2019008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pinion
guide finger
mo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469B1 (ko
Inventor
빈센트 루버트
프레데릭 듀혹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8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한 디지털-태블릿 또는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2)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1)이고, 디바이스(1)는 전자 소자(2)를 지탱하도록 의도되는 외부면, 및 디바이스(1)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정렬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3)를 지탱하는, 평면 형상인 스테이지(4)를 갖고, 이동식 스테이지(4)는 모터가 달린 작동 기구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 기구는 스테이지(4)가 디바이스(1)의 외부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되게 하는 주 구동 소자(6a)에 연결되는 단일의 모터(5)를 포함하고, 주 구동 소자(6a)는 원형 형상이고 그리고 모터(5)는 주 구동 소자(6a)의 주변부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주 구동 소자(6a)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킨다.

Description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를 가진 휴대폰 또는 디지털 태블릿 유형의 전자 소자의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전자 소자의 재충전 동안 전자 소자를 지지하도록 의도된 외부면을 갖는다. 평면 형상의 스테이지(stag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정렬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가까이에 있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를 지탱하면서 디바이스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동식 스테이지는 모터가 달린 작동 기구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유도 충전 디바이스는 자동차 내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것은 비제한적이다.
전자 소자를 유도 재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경우에, 방출용 안테나(들)가 수신용 안테나(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배치되어 유도에 의한 효율적인 재충전을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의의 위치로부터의 탈선, 심지어 작은 탈선은 재충전의 저효율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규모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해서, 휴대폰의 경우에, 방출용 안테나의 충전 영역은 재충전 디바이스에서 20㎜×20㎜이다. 충전될 전자 소자 내 충전 영역은 10×10㎟로, 더 작다.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경우에, 폰이 세트 다운되는 영역은 대략 140㎜×80㎜ 내지 200㎜×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전화기 치수는 110㎜×70㎜ 내지 175㎜×85㎜에 포함될 수도 있다.
소자의 각각의 치수, 각각, 즉, 폰이 배치되는 영역, 폰의 치수, 재충전 디바이스의 방출용 안테나의 활성 영역, 폰의 수신용 안테나의 활성 영역을 고려하면, 폰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충전되게 하기 위해서, 재충전 디바이스에서 안테나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안테나를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그래서 이것은 폰이 충전되게 한다.
따라서, 재충전될 전자 소자의 배치 시 임의의 가능한 탈선을 정정하기 위해서 수신용 안테나(들)에 대한 방출용 안테나(들)의 조정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전자 소자는 사용자에 의해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거나 또는 전자 소자의 시작 위치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은 특히 휴대폰이 불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이동할 것 같은 자동차에 적용된다.
따라서, 전기 모터, 유리하게는 2개의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재충전 디바이스 내 방출용 안테나(들)를 포함한 스테이지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이 알려진 관습이다.
그러나, 각각의 모터가 자체의 제어 전자 장치를 갖는 것을 고려하면, 2개의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것(따라서 제어 전자 장치는 중복됨)은 재충전 디바이스의 가격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그리고 재충전 디바이스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대안적인 해결책으로서, 방출용 안테나의 수가 증가되는 것이 또한 제공되고, 어떤 것은 마찬가지로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한 해결책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다뤄지는 문제는 재충전 디바이스 내 방출용 안테나(들)의 위치 설정을 전자 소자의 수신용 안테나(들)에 대하여 조정되게 허용하는, 전자 소자의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것이고, 이 조정은 가능한 한 효율적이면서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를 가진 휴대폰 또는 디지털 태블릿 유형의 전자 소자의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디바이스가 전자 소자를 재충전하기 위해 전자 소자를 지지하도록 의도된 외부면을 갖고, 평면 형상의 스테이지가 디바이스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정렬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가까이에 있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를 지탱하고, 이동식 스테이지는 작동 기구가 스테이지가 디바이스의 외부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하게 하는 주 구동 소자에 연결된 단일의 모터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모터가 달린 작동 기구에 의해 작동되고, 주 구동 소자가 원형 형상이고, 그리고 모터가 주 구동 소자의 주변부와 맞물리고 그리고 주 구동 소자를 순서대로 구동시킨다.
획득된 기술적 효과는 2-컴포넌트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단일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단일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반면에 종래 기술은 2개의 모터 또는 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한다. 따라서 비용 절약적이고, 또한 스테이지의 위치의 조정이 간단하다.
모터 및 안테나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본 발명이 삼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아주 많은 제어 전자 장치의 사용을 수반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작동 기구가 스테이지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guide finge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가 작동 기구와 대면하는 스테이지의 하나의 면에 이루어진 홈에 진입하고 그리고 모터가 감속 기어, 및 주 구동 소자의 주변부와 맞물리는 출력축을 갖고, 출력축 및 주 구동 소자가 스테이지(4)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스테이지에 대해 수직인 출력축을 가진 모터와 비교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스테이지의 평면과 평행할 수 있어서, 재충전 디바이스를 더 컴팩트(compact)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작동 기구에서, 주 구동 소자가 주 구동 소자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열된 구동 풀리(driving pulley)에 의해 풀리에 고정되고 그리고 주 구동 소자를 통해 모터에 의해 순서대로 구동되고, 벨트가 구동 풀리 둘레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된 복귀 풀리 둘레에서 둘러싸이고, 벨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를 지탱한다.
이 실시형태는 비교적 경제적이고 그리고 벨트에 부여된 경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인장 롤러(tensioning roller)(들)는 조정 가능한 벨트 장력(tension)을 보장하고 그리고 가능하게는 벨트의 경로를 국부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따라서 전자 소자 수용면의 다양한 유형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을 더 쉽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구동 소자가 1차 맞물림 소자(meshing element)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정반대에 배치된 2개의 2차 맞물림 소자를 구동시키는 1차 맞물림 소자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가 스테이지의 방향으로 각각의 2차 맞물림 소자를 통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가 스테이지를 향하여 지향된 1차 맞물림 소자의 하나의 면에 의해 지탱된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의 작용에 의해 스테이지를 향하여 그리고 스테이지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한다.
이 실시형태는 더 복잡한 실시형태이지만, 또한 더 정밀하다. 핑거는 각각의 홈이 형성한 가이드웨이(guideway)에 삽입됨으로써 부분적으로 철수 가능하다. 스테이지는 1차 맞물림 소자에 의해 자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2차 맞물림 소자에서 교대로 구동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가 복귀 소자에 의해 스테이지로부터 이격되어 탄성적으로 복귀되고, 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위한 가이드웨이를 형성한다. 이것은 핑거가 더 이상 스테이지의 구동 작용을 가하지 않을 때 핑거가 홈으로부터 자동으로 철수될 수 있고, 이어서 캠 프로파일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작동 시스템이 2차 맞물림 소자당 2개의 가이드 핑거를 포함하고, 각각의 2차 맞물림 소자가 1차 맞물림 소자의 주변부와 맞물리는 제1 구동 피니언(drive pinion), 및 스테이지를 향하는 제2 피니언을 갖고, 제1 구동 피니언과 제2 피니언이 동축이고 그리고 연결축에 의해 고정되고, 제1 구동 피니언, 제2 피니언, 1차 맞물림 소자 및 스테이지가 각각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제2 피니언이 제2 피니언과 연관되는 제1 구동 피니언보다 직경이 더 크고, 제2 피니언이 1차 맞물림 소자의 부분과 떨어져서 중첩되고, 제2 피니언이 각각의 가이드 핑거의 통로를 위해 2개의 보어를 통과하고, 2개의 보어가 함께 45° 미만의 원호와 마주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소자가 구동 편심 바퀴이고, 작동 기구가 또한 가이드 핑거, 및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보조 편심 바퀴를 포함하고, 작동 기구가 스테이지의 이동이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의 조합인 방식으로 구성된다. 스테이지의 이 조합된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은 더 큰 충전 영역이 커버되게 한다.
유리하게는, 디바이스가 2개의 편심 바퀴의 각각의 차축을 지지하는 고정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가이드 핑거가 하나의 단부에 의해 고정된 지지부에 고정되고, 가이드 핑거가 가이드 핑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폐쇄 원형 에지를 가진 가이드 영역에 수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가 재충전될 전자 소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대면하도록 의도되는 스테이지의 면에 놓인 평판 코일의 형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가 이러한 유도-재충전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작동 중인 자동차에서, 휴대폰 스타일의 전자 소자는 불량하게 배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유도-재충전 디바이스 위에 놓일 때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3개의 실시형태를 통해, 디바이스 위의 전자 소자의 위치의 이 변동이 정정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후속될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그리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써 제공된 첨부된 도면을 검토할 때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단면에서 본 개략도,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위에서 본 개략도,
-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동역학의 다양한 연속적인 단계를 위에서 본 도면,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단면에서 본 개략도,
-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위에서 본 개략도,
- 도 6은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동역학의 다양한 연속적인 단계를 위에서 본 도면,
- 도 7은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동역학의 다양한 연속적인 단계를 단면에서 본 도면,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위에서 본 개략도,
- 도 9는 도 8에 예시된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동역학의 다양한 연속적인 단계를 위에서 본 도면,
- 도 10은 종래 기술의 재충전 디바이스와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재충전 디바이스에 따라 획득된 충전 영역의 비교를 예시한 도면, 및
- 도 11은 도 8에 예시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의 분해도의 개략도.
다음으로, 참조가 조합되어 고려되는 모든 도면에 대해 행해질 것이고, 그리고 참조 부호가 임의의 주어진 도면에서 빠져있을 때 이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 발견될 것이다.
모든 도면을 참조하면, 모든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를 가진, 휴대폰 또는 디지털 태블릿 유형의, 도 11에서 보이는, 전자 소자(2)의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에 관한 것이다. 재충전 디바이스(1)는 전자 소자(2)가 재충전되는 동안 전자 소자를 지지하기 위해 의도된 외부면을 갖는다.
평면 형상의 스테이지(4)는 디바이스(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정렬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가까이에 있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3)를 지탱한다. 이동식 스테이지(4)는 모터가 달린 작동 기구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기구는 스테이지(4)가 디바이스(1)의 외부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하게 하는 주 구동 소자(6, 6a, 6b)에 연결된 단일의 모터(5)를 포함한다. 주 구동 소자(6, 6a, 6b)는 원형 형상이고, 그리고 모터(5)가 주 구동 소자(6, 6a, 6b)의 주변부와 맞물려서, 주 구동 소자(6, 6a, 6b)를 순서대로 구동시킨다.
임의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작동 기구는 스테이지(4)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는 작동 기구와 대면하는 스테이지(4)의 하나의 면에 이루어진 홈(8)에 진입한다.
모터(5), 유리하게는, 전기 모터는 감속 기어(5a), 및 주 구동 소자(6, 6a, 6b)의 주변부와 맞물리는 출력축(9)을 가질 수도 있다. 출력축(9) 및 주 구동 소자(6, 6a, 6b)는 스테이지(4)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3개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작동 기구에서, 주 구동 소자의 주변부에서 모터(5)와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주 구동 소자(6)는 구동 풀리(10)를 통해 풀리에 고정된다.
이 구동 풀리(10)는 주 구동 소자(6)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 주 구동 소자(6)를 통해 모터(5)에 의해 순서대로 구동된다. 이어서 벨트(11)는 구동 풀리(10) 둘레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된 복귀 풀리(12) 둘레에서 둘러싸인다. 이 벨트(11)는 구동 소자(6) 및 작동 기구와 대면하는 스테이지(4)의 면에 이루어진 홈(8)에 진입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를 지탱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단일의 가이드 핑거(7)를 도시한다.
도 1에서, 가이드 핑거(7)는 앵글 브래킷(angle bracket)의 형태이다. 풀리(10, 12)는 벨트(11)를 순서대로 구동시킨다. 작동 기구는 벨트(11)를 인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장 롤러(13), 유리하게는 2개의 인장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롤러(13)의 인장은 벨트(11)의 적합한 장력을 보장하고 그리고 가능하게는 벨트(11)의 경로를 국부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주 구동 소자(6) 및 주 구동 소자와 연관된 구동 풀리(10)의 회전에 의해 도달된 다양한 위치(A 내지 G)에서 작동 기구에 의해 개시된 스테이지(4)의 이동의 동역학의 하나의 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동 기구에서, 주 구동 소자의 주변부에서 모터(5)와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주 구동 소자는 1차 맞물림 소자(6a)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정반대에 있도록 배치된 2개의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를 구동시키는 1차 맞물림 소자(6a)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2차 맞물림 세트(14, 15, 16)당 2개가 있는 가이드 핑거(들)(7)는 스테이지(4)의 방향으로 각각의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를 통과할 수도 있다. 가이드 핑거(들)(7)는 스테이지(4)를 향하는 1차 맞물림 소자(6a)의 하나의 면에 의해 지탱된 캠 프로파일(7)의 작용을 통해 스테이지(4)를 향하여 그리고 스테이지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도 있다.
가이드 핑거(들)(7)는 특히, 도 4 및 도 7에서 보이는 캠 프로파일(17)에 의해 스테이지(4)를 향하여 눌릴 수도 있다. 가이드 핑거(들)(7)는 가이드 핑거의 연관된 2차 맞물림 세트(14, 15, 16)에 대해 수직인 방식으로, 그리고 마찬가지로 1차 맞물림 소자(6a)에 대해 수직인 방식으로 향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핑거(들)(7)는 복귀 소자에 의해 스테이지(4)로부터 이격되어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도 있다. 가이드 핑거(7)는 예를 들어, 가이드 핑거가 1차 맞물림 소자(6a)의 캠 프로파일(17)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철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스프링(들)에 실장될 수도 있다. 홈(들)은 가이드 핑거(들)(7)를 위한 가이드웨이(guideway)를 형성한다.
도 7에 특히 분명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작동 시스템은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당 2개의 가이드 핑거(7)를 포함한다. 각각의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는 1차 맞물림 소자(6a)의 주변부와 맞물리는 제1 구동 피니언(drive pinion)(14), 및 스테이지(4)를 향하는 제2 피니언(16)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구동 피니언(14)과 제2 피니언(16)은 동축일 수도 있고 그리고 겹쳐진 평면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이들을 유지하는 연결축(15)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제1 구동 피니언(14), 제2 피니언(16), 1차 맞물림 소자(6a) 및 스테이지(4)는 겹쳐진 각각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제2 피니언(16)은 제2 피니언과 연관되는 제1 구동 피니언(14)보다 직경이 더 클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2 피니언(16)은 1차 맞물림 소자(6a)의 부분과 떨어져서 중첩된다. 제2 피니언은, 가이드 핑거(들)(7)가 직접적으로(이것은 철수된 위치임) 또는 캠 프로파일(17)을 통해 지탱하는 제2 피니언(16)에 의해 중첩될 수 있는 1차 맞물림 소자(6a)의 이 부분 위에 있다.
제2 피니언(16)은 각각의 가이드 핑거(7)의 통로를 위해 2개의 보어(16a)를 통과할 수도 있고, 2개의 보어(16a)는 함께 유리하게는 45° 미만의 원호와 마주본다.
도 6 및 도 7은 이 2개의 도면의 경우에, 서로(하나는 작동 기구의 위에서 본 도면, 그리고 다른 하나는 작동 기구의 측면 섹션에서 본 도면, 각각)에 대응하는, 다양한 위치(A 내지 G)에서 작동 기구에 의한 스테이지(4)의 이동의 동역학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스테이지(4)의 이동은 스테이지가 더 잘 보이도록 의도적으로 과장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작동 기구에서, 구동 소자의 주변부에서 모터(5)와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구동 소자는 구동 편심 바퀴(6b)이다. 작동 기구는 또한 가이드 핑거(7), 및 모터(5)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보조 편심 바퀴(18)를 포함한다. 작동 기구는 스테이지(4)의 이동이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의 조합인 방식으로 구성된다.
구동 편심 바퀴(6b)는 톱니형일 수도 있고 그리고 모터(5)의 출력축(9)에 제공된 맞물림 표면과 협력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원형 폐쇄 에지를 가진, 가이드 영역(7a)은 가이드 핑거(7)의 경로의 경계를 정한다. 실질적으로 직선형 형상일 수도 있는 가이드 핑거(7)는 스테이지(4)의 홈에 수용된 제1 단부, 및 가이드 영역(7a) 옆에 있는 제2 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스테이지(4)의 이동은 가이드 핑거(7)의 제2 단부가 지탱하는 가이드 영역(7a)의 폐쇄 원형 에지에 의해 규정된다.
도 9는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을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 제3 실시형태의 동역학의 하나의 형태를 도시한다. 이 동역학의 시작은 참조 부호 A와 참조 부호 B 사이의 병진 이동으로 시작되고, 단계 C 내지 단계 I의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의 결합이 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제3 실시형태의 하위-모드에서, 안테나-지지 스테이지(4)의 유리한 위치를 발견하기 위한 이동 대신에, 스테이지(4)의 연속적인 이동이 예상될 수도 있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재충전 디바이스(1a) 및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 디바이스(1)를 위한 충전 영역(23a, 23)의 비교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충전 디바이스(1)의 충전 영역(23)은 종래 기술의 재충전 디바이스(1a)의 충전 영역(23a)의 크기의 2배일 수도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의 충전 영역(23a)의 크기의 실질적으로 2배인 충전 영역(23)을 생성하는, 스테이지(4)의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을 결합하는 이동의 생성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편심값에 따라, 충전 커버리지 영역은 2배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고정 안테나를 가진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은 안테나의 중복을 수반하고, 이는 그래서 또한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전자 장치의 중복을 필요로 한다.
도 11은 휴대폰 또는 디지털 태블릿 유형의 전자 소자(2)를 위한, 본 발명의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1)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유도-재충전 디바이스(1)는 전자 소자(2)가 충전되는 지지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지지면은 유리하게는 상부 케이싱(22)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조립체는 유도-재충전 디바이스(1)가 통합되는 자동차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에 적용된다.
재충전 디바이스(1)는 2개의 편심 바퀴(6b, 18)의 각각의 각각의 차축(21)을 지탱하고 그리고 가이드 핑거(7)가 하나의 단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된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유도-재충전 디바이스(1)는 디바이스(1)의 모든 나머지를 디바이스 내부에 포함하고 보호하도록 이동식 상부 케이싱(22)과 협력하는 하부 케이싱(1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22, 19)은 또한 이들 사이에 모터(5), 유리하게는 전기 모터, 및 모터(5)의 출력축(9)을 수용한다. 감속 기어(5a)는 모터(5)와 연관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 고정된 지지부(20)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형 가이드 핑거(7)의 제2 단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원형 폐쇄 가이드 영역(7b)을 지탱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직선형 가이드 핑거의 다른 단부는 지지부(20)와 대면하는 스테이지(4)의 면에 형성된 홈에 진입한다. 가이드 핑거(7)의 제2 단부는 가이드 영역(7b) 내부에 수용된다.
이 실시형태와의 대응에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충전 디바이스(1)는 이러한 하부 케이싱과 상부 케이싱(19, 22) 및 이러한 고정된 지지부(20)를 가질 수도 있고, 고정된 지지부(20)는 특별히 각각의 실시형태에 대해 조정된다.
이 실시형태에 특정한 도면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 고정된 지지부는 적절하다면, 각각의 인장 롤러(13)를 위한 회전 차축과 함께, 풀리(10, 12)의 각각을 위한 2개의 회전 차축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경우에, 고정된 지지부는 주 1차 맞물림 소자(6a)를 위한 회전 차축(21)을 가질 수도 있다.
이동식 스테이지(4) 또는 안테나 지지부는 작동 기구 위에 겹쳐진다. 도 11에서, 스테이지(4)는 방출용 안테나(3)를 형성하는, 2개의 코일, 예를 들어, 리츠선 코일(Litz wire coil)을 지지한다. 상부 케이싱(22)은 작동 기구의 모든 이 소자를 덮고 그리고 재충전될 전자 소자(2)가 놓이는 재충전 디바이스(1)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에 대해, 방출용 안테나(들)는 재충전될 전자 소자(2)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용 안테나(들)와 대면하도록 의도되는 스테이지(4)의 면에 놓인 하나 이상의 평판 코일(들)의 형태일 수도 있다. 수개의 안테나, 특히, 코일이 있을 때, 이 코일은 일렬로, 삼각형으로, 또는 충전 영역의 커버리지를 개선시키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를 가진 휴대폰 또는 디지털 태블릿 유형의 전자 소자(2)의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로서,
    상기 디바이스(1)가 상기 전자 소자(2)를 재충전하기 위해 상기 전자 소자를 지지하도록 의도된 외부면을 갖고, 평면 형상의 스테이지(stage)(4)가 상기 디바이스(1)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정렬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가까이에 있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3)를 지탱하고, 이동식 스테이지(4)가 모터가 달린 작동 기구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모터가 달린 작동 기구는 상기 스테이지(4)가 상기 디바이스(1)의 상기 외부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하게 하는 주 구동 소자(6, 6a, 6b)에 연결된 단일의 모터(5)를 포함하고, 상기 주 구동 소자(6, 6a, 6b)가 원형 형상이고, 그리고 상기 모터(5)가 상기 주 구동 소자(6, 6a, 6b)의 주변부와 맞물리고 그리고 상기 주 구동 소자(6, 6a, 6b)를 순서대로 구동시키고, 상기 작동 기구가 상기 스테이지(4)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guide finger)(7)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가 상기 작동 기구와 대면하는 상기 스테이지(4)의 하나의 면에 이루어진 홈(8)에 진입하고 그리고 상기 모터(5)가 감속 기어(5a), 및 상기 주 구동 소자(6, 6a, 6b)의 상기 주변부와 맞물리는 출력축(9)을 갖고, 상기 출력축(9) 및 상기 주 구동 소자(6, 6a, 6b)가 상기 스테이지(4)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되,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작동 기구에서, 상기 주 구동 소자(6)가 상기 주 구동 소자(6)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열된 구동 풀리(driving pulley)(10)에 의해 풀리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주 구동 소자(6)를 통해 상기 모터(5)에 의해 순서대로 구동되고, 벨트(11)가 상기 구동 풀리(10) 둘레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된 복귀 풀리(12) 둘레에서 둘러싸이며, 상기 벨트(1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가 상기 벨트(11)를 인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장 롤러(tensioning roller)(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 소자가 1차 맞물림 소자(meshing element)(6a)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정반대에 배치된 2개의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를 구동시키는 상기 1차 맞물림 소자(6a)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가 상기 스테이지(4)의 방향으로 각각의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를 통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가 상기 스테이지(4)을 향하여 지향된 상기 1차 맞물림 소자(6a)의 하나의 면에 의해 지탱된 캠 프로파일(cam profile)(17)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4)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핑거(7)가 복귀 소자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4)로부터 이격되어 탄성적으로 복귀되고, 상기 홈(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7)를 위한 가이드웨이(guideway)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시스템이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당 2개의 가이드 핑거(7)를 포함하고, 각각의 2차 맞물림 소자(14, 15, 16)가 상기 1차 맞물림 소자(6a)의 상기 주변부와 맞물리는 제1 구동 피니언(drive pinion)(14), 및 상기 스테이지(4)를 향하는 제2 피니언(16)을 갖고, 상기 제1 구동 피니언(14)과 상기 제2 피니언(16)이 동축이고 그리고 연결축(1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구동 피니언(14), 상기 제2 피니언(16), 상기 1차 맞물림 소자(6a) 및 상기 스테이지(4)가 각각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피니언(16)이 상기 제2 피니언과 연관되는 상기 제1 구동 피니언(14)보다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2 피니언(16)이 상기 1차 맞물림 소자(6a)의 부분과 떨어져서 중첩되고, 상기 제2 피니언이 각각의 가이드 핑거(7)의 통로를 위해 2개의 보어(17)를 통과하고, 상기 2개의 보어(17)가 함께 45° 미만의 원호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소자가 구동 편심 바퀴(6b)이고, 상기 작동 기구가 또한 가이드 핑거(7), 및 상기 모터(5)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보조 편심 바퀴(18)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기구가 상기 스테이지(4)의 이동이 병진 이동과 회전 이동의 조합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2개의 편심 바퀴(6b, 18)의 각각의 상기 차축(21)을 지지하는 고정된 지지부(20)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 핑거(7)가 하나의 단부에 의해 상기 고정된 지지부(20)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핑거(7)가 상기 가이드 핑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폐쇄 원형 에지를 가진 가이드 영역(7a)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용 안테나(3)가 재충전될 상기 전자 소자(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용 안테나와 대면하도록 의도되는 상기 스테이지(4)의 면에 놓인 평판 코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재충전을 위한 디바이스(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도-재충전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97018250A 2016-11-25 2017-11-24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499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1535 2016-11-25
FR1661535A FR3059484B1 (fr) 2016-11-25 2016-11-25 Dispositif de rechargement inductif d'un element electronique du type telephone portable
PCT/FR2017/053247 WO2018096291A1 (fr) 2016-11-25 2017-11-24 Dispositif de rechargement inductif d'un élément électronique du type téléphone por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56A true KR20190087556A (ko) 2019-07-24
KR102499469B1 KR102499469B1 (ko) 2023-02-13

Family

ID=5831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250A KR102499469B1 (ko) 2016-11-25 2017-11-24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8283B2 (ko)
KR (1) KR102499469B1 (ko)
CN (1) CN109964387B (ko)
FR (1) FR3059484B1 (ko)
WO (1) WO20180962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6659A1 (en) * 2011-06-21 2012-12-27 Tanashin Denki Co., Ltd. Wireless battery charger of moving coil type
KR20140002850A (ko) * 2012-06-26 2014-01-09 (주)디팜스 무선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9185B2 (en) * 2006-01-31 2012-05-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NZ593750A (en) * 2009-01-06 2013-09-27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Inductive power supply
DE102011110680B4 (de) * 2011-06-08 2023-11-23 Peiker Acustic Gmbh & Co. Kg Lade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8818465B1 (en) * 2011-07-14 2014-08-26 William Edward Gorham, Jr. Holder for connecting a mobile phone to the seatbelt of a vehicle and method of use
GB2500783A (en) * 2012-03-13 2013-10-02 Bury Sp Zoo Mobile phone holder with optimally positionable inductive charging coil
CN103441579A (zh) * 2013-08-07 2013-12-1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能量发射装置
US9649948B2 (en) * 2014-08-25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locating multi-coil system for wireless vehicle charging
US20160118861A1 (en) * 2014-10-24 2016-04-28 Mark Joseph Gabriel Power generation us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JP6076315B2 (ja) * 2014-11-05 2017-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非接触充電システム
AU2016308793B2 (en) * 2015-08-17 2020-10-22 H3 Dynamics Holdings Pte. Ltd. Drone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6659A1 (en) * 2011-06-21 2012-12-27 Tanashin Denki Co., Ltd. Wireless battery charger of moving coil type
KR20140002850A (ko) * 2012-06-26 2014-01-09 (주)디팜스 무선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64387A (zh) 2019-07-02
US20200185978A1 (en) 2020-06-11
US11108283B2 (en) 2021-08-31
KR102499469B1 (ko) 2023-02-13
WO2018096291A1 (fr) 2018-05-31
FR3059484A1 (fr) 2018-06-01
FR3059484B1 (fr) 2019-12-20
CN109964387B (zh)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7944B (zh) 关键滑轮段特征、分段堆叠构造及凸轮和辊的设计和致动
US9994112B2 (en) Shield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KR102491743B1 (ko)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사용자 장비를 유도식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
US10144542B2 (en) Rotary wrapping machine for packaging objects
EP29058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relative position between coils
KR101392465B1 (ko) 다이나모 전기 기기의 코어의 코일 지지체 및 싱글 폴을 권취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501755A (zh) 电动汽车的自动换电平台和换电站
CN103460489A (zh) 层叠装置以及层叠方法
EP2903122A1 (en) Power-feeding device for vehicle
JP2010246348A (ja) 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CN104024027B (zh) 感应能量传输装置
AU2012248069A1 (en) Key pulley segment features, segment stack configuration, and cam and roller design and actuation in a synchronized segmentally interchanging pulley transmission system
KR20120011130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US20130200631A1 (en) Roller, in particular track roller or carrying roller for cableway systems
JP5138083B1 (ja) 給電装置
KR20190087556A (ko) 휴대폰 유형의 전자 소자를 유도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WO2014073317A1 (ja) 車両給電装置
CN112974674A (zh) 用于驱动马达的发夹型定子线圈成形系统的线圈弯曲装置
WO2014204284A1 (ko)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20349482U (zh) 平移机构及平移系统
JP2015065728A (ja) シールド装置
JP2012210099A (ja) 充電システム
JP2021076135A (ja) 駆動装置および充電装置
KR101486811B1 (ko)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200077317A (ko) 전기모터용 코일 절연층 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