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690A - 도금에 의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복합 재료 - Google Patents

도금에 의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복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690A
KR20190086690A KR1020197015879A KR20197015879A KR20190086690A KR 20190086690 A KR20190086690 A KR 20190086690A KR 1020197015879 A KR1020197015879 A KR 1020197015879A KR 20197015879 A KR20197015879 A KR 20197015879A KR 20190086690 A KR20190086690 A KR 2019008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s
strip
filler
band device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855B1 (ko
Inventor
미카엘 발켄홀
옌스 에르레마이어
Original Assignee
비케더 베스트팔렌슈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케더 베스트팔렌슈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케더 베스트팔렌슈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8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21B2001/383Cladded or coat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6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Forging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정상측(O) 및 저부측(U)을 갖는 밴드 장치를 도금하여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는 사이에 충전 채널(3a)을 형성하는 적어도 제 1 스트립(1a) 및 제 2 스트립(1b)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 스트립(3a)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 장치는 도금되고, 상기 도금 동안 상기 충전재 스트립(3a)의 일부가 상기 충전 채널(2a) 내로 압출되고, 복합 재료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금에 의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복합 재료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제 15 항에 따른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도금에 의한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PCT/US15/41857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서로 다른 금속 스트립이 나란히 접합되는 냉간 압연에 의한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롤 스탠드의 롤 갭에 공급되는 재료가 연속적인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복수의 금속 스트립이 입구 측에서 나란히 그리고 서로 위에 놓여진다. 또한, 입구 측의 스트립 폭은 중첩이 서로 위에 안내된 스트립 사이에서 얻어지도록(블록적층에 사용되는 본드/오프셋의 유형과 비교하여) 선택된다. 후속하는 냉간 압연 도금 공정에 의해, 중첩된 재료 표면들 사이의 접착이 성립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압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이한 금속들을 나란히 병합하는 복합 재료가 실현된다.
복합 재료로 연결되는, 즉 도금된 복수의 스트립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방법 또는 도금 설계는 스트립 도금이라고도 불린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 도금에서, 특히 최소 폭과 관련하여 개별 스트립의 치수가 제한된다. 이는 모든 공정 단계에 실질적으로 적용되며, 특히 부품의 크기, 세정 및 활성화에 대한 절단에도 적용된다.
냉간 압연(도금) 작동에서 통상 접하게 되는 산업 플랜트에 있어서, 처리될 금속 스트립의 폭은 밴드 두께(수평 직사각형 프로파일)보다 커야 한다. 판 두께(수직 직사각형 프로파일) 미만의 폭을 갖는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처리될 수 없다.
스트립 도금의 제조 비용은 각각의 추가 도금 파트너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추가로 추측할 수 있다. 공급된 각 도금 파트너는 도금을 위한 적합성까지 복수의 공정 단계를 거쳐야 한다. 또한 각 스트립은 롤 갭(클램핑, 스레딩) 및 가이드(공정 작동)까지 공정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스트립 당이와 같이 상승하는 공정 시간 및 부수적인 시간 이외에, 추가로 요구되는 권취해제 스테이션 및 가이드에 대한 비용도 상승한다.
또한, 스트립 도금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계면을 가지며, 이는 복합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계면은 전기 저항을 증가시키며 복합 재료의 기계적 부하 용량 및 변형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공정 결함(도금 결함)은 일반적으로 계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추가 계면으로 인해 결함 가능성이나 위험이 증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들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를 회피하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는 과제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폭의 제시가능한 범위를 넓히고, 특히 주어진 산업 설비로는 제조될 수 없거나 또는 상당한 비용으로만 제조될 수 있는 매우 작은 영역 폭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방법은 유사한 도금 설계를 생성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보다 생산 비용을 줄이고 따라서 자원을 절약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균질한 계면의 수는 감소되고 이에 따라 개선된 복합 특성이 달성되고, 전형적인 계면 결함이 국지적으로 회피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밴드 장치를 도금하여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밴드 장치는 사이에 충전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제 1 스트립 및 제 2 스트립을 포함하며, 밴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장치는 도금되고, 상기 충전재 스트립의 일부는 도금 동안 충전 채널 내로 압출된다. 다시 말해서, 생산될 복합 재료의 좁은 영역은 더 이상 별도의 스트립으로 제공되지 않다. 오히려, 결과적 좁은 영역 또는 결과적 좁은 영역들은 충전재 스트립으로부터 충전 채널 내로 압출됨으로써 도금 동안 결합되게 생성된다. 충전 채널 내로 압출되는 충전재 스트립의 일부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없거나 엄청난 비용이 발생하는 좁은 영역을 어느 정도 형성한다. 따라서, 충전 채널에서 생성된 영역의 폭은 도금 공정의 예비 유닛의 폭 요건에 더 이상 한정되지 않는다. 들어오는 스트립의 수가 적을 수록, 결과적으로 복합 재료의 생산 비용과 균질한 계면 수가 감소한다. 균질한 계면의 수는 상기 영역에 대하여 2 개의 분리된 스트립이 사용되는 경우, 원래 충전재 스트립과 충전 채널로 압출되는 충전재 스트립의 일부 사이에 적어도 이론적으로 존재할 계면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특히 감소된다.
도금 공정에 공급된 부품과 도금된 복합 재료를 구별하기 위해, 도금 공정에 공급되는 스트립과 복합 재료의 경우의 영역들을 참조해야 한다. 이 영역들은 말하자면 도금된 스트립이다.
제안된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특히, 종속항의 특징으로부터 나타난다. 원칙적으로 다양한 청구항의 주제 및 특징은 원하는대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충전재 스트립은 충전 채널 위에 배치되고, 충전재 스트립은 충전 채널보다 큰 폭을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충전재 스트립이 충전 채널 위에 충분한 재료를 제공하고,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 사이에 배치된 충전 채널이 압출 공정을 위한 다이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밴드 장치는 2개 초과의 스트립 및/또는 1개 초과의 충전재 스트립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스트립들은 사이에 충전 채널을 형성한다. 충전 채널 내로 압출 가능하거나 압출되는 충전재 스트립의 부분의 원리는 자연적으로 스트립들에 의해 이들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충전 채널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 "팽창 단계"는 사이에 2 개의 충전 채널을 대응하게 형성하는 예를 들어, 3 개의 스트립이다. 또한, 밴드 장치가 2 개 초과의 충전재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도 당연히 고려될 수 있다.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은 스트립보다 낮은 강도, 특히 인장 강도(Rm), 바람직하게는 도금 전에 적어도 50N/㎟의 강도 차이를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스트립은 충전재 스트립에 대한 다이처럼 작용한다. 충전재 스트립이 스트립이 아닌 충전 채널 내로 압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인장 강도에 대해서 상술한 차이를 유지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고, 적어도 50N/mm²의 차이가 시도 시에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밴드 장치의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은 도금 전의 300N/㎟ 미만의 인장 강도(Rm)를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스트립이 도금 전에 적어도 200N/㎟의 인장 강도(Rm)를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값들도 일련의 시도에서 성공적으로 입증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위에 요약된 장점 또는 특성을 갖는 만족스러운 복합 재료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의 재료로서, 철 및 비철 금속뿐만 아니라 이들의 합금, 특히 강철, 특수강 및 비철 중금속이 고려될 수 있으며, 및/또는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의 경우, 철 및 비철 금속, 특히 강철, 특수강, 비철 중금속, 귀금속, 알루미늄 뿐 아니라 이들의 합금이 고려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밴드 장치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밴드 장치의 저부측은 스트립과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금 이전에, 따라서 충전 채널의 차단의 결과로서 밴드 장치는 직사각형 단면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밴드 장치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밴드 장치의 정상측이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에 의해 완전히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이러한 유형의 충전재 스트립 또는 결과적인 밴드 장치가 적절한 가이드에 의해 롤 갭으로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엔지니어링 이점에 근거하여 고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밴드 장치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밴드 장치의 정상측이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에 의해 일부 섹션에서만 형성되고, 특히 정상측이 스트립들,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적당한 충전 재료는 그에 따라서 일부 섹션에서 단지 압출용으로 보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의 영역에서 충전재 스트립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구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충전재 스트립이 정상측 상의 스트립들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밴드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에 의해, 2개의 긍정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롤 갭 안으로의 진입시 충전재 스트립의 특정 가로방향 안정성 또는 안내가 달성된다. 한편, 압출 작업을 위해 다소 더 많은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충전재 스트립이 정상측 상의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 압출 공정을 위해 더 많은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의 영역에서 충전재 스트립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고, 특히 충전재 스트립이 정상측 상의 스트립들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구성이 제공된다. 장점은 재료 절감에 있다. 또한, 롤 도금 장치로 들어오는 스트립의 보다 쉬운 안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이 2 개 이상의 개별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충전재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는 모놀리식 스트립으로 밀링되거나 다른 재가공 조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오목부 또는 충전 채널의 설계를 위한 다른 및 가능한 비용 효과적인 옵션은 연결에 의해서, 예를 들어, 상이한 폭의 2 개의 스트립을 도금함으로써 구성된다. 생성된 스트립의 길이방향의 오목부는 어느 정도 자동적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선된 복합 재료, 특히 매우 작은 영역 폭 및/또는 소수의 균질한 계면을 갖는 복합 재료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5 항의 복합 재료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복합 재료는 매우 작은 영역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래의 충전재 스트립과 충전 채널 안으로 압출되는 충전재 스트립의 일부 사이에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실질적으로 소수의 균질한 계면이 얻어진다.
제안된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특히 종속항의 특징으로부터 나타난다. 다양한 청구항의 주제 및 특징은 원칙적으로 원하는대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복합 재료가 직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추가 처리를 위해서, 예를 들어, 반제품 또는 완제품으로 유리하게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이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의 압출된 부분으로 완전히 채워지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원래의 충전 채널 대신에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이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의 압출된 부분으로만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익은 재료 절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밴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생성된 복합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밴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생성된 복합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밴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생성된 복합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밴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생성된 복합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밴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생성된 복합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밴드 장치를 상부 측의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밴드 장치를 저부 측의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1 또는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제조된 복합 재료를 상부 측의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4는 도 1 또는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밴드 장치로부터 제조된 복합 재료를 저부 측의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면의 비율은 실제 비율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방법에서, 밴드 장치는 롤 도금 장치(도시생략) 또는 롤 도금 장치의 입구에 공급되고 롤 도금 장치 또는 출구를 도금된 복합 재료로 남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도금 방법은 롤 도금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도금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밴드 장치는 적어도 제 1 스트립(1a)과 제 2 스트립(1b)을 포함하며, 제 1 스트립과 제 2 스트립은 그 사이에 충전 채널(2a)을 형성한다. 충전 채널(2a)은 예를 들어, 스트립의 적절한 간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채널은 또한 스트립의 간격 및/또는 적절한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단면의 오목부에 의해 스트립 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스트립 자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폭의 개별 스트립 중에서 적어도 2 개의 개별 스트립 또는 복수의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어, 충전 채널의 각 부분이 충전재 스트립의 폭의 차이로부터 나온다. 개별 스트립은 특히 도금되어 스트림 안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의 압출에 의한 후술하는 도금 작업 중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모놀리식 스트립에 오목부를 만드는 대신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충전 채널은 또한 홈으로 기술될 수 있다. 충전 채널은 밴드 장치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충전 채널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밴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 스트립(3a)을 포함한다. 충전재 스트립(3a)은 충전 채널(2a) 위에 배치되고 충전 채널(2a)보다 넓은 폭(BS)을 갖는다. 충전재 스트립(3a)은 특히 밴드 장치 스테이지 동안 충전 채널(2a)에 끼워지지 않도록 설계된다. 롤 갭에 들어가는 밴드 장치는 연속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지 않는다.
충전 채널의 바람직한 폭(BF)으로서, 0.5 ㎜ 내지 10 ㎜ 정도의 크기가 인용될 수 있다.
충전 채널의 바람직한 높이(HF)로서, 0.5 ㎜ 내지 4.5 ㎜ 정도의 크기가 인용될 수 있다.
충전재 스트립(3a)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스트립(1a) 및 제 2 스트립(1b)보다 낮은 강도, 특히 인장 강도(Rm)를 갖는다. 충전재 스트립(3a)은 입구 측에서 300N/㎟의 인장 강도(R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충전재 스트립(3a)용 다이와 같이 작용하는 제 1 스트립(1a)과 제 2 스트립(1b)은 도금 전 적어도 200 N/㎟의 인장 강도(Rm)를 가져야 한다. 밴드 장치의 디자인에서, 스트립과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 사이의, 최소 50N/mm²의 강도 차이가 바람직하다. 인용된 값은 도금 이전의 값과 관련된다.
스트립 재료로는 철 및 비철 금속 뿐 아니라 그들의 합금, 특히 강철, 특수강 및 비철 중금속을 고려할 수 있다.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의 재료로는 철 및 비철 금속, 특히 철강, 특수강, 비철 금속 중금속, 귀금속, 알루미늄 및 그들의 합금이 고려될 수 있다.
복합 재료 내로의 밴드 장치의 형성은 아래에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밴드 장치 또는 밴드 장치의 개별적인 스트립 또는 개별적인 스트립들은 예를 들어, 롤로부터 권취해제되어 적절한 가이드를 통해 함께 이동하여 밴드 장치의 예상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밴드 장치의 단면에 광범위하게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채널에서 작용하고 스트립을 적당한 거리 또는 위치에 유지하는 핀이 예를 들어,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는 충전 채널(2a)이 스트립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더 연성의 도금 파트너, 즉 충전재 스트립은 롤 갭에 바람직하게는 단지 모노리식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 장치의 단순한 실시예에서, 충전재 스트립(3a)은 전체 폭(BG)에 걸쳐 밴드 장치를 커버하고, 그러나 특히 충전재 스트립(3a)은 충전 채널(2a)을 커버한다. 이와 관련하여, 밴드 장치의 정상측은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 완전히 형성되고, 저부측은 제 1 스트립(1a) 및 제 2 스트립(1b)에 의해 형성되고 충전 채널(2a)에 의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충전 채널(2a)이 초기에 여전히 오목한 밴드 장치가 얻어진다.
표준 도금 공정에서와 같이 도금 동안, 도금 파트너, 특히 충전재 스트립(3a)은 제 1 스트립(1a) 및 제 2 스트립(1b)에 연결된다. 도금에서 통상적인 것처럼, 도금 파트너들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해제불가능한 연결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금 동안, 충전재 스트립(3a)의 일부가 충전 채널(2a) 내로 압출된다. 보다 견고한 도금 파트너, 즉 스트립(1)은 기본적으로 보다 연성의 도금 파트너, 즉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에 대한 다이로서 작용한다. 스트립의 기능으로 인해, 스트립(1)은 또한 다이 스트립(die strip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출구 측에는 압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다른 금속을 나란히 조합하고 그 가로방향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인 복합 재료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채널(2a) 내로 압출되는 충전재 스트립(3a)의 부분은 충전 채널(2a)을 완전히 채운다. 복합 재료의 저부측은 제 1 스트립(1a), 제 2 스트립(1b) 및 충전 채널(2a) 내로 압출된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서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복합 재료의 정상측은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 완전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에서, 스트립 및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로부터 나오는 복합 재료의 영역이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밴드 장치는 또한 2 개 초과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예를 들어, 4 개의 스트립과 충전재 스트립, 특히 제 1 스트립(1a), 제 2 스트립(1b), 제 3 스트립(1c), 제 4 스트립(1d) 및 충전재 스트립(3a)으로 형성되는 밴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스트립(1a)과 제 2 스트립(1b)은 이들 사이에 제 1 충전 채널(2a)을 형성하고, 제 2 스트립(1b) 및 제 3 스트립(1c)은 이들 사이에 제 2 충전 채널(2b) 등을 형성한다. 역시 본 경우에, 충전재 스트립(3a)은 전체 폭(BG)에 걸쳐 스트립(1a 내지 1d)을 커버한다. 충전 채널(2a, 2b, 2c)은 모두 동일한 폭(BF)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러한 밴드 장치도 역시 도금 장치, 바람직하게는 밴드 도금 장치에 도금될 수 있다. 스트립(1a 내지 1d)은 충전재 스트립(3a)에 연결되고, 충전재 스트립(3a)은 충전 채널(2a 내지 2c) 내로 부분적으로 압출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합 재료가 얻어진다. 정상측은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 완전히 형성되고, 저부측은 교대로 스트립 및 충전 채널들 내로 압출된 충전재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의 또 다른 변형 예에서, 충전재 스트립(3a)의 일부도 역시 상호 인접한 스트립들로 배치된 스트립(1a, 1b)의 오목부(A)에 수용될 수 있다. 충전재 스트립(3a)은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된 평면 위에 돌출하는 구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 장치는 도 5의 단면으로 도시된다. 밴드 장치의 최종 단면은 직사각형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오히려, 밴드 장치의 정상측은 계단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전 채널(2a)은 스트립(1a, 1b) 사이에 배치되고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 커버된다. 그러나, 상술한 변형 예와는 달리, 밴드 장치의 정상측 전체가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정상측은 스트립(1a, 1b) 및 충전재 스트립(3a)에 의해 대응하여 형성된다. 저부측은 또한 그 사이에 충전 채널(2a)을 대응하여 형성하는 스트립(1a, 1b)에 의해 형성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 장치는 도금 장치에 공급되고 적절하게 도금된다. 충전재 스트립(3a)은 충전 채널(2a) 내로 부분적으로 압출된다. 충전재 스트립은 여기서 더 부피가 큰 디자인일 수 있고, 특히 압출 공정을 위한 대응하게 더 많은 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압출 공정이 오목부를 통해 조금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오목부는 롤 도금 장치에 밴드 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추가 가이드를 형성한다. 충전재 스트립이 말하자면, 스트립의 평면 위로 상승하는 한, 압출 공정을 위해 더 많은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재 스트립은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에 삽입될 때 높이보다 큰 폭을 갖도록 사용되거나 배향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재 스트립(3a) 및 제 2 충전재 스트립(3b)과 같은 하나 초과의 충전재 스트립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도 7(밴드 장치) 및 도 8(복합 재료)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충전재 스트립은 밴드 장치의 전체 정상측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변형 예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밴드 장치의 정상측(O)이 충전재 스트립(3a, 3b)에 의해 일부 섹션에만 형성되는 구성이 밴드 장치를 위해 제공된다. 또한, 스트립(1a, 1b, 1c)은 각각의 충전 채널(2a, 2b)의 영역에 각각의 충전재 스트립(3a, 3b)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A)를 갖는 구성이 제공된다. 충전재 스트립(3a, 3b)은 또한 여기에서 상승된 구성이다.
전술한 변형 예들은 배타적이지 않다. 밴드 장치가 둘 초과의 스트립 및/또는 하나 초과의 충전재 스트립으로 형성되고,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채널을 갖는 것이 특히 고려될 수 있다. 밴드 장치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 장치의 표면이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한, 충전 채널의 영역에서의 오목부가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충전재 스트립은 정상측 상의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돌출한다 .
결과적으로, 매우 합리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복합 재료가 스트립 도금의 형태로 얻어지는 모든 경우에, 충전 채널로 압출된 충전재 스트립의 형태의 특히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이 생성될 수 있고, 충전재 스트립은 예를 들어, 매우 좁은 부분으로서 복합 재료의 저부면 상에 나타난다.
L 길이방향 축
BG 총 폭
BF 충전 채널의 폭
HF 충전 채널의 높이
BS 충전재 스트립의 폭
A 오목부
O 정상측
U 저부측
1a (제 1) 스트립
1b (제 2) 스트립
1c (제 3) 스트립
1d (제 4) 스트립
2a 충전 채널
2b (제 2) 충전 채널
2c (제 3) 충전 채널
3a 충전재 스트립
3b (제 2) 충전재 스트립

Claims (18)

  1. 정상측(O) 및 저부측(U)을 갖는 밴드 장치를 도금하여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밴드 장치는 적어도 제 1 스트립(1a) 및 제 2 스트립(1b)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트립과 상기 제 2 스트립 사이에 충전 채널(3a)을 형성하고,
    - 상기 밴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 스트립(3a)을 포함하며,
    - 상기 밴드 장치는 도금되고,
    - 상기 도금 동안 상기 충전재 스트립(3a)의 일부가 상기 충전 채널(2a) 내로 압출되는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스트립(3a)은 상기 충전 채널(2a)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스트립은 상기 충전 채널(BF)보다 큰 폭(B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는 2 개 초과의 스트립들(1a 내지 1d) 및/또는 하나 초과의 충전재 스트립(3a, 3b)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들은 사이에 충전 채널들(2a 내지 2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의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3a, 3b)은 상기 도금 전에 상기 밴드 장치의 스트립들(1a 내지 1d)보다 작은 강도, 특히 적어도 50N/㎟의 인장 강도(Rm)의 강도 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의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은 상기 도금 전에 300 N/㎟의 인장 강도(R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의 스트립들(1a 내지 1d)은 상기 도금 전에 적어도 200N/㎟의 인장 강도(Rm)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또는 상기 스트립들의 재료로서, 철 및 비철 금속들 및 이들의 합금들, 특히 강철, 특수강 및 비철 중금속들이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충전재 스트립 또는 상기 충전재 스트립들에 대해서, 철 및 비철 금속들, 특히 강철, 특수강, 비철 금속들, 귀금속들, 알루미늄 및 그들의 합금들이 고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장치의 저부측(U)은 상기 스트립들(1a, 1b) 및 상기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3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장치의 정상측(O)은 상기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3a)에 의해 완전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치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장치의 정상측(O)은 상기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3a, 3b)에 의해서 일부 섹션들에서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들(1a, 1b, 1c)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2a, 2b)의 영역에서 상기 충전재 스트립(3a 또는 3b)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들(A)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재 스트립(3a 또는 3b)이 상기 스트립들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상기 정상측 상으로 돌출하는 구성이 특히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들(1a, 1b, 1c)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2a, 2b)의 영역에서 상기 충전재 스트립(3a 또는 3b)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들(A)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재 스트립(3a 또는 3b)이 상기 스트립들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상기 정상측 상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이 특히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들 중 적어도 하나는 둘 이상의 개별 스트립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는 직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2a 내지 2c)은 상기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3a, 3b)의 압출된 부분으로 완전히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채널 또는 충전 채널들(2a 내지 2c)은 상기 충전재 스트립 또는 충전재 스트립들(3a, 3b)의 압출된 부분으로 부분적으로만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KR1020197015879A 2016-11-18 2017-10-26 도금에 의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복합 재료 KR102392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2198.8A DE102016122198A1 (de) 2016-11-18 2016-11-18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werkstoffes, sowie Verbundwerkstoff
DE102016122198.8 2016-11-18
PCT/EP2017/077484 WO2018091251A1 (de) 2016-11-18 2017-10-26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werkstoffes durch plattieren, sowie verbundwerkst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690A true KR20190086690A (ko) 2019-07-23
KR102392855B1 KR102392855B1 (ko) 2022-05-03

Family

ID=6018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879A KR102392855B1 (ko) 2016-11-18 2017-10-26 도금에 의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복합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58190B2 (ko)
EP (1) EP3541561B1 (ko)
JP (1) JP6985389B2 (ko)
KR (1) KR102392855B1 (ko)
CN (1) CN110023023A (ko)
DE (1) DE102016122198A1 (ko)
WO (1) WO2018091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6670A (zh) * 2018-12-14 2021-08-20 维克德威斯特法兰钢铁有限公司 用于制造复合材料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9404A1 (de) * 2013-09-26 2015-03-26 Heraeus Materials Technology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ändern und Streifen aus zwei metallischen Materiali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0880A (en) * 1969-04-07 1971-11-16 Jerome H Lemels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JPS617082A (ja) * 1984-06-19 1986-01-13 Hitachi Cable Ltd 複合金属条の製造方法
JP4780664B2 (ja) * 2006-05-30 2011-09-28 株式会社Neomaxマテリアル 複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090395B1 (de) 2008-02-13 2016-09-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metallischen Werkstoffverbunden und Verbund-Halbzeugen
US8999081B2 (en) * 2010-02-25 2015-04-07 Technical Materials Inc. Methods for creating side-by-side metallic bonds between different materials using solid-phase bonding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KR20120041925A (ko) 2010-10-22 2012-05-03 주식회사 포스코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US10456850B2 (en) * 2013-04-19 2019-10-29 Magna International Inc. Joining of dissimilar materials
TW201517709A (zh) * 2013-10-30 2015-05-01 Subtron Technology Co Ltd 基板結構及其製作方法
JP6723495B2 (ja) * 2015-04-03 2020-07-15 イーエムエス・エンジニアード・マテリアルズ・ソリューションズ・エルエルシーEms Engineered Materials Solutions, Llc 端部同士クラッド金属複合材の製造方法
CN110144547B (zh) * 2016-04-14 2021-06-01 凸版印刷株式会社 蒸镀掩模用基材、蒸镀掩模用基材的制造方法及蒸镀掩模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9404A1 (de) * 2013-09-26 2015-03-26 Heraeus Materials Technology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ändern und Streifen aus zwei metallischen Material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22198A1 (de) 2018-05-24
JP2019536910A (ja) 2019-12-19
US11358190B2 (en) 2022-06-14
CN110023023A (zh) 2019-07-16
EP3541561B1 (de) 2023-12-06
WO2018091251A1 (de) 2018-05-24
JP6985389B2 (ja) 2021-12-22
KR102392855B1 (ko) 2022-05-03
EP3541561A1 (de) 2019-09-25
US20190321870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7208C2 (ru) Композитное металл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70148488A1 (en) Flat bar strip and metal profile part
CN102137785A (zh) 车辆地板结构
DE243254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erbundprofilen od.dgl.
JP6193123B2 (ja) 網状金属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953930A (zh) 自动扶梯或旅客自动输送带
KR102036297B1 (ko) 압연 클래드 알루미늄 가공품의 제조 방법, 압연 클래드 알루미늄 가공품 및 그 용도
KR20190086690A (ko) 도금에 의해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복합 재료
US4005255A (en) Extruded composite section
JP2018517567A (ja) 端部同士クラッド金属複合材の製造方法
US373797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ongitudinally welded strip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widths
RU269486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готовки для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заготовка
US5918712A (en) Composite section having a supporting base and at least one metallically-joined, profile strip
CN110125184B (zh) 热轧带钢无头轧制中间坯的连接方法及系统
WO2008043423A1 (de) Stranggiesskokille für vorprofile
KR20150115897A (ko) 빔의 제작 방법
KR20200020834A (ko) 금속 시트로 중첩 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H09323570A (ja) 複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257085A1 (en) Profiled metal fiber
CN113286670A (zh) 用于制造复合材料的方法
JP2009149409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55576A (ja) 異形断面帯材の製造方法及び突条付きロール
KR101954843B1 (ko)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
JPH0386331A (ja) 異種金属材料の結合方法
AU2015274218A1 (en) Barrier element of a vehicle restrai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