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144A -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144A
KR20190086144A KR1020180004319A KR20180004319A KR20190086144A KR 20190086144 A KR20190086144 A KR 20190086144A KR 1020180004319 A KR1020180004319 A KR 1020180004319A KR 20180004319 A KR20180004319 A KR 20180004319A KR 20190086144 A KR20190086144 A KR 2019008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pplication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executio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133B1 (ko
Inventor
이대범
박준성
이준호
권동훈
김준성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133B1/ko
Priority to JP2019001610A priority patent/JP7359548B2/ja
Priority to US16/245,842 priority patent/US11669867B2/en
Publication of KR2019008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에서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EMENT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ARGET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확인하여 이를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종 사용자 편의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들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이러한 사용자의 편의 기능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일정관리, 주소록, 게임, 동영상, 음악재생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온라인 상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통신망의 발전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활용한 광고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고 매체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이 무제한적으로 또는 관심 없는 분야의 광고를 지나치게 많이 접하게 되면서 광고에 무관심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광고주가 지불하는 광고비에 비해 낮은 광고 효과를 얻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개별 사용자 각각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최적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모바일 단말기에서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에서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의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기 이전의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의 누적 사이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 정보 및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이다.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은 상기 수신된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 이전의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의 누적 사이즈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여 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타겟 광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에서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기 이전의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의 누적 사이즈이다.
상기 타겟 광고 제공 서버는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프로세서, 통신모듈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타겟 광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들이 분야별로 구분되어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실행 이력 정보들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관심 성향을 분석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유지되는 광고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는 광고 컨텐츠 선정부와; 상기 선정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모바일 단말기에서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타겟 광고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편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타겟 광고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의 타겟 광고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위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란에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
아래의 서술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내용들 없이 또는 하나 이상의 동등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과 장치들은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로 표시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목적이고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10)는 통신모듈(111), 메모리(112), 표시모듈(113), 오디오 출력모듈(114), 감시모듈(115) 및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1)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기기는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111)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1)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2)는 모바일 단말기(1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메모리(112)는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하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단말기(1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은 자동음성인식(ASR) 어플리케이션, 대화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QuickTime, MobileMusic.app, 또는 MobileVideo.app), 소셜 네트워킹 어플리케이션(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예를 들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인터넷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메일 프로그램, 보이스메일 프로그램, 인스턴트 메세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채팅),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팩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로 조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112)에 저장되고,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16)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12)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11)은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120)를 통해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는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앞서 언급한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3)은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12)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11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3)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모듈(114)은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모듈(114)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모듈(114)은 제어부(116)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은 상기 메모리(112)에 저장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제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112)에 저장되고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16)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관리 동작(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은 모바일 단말기(11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가 어느 어플리케이션을 실제로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정보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캐쉬(cache) 데이터 사이즈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이즈(size)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비트(bit)를 그 단위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은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상태 정보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동영상을 비롯한 이미지가 변경되거나 각종 스크립트들이 새롭게 불러지게 되고, 이러한 기능 구현을 위해 자동으로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캐쉬 데이터 또한 변경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가 변화되는지를 확인함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즉,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를 통해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이력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은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210) 및 비교부(22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210)는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한다 (ST 310). 이 때, 상기 시간 간격은 일 예로 24시간이 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시간 간격을 제어부(116)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ST 320). 일 예로, 캐쉬 데이터 사이즈의 변화는 이전까지 최종 누적된 각 어플리케이션 별 캐쉬 데이터의 사이즈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각 어플리케이션 별 캐쉬 데이터의 사이즈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값은 이전까지 최종 누적된 각 어플리케이션 별 캐쉬 데이터의 사이즈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부(220)에 의한 비교가 완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어플리케이션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는 이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누적 캐쉬 데이터의 사이즈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에 의해 생성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제어부(116)로 전송되고, 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ST 330).
여기서,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 및 상기 비교부(220)를 통해 얻은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 정보는 메모리(112)에 저장될 수 있다 (ST 340).
제어부(116)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과도한 캐쉬가 사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과도한 캐쉬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110)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6)는 과도한 캐쉬가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이 감지되면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113) 및/또는 오디오 출력모듈(114)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6)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 실행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임에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계속 동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6)는 상기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 모듈(113) 및/또는 오디오 출력모듈(114)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6)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무엇인지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6)는 상기 감지 결과를 디스플레이 모듈(113) 및/또는 오디오 출력모듈(114)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16)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16)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메모리(112)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12)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112)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6)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을 실행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관리 동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5)은 제어부(116)에 의해 활성화되어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설치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이력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10)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모듈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표시모듈(113)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입력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모듈(113)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10)의 구성요소들 또는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기(110)의 메모리(112)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이는 실행 시 모바일 단말기(110)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들(110_1, 110_2,…, 110_n), 네트워크(120) 및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들(110_1, 110_2,…, 110_n) 및 네트워크(12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와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신하여 타겟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이는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는 상기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110_1, 110_2,…, 110_n)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타겟 광고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는 메모리(132), 데이터 베이스(133), 프로세서(134), 통신모듈(1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38)을 포함한다.
메모리(13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 ROM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메모리(1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통신모듈(136)을 통해 메모리(1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데이터 베이스(13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에서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들이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컨텐츠들은 분야별로 구분되어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패션, 쇼핑, 도서, 여행, 식생활, 가전/가구, 및 지역특성 별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32) 또는 통신모듈(136)에 의해 프로세서(13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136)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10)와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30)의 프로세서(1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신호,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모듈(136)을 통해 네트워크(120)를 거쳐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38)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으로 구현되는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는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행동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한 뒤 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타겟 광고 컨텐츠로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타겟 광고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겟 광고 제공 서버(130)의 프로세서(134)는 데이터 수집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광고 컨텐츠 선정부(330) 및 광고 컨텐츠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34)는 메모리(132)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34) 내의 구성요소들 즉, 데이터 수집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광고 컨텐츠 선정부(330) 및 광고 컨텐츠 제공부(340)는 서버(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의해 프로세서(134)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을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수집부(310)는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데이터 처리부(320)는 상기 각 모바일 단말기(110)의 실행 이력 정보들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관심 성향을 분석 처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 선정부(33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133)에 저장/ 유지되는 광고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광고 컨텐츠 제공부(340)는 상기 선정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320)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관심 성향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개인별 특성을 분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류된 사용자 개인별 특성에 대응하여 패션, 쇼핑, 도서, 여행, 식생활, 가전/가구 및 지역 특성 등을 반영한 분야별 타겟 고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식별값에 근거하여 분석한 사용자 행동정보들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분야의 타겟 고객에 포함되면, 광고 컨텐츠 선정부(33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33)에 저장/ 유지되는 광고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각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들을 분석하면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관심 성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쇼핑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최근 사용 빈도가 높다면 쇼핑 구매 욕구가 높은 사용자의 성향으로 판단할 수 있고, 건강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최근 사용 빈도가 높다면 건강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의 성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들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최근 관심사를 결정하고, 이러한 관심사와 관련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컨텐츠 제공부(340)는 상기 선정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에서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의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기 이전의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의 누적 사이즈인 모바일 단말기.
  6.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력 정보 및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은 상기 수신된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 이전의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의 누적 사이즈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감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또는 실행 이력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여 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타겟 광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캐쉬 데이터 사이즈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각 어플리케이션들의 캐쉬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에서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준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기 이전의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캐쉬 데이터의 누적 사이즈인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광고 제공 서버는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프로세서, 통신모듈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타겟 광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들이 분야별로 구분되어 저장 및 유지되는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이력 정보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실행 이력 정보들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관심 성향을 분석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유지되는 광고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는 광고 컨텐츠 선정부와;
    상기 선정된 타겟 광고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180004319A 2018-01-12 2018-01-12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22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19A KR102222133B1 (ko) 2018-01-12 2018-01-12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JP2019001610A JP7359548B2 (ja) 2018-01-12 2019-01-09 モバイル端末、モバイル端末の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ターゲット広告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6/245,842 US11669867B2 (en) 2018-01-12 2019-01-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application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19A KR102222133B1 (ko) 2018-01-12 2018-01-12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44A true KR20190086144A (ko) 2019-07-22
KR102222133B1 KR102222133B1 (ko) 2021-03-03

Family

ID=6721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319A KR102222133B1 (ko) 2018-01-12 2018-01-12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9867B2 (ko)
JP (1) JP7359548B2 (ko)
KR (1) KR102222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5587B (zh) * 2016-06-24 2019-12-24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应用程序的缓存扫描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798511B (zh) * 2019-10-14 2022-10-04 每日互动股份有限公司 目标app的日活跃用户数量预测方法及计算机设备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749A (ko) * 2008-01-25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의 자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89756A (ko) * 2011-12-30 2013-08-13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6939A (ko) * 2013-06-18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91878B1 (ko) * 2011-08-31 2015-02-0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33076A1 (en) * 2012-11-11 2015-05-14 Michael Brough Mobile device application monitoring software
KR20150059204A (ko) * 2013-11-21 2015-06-01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5591A (ko) * 2014-03-09 2015-09-17 양용철 이동단말에서의 사용실적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정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20160105274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711409B1 (ko) * 2015-09-14 2017-03-03 주식회사 새올정보기술 다양한 os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2774A (ko) * 2016-04-01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자가적응형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0321B2 (ja) * 1994-12-20 2002-06-10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ファ監視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5713008A (en) * 1995-06-08 1998-01-27 Sun Microsystems Determination of working sets by logging and simulating filesystem operations
US6141010A (en) * 1998-07-17 2000-10-31 B. E. Technology, Llc Comput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ith targeted advertising
US6662272B2 (en) * 2001-09-29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cache partitioning
US7350025B2 (en) * 2004-02-02 2008-03-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llection of software application profile data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US8443341B2 (en) * 2006-11-09 2013-05-14 Rogue Wave Software,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captur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s data from a computer system and modeling target system
US9460461B1 (en) * 2011-03-09 2016-10-04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collecting and exposing usage metrics associated with mobile device applications
US8447652B2 (en) * 2011-05-31 2013-05-2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advertising to a device based on installed applications
US20140161083A1 (en) * 2011-07-14 2014-06-12 Nec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program
US8868647B2 (en) * 2012-01-11 2014-10-21 Alcatel Lucent Reducing latency and cost in resilient cloud file systems
KR20140098947A (ko) * 2013-01-3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광고 제공 방법
KR20160014609A (ko) * 2013-05-28 2016-02-11 톰슨 라이센싱 애플리케이션 순위 계산 장치 및 사용 정보 수집 장치
KR101752522B1 (ko) * 2013-12-24 2017-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버퍼의 용량 설정방법
CN103714016B (zh) * 2014-01-14 2017-10-27 北京猎豹移动科技有限公司 缓存的清理方法、装置及客户端
US11064565B2 (en) * 2014-02-14 2021-07-13 AT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ifying interactive displays used in hotel guest rooms
US10021208B2 (en) * 2014-03-04 2018-07-10 Mobophiles, Inc. Dynamic cache allocation and network management
US9659482B2 (en) * 2014-09-02 2017-05-23 Apple Inc. Context-based alerts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6181154A (ja) * 2015-03-24 2016-10-1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749A (ko) * 2008-01-25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의 자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1491878B1 (ko) * 2011-08-31 2015-02-0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756A (ko) * 2011-12-30 2013-08-13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33076A1 (en) * 2012-11-11 2015-05-14 Michael Brough Mobile device application monitoring software
KR20140146939A (ko) * 2013-06-18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59204A (ko) * 2013-11-21 2015-06-01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5591A (ko) * 2014-03-09 2015-09-17 양용철 이동단말에서의 사용실적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정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20160105274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711409B1 (ko) * 2015-09-14 2017-03-03 주식회사 새올정보기술 다양한 os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2774A (ko) * 2016-04-01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수의 자가적응형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9548B2 (ja) 2023-10-11
US11669867B2 (en) 2023-06-06
KR102222133B1 (ko) 2021-03-03
US20190220901A1 (en) 2019-07-18
JP2019126028A (ja)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934B2 (en) Avoiding a redundant display of a notification on multiple user devices
KR102355481B1 (ko) 반복된 액션에 대한 스마트 어시스트
US11500507B2 (en) Notific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11288310B2 (en) Presenting content items based on previous reactions
CN109154946B (zh) 一种显示收藏对象的方法和终端
EP32001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16019925A1 (zh) 搜索方法、服务器及客户端
CN117474477A (zh) 基于机器学习建议动作
CN106778117B (zh) 权限开启方法、装置及系统
US11425062B2 (en) Recommended content viewed by friends
US20200259946A1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3235229A1 (en) Optimizing view of messages based on importance classification
US10990495B1 (en) Selectively enabling features based on rules
US20210099406A1 (en) Presenting reactions from friends
WO2023072083A1 (zh) 文件处理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222133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CN109491556A (zh) 终端中的应用程序控制方法和设备
US201300421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WO2016041176A1 (zh) 一种信息显示的方法、终端、服务器
CN115017340A (zh) 多媒体资源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00414A (ko) 미디어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59355A (ko) 대중교통 광고 단말기와 이를 활용한 타겟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62922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50782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pam message
CN113287089A (zh) 多源媒体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