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074A -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 Google Patents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074A
KR20190086074A KR1020180004139A KR20180004139A KR20190086074A KR 20190086074 A KR20190086074 A KR 20190086074A KR 1020180004139 A KR1020180004139 A KR 1020180004139A KR 20180004139 A KR20180004139 A KR 20180004139A KR 20190086074 A KR20190086074 A KR 2019008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blade
main body
movabl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업
Original Assignee
권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업 filed Critical 권영업
Priority to KR102018000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074A/ko
Publication of KR2019008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두 본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날과 가동날의 일방 선단은 힌지 조립된 상태에서 가동날의 후방에는 손잡이에 의해 작업자가 절단작업을 수행 후 낙하 되는 절단물을 별도의 수거작업 없이 한 번에 바로 수거함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편의성을 높이고 제품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경량화와 작업 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를 제공함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작두 본체에 있어서, 가동날(20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이 낙하 되면서 별도 수거 작업 없이 수거함(P)에 절단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날(200)의 저 면에는 고정지지대(131)와 경사지지대(132)의 경사각에 의한 수거공간(S)을 구비하여 상기 수거함(P)에 절단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고정몸체(130)를 갖는 작두본체(A)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는 구조를 단순화 시키면서도 기존 작동기능은 물론 다양한 기능을 보유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공간 작업활용성을 높임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A cutter main body with light weight and work structure}
본 발명은 작두 본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날과 가동날의 일방 선단은 힌지 조립된 상태에서 가동날의 후방에는 손잡이에 의해 작업자가 절단작업을 수행 후 낙하 되는 절단물을 별도의 수거작업 없이 한 번에 바로 수거함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편의성을 높이고 제품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경량화와 작업 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를 제공함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작두는 작두 본체 선단에 U형의 작두날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U형의 작두날 결합부에 가동날 선단을 위치시켜서 힌지 조립하고, 가동날의 후방에는 손잡이를 구비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작두 본체와 가동날 사이에 피절단물을 위치시켜서 가동날을 하방으로 내리면 피절단물이 절단되도록 한 도구를 의미하고 있다.
상기 작두는 우사에서 소의 먹이인 생초나 건초 및 짚을 썰 때, 한약재를 규격으로 썰 때, 식품 고장이나 가정에서 무, 배추, 고기 등의 식재료를 썰 때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작두에서 작두 본체는 대체적으로 목재로 된 받침판 선단에 금속재로 된 U형의 작두날 결합부를 구비하여서 구성하거나 또는 목재로 된 받침판 위에 L자형의 받침날을 고정 설치하여서 구성되고 이러한 기술은 앞서 다양한 선행수단이 공지된 바 있다.
한 예로 이러한 종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29873호(공고일자 : 2003. 10. 10.),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9-0079293호(공개일자 : 2009. 07. 22.),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639511호(공고일자: 2006.11.01),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672호(공고일자: 2012.07.27)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29873호의 전자의 작두 본체는 받침날이 구비되지 않아서 피절단물의 절단이 어려운 결점이 있고, 구조가 단순하지 못해 경량화가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다리 및에 받침대를 바로 구비하고 있어 절단물 절단 후 벼로로 수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9-0079293호의 작두 본체는 받침날이 구비되어 피절단물의 절단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양측으로 절단물 전단 후 양측으로 나뉘어 지는 도마에 절단물이 쌓이게 되어 사용중에 임의로 수고해야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이러한 수거작업중에 가동날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지 못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639511호의 작두 본체는 가동날과 고정날의 결합 구조가 단순하지 못해 경량화를 이룰 수 없는 구조이며, 전단이 이루어진 상태의 절단물이 외부로 배출된 다음 바로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편의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고,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672호의 작두 본체는 꺾임 형태의 고정날과 고정판을 구비하고 있으나 그 하부에 하부면을 구비하는 도마가 결합되어 절단 작업 후 편 측으로 배출되는 절단물을 일일이 수거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공정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손잡이와 고정날의 편측에 구비된 수평날이 내려질 때 별도의 락킹 장치가 없어 가동날의 손잡이가 받침판까지 하강되므로 사용자가 가동날의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 고정날을 치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제329873호(공고일자 : 2003. 10. 10.)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제2009-79293호(공개일자 : 2009. 07. 2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639511호(공고일자: 2006.11.0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672호(공고일자: 2012.07.27)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의 종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경량화와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동날의 저 면에는 고정지지대와 경사지지대의 경사각에 의한 수거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수거함에 절단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고정몸체를 갖는 작두본체구비하여 기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사용자의 작업환경과 요건에 따라 경사지지대의 회전가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유닛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정몸체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유닛을 구비하여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재를 절곡하여서 세로 지지대(1a)와 가로 지지대(1b)를 한 몸통으로 하고, 상기 세로 지지대(1a) 선단에는 가동날 조립공(1c)을 구비한 받침날(1)의 가로 지지대(1b) 전후에는 대각으로 받침대(2)(2a)를 위치시켜서 접촉 부분을 용착하여서 구성하며, 세로 지지대(1a) 후방으로 가동날의 하강시 손잡이를 받쳐주고 가동날(10)을 받침날(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측방으로 경사지는 가동날 손잡이 받침턱(1d)을 구비하는 작두 본체에 있어서,
가동날(20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이 낙하 되면서 별도 수거 작업 없이 수거함(P)에 절단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날(200)의 저 면에는 고정지지대(131)와 경사지지대(132)의 경사각에 의한 수거공간(S)을 구비하여 상기 수거함(P)에 절단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고정몸체(130)를 갖는 작두본체(A)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작두본체(A)는, 고무 또는 수지재 형태의 미끄럼 방지용 지지체(101)를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지체(10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피스(102)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120)을 구비하며,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110)의 편 측에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지지대(131)와 그 타 측에는 임의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지지대(132)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몸체(13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130)의 상측에는 고정날(135)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135)의 편 측에는 가동날(200)과 체결볼트(195)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조립공(136)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경사지지대(132)에는 상기 손잡이(220) 고정용 고정고리(17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날(135)과 경사지지대(132)사이에는 가동대(210)가 걸림되어 상기 가동날(200)의 과도한 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받침턱(139)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와 경사지지대(132)사이에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유닛(300)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300)은,상기 고정몸체(130)의 편 측에는 연결홈(330b)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330b)의 외각으로는 나사탭 또는 통공형태의 고정핀삽입홈(330a)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와 맞대응되는 경사지지대(132)의 편측에는,
상기 연결홈(330b)와 동일선상으로 대응되는 통공(332b)에 힌지볼트(350)와 너트(36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통공(332b) 외곽으로는 상기 고정핀삽입홈(330a)에 체결되는 체결핀(380)이 삽입되어 걸림 되는 하나 이상 구비된 각도조절홈(332a)에 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와 고정지지대(131)사이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고정몸체(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유닛(400)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유닛(400)은,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상측에는 높이조절연결공(420)을 구비한 고정지지대(13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지대(131)에 맞대응되는 높이조절블럭(410)을 수직으로 구비한 고정몸체(130)을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블럭(410)의 외면에는 걸림레일홈(407)을 수직으로 구비하고,
상기 걸림레일홈(407)의 편 측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레일턱(405)을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연결공(420)과 걸림레일홈(407)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체결볼트(450)를 구비하며,
상기 꺾임 형태의 고정브라켓(110)(120)은, 사용환경과 제조방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ㄱ”, “⊂”, “∩”, “│”, “―” 또는 “□”형태 구비하고,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양측에는, 경사지지대(132)의 측면으로 통공되는 연결공(138)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139)의 양측에는 임의 각도로 절곡 된 연결편(501)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편(501)의 타측은 길이방향으로 지지바(5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바(502)의 타측은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발(503)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발(503)에는 바닥미끄럼 방지 수지재 고무발(505)을 인서트 사출 또느 끼움형태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는 구조를 단순화 시키면서도 기존 작동기능은 물론 다양한 기능을 보유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공간 작업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어 다양한 제품에 비해 월등한 제품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고정몸체의 양측에 구비된 경사지지대와 고정지지대에 구비된 경사조절유닛과 높이조절유닛에 의해 다양한 작업환경에 작업자 적합한 절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작업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안전받침턱을 구비하여 각도한 가동날의 작동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사용 후 이동할 때 가동날과 고정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지대의 고정고리에 의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경사지지대의 꺾임으로 인해 손잡이와 경사지지대 사이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중에 다양한 수거함에 수거공간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후 절단물의 별도 수거없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수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작두본체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두본체의 측면 및 부분확대예시도 와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두본체의 사시도 및 측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몸체의 부분 파절 확대 예시도 및 고정지지대의 부부파절 확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두본체의 고정몸체 하방에 수거공간에 다양한 수거함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작동실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유닛의 예시도 및 분해 조립 부분확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유닛의 예시도 및 분해 조립 부분확대 예시도임.
도9는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경사지지대에 추가로 설치되는 지지편에 대한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본 발명의 경량화와 작업 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2 내지 도3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서 세로 지지대(1a)와 가로 지지대(1b)를 한 몸통으로 하고, 상기 세로 지지대(1a) 선단에는 가동날 조립공(1c)을 구비한 받침날(1)의 가로 지지대(1b) 전후에는 대각으로 받침대(2)(2a)를 위치시켜서 접촉 부분을 용착하여서 구성하며, 세로 지지대(1a) 후방으로 가동날의 하강시 손잡이를 받쳐주고 가동날(10)을 받침날(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측방으로 경사지는 가동날 손잡이 받침턱(1d)을 구비하는 작두 본체에 있어서,
가동날(20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이 낙하 되면서 별도 수거 작업 없이 수거함(P)에 절단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날(200)의 저 면에는 고정지지대(131)와 경사지지대(132)의 경사각에 의한 수거공간(S)을 구비하여 상기 수거함(P)에 절단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고정몸체(130)를 갖는 작두본체(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2에서와 같이 상기 작두본체(A)는, 고무 또는 수지재 형태의 미끄럼 방지용 지지체(101)를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지체(10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피스(102)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120)을 구비하며,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110)의 편 측에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지지대(131)와 그 타 측에는 임의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지지대(132)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몸체(13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130)의 상측에는 고정날(135)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135)의 편 측에는 가동날(200)과 체결볼트(195)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조립공(136)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경사지지대(132)에는 상기 손잡이(220) 고정용 고정고리(17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날(135)과 경사지지대(132)사이에는 가동대(210)가 걸림되어 상기 가동날(200)의 과도한 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받침턱(139)를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30)와 경사지지대(132)사이에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유닛(300)을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6내지 도7 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유닛(300)은, 상기 고정몸체(130)의 편 측에는 연결홈(330b)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330b)의 외각으로는 나사탭 또는 통공형태의 고정핀삽입홈(330a)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와 맞대응되는 경사지지대(132)의 편측에는,
상기 연결홈(330b)와 동일선상으로 대응되는 통공(332b)에 힌지볼트(350)와 너트(36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통공(332b) 외곽으로는 상기 고정핀삽입홈(330a)에 체결되는 체결핀(380)이 삽입되어 걸림 되는 하나 이상 구비된 각도조절홈(332a)에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8에서와 같이 고정몸체(130)와 고정지지대(131)사이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고정몸체(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유닛(400)을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8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유닛(400)은,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상측에는 높이조절연결공(420)을 구비한 고정지지대(13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지대(131)에 맞대응되는 높이조절블럭(410)을 수직으로 구비한 고정몸체(130)을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블럭(410)의 외면에는 걸림레일홈(407)을 수직으로 구비하고,
상기 걸림레일홈(407)의 편 측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레일턱(405)을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연결공(420)과 걸림레일홈(407)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체결볼트(450)를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9에서와 같이 꺾임 형태의 고정브라켓(110)(120)은, 사용환경과 제조방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ㄱ”, “⊂”, “∩”, “│”, “―” 또는 “□”형태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10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지지대(132)는, 경사지지대(132)의 양측에 연결공(138)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139)의 양측에는 임의 각도로 절곡 된 연결편(501)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편(501)의 타측은 길이방향으로 지지바(5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바(502)의 타측은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발(503)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발(503)에는 바닥미끄럼 방지 수지재 고무발(505)을 인서트 사출 또느 끼움형태로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두본체(A)는 도2에서와 같이 양측에 지지체(101)에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지지대(131)과 경사지지대(132)사이에 구비된 고정몸체(130)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조를 단순화 시키면서도 견고하게 작동되도록 하고,
도 3에서와같이 상기 고정몸체(130)의 상측에는 고정날(135)을 구비한 상태에서 그 편 측에 구비된 조립공(136)에 고정날(135)과 맞대응되어 상·하 힌지 작동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는 가동날(200)이 연결된 가동대(210)에 손잡이(220)를 일체로 구비하여 체결볼트(195)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의 하측에는 고정지지대(131)과 경사지지대(132)사이에 수거공간(S)을 구비한 상태에서 수거함(P)을 바로 고정몸체(130)의 하측에 넣은 상태에서 절단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지지체(101)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10)(120)은 작업환경에 제작 시점에 따라서 “ㄱ”, “⊂”, “∩”, “│”, “―” 또는 “□”형태 구비하여 지지체(101)을 선태적으로 적용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도 2 또는 도 5에서와같이 경사지지대(132)의 편측에는 상측 손잡이(220)의 외주 면을 감싸면서 탈착 형으로 손잡이(220)의 회전반경을 제한되도록 걸림 되도록 한 고정고리(170)을 구비하여 사용 후 상기 경사지지대의 상측면 안전받침턱(139)에 가동날(200)와 연결된 가동대(210)가 맞닿아 과도한 가동날(200)의 진행방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고정고리(170)에 의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도 6 또는 도 7에서와같이 상기 고정몸체(130)과 경사지지대(132)에 사이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유닛(30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몸체(130)의 편측에 연결홈(330b)과 경사지지대의(132)의 통공(332b)은 서로 힌지볼트(350)과 너트(360)에 의해 체결되어 힌지회전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체결된 상태의 고정몸체(130)과 경사지지대(132)는 고정몸체(130)의 고정핀삽입홈(330a)에 삽입되거나 나사 결합하는 체결핀(380)이 끼워져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홈(332a)에 끼워져 임의각도로 작업자가 조절한 다음 체결핀(380)에 의해 임의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8에서와같이 상기 고정몸체(130)의 전측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용 높이조절유닛(400)을 구비하여 수거공간(S)의 크기를 확장하고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의 전측 하단으로는 수직으로 걸림레일홈(407)을 구비한다음 그 수평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레일턱(405)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레일홈(407)에 고정브라켓(110)의 상측에 구비된 고정지지대(131)에 구비된 높이조절연결공(420)에 체결볼트(450)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볼트(450)가 높낮이 조절 후 걸림레일턱(40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도10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양측에는 연결공(138)에 체결되는 연결편(501)을 양측에 구비하여 그 하측으로 지지바(502)와 지지발(503)을 구성한 다음 바닥면과의 마찰을 높일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고무발(505)을 끼움으로써 경사지지대(132)의 상,하 측 높이를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성 향상과 다양한 수거함(P)을 적용시킬 수 있는 수거공간(S)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중에 작업효율성과 안전한 절단 작업을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A: 작두본체 P: 수거함
S: 수거공간 101: 지지체
102: 고정피스 110,120: 고정브라켓
130: 고정몸체 131: 고정지지대
132: 경사지지대 135: 고정날
139: 안전받침턱 170: 고정고리
195: 체결볼트 200: 가동날
220: 손잡이 210: 가동대
300: 각도조절유닛 400: 높이조절유닛

Claims (8)

  1. 금속판재를 절 곡하여서 세로 지지대(1a)와 가로 지지대(1b)를 한 몸통으로 하고, 상기 세로 지지대(1a) 선단에는 가동날 조립공(1c)을 구비한 받침날(1)의 가로 지지대(1b) 전후에는 대각으로 받침대(2)(2a)를 위치시켜서 접촉 부분을 용착하여서 구성하며, 세로 지지대(1a) 후방으로 가동날의 하강시 손잡이를 받쳐주고 가동날(10)을 받침날(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측방으로 경사지는 가동날 손잡이 받침턱(1d)을 구비하는 작두 본체에 있어서,

    가동날(20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이 낙하 되면서 별도 수거 작업 없이 수거함(P)에 절단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동날(200)의 저 면에는 고정지지대(131)와 경사지지대(132)의 경사각에 의한 수거공간(S)을 구비하여 상기 수거함(P)에 절단물이 바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고정몸체(130)를 갖는 작두본체(A)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본체(A)는,
    고무 또는 수지재 형태의 미끄럼 방지용 지지체(101)를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양측 지지체(101)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피스(102)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120)을 구비하며,
    상기 양측 고정브라켓(110)의 편 측에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지지대(131)와 그 타 측에는 임의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지지대(132)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몸체(13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몸체(130)의 상측에는 고정날(135)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날(135)의 편 측에는 가동날(200)과 체결볼트(195)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조립공(136)을 구비하되, 그 반대 측 경사지지대(132)에는 상기 손잡이(220) 고정용 고정고리(17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날(135)과 경사지지대(132)사이에는 가동대(210)가 걸림되어 상기 가동날(200)의 과도한 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받침턱(139)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30)와 경사지지대(132)사이에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유닛(30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300)은,
    상기 고정몸체(130)의 편 측에는 연결홈(330b)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홈(330b)의 외각으로는 나사탭 또는 통공형태의 고정핀삽입홈(330a)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몸체(130)와 맞대응되는 경사지지대(132)의 편측에는,
    상기 연결홈(330b)와 동일선상으로 대응되는 통공(332b)에 힌지볼트(350)와 너트(36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통공(332b) 외곽으로는 상기 고정핀삽입홈(330a)에 체결되는 체결핀(380)이 삽입되어 걸림 되는 하나 이상 구비된 각도조절홈(332a)에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30)와 고정지지대(131)사이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고정몸체(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거함(P)을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유닛(40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400)은,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상측에는 높이조절연결공(420)을 구비한 고정지지대(13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지지대(131)에 맞대응되는 높이조절블럭(410)을 수직으로 구비한 고정몸체(130)을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블럭(410)의 외면에는 걸림레일홈(407)을 수직으로 구비하고,
    상기 걸림레일홈(407)의 편 측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레일턱(405)을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연결공(420)과 걸림레일홈(407)에 끼워져 체결고정되는 체결볼트(45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 형태의 고정브라켓(110)(120)은,
    사용환경과 제조방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ㄱ”, “⊂”, “∩”, “│”, “―” 또는 “□”형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 편의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132)의 양측에는,
    경사지지대(132)의 측면으로 통공되는 연결공(138)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139)의 양측에는 임의 각도로 절곡 된 연결편(501)이 체결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연결편(501)의 타측은 길이방향으로 지지바(50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바(502)의 타측은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발(503)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발(503)에는 바닥미끄럼 방지 수지재 고무발(505)을 인서트 사출 또느 끼움형태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KR1020180004139A 2018-01-12 2018-01-12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KR20190086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39A KR20190086074A (ko) 2018-01-12 2018-01-12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39A KR20190086074A (ko) 2018-01-12 2018-01-12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74A true KR20190086074A (ko) 2019-07-22

Family

ID=6746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139A KR20190086074A (ko) 2018-01-12 2018-01-12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540A (ko) * 2021-03-30 2022-10-07 정원만 상부날과 하부날의 벌어짐 방지용 작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873Y1 (ko) 2003-07-28 2003-10-10 김홍주 주방용 작두
KR100461672B1 (ko) 1996-06-28 2005-04-06 톰슨 두개의다른판독시스템에호환되는광디스크
KR100639511B1 (ko) 2005-11-29 2006-11-01 김상수 절단용 작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672B1 (ko) 1996-06-28 2005-04-06 톰슨 두개의다른판독시스템에호환되는광디스크
KR200329873Y1 (ko) 2003-07-28 2003-10-10 김홍주 주방용 작두
KR100639511B1 (ko) 2005-11-29 2006-11-01 김상수 절단용 작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540A (ko) * 2021-03-30 2022-10-07 정원만 상부날과 하부날의 벌어짐 방지용 작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1792B2 (en) Splitting apparatus
AU2017204410A1 (en) Cutting and dust or slurry collecting assembly and working machine
NZ533698A (en) Table saw guard assembly for riving knife readily removable without using tools
US4611521A (en) Chain saw attachment
KR20190086074A (ko) 경량화와 작업편의 구조를 갖는 작두본체
GB2127887A (en) A post for mounting a hand guard rail on a scaffolding platform
US20200187721A1 (en) Food article cutting board and related method
AU2020200224B2 (en) Rocker Circular Saw
KR101292086B1 (ko) 장작 패는 장치
US4949613A (en) Cutting of materials
US5056572A (en) Caddy for use with a power saw
CN212445359U (zh) 一种食品加工用切割装置
CN110948047A (zh) 一种铝斜断锯支架
CN109226860B (zh) 一种半自动剪裁装置
KR20150027978A (ko) 손잡이 고정용 작두
KR200488565Y1 (ko) 다기능 도마
KR20140139198A (ko) 작두 본체
CN213197725U (zh) 一种塑料制品防护切割装置
CN216392867U (zh) 一种卤鸡爪去指甲装置
KR102274037B1 (ko) 각형과 판형 겸용 절단 테이블
KR200203423Y1 (ko) 육절기
US2723819A (en) Food cutter construction
RU186996U1 (ru) Ломтерезка для крупноразмерн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3132025U (ja) ブロック肉等の切断用補助器
KR20170001302U (ko) 사다리에 탈부착되는 공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