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856A -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856A
KR20190085856A KR1020190001729A KR20190001729A KR20190085856A KR 20190085856 A KR20190085856 A KR 20190085856A KR 1020190001729 A KR1020190001729 A KR 1020190001729A KR 20190001729 A KR20190001729 A KR 20190001729A KR 20190085856 A KR20190085856 A KR 2019008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vehicle
utterance
driving op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고바야시
아키히로 무구루마
유키야 스기야마
쇼타 히가시하라
리호 마츠오
나오키 야마무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8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17/005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9Driver 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1Announcement of recognition resul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1)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를 취득 가능한 취득 수단과, (2)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3)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탑재된 각 기기를, 음성에 의해 제어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9580028호를 참조하길 바란다.
그러나, 미국특허 제9580028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음성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과 대화하는 대화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또한 발화(發話)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서만 운전 조작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 제9580028호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의 발화에 의거하여 운전 조작이 행해져 버리는 경우가 있어 적절하지 않다.
본 개시는,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행해질 때에,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경우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를 취득 가능한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발화가 취득 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취득한 발화에 따라, 발화를 한 승객을 인식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승객의 인식 결과와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로부터 발생된 발화가, 차량의 운전 조작을 지시하는 내용인 경우에는, 그 운전 조작은 허가된다. 또한,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에 의해 발생된 발화가, 차량의 운전 조작을 지시하는 내용인 경우에는, 그 운전 조작은 제한된다. 이 때문에,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행해질 때에,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경우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는, 복수의 승객의 각각에 대한 정보로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설정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운전자인지 여부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경우라도,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며, 또한 상기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상기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상기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상기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른 상기 운전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승객의 발화의 내용과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한 발화의 내용에 입각한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의 발화가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으로부터 발생된 경우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승객이 상기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며, 또한 상기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상기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 3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으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는, 발화의 내용에 따라 당해 차량 조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승객이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경우에, 그 차량 조작을 발화에 의해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양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가 차량 내인 경우에, 상기 운전 조작이 상기 승객의 발화에 따라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설정한다.
제 4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자기 위치가 차량 내인 경우에, 운전 조작이 발화에 의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발화에 의한 운전 조작이 원활하게 개시된다.
본 개시의 제 5 양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은,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이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운전자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 5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운전자를 인식하고,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6 양태는, 제 1~제 5 양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객과의 대화를 행하는 대화 장치이다.
제 6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대화 장치이기 때문에, 차량에 대한 차량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의 발화가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차 내에 음악을 트는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7 양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것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개시의 제 8 양태와 관련된 정보 처리 방법은,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고,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행해질 때에,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경우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하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승객의 음성 정보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미리 등록된 단어의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대화 장치의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대화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음성 마이크(12)와, 조작부(14)와, 컴퓨터(16)와, 스피커(18)를 구비한다. 대화 장치(10)는, 본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이다.
음성 마이크(12)는, 대화 장치(10)의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발화를 검출한다. 그리고, 음성 마이크(12)는, 검출한 사용자의 발화를, 후술하는 컴퓨터(16)에 대하여 출력한다.
조작부(14)는, 대화 장치(10)의 조작자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접수한다. 예를 들면, 대화 장치(10)의 조작자인, 차량의 승객은, 조작부(14)를 조작하여 조작 정보를 대화 장치(10)에 입력한다.
컴퓨터(1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각 처리 루틴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16)는, 기능적으로는, 취득부(20)와, 정보 생성부(22)와, 등록부(24)와, 설정 정보 기억부(26)와, 인식부(28)와,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스피커(18)는, 컴퓨터(16)로부터 출력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도 2에, 본 실시 형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10)는, 차량의 승객에 의해 차량(V) 내에 반입된다. 대화 장치(10)의 제어부(30)는, 자기의 위치가 차량(V) 내인 경우에, 승객의 발화에 따라 차량(V)의 운전 조작이 가능한 상태(이하, 드라이빙 모드라고 칭한다.)로, 대화 장치(10)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대화 장치(10)의 제어부(30)는, 차량(V)에 탑재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도시 생략)와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서버(도시 생략)를 통하여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대화 장치(10)의 제어부(30)는, 대화 장치(10)가 차량(V) 내인 것을 검지한 경우에, 대화 장치(10)를 드라이빙 모드로 설정한다.
대화 장치(10)는, 차량(V)의 승객 A, B, C, D로부터 일어나는 발화의 내용에 의거하여, 승객과의 대화를 행한다. 예를 들면, 대화 장치(10)는, 승객 D로부터 「오늘의 날씨는?」이라고 질문을 받은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도시 생략)로부터 날씨 정보를 취득하여, 「오늘의 날씨는 X입니다.」라고 응답한다. 또한, 대화 장치(10)는, 승객 C으로부터 「음악을 틀어줘」라고 지시받은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도시 생략)로부터 악곡(樂曲)을 취득하여, 취득한 악곡을 튼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10)는, 운전자인 승객 A의 발화에 따라, 차량(V)의 운전 조작에 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대화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나는 운전자인 승객 A로부터 「자동 운전으로 전환해」라고 지시받은 경우에는, 수동 운전으로부터 자동 운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운전자 A와는 상이한 승객 B, C, D로부터 운전 조작에 관한 발화가 발생된 경우에는, 그 발화에 의해 지시되는 운전 조작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나는 승객 D로부터 운전 조작에 관한 발화 「자동 운전으로 전환해」가 발생된 경우, 그 발화에 의해 지시받은 운전 조작은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의 발화에 의거하여, 발화를 한 승객을 인식한다. 그리고, 승객의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 중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서만,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10)는, 운전자가 일으키는 발화의 음성 정보와,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의 발화의 음성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그리고, 대화 장치(10)는, 승객의 발화의 음성 정보와, 각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따라, 취득된 발화가 운전자의 발화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화 장치(10)는, 취득된 발화가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의 발화인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한한다. 한편, 대화 장치(10)는, 취득한 발화가 운전자의 발화인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취득부(20)는, 음성 마이크(12)에 의해 검출된,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를 차차 취득한다.
정보 생성부(22)는, 취득부(20)에 의해 취득된 발화에 따라, 소정의 출력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승객으로부터 「음악을 틀어줘」라는 발화를 취득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도시 생략)로부터 악곡을 취득하여, 취득한 악곡을 출력 정보로 한다. 그리고, 정보 생성부(22)는, 출력 정보를 스피커(18)에 출력한다. 스피커(18)는, 출력 정보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등록부(24)는, 조작부(14)에 의해 접수된 조작 정보에 따라, 복수의 승객의 각각에 대한 설정 정보를 등록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정 정보는, 복수의 승객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각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설정 정보에는, 승객이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부(24)는, 취득부(20)에 의해 취득된 승객의 발화에 의거하여, 승객의 음성 정보와, 그 승객이 허가받고 있는 조작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은, 대화 장치(10)에 대하여 말을 걸어, 자기의 음성 정보를 등록한다.
이 경우, 소정의 승객은, 대화 장치(10)의 조작부(14)를 조작하여, 대화 장치(10)를 제 1 모드로 설정한다. 제 1 모드에서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하, 단순히, 제 1 승객이라고 칭한다.)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대화 장치(10)가 제 1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제 1 승객이 대화 장치(10)에 대하여 말을 걺으로써, 음성 마이크(12)를 통하여 제 1 승객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그리고, 등록부(24)는, 제 1 승객의 음성 정보를,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등록한다.
이어서,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의 일례로서 차량의 창문을 여는 조작이 있다. 창문을 여는 조작에 관해서는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이 행해도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대해, 운전자와는 상이한 다른 승객에 대하여 허가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승객은 대화 장치(10)의 조작부(14)를 조작하여, 대화 장치(10)를 제 2 모드로 설정한다. 제 2 모드에서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하, 단순히, 제 2 승객이라고 칭한다.)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대화 장치(10)가 제 2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제 2 승객이 대화 장치(10)에 대하여 말을 걺으로써, 음성 마이크(12)를 통하여 제 2 승객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그리고, 등록부(24)는, 제 2 승객의 음성 정보를,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등록한다.
또한, 예를 들면,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이어도, 아이인 승객이 창문을 여는 조작에 대해서는, 그 조작을 제한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이라도, 그 차량 조작을 제한하고 싶은 승객이 승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승객은 대화 장치(10)의 조작부(14)를 조작하여, 대화 장치(10)를 제 3 모드로 설정한다. 제 3 모드에서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하, 단순히, 제 3 승객이라고 칭한다.)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대화 장치(10)가 제 3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제 3 승객은 대화 장치(10)에 대하여 말을 걺으로써, 음성 마이크(12)를 통하여 제 3 승객의 음성 정보가 수집된다. 그리고, 등록부(24)는, 제 3 승객의 음성 정보를,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등록한다.
설정 정보 기억부(26)에는, 등록부(24)에 의해 등록된 설정 정보와 각 승객의 음성 정보가 저장된다. 설정 정보와 각 승객의 음성 정보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된다. 도 4에 나타내는 테이블에는, 승객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ID와, 승객의 음성 정보와, 승객이 허가받고 있는 조작의 종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가 대응지어져 저장된다. 승객의 음성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승객의 음성의 주파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는 테이블을 참조하면, ID 「00001」의 승객은, 운전 조작,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 및 그 밖의 조작이 허가되어 있다.
또한 ID 「00002」의 승객은,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 및 그 밖의 조작이 허가되어 있다. 예를 들면, ID 「00002」의 승객은, 차량의 창문의 개폐의 조작 등이 허가된다.
또한 ID 「00003」 및 ID 「00004」의 승객은, 그 밖의 조작만이 허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ID 「00003」 및 ID 「00004」의 승객은, 그 밖의 조작으로서, 악곡을 트는 조작 등이 허가된다.
인식부(28)는, 취득부(20)에 의해 승객의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승객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식부(28)는, 취득부(20)에 의해 취득된 승객의 발화와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저장된 음성 정보에 의거하여, 발화를 한 승객이 제 1 승객, 제 2 승객, 및 제 3 승객 중 누구인지를 인식한다.
제어부(30)는, 인식부(28)에 의해 얻어진 승객의 인식 결과와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발화를 한 승객이 제 1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제 1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화를 한 승객이 ID 「00001」의 승객인 경우에는, 제어부(30)는, 승객의 발화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30)는, 발화를 한 승객이 제 2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른 운전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화를 한 승객이 ID 「00002」, ID 「00003」, 및 ID 「00004」의 승객인 경우에는, 제어부(30)는, 운전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발화를 한 승객이 제 2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화를 한 승객이 ID 「00002」의 승객인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지만,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다. 이 때문에, ID 「00002」의 승객이 발화 「창문을 열어」를 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인 「창문을 여는」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ID 「00002」의 승객이 「자동 운전으로 전환해」 등의 발화를 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그 발화에 의해 지시되는 운전 조작을 제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발화를 한 승객이 ID 「00003」 및 ID 「00004」의 승객인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지만, 그 밖의 조작이 허가되어 있다. 이 때문에, ID 「00003」 및 ID 「00004」의 승객이 발화 「음악을 들려줘」를 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그 밖의 조작인 「음악을 트는」 조작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ID 「00003」 및 ID 「00004」의 승객이 「자동 운전으로 전환해」 「창문을 열어」 등의 발화를 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그 발화에 의해 지시되는 조작을 제한한다.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인지 여부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단어 정보에 따라, 미리 판정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자동 운전」, 「수동 운전」, 및 「브레이크」 등의 단어가 발화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발화로서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창문」, 및 「시트」 등의 단어가 발화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관한 발화로서 판정한다. 또한, 「음악」, 「곡」, 및 「날씨」 등의 단어가 발화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에 관한 발화로서 판정된다.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는, 차량에 탑재된 ECU가 취득한다. 그리고, ECU는,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
대화 장치(10)의 컴퓨터(16)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16)는 CPU(51),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의 메모리(52), 및 불휘발성의 기억부(53)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16)는, 입출력 장치 등(도시 생략)이 접속되는 입출력 interface(I/F)(54), 및 기록 매체(59)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제어하는 read/write(R/W)부(55)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16)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I/F(56)를 구비한다. CPU(51), 메모리(52), 기억부(53), 입출력 I/F(54), R/W부(55), 및 네트워크 I/F(56)는, 버스(57)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다.
기억부(53)는, Hard Disk Drive(HDD), solid state drive(SSD),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기억 매체로서의 기억부(53)에는, 컴퓨터(16)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CPU(51)는, 프로그램을 기억부(53)로부터 독출하여 메모리(52)로 전개하여, 프로그램이 가지는 프로세스를 순차 실행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16)의 CPU(51)는, 취득부(20)와, 정보 생성부(22)와, 등록부(24)와, 설정 정보 기억부(26)와, 인식부(28)와, 제어부(30)의 각각으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소정의 승객은, 대화 장치(10)의 조작부(14)를 조작하여, 대화 장치(10)를 각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등록부(24)는, 제 1 승객의 음성 정보와, 제 2 승객의 음성 정보와, 제 3 승객의 음성 정보를,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등록한다. 이에 따라, 각 승객의 음성 정보와 설정 정보가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저장된다.
이어서, 대화 장치(10)가 차량 내에 반입되면, 대화 장치(10)의 제어부(30)는, 대화 장치(10)가 차량 내인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대화 장치(10)의 제어부(30)는, 대화 장치(10)를 드라이빙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미리 등록된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에 대해서는, 그 승객의 발화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어, 차량 내의 승객이 대화 장치(10)에 대하여 말을 걸면, 도 7에 나타내는 운전 조작 처리 루틴이 실행된다.
단계 S100에 있어서, 취득부(20)는, 음성 마이크(12)에 의해 검출된 발화를 취득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인식부(28)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승객의 발화와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저장된 음성 정보에 의거하여, 발화를 한 승객이, 제 1 승객, 제 2 승객, 및 제 3 승객 중 누구인지를 인식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5에 나타나는 단어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발화의 내용이 판정된다.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진행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제 1 승객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제 1 승객인 경우에는, 단계 S112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제 1 승객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승객의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차량의 운전 조작이 제한된다.
단계 S108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제 2 승객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제 2 승객인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제 2 승객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16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승객의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이 제한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관한 내용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는, 단계 S114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며, 또한 그 밖의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는, 단계 S11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12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운전 조작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예를 들면, 발화의 내용이 「자동 운전으로 전환해」인 경우에는, 그 내용에 따른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단계 S114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창문을 열어」와 같은 발화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단계 S116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취득된 발화의 내용에 따라, 그 밖의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음악을 틀어」와 같은 발화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는, 승객의 발화에 따라 승객을 인식하고, 승객의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승객의 발화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이 행해질 때에,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경우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는, 승객의 인식 결과와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제 1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한 발화의 내용에 입각한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대화 장치는,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른 운전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의 발화가 운전자와는 상이한 승객으로부터 발생된 경우라도,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대화 장치는, 발화를 한 승객이, 제 2 승객 또는 제 3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에 관한 내용이면, 제 2 승객 또는 제 3 승객이어도,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이어서,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대화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조작을 행하는 승객인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점이,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2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대화 장치(210)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음성 마이크(12)와, 운전자 마이크(212)와, 조작부(14)와, 컴퓨터(16)를 구비한다.
운전자 마이크(212)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조작을 행하는 승객인 운전자 A의 주변에 설치된다. 그리고, 운전자 마이크(212)는, 운전자 A로부터 일어나는 발화를 차차 취득한다.
컴퓨터(216)는, CPU, 각 처리 루틴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기억 수단으로서의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216)는, 기능적으로는, 취득부(220)와, 등록부(224)와, 설정 정보 기억부(26)와, 인식부(228)와, 제어부(230)를 구비한다. 운전자 마이크(212)와 컴퓨터(216)는, 예를 들면, 소정의 통신 수단에 의해 접속된다.
취득부(220)는, 음성 마이크(12)에 의해 취득된 승객의 발화를 차차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220)는, 운전자 마이크(212)에 의해 취득된 운전자의 발화를 차차 취득한다.
등록부(224)는, 운전자 마이크(212)에 의해 취득된 운전자의 발화의 음성 정보를, 제 1 승객의 음성 정보로서, 설정 정보 기억부(26)에 등록한다.
인식부(228)는, 발화를 한 승객이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식부(228)는, 운전자 마이크(212)에 의해 취득된 발화는, 운전자에 의해 발생된 발화라고 인식한다. 또는, 인식부(228)는,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된 발화와 등록부(224)에 저장된 제 1 승객의 음성 정보에 의거하여, 음성 마이크(12)에 의해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식한다.
제어부(230)는, 인식부(228)에 의해 얻어진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된 발화를 한 승객이 운전자인 경우에, 그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210)의 다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와 관련된 대화 장치(210)에 의하면,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스티어링 조작을 행하는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운전자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발화에 따라서만, 차량의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화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소프트웨어 처리로서 설명했지만, 하드웨어에서 행하는 처리로 해도 된다. 혹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쌍방을 조합시킨 처리로 해도 된다. 또한, ROM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각종 기억 매체에 기억하고 유통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화 장치는, 휴대 단말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의 대화 기능에 의거하여, 승객의 발화에 따른 운전 조작 등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부(30)는,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른 운전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의 발화에 따른 운전 조작을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만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발화를 한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운전 조작을 제한한다.

Claims (8)

  1.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를 취득 가능한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발화를 한 제 1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며, 또한 상기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상기 제 1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발화를 한 제 2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상기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상기 제 2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른 상기 운전 조작을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승객이 상기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발화를 한 제 3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지 않은 승객이며, 또한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이며, 또한 상기 발화의 내용이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에 관한 내용인 경우에, 상기 제 3 승객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차량의 운전 조작과는 상이한 차량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3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위치가 차량 내인 경우에, 상기 운전 조작이 상기 승객의 발화에 따라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은,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이 운전자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운전자의 발화의 내용에 따라, 상기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4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객과의 대화를 행하는 대화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
  7. 컴퓨터에,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며,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기억 매체.
  8. 차량에 승차하고 있는 복수의 승객의 발화가 취득된 경우, 당해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을 인식하고,
    상기 발화를 한 상기 승객의 인식 결과와, 복수의 상기 승객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또한 상기 승객이 차량의 운전 조작을 허가받고 있는 승객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객의 발화가 나타내는 차량의 운전 조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190001729A 2018-01-11 2019-01-07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KR20190085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2759 2018-01-11
JP2018002759A JP7069730B2 (ja) 2018-01-11 2018-01-11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856A true KR20190085856A (ko) 2019-07-19

Family

ID=6494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29A KR20190085856A (ko) 2018-01-11 2019-01-07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214008A1 (ko)
EP (1) EP3511932B1 (ko)
JP (1) JP7069730B2 (ko)
KR (1) KR20190085856A (ko)
CN (1) CN110027491A (ko)
BR (1) BR102019000231A2 (ko)
RU (1) RU2714611C1 (ko)
SG (1) SG10201811716XA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6805B2 (ja) * 1997-08-18 2003-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音声入力装置
JP2001125591A (ja) 1999-10-27 2001-05-11 Fujitsu Ten Ltd 音声対話システム
JP4755556B2 (ja) * 2006-09-04 2011-08-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装置
US20090055178A1 (en) * 2007-08-23 2009-02-26 Coon Bradley 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ersonalized settings in a vehicle
JP2009056890A (ja) 2007-08-30 2009-03-19 Toyota Motor Corp 操舵制御装置
EP2045140B1 (en) 2007-10-01 2010-01-27 Harman/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djustment of vehicular elements by speech control
EP2462466B1 (en) * 2009-08-05 2016-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ehicle information to an occupant communication device
JP2011065587A (ja) * 2009-09-18 2011-03-31 Advantest Corp 処理システムおよび試験装置
US9348492B1 (en) * 2011-04-22 2016-05-24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specific vehicle controls, functions, environment and applications to guests/passengers via personal mobile devices
KR101974136B1 (ko) * 2012-09-10 201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747898B2 (en) * 2013-03-15 2017-08-29 Honda Motor Co., Ltd. Interpretation of ambiguous vehicle instructions
US9275208B2 (en) * 2013-03-18 2016-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vehicular biometric access and personalization
JP2015074315A (ja) 2013-10-08 2015-04-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中継装置及び車載通信システム
KR101513643B1 (ko) * 2014-05-26 201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6348831B2 (ja) * 2014-12-12 2018-06-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音声入力補助装置、音声入力補助システムおよび音声入力方法
US20170221480A1 (en) * 2016-01-29 2017-08-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peech recogni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riving
US20190057703A1 (en) * 2016-02-29 2019-02-21 Faraday&Future Inc. Voice assistance system for devices of an ecosystem
CN106373568A (zh) * 2016-08-30 2017-02-0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车载单元控制方法和装置
CN106683673B (zh) * 2016-12-30 2020-11-13 智车优行科技(北京)有限公司 驾驶模式的调整方法、装置和系统、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1932B1 (en) 2020-05-27
JP2019120904A (ja) 2019-07-22
US20190214008A1 (en) 2019-07-11
RU2714611C1 (ru) 2020-02-18
CN110027491A (zh) 2019-07-19
BR102019000231A2 (pt) 2019-07-30
SG10201811716XA (en) 2019-08-27
EP3511932A1 (en) 2019-07-17
JP7069730B2 (ja)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508B2 (en) User-specific confidence thresholds for speech recognition
US9881616B2 (en) Method and systems having improved speech recognition
JP4304952B2 (ja) 車載制御装置、並びにその操作説明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8738368B2 (en) Speech processing responsive to a determined active communication zone in a vehicle
US8762151B2 (en) Speech recognition for premature enunciation
CN109545219A (zh) 车载语音交互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881609B2 (en) Gesture-based cues for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US9911408B2 (en) Dynamic speech system tuning
CN110770693A (zh) 手势操作装置及手势操作方法
JP2009145755A (ja) 音声認識装置
US9473094B2 (en)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oudness of voice prompts
JP2017090612A (ja) 音声認識制御システム
EP149420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peech dialog system and speech dialog system
CN111199735A (zh) 车载装置以及语音识别方法
JP6459330B2 (ja) 音声認識装置、音声認識方法、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H1152976A (ja) 音声認識装置
KR20190085856A (ko)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 매체
KR20180005828A (ko) 사운드 크기를 직관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제어기
JP5074759B2 (ja) 対話制御装置、対話制御方法及び対話制御プログラム
KR101945190B1 (ko) 음성인식 작동 시스템 및 방법
JP2004301875A (ja) 音声認識装置
JP2004318026A (ja) セキュリティペットロボット及びその装置に関する信号処理方法
WO2022024188A1 (ja) 音声登録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279319B1 (ko) 음성분석장치 및 음성분석장치의 동작 방법
JP2007286198A (ja) 音声合成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