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836A -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 Google Patents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836A
KR20190085836A KR1020180126506A KR20180126506A KR20190085836A KR 20190085836 A KR20190085836 A KR 20190085836A KR 1020180126506 A KR1020180126506 A KR 1020180126506A KR 20180126506 A KR20180126506 A KR 20180126506A KR 20190085836 A KR20190085836 A KR 20190085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liner
explosives
explosive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문종
Original Assignee
권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종 filed Critical 권문종
Priority to KR102018012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5836A/ko
Priority to KR1020190078427A priority patent/KR1025178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836A/ko
Priority to CN202310437940.6A priority patent/CN116294871A/zh
Priority to PCT/IB2019/058930 priority patent/WO2020084428A1/en
Priority to US17/287,191 priority patent/US11719516B2/en
Priority to CN202310438711.6A priority patent/CN116242212A/zh
Priority to CN201980085507.2A priority patent/CN113383206B/zh
Priority to AU2019367298A priority patent/AU2019367298A1/en
Priority to AU2022203936A priority patent/AU2022203936A1/en
Priority to US18/209,813 priority patent/US202303241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Explosive charg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but not dependent on shape of container
    • F42B1/02Shaped or hollow charges
    • F42B1/028Shaped or hollow charg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l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Explosive charg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but not dependent on shape of container
    • F42B1/02Shaped or hollow charges
    • F42B1/032Shaped or hollow charg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폭용 라이너(liner)를 이용한 발파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 콘크리트 등 파쇄 대상물에 발파공을 천공하여 발파하는데 있어서 기폭약포(primer) 또는 전폭약포(booster)의 폭발 에너지를 집중하고 그 전폭의 속도를 증폭할 수 있어, 폭발반응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측벽효과(channel effect)로 인한 사압현상(dead pressing)이나 폭굉중단을 개선하여, 조절발파(controlled blasting), 에어데킹(air decking), 소단면 터널발파로부터 장공(long hole)발파, 공경 150mm 이상의 대규모 광산발파 등의 시공 시에 발파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진동, 소음 등의 공해를 저감하는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발파천공 내에 단순히 폭약과 뇌관을 배치하고 전색하는 일반적 장약방법과 천공과 폭약 사이에 그리고 폭약들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해서 장약하는 방법들에 있어서, 기폭약포(113)에 라이너(150)를 부착하여 장약하거나, 그 효과를 더욱 증대하기 위하여 그 라이너에 인접하는 장전폭약 사이에 공간(160)을 두어 장약하거나, 기폭약포 이외의 장전약포에 라이너를 부착하거나, 그 라이너에 인접하는 장전약포 사이에 공간을 두어 장약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Blasting Method using Liner applied to Primer, Booster}
본 발명은 기폭용 라이너(liner)를 이용한 발파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 콘크리트 등 파쇄 대상물에 발파공을 천공하여 발파하는데 있어서 기폭약포(primer) 또는 전폭약포(booster)의 폭발 에너지를 집중하고 그 전폭의 속도를 증폭할 수 있어, 폭발반응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측벽효과(channel effect)로 인한 사압현상(dead pressing)이나 폭굉중단을 개선하여, 조절발파(controlled blasting), 에어데킹(air decking), 소단면 터널발파로부터 장공(long hole)발파, 공경 150mm 이상의 대규모 광산발파 등의 시공 시에 발파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진동, 소음 등의 공해를 저감하는 기폭용 라이너(liner)를 이용한 발파공법에 관한 것이다.
화약류는 흑색화약으로부터 시작하여 다이너마이트, ANFO, 함수폭약, 에멀전 등으로 개발되어 왔고, 뇌관류는 알프레드 노벨이 공업용 뇌관을 발명한 이래 전기뇌관, 비전기뇌관 그리고 전자뇌관으로의 변천이 이어졌다. 현재는 양자를 특수용도를 제외한 광물의 채취 또는 암반, 콘크리트 등을 파쇄의 목적으로 천공한 후 장약하고 점화하는 일반적인 발파방법으로써 이용하는 데에는, 그 발전의 주된 방향을 안전성과 효용성을 위주로 지속해 온 가운데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광물채취나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을 위한 암반파쇄의 기술적 진보를 살펴보자면, 처음에는 암반을 불로 가열한 후 찬물로 냉각해서 균열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구멍을 뚫어 쐐기를 이용하여 자르거나, 대부분의 작업을 인력으로 하여 채취하고 파쇄하는 등의 방법으로 하였고, 이 후에 대상물에 천공하여 화약류를 장약하고 발파하는 방법에 이르렀다. 그러한 측면에서, 화약류는 인류를 모진 노동으로부터 해방하였다 할 수 있겠다.
화약과 발파의 변천사에 있어 혁명적이라 할 예를 든다면, 다이너마이트의 발명으로부터 화약에서 폭약으로, 그리고 뇌관의 발명과 1950년대 이후 밀리세컨드(ms)의 시차를 부여하여 현재는 그 정도가 1ms 단위의 정밀도와 정확성을 가지게 된 것이라 할 것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내용이라면, 1893년 독일에서 녹스(Knox)가 화약으로 장약할 때 천공 내에 비워둔 공간(air deck)이 오히려 발파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발견하고 발명특허 한 것이며, 뇌관에 있어서는 1883년 블롬(G. Bloem)이 반구형의 뇌관바닥을 형성하여 기폭력을 증대한 것을 특허 한 것이다. 이들의 발견은 최근에 와서 장약에 있어 에어데크(air deck)로 부각되었고, 반구형 뇌관에의 적용은 산업용 또는 방산용 장비의 성형작약(shaped charge)으로써 강재(steel)의 절단과 관통에 주로 응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도 1994년 구)라이프빌딩 발파해체공사의 장약확인과 결선작업에 참여한 바 있으며, 1990년대 말 석사과정 재학 중 약 18m 상부에 차량이 통행하는 기존 터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이에 평행하여 진행하는 새 터널의 발파굴진을 수행하는 프로젝트로서 진영터널 공사에 참여하였다. 당 현장에서 새로운 심빼기 발파(center cut blasting)를 적용하며 제어발파(controlled blasting)를 시행하던 중 에어덱킹(air decking)의 현상과 효과를 스스로 발견하여, 연구실에 구두보고 된 이후, 특허된 에어데크(air deck)도구의 시공기술 이전 시 미국최대 석탄채굴업체인 피바디 에너지(Peabody Energy)소속 현장 두 곳을 2006년에 방문하여 담당자들을 직접 기술 지도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략적인 발파와 관련한 변천을 살펴볼 때, 기존의 일반적 발파방법에서부터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전반적으로 폭발반응을 좀더 분석적으로 이용하는 에어데크(air deck)방법이 실시되고 있으며, 관측기기의 발달로 그 메커니즘이 점점 확연해 지는데 이르렀지만, 폭약의 특성을 이상적으로 이용할 견지에서 볼 때는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이다.
그 중 하나는 현재까지의 천공장약의 발파방법에 관한 것인데, 폭약의 폭발반응을 뇌관으로부터 시작하는데 있어, 그 전파는 장전폭약의 순폭(sympathetic detonation)과 전폭약포(booster)에만 의존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일반적 장약방법이나, 특히 에어데크(air deck)방법의 시공현장에서 측벽효과(channel effect)에 의한 사압현상과 폭굉중단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폭발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한바 되어 발파작업의 비용이 증가하고, 신문지상에서 그 시행의 결과를 놓고 기술적 경제적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천공장약 발파공법에 있어 현재까지 알려진 화약류의 폭발반응과 파괴거동의 메커니즘 분석에 따르면, 조건화된 거시적인 폭발반응에 의한 암반의 파쇄는 폭발반응으로부터 9ms 까지 동적효과(dynamic effect)와 정적효과(static effect)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고, 파쇄암반의 이동은 9ms 이후 시작되어, 15~30ms 이르러 누두공(crater) 생성이 완결되고 있음이 관측되고 있다. 여기서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4μs~8μs 이내의 충격파가 파쇄효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분석적 관측과 그 실제에서의 적용에 대한 결론으로서. 가장 이상적인 장전폭약의 폭발반응은 분자 단위에서 일시에 완결되고, 일차적인 폭발반응의 충격파에너지와 이차적인 반응생성물의 화학에너지를 모두 운동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파쇄대상물의 균열과 파쇄를 완료하는 것으로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은 천공발파에 있어 기존의 방식인 뇌관 기폭력의 전폭을 장전폭약의 순폭에만 의존하는 방법으로는 폭발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발파 환경이나 에어데크(air deck) 등의 점진하는 장약방법에의 적용은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으므로, 이에 근본적 기술혁신의 수렴으로서 뇌관기능의 개념을 새로이 정립하고, 그 실천 대안으로써 라이너(liner)의 제트(jet)를 장전폭약의 기폭 전반에 이용하는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파천공 내에 단순히 폭약과 뇌관을 배치하고 전색하는 일반적 장약방법과 천공과 폭약 사이에 그리고 폭약들 사이에 빈 공간(140)을 형성해서 장약하는 방법들에 있어서, 기폭약포(113)에 라이너(150)를 부착하여 장약하거나, 그 효과를 더욱 증대하기 위하여 그 라이너(150)에 인접하는 장전폭약 사이에 공간(160)을 두어 장약하거나, 기폭약포 이외의 장전약포(111)에 라이너를 부착하거나, 그 라이너(150)에 인접하는 장전약포 사이에 공간(160)을 두어 장약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뇌관의 기폭력을 집중하고 증폭하여, 장약된 폭약의 폭발반응의 완결 시간을 줄이고 그 완성도를 높이며 폭발반응에 따른 화학적 생성물의 충격파 방출을 유도하고 지속하여, 폭약의 효율을 높이고, 천공장약 발파에서의 폭굉중단, 폭력저하, 그리고 특히 에어데크(air deck)장약방법에 있어서 측벽효과(channel effect)에 의한 사압현상(dead pressing)의 대안이 되며, 모든 천공장약 발파방법에 적용하여 노천발파(open pit blasting)에 있어 파쇄도를 향상하고, 터널발파(tunnel blasting)시 굴진율을 높이고 여굴(overbreak)관리에 유리하며, 조절발파(controlled blasting)시 필수적인 적용이 될 수 있다. 폭약의 효율을 높여 과다사용을 피할 수 있고, 발파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감소하는 동시에 진동, 소음 등의 공해와 환경문제에 기여하는 발파공법으로 기존의 발파에 대한 대안이 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카트리지폭약의 장약방법 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의 블크안포폭약의 장약방법 단면도
도 1c는 종래기술의 조절발파의 분산장약방법 단면도
도 1d는 종래기술의 에어데크의 분산장약방법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라이너를 부착하고 공간부를 형성한 카트리지폭약의 장약방법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라이너를 부착하고 공간부를 형성한 블크안포폭약의 장약방법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라이너를 부착하고 공간부를 형성한 조절발파의 분산장약방법 단면도
도 3a는 뇌관기폭 폭발반응대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b는 측벽효과에 의한 사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c는 성형작약이 생성하는 제트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라이너에 의한 폭발반응대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e는 기폭용 라이너로 제작 가능한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 는 라이너를 약폭에 부착한 모양을 설명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공발파의 방법으로 파쇄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천공하여, 이 천공에 폭약 및 뇌관을 장약하고 전색물(130)로 메지하여 장약공을 형성한 후, 그 장약공을 점화하는 발파공법에 있어서, 상기 장약공 내의 약포(기폭약포, 전폭약포 또는 장전약포)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성형작약 효과(Shaped Charge Effect)를 응용한 라이너(150)를 부착하여 그 장약공이 점화되어 발파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 이때 뇌관의 기폭시 약포에 부착된 라이너가 방출하는 제트(170)의 기폭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가속 거리(160)를 둘 수 있고, 그 공간은 에어데크의 유용한 공간으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이를 천공내의 장약전반에 적용하여 장전된 약포들 사이에 공간(140)을 둘 수 있어, 폭발반응의 메커니즘 분석에 따른 에어데크 발파의 이론에 따른 실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는 공법의 순서를 살펴보면, 도1a 내지 도1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약방법과 동일한 과정으로 실시하되,
첫째, 도4와 같이 기폭약포(113)와 전폭약포(114)에 라이너(150)를 부착하는 것인데, 라이너(150)는 금속이나 유리 등의 재질로 기폭시 제트(170)를 방출하는 것으로 하여야 하고, 그 형상은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구면, 원뿔에 이르기 까지 다양 할 수 있는데, 주로 그 원뿔의 모선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된 것을 사용하여 제트의 방출을 충분히 유도 할 수 있다. 라이너(150)를 부착하는 방법은 원뿔모양의 경우 도 4와 같이 하되, 그 원뿔의 회전축이 천공(100)과 폭약(111, 112)의 가상의 장축에 일치하도록 하고, 그 밑면은 부착하는 약포의 밑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그 약포의 폭약이 라이너(150)의 바깥 면에 충분히 밀착되도록 한다.
둘째, 라이너(150)를 부착한 후, 이격거리(160)를 둠으로써 라이너(150)가 방출하는 제트(170)에 가속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실시할 경우, 뇌관의 기폭력은 더욱 증폭되고, 장공발파의 경우 장전약포의 전폭을 더욱 가속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뿔 라이너(150)의 경우 강재의 관통이나 절단을 위한 경우는 원뿔 직경의 5배 내지 6배를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천공내의 기폭을 목적으로 응용한 때에는 현장상황에 따라 그보다 짧거나 크게 확장하여도 그 효과에 있어 무리가 되지 않으며, 파쇄 대상물과 현장상황에 따라 배수를 적용한 간단한 시험발파로서 라이너의 재질, 형상 등 제작상의 다양한 변수에 대응할 수 있다.
셋째, 기폭약포(113)에 라이너(150)를 부착하고 이격거리(160)를 두어 장전한 후에는, 정기폭이나 역기폭의 장공 벤치발파나 그때의 장약으로 벌크안포(bulk ANFO) 폭약을 설계한 발파에서는 기폭약포(113) 이외의 약포(111)에 라이너(150)를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전폭약포(114)로 전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벤치발파 터널발파 조절발파 해체발파 등의 패턴에 따라 에어데크의 이론에 따른 장약량을 결정하고 장전약포 사이에 공간부(140)를 형성함으로써 에어데크 공법을 폭넓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시하면, 뇌관기폭 시 라이너(150)가 방출하는 제트(170)가 천공내에 장약된 약포를 기폭하여 그 폭발반응대(180)가 기존의 뇌관만의 기폭과는 크게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는 것을 도3a 와 도 3d의 비교로서 알 수 있으며, 그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실험적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폭약을 기폭하는 뇌관의 작용에는 파편에 의한 것, 열에 의한 것, 충격파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파편에 의한 작용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뇌관의 파편에 의해서는 질산암모늄이 1m 상당의 거리에서도 기폭되는 것으로 실험 보고되고 있다.
성형작약의 제트(170)는 폭약(111)이 기폭하면서 발생하는 충격파(shock wave)가 라이너(150)에 전달되고, 이에 라이너(150)가 붕괴되며, 붕괴된 라이너가 축 방향으로 고온 고압의 제트(170)를 형성하여 단순히 그 속도만으로 볼 때도 뇌관 파편속도의 2배 이상으로 10km/s에 이르게 된다. 이는 장전된 폭약의 폭속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며, 장약공의 공극을 통한 폭굉압력의 전파속도를 상회하게 되어, 방출된 제트파편과 그 에너지는 천공(100)내의 장약들을 짧은 시간에 기폭할 뿐만 아니라 장약된 폭약의 폭발반응이 축을 따라 전방위로 발생하게 되어 그 효율이 극대화 되는 것이며, 측벽효과(channel effect)에 의한 사압이나 폭굉중단 등의 대안이 되는 것이다.
한편, 에어데크(air deck)의 장약방법에 의한 파쇄효과는 4μs~8μs 이내의 충격파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선결조건은 장약된 폭약의 폭발반응의 완결시간을 줄이고 그 완성도를 높이며 폭발반응에 따른 화학적 생성물의 충격파 방출을 유도하고 지속하는 것으로서, 기폭약포(113)와 전폭약포(114)에 라이너(150)를 부착함으로 폭발반응의 완성도를 높이고, 이격거리(160)와 적절히 배치한 공간부(140)는 폭발반응에 따른 화학적 생성물이 그 에너지를 충격파로 방출하는데 충분토록 하며, 또한 그 잔향(reverberation)의 지속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100:장약공 110:폭약 111:카트리지폭약 112:블크안포폭약 113:기폭약 114:전폭약 120:뇌관
130:전색물 140:공간부(spacer) 150:라이너(liner) 160:이격거리(Stand-off Distance) 170:제트(jet)
180:폭발반응대

Claims (3)

  1. 파쇄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천공하고, 폭약 및 뇌관을 장약하여 점화하는 발파방법에 있어서, 그 폭약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성형작약 효과(Shaped Charge Effect)를 응용한 라이너(liner)를 부착하고, 기폭 시 생성된 제트(jet)가 폭약을 전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부착된 라이너(liner)로부터 인접하는 약포에 이격거리(Stand-off Distance)을 형성하고 라이너(liner)의 제트(jet)를 가속하여 그 전폭을 증폭함과 동시에 에어데크(air deck)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약들 또는 천공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조절발파(controlled blasting)와 에어데크(air deck)에 활용하는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0180126506A 2018-10-23 2018-10-23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KR20190085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06A KR20190085836A (ko) 2018-10-23 2018-10-23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0190078427A KR102517885B1 (ko) 2018-10-23 2019-06-30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CN202310437940.6A CN116294871A (zh) 2018-10-23 2019-10-20 利用在炮孔装药的射流单元的爆破方法
PCT/IB2019/058930 WO2020084428A1 (en) 2018-10-23 2019-10-20 Method of blasting using jet units charged in a blast-hole
US17/287,191 US11719516B2 (en) 2018-10-23 2019-10-20 Method of blasting using jet units charged in a blast-hole
CN202310438711.6A CN116242212A (zh) 2018-10-23 2019-10-20 利用在炮孔装药的射流单元的爆破方法
CN201980085507.2A CN113383206B (zh) 2018-10-23 2019-10-20 利用在炮孔装药的射流单元的爆破方法
AU2019367298A AU2019367298A1 (en) 2018-10-23 2019-10-20 Method of blasting using jet units charged in a blast-hole
AU2022203936A AU2022203936A1 (en) 2018-10-23 2022-06-07 Method of blasting using jet units charged in a blast-hole
US18/209,813 US20230324152A1 (en) 2018-10-23 2023-06-14 Method of blasting using jet units charged in a blast-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06A KR20190085836A (ko) 2018-10-23 2018-10-23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836A true KR20190085836A (ko) 2019-07-19

Family

ID=675118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06A KR20190085836A (ko) 2018-10-23 2018-10-23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0190078427A KR102517885B1 (ko) 2018-10-23 2019-06-30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427A KR102517885B1 (ko) 2018-10-23 2019-06-30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19516B2 (ko)
KR (2) KR20190085836A (ko)
CN (3) CN116242212A (ko)
AU (2) AU2019367298A1 (ko)
WO (1) WO202008442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3028A (zh) * 2019-11-21 2020-02-21 张�杰 一种优化控制露天矿山台阶爆破爆堆宽度的方法
CN111207639A (zh) * 2020-03-20 2020-05-29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露天矿深孔爆破克服较大底盘抵抗线方法
KR102199682B1 (ko) * 2020-05-11 2021-01-07 최찬규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 저감형 라이너 플러그를 포함하는 폭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CN112729020A (zh) * 2020-12-29 2021-04-30 安徽理工大学 一种聚能切缝管
CN113819820A (zh) * 2021-08-30 2021-12-21 北京科技大学 一种不耦合装药结构、方法、应用及爆破方法
KR102430259B1 (ko) * 2022-01-18 2022-08-05 김병석 지관과 라이너를 이용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암반 발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1279A (zh) * 2020-12-18 2021-04-06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低振动、高质量的爆破方法
KR102358964B1 (ko) * 2021-06-21 2022-02-08 정석호 안포 전용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CN114353609B (zh) * 2021-12-21 2023-05-12 湖北工业大学 对下向炮孔孔内分段装药的结构及方法
CN114264206B (zh) * 2021-12-21 2023-06-06 湖北工业大学 孔内挂袋分段水耦合装药结构与施工方法
CN115307502B (zh) * 2022-10-10 2022-12-20 河北菲克森煤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井下炸药卷推送车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423A (en) 1886-05-25 Gustay bloem
US2775940A (en) 1953-10-07 1957-01-01 Jr Robert L Klotz Method for blasting
US2703528A (en) * 1953-11-05 1955-03-08 Maumee Collieries Company Blasting process
US2867172A (en) 1954-07-19 1959-01-06 Joseph R Hradel Detonation of unprimed base charges
US2892406A (en) 1956-07-30 1959-06-30 Dow Chemical Co Method of detonating ammonium nitrate base explosives
US3024727A (en) 1958-10-13 1962-03-13 Dow Chemical Co Area detonation
US3021785A (en) 1959-05-04 1962-02-20 Dow Chemical Co Counterforce initiation
US3092025A (en) 1960-08-11 1963-06-04 Dow Chemical Co Detonating device
US4160412A (en) * 1977-06-27 1979-07-10 Thomas A. Edgell Earth fracturing apparatus
DE3610149C2 (de) * 1986-03-26 1994-09-15 Wilhelm Leppak Ladesystem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r aus mehreren Sprengpatronen bestehenden Ladesäule in ein Bohrloch mittels des Ladesystems
US4938143A (en) 1987-04-29 1990-07-03 Trojan Corporation Booster shaped for high-efficiency detonating
GB8802328D0 (en) 1988-02-03 1988-03-02 Ici Plc Multi-directional initiator for explosives
CA2111880C (en) 1992-12-24 2001-06-12 Anthony L. Ey Shaped charges
US5780764A (en) 1996-01-11 1998-07-14 The Ensign-Bickford Company Booster explosive devices and combinations thereof with explosive accessory charges
US5798477A (en) * 1996-12-18 1998-08-25 Givens; Richard W. Explosive cartridge assembly for presplitting rock
US5889228A (en) * 1997-04-09 1999-03-30 The Ensign-Bickford Company Detonator with loosely packed ignition charge and method of assembly
US6324980B1 (en) * 1998-05-08 2001-12-04 Cesar Estevez Bianchini Conical plug for sealing blastholes in open cut mining
US6213212B1 (en) * 1999-07-23 2001-04-10 Stemlock, Incorporated Spherical stemming plug and method of use
KR100316161B1 (ko) 1999-09-16 2001-12-12 강대우 에어튜브를 이용한 암반발파 방법
KR100358780B1 (ko) 1999-10-30 2002-10-30 강대우 에어튜브를 이용한 진동 및 폭음제어 터널발파방법
US6982015B2 (en) * 2001-05-25 2006-01-03 Dyno Nobel Inc. Reduced energy blasting agent and method
JP3875573B2 (ja) * 2002-02-21 2007-01-31 日本工機株式会社 索状爆薬、索状爆薬接続装置および索状爆薬装置
KR100467483B1 (ko) 2002-06-28 2005-01-24 강대우 암반발파공 밀폐마개
KR20040075612A (ko) * 2003-02-22 2004-08-30 김일환 발파용 라이너 및 이를 이용한 발파방법
AU2004293486C1 (en) * 2003-11-28 2013-10-24 Orica Explosives Technology Pty Ltd Method of blasting multiple layers or levels of rock
US7950328B2 (en) * 2006-12-07 2011-05-31 Dave Howerton Blast hole liner
US9389055B2 (en) * 2010-04-15 2016-07-12 Orica International Pte Ltd High energy blasting
ES2675807T3 (es) * 2010-04-15 2018-07-12 Orica International Pte Ltd Voladura de alta energía
DE102012110955B4 (de) 2012-11-14 2016-12-15 EST Energetics GmbH Sprengkapselempfindliche konfektionierte Initiierungsladungen für sprengtechnische Anwendungen und deren Verwendung
KR101384820B1 (ko) * 2013-12-24 2014-04-15 이진성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 및 이를 이용한 암반 발파 공법
US10450818B2 (en) * 2014-01-28 2019-10-22 Stemlock, Incorporated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PE20170104A1 (es) * 2014-04-16 2017-03-22 Blast Boss Pty Ltd Composicion y metodo para cargar barrenos
CN203837604U (zh) * 2014-05-09 2014-09-17 攀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井下巷道掘进全断面孔底空气间隔装药机构
AU2015300680B2 (en) 2014-08-06 2017-08-03 Alba Manufacturing Corp. An explosive booster
KR101656200B1 (ko) * 2016-03-15 2016-09-08 김영근 파라핀이 주입된 지관을 이용한 암반 발파방법
US10942017B2 (en) * 2016-12-20 2021-03-09 Four Flags Pty Ltd Inflatable blasthole plug assembly
CN108662956B (zh) * 2018-05-15 2019-12-03 中国葛洲坝集团易普力股份有限公司 一种非充气式空气间隔器
CN108613603A (zh) * 2018-05-25 2018-10-02 中国矿业大学 一种精细爆破磨料聚能药包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972124B1 (ko) 2018-11-14 2019-04-24 대림산업(주) 터널 발파를 위한 데크차지 공법
KR101979251B1 (ko) 2019-01-16 2019-05-16 주식회사 지슬롭이엔씨 암반 발파용 충전물 및 이를 이용한 혼합기폭 방식의 암반 발파방법
KR102037939B1 (ko) 2019-06-21 2019-10-29 김재근 암반 타격을 위한 분리형 폭약캡슐과 공기층이 연동되는 지반발파방법 및 그 지반발파장치
KR102162731B1 (ko) 2020-04-01 2020-10-07 경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관을 이용한 친환경 장약 튜브관과 이를 포함하는 분산 장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3028A (zh) * 2019-11-21 2020-02-21 张�杰 一种优化控制露天矿山台阶爆破爆堆宽度的方法
CN111207639A (zh) * 2020-03-20 2020-05-29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露天矿深孔爆破克服较大底盘抵抗线方法
KR102199682B1 (ko) * 2020-05-11 2021-01-07 최찬규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 저감형 라이너 플러그를 포함하는 폭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CN112729020A (zh) * 2020-12-29 2021-04-30 安徽理工大学 一种聚能切缝管
CN113819820A (zh) * 2021-08-30 2021-12-21 北京科技大学 一种不耦合装药结构、方法、应用及爆破方法
CN113819820B (zh) * 2021-08-30 2022-07-15 北京科技大学 一种不耦合装药结构、方法、应用及爆破方法
KR102430259B1 (ko) * 2022-01-18 2022-08-05 김병석 지관과 라이너를 이용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암반 발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6239A1 (en) 2021-11-18
AU2022203936A1 (en) 2022-06-23
CN113383206B (zh) 2024-02-02
CN116242212A (zh) 2023-06-09
CN116294871A (zh) 2023-06-23
AU2019367298A1 (en) 2021-05-20
US11719516B2 (en) 2023-08-08
CN113383206A (zh) 2021-09-10
WO2020084428A1 (en) 2020-04-30
KR102517885B1 (ko) 2023-04-04
US20230324152A1 (en) 2023-10-12
KR20190103071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5836A (ko) 기폭용 라이너를 이용한 발파공법
US60357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small-charge blasting of hard rock and concrete by explosive pressurization of the bottom of a drill hole
JP4551960B2 (ja) 掘削機
US5098163A (en) Controlled fracture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hard compact rock and concrete materials
US3721471A (en) Drill-and-blast module
KR19990036267A (ko) 충격 해머 및 소량-장입 발파의 조합이용에 의한 경질 암석 및 콘크리트의 제어된 파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WO1997006402A9 (en) Controlled small-charge blasting by explosive
US3877373A (en) Drill-and-blast process
US64056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netrating hard materials
US9683825B2 (en) Projectile
CN110926285A (zh) 一种降低无底柱分段崩落采矿矿石块度的方法
CN204082108U (zh) 双层弹壳石油射孔弹
RU2491402C1 (ru) Богданова способ кумулятивного бур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Murray et al. Developments in rock-breaking techniques
CN115468464B (zh) 基于电子雷管精准延时的深部金属矿山全断面深孔爆破方法
UA123057C2 (uk) Спосіб ініціювання вибухової речовини в свердловинному заряді
CN116793172A (zh) 巷道掘进聚能水压光面爆破周边孔装药方法
RU2031724C1 (ru) Способ дробления стальных и шлакочугунных скрапов
UA71148C2 (en) Borehole ch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