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828A -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 Google Patents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828A
KR20190085828A KR1020180094558A KR20180094558A KR20190085828A KR 20190085828 A KR20190085828 A KR 20190085828A KR 1020180094558 A KR1020180094558 A KR 1020180094558A KR 20180094558 A KR20180094558 A KR 20180094558A KR 20190085828 A KR20190085828 A KR 2019008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ylindrical
bobbin
bas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177B1 (ko
Inventor
김명덕
Original Assignee
김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덕 filed Critical 김명덕
Publication of KR2019008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PCB에 결합하는 2개의 단자가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원통형 코어, 상기 원통형 T코어를 덮으며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형 보빈 및 상기 원통형 보빈을 덮는 캡 코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원통형 보빈을 구성하는 프랜지의 두께에 따라 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고, 원통형 보빈에 감긴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캡 코어가 차단할 수 있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를 제안한다. 상기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는, 베이스, 원통형 T코어, 원통형 보빈 및 캡 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An inductor including cylindricality T core}
본 발명은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PCB에 결합하는 2개의 단자가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원통형 코어, 상기 원통형 T코어를 덮으며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형 보빈 및 상기 원통형 보빈을 덮는 캡 코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원통형 보빈을 구성하는 프랜지의 두께에 따라 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고, 원통형 보빈에 감긴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캡 코어가 차단할 수 있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터(inductor)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고주파의 교류전압/전류를 변환하는 장치로, 전자제품, 발진회로 및 전원회로의 전류저장소자 등에서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고, 전기 잡음을 걸러내는 필터 등으로 사용되는 권선용 수동소자이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주파 변화 등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하는 인덕터도 소형화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7721호(2016년8월5일)에 기재된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은 2개의 코어(상부코어 및 하부코어)와 와이어가 권선되는 심경을 조립하여 인덕터를 제조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하고 재료비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7721호에 기재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덕터(10)는 다수의 단자핀(20)이 조립되는 하부코어(30), 하부코어(30)에 조립되며 와이어(50)가 권선된 심경(40) 및 와이어(50)를 감싸며 하부코어(30)에 조립되는 상부코어(6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수의 단자핀(20)은 와이어(50)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4개의 단자핀(20)을 하부코어(30)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단자핀(20)은 인덕터(10)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인덕터(10)의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나머지 2개의 단자핀(20)은 인덕터(10)의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대 역할만 하도록 할 수 있다. 4개의 단자핀(20)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물질로 구현한다.
하부코어(30)는 상부코어(60)와 함께 심경(40)에 권선된 와이어(50)의 자속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단자핀(20)이 고정되는 절연베이스 역할을 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심경(40)을 하부코어(30)에 장착한 후에 권선(50)하기 때문에, 심경(40)의 상부쪽에는 와이어가 심경(4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는 단점 이외에, 하부코어(30)의 상부와 상부코어(60) 상부 내면 사이의 거리는 작업에 따라 다르게 되어 균일한 전기적 특성의 인덕터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통형 PCB에 결합하는 2개의 단자가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원통형 코어, 상기 원통형 T코어를 덮으며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형 보빈 및 상기 원통형 보빈을 덮는 캡 코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원통형 보빈을 구성하는 프랜지의 두께에 따라 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고, 원통형 보빈에 감긴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캡 코어가 차단할 수 있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는, 베이스, 원통형 T코어, 원통형 보빈 및 캡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PCB에 결합하는 2개의 단자가 원통형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T코어는 코어 플랜지 및 상기 코어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된 코어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플랜지의 하부가 상기 베이스의 원통형 바디의 상부와 결합한다. 상기 원통형 보빈은 상기 원통형 T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코어바디가 비어 있는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하며, 외면에 와이어가 감긴다. 상기 캡 코어는 상기 원통형 보빈의 외면을 덮는다. 상기 원통형 보빈은, 상기 원통형 T코어의 상기 코어 바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외면에는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 바디, 상기 보빈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편으로는 상기 보빈 바디의 외면에 감기는 와이어의 일 측 종단을 정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와이어와 상기 캡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보빈 플랜지 및 상기 보빈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 바디와 접하면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보빈 바디에 감기는 와이어의 다른 일 측 종단을 정의하며, 가장자리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T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코어 플랜지의 상부 면과 접하게 되는 코어 플랜지 안착용 턱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 형성된 다기능 물결돌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는 원통형 PCB에 결합하는 2개의 단자가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원통형 코어, 상기 원통형 T코어를 덮으며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형 보빈 및 상기 원통형 보빈을 덮는 캡 코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원통형 보빈을 구성하는 프랜지의 두께에 따라 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고, 원통형 보빈에 감긴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캡 코어가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7721호에 기재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의 분해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코어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원통형 보빈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원통형 T코어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베이스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베이스, 원통형 T코어 및 원통형 보빈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배열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도 9는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을 두 개 포함하는 캡 코어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을 두 개 포함하는 캡 코어의 사진이다.
도 11은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의 개수가 3개인 캡 코어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의 분해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2a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를 구성하는 4개의 구성요소(210~24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의 상부에 도시된 것은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를 구성하는 4개의 구성요소(210~240)를 결합한 상태를 캡 코어(210)의 상부 측면에서 본 것이고, 도 2b의 하부에 도시된 것은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를 구성하는 4개의 구성요소(210~240)를 결합한 것을 눕힌 상태에서 베이스(240)의 하부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는 캡 코어(210), 원통형 보빈(220), 원통형 T코어(230) 및 베이스(240)로 구현된다.
캡 코어(210)와 원통형 T코어(230)의 소재로는 절연저항이 큰 Mn-Zn Frerite(망간-아연 페라이트)나 Ni-Zn Ferrite(니켈-아연 페라이트)를 사용하고, 원통형 보빈(220)이나 베이스(24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체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캡 코어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의 좌측 상부가 캡 코어의 평면도이고, 좌측 중앙부가 캡 코어의 정면도, 좌측 하부가 캡 코어의 저면도이고, 우측에 있는 그림이 캡 코어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그림의 위치 설명은, 후술하는 도 4 ~ 도 6에 도시된 도면의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캡 코어(210)는 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는 원통형 보빈(220), 원통형 T코어(230) 및 베이스(240)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211)의 단면은 원형이지만 한쪽 가장자리의 일부는 캡 코어(210)의 면과 평행한 직선(212)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삽입홈(211)의 단면 중 캡 코어(210)의 면과 평행한 직선을 이루는 면(212)은 후술하는 위치 고정용 돌기(243)가 삽입되어 삽입홈(211)에 삽입된 원통형 보빈(220), 원통형 T코어(230) 및 베이스(240)의 결합체가 삽입홈(211)의 내부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베이스(240)의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단자(245)의 위치도 강제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원통형 보빈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원통형 보빈(220)은 보빈 바디(221), 제1보빈 플랜지(223) 및 제2보빈 플랜지(224)로 구현할 수 있다.
보빈 바디(2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으로, 비어 있는 내부(222)에는 후술하는 원통형 T코어(230)의 코어 바디(231)이 삽입되는 곳이다.
제1보빈 플랜지(223)는 보빈 바디(221)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편으로는 보빈 바디(221)에 감기는 와이어(250)의 일 측 종단을 정의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어(250)와 캡 코어(210)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보빈 플랜지(223)의 두께 즉 와이어(250)와 캡 코어(210) 사이의 두께를 조절함에 따라 인덕터(200)의 전기적인 특성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1보빈 플랜지(223)의 두께는 원통형 보빈(220)을 제작할 때 설정할 수 있으며, 제품 사이의 편차가 거의 없도록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의 편차는 거의 없게 될 것이라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보빈 플랜지(224)는 보빈 바디(221)의 하부에 형성되어 보빈 바디(221)와 접하면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보빈 바디(221)에 감기는 와이어의 다른 일 측 종단을 정의하며, 가장자리 내부에는 후술하는 원통형 T코어(230)를 구성하는 코어 플랜지(232)의 상부 면과 접하게 되는 코어 플랜지 안착용 턱(225)이 형성되어 있어 원통형 T코어(230)가 보빈 바디(221)의 비어 있는 내부(222)에 삽입될 때 원통형 T코어(230)의 고정용 홈(234)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는 다기능 물결돌기(226)가 형성되어 있어 보빈 바디(221)에 감기는 와이어(250, 미도시)의 2개의 끝 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25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베이스(240)를 구성하는 단자(245)와 결합하여 납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원통형 T코어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원통형 T코어(230)는 코어 플랜지(231) 및 코어 플랜지(2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바디(234)로 구성된다. 코어 플랜지(231)의 상부 면 중 코어바디(234) 주변영역은 코어 플랜지 안착용 턱(225)에 접하면서 코어바디(234)가 보빈 바디(221)의 비어 있는 내부(222)에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한다. 또한 코어 플랜지(231)의 자장 자리에는 원통형 보빈(220)을 구성하는 제2보빈 플랜지(224)의 다기능 물결돌기(226)의 내면에 고정되는 코어 고정용 홈(23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면에는 베이스 고정용 홈(233)이 적어도 2곳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베이스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240)는 일정한 두께의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원판형 바디(241), 원판형 바디(241)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2곳 형성되는 와이어 통로용 홈(242), 원판형 바디(241)의 가장자리 중 캡 코어(210)의 일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2개 형성되는 위치 고정용 돌기(243), 상부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베이스 고정용 돌기(244) 및 하부 면에 설치되는 2개의 단자(245)를 포함한다.
와이어 통로용 홈(242)은 원통형 보빈(220)을 구성하는 제2보빈 플랜지(224)의 다기능 물결돌기(226)와 더불어, 보빈 바디(221)를 감는 와이어(250)의 양쪽 끝이 위치하도록 한다. 위치 고정용 돌기(243)는 원통형 T코어(230)를 구성하는 코어 플랜지(231)의 하부면에 형성된 2개의 베이스 고정용 홈(233)에 각각 삽입하여 베이스(240)가 원통형 T코어(230)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조 시에는 베이스(240)와 원통형 T코어(230) 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를 구성하는 4개의 구성요소(210~240)의 형태 및 이들의 결합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제로 제작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의 사진을 이용하여 형태 및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베이스, 원통형 T코어 및 원통형 보빈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배열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240)와 원통형 보빈(220)은 원통형 보빈(220)을 감싸는 와이어(250)의 양단이 연장되어 베이스(240)를 구성하는 2개의 단자(245)와 결합한 후 납땜함으로써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결합체를 도 3에 도시된 캡 코어(210)에 삽입하고, 에폭시와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가 완성된다.
도 2 ~ 도 6에는 도 8에 도시된 결합체를 하나만 조립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재하였는데, 도 3에 도시된 캡 코어(210)의 형태를 아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추가로 제조함으로써 실시 예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을 두 개 포함하는 캡 코어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을 두 개 포함하는 캡 코어의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을 두 개 포함하는 캡 코어(900)는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는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결합체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911, 912)이 땅콩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911, 912)의 단면은 원형이지만 2개의 삽입홈(911, 912)이 서로 접하는 중간 부분(913)은 원형인 2개의 삽입홈(911, 912)이 접하는 면적보다 더 넓은 범위로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부분(913)에는 도 6에 도시된 베이스(240)의 위치 고정용 돌기(243)가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한편으로는 서로 결합한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삽입홈(911, 912)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안착한 결합체를 구성하는 단자의 위치도 따라서 자동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결합체가 삽입홈(911, 912) 내에서 회전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를 PCB판에 고정할 때마다 단자의 위치를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이 당연히 예상된다.
도 11은 원통형 보빈, 원통형 T코어 및 베이스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홈의 개수가 3개인 캡 코어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는 원통형 보빈(220), 원통형 T코어(230) 및 베이스(240)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캡 코어(210)에 삽입된 상태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지만, 사진의 특성상 하부의 캡 코어(210)와 베이스(240)의 하부 및 단자(245)만 보인다.
도 11에 도시된 사진은 원통형 보빈(220), 원통형 T코어(230) 및 베이스(240)는 캡 코어(210)와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원통형 보빈(220), 원통형 T코어(230) 및 베이스(240)를 캡 코어(210)에 고정하면서 동시에 절연하는 물질(이하 절연물)이 사용되어야 한다. 사용한 절연물의 예는 도 10의 오른쪽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의 오른쪽 사진을 참조하면, 베이스(240)를 구성하는 2개의 단자(245)를 제외하고 원통형 보빈(미도시) 및 원통형 T코어(미도시)는 절연물(1000)에 의해 캡 코어(210)의 내부에 고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절연물로는 고정기능 및 절연기능이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어떤 물질이라도 이러한 기능이 있는 것이라면 절연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물로 몰딩(molding)액이나 함침액(Varnish)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2 ~ 도 6에 도시하고 설명한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200)를 참조하면, 삽입홈의 개수가 다양한 캡 코어로의 확장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 ~ 도 11에서는 일 방향으로 확장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2차원 방향으로 확장되는 실시 예는 물론 진행방향이 일정 각도 휘도록 하는 실시 예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캡 코어
211: 보빈 삽입 홈
220: 원통형 보빈
221: 보빈 바디
222: 비어 있는 내부
223: 제1보빈 플랜지
224: 제2보빈 플랜지
225: 코어 플랜지 안착용 턱
226: 다기능 물결돌기
230: 원통형 T코어
231: 코어 플랜지
232: 코어 고정용 홈
233: 베이스 고정용 홈
234: 코어 바디
240: 베이스
241: 원통형 바디
242: 와이어 통로용 홈
243: 위치 고정용 돌기
244: 베이스 고정용 돌기
245: 단자
250: 와이어

Claims (6)

  1. PCB에 결합하는 2개의 단자가 원통형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코어 플랜지 및 상기 코어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된 코어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플랜지의 하부가 상기 베이스의 원통형 바디의 상부와 결합하는 원통형 T코어;
    상기 원통형 T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코어바디가 비어 있는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하며, 외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원통형 보빈; 및
    상기 원통형 보빈의 외면을 덮는 캡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보빈은,
    상기 원통형 T코어의 상기 코어 바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외면에는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 바디;
    상기 보빈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며, 한편으로는 상기 보빈 바디의 외면에 감기는 와이어의 일 측 종단을 정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와이어와 상기 캡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보빈 플랜지; 및
    상기 보빈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 바디와 접하면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보빈 바디에 감기는 와이어의 다른 일 측 종단을 정의하며, 가장자리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T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코어 플랜지의 상부 면과 접하게 되는 코어 플랜지 안착용 턱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 형성된 다기능 물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보빈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2. 제1항에서, 상기 캡 코어는,
    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보빈, 상기 원통형 T코어 및 상기 베이스가 결합한 결합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의 단면은 원형이지만 한쪽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캡 코어의 면과 평행한 직선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3. 제2항에서, 상기 원통형 T코어는,
    상기 원통형 보빈을 구성하는 상기 제2보빈 플랜지의 다기능 물결돌기의 내면에 고정되는 코어 고정용 홈이 외면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면에는 베이스 고정용 홈이 적어도 2곳 형성되어 있는 코어 플랜지; 및
    상기 코어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코어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4. 제3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일정한 두께의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원판형 바디;
    상기 원판형 바디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2곳 형성되는 와이어 통로용 홈;
    상기 원판형 바디의 가장자리 중 상기 캡 코어의 일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위치 고정용 돌기;
    상부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베이스 고정용 돌기; 및
    하부 면에 설치되는 2개의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5. 제2항에서, 상기 캡 코어는,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보빈, 상기 원통형 T코어 및 상기 베이스가 결합한 결합체가 적어도 2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6. 제1항에서,
    상기 원통형 T코어 및 상기 캡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나 니켈-아연 페라이트 중 하나이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원통형 보빈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KR1020180094558A 2018-01-11 2018-08-13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KR102200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3921 2018-01-11
KR1020180003921 2018-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828A true KR20190085828A (ko) 2019-07-19
KR102200177B1 KR102200177B1 (ko) 2021-01-11

Family

ID=6751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58A KR102200177B1 (ko) 2018-01-11 2018-08-13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1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89Y1 (ko) * 2002-03-12 2002-06-26 크로바하이텍(주) 쵸크 코일
JP2003257741A (ja) * 2002-02-28 2003-09-12 Sumida Technologies Inc インダクタンス素子
KR20090007137A (ko) * 2007-07-13 2009-01-16 세인플렉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KR100941958B1 (ko) * 2009-10-30 2010-02-11 (주)동방디지테크 인덕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741A (ja) * 2002-02-28 2003-09-12 Sumida Technologies Inc インダクタンス素子
KR200279789Y1 (ko) * 2002-03-12 2002-06-26 크로바하이텍(주) 쵸크 코일
KR20090007137A (ko) * 2007-07-13 2009-01-16 세인플렉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KR100941958B1 (ko) * 2009-10-30 2010-02-11 (주)동방디지테크 인덕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177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222B1 (ko) 보호 코일 및 그를 이용하는 변압기
US5760669A (en) Low profile inductor/transformer component
US5565837A (en) Low profile printed circuit board
US7327212B2 (en) Plate member, magnetic element using the same, and magnetic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US6342778B1 (en) Low profile, surface mount magnetic devices
US20160181007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475677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7218198B2 (en) Coil form
CN102376439A (zh) 变压器和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CN104599823A (zh) 线圈部件
EP3432326A1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940023070A (ko) 다층 마이크로웨이브 써큘레이터
US20150364245A1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GB2355343A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built-in inductive device
JPH10125545A (ja) チョークコイル
KR101187489B1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44261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168323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KR101039276B1 (ko) 슬림형 고전압 트랜스포머
KR20190085828A (ko) 원통형 t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US4748430A (en) Air-cooled high-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KR101858117B1 (ko) 이중 나선형 트랜스포머
KR102043295B1 (ko) 누설 자속을 최소로 하는 인덕터
CN104599821A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KR10161033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