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209A -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209A
KR20190085209A KR1020180002963A KR20180002963A KR20190085209A KR 20190085209 A KR20190085209 A KR 20190085209A KR 1020180002963 A KR1020180002963 A KR 1020180002963A KR 20180002963 A KR20180002963 A KR 20180002963A KR 20190085209 A KR20190085209 A KR 2019008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data
driving
interva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471B1 (ko
Inventor
김유철
강근오
이수진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471B1/ko
Priority to US16/052,059 priority patent/US10818219B2/en
Priority to CN201811580006.5A priority patent/CN110021255B/zh
Publication of KR2019008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들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의 구동 블록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구동 블록들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키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은 액티브 구간 및 수직 블랭크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구간 동안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게이트 라인들이 스캐닝되며, 상기 액티브 구간 동안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픽셀들에 데이터 전압이 전달된다.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표시 패널의 차광 영역의 더미 게이트 라인들이 스캐닝되거나,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의미 없는 더미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게 되는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해 매 프레임마다 피크 전류가 발생하여 표시 장치의 구동 소음, 노이즈, 표시 품질 저하 및 소비 전력 증가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구동 블록들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켜 소음 및 노이즈를 저감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며,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를 이용한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들을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의 구동 블록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동일한 길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제1 구동 블록 및 제2 구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1 구동 블록에 출력하고, 상기 제2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2 구동 블록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제1 구동 블록 및 제2 구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1 구동 블록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은 상기 제2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2 구동 블록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블록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블록에 출력하는 스위칭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데이터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 제2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이전 액티브 구간의 마지막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다음 액티브 구간의 첫 번째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턴 온 구간 동안 제1 설정 계조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제1 설정 계조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복수의 구동 블록들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동일한 길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 제2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이전 액티브 구간의 마지막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다음 액티브 구간의 첫 번째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구동 블록들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전압 리플 성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표시 오류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구간 및 상기 액티브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 및 더미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b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 및 더미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드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드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의 복수의 표시 블록들 및 데이터 구동부의 복수의 구동 블록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동 블록들의 동작 및 그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로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타이밍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의 구동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5의 구동 블록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타이밍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동 블록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타이밍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구동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구간 및 상기 액티브 영역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 및 더미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b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 및 더미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구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들(GL)에 게이트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가 턴 온 될 때,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이 상기 픽셀들에 충전되면서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의 더미 영역(DUMMY AREA)에 배치되는 더미 게이트 라인들(DGL)에 더미 게이트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상기 더미 게이트 신호에 의해 상기 더미 영역(DUMMY AREA)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가 턴 온 될 때,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서 더미 데이터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영역(DUMMY AREA)은 차광 영역이므로, 상기 더미 영역(DUMMY AREA)에 충전되는 더미 데이터 전압에 의한 영상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도 2에서, 제N 프레임은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하고, 상기 제N 프레임에 이어지는 제N+1 프레임은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레임 구간이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프레임 구간이라는 용어는 상기 액티브 구간만을 지칭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 대응하는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하부에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 대응하는 상기 더미 영역(DUMMY AREA)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더미 영역(DUMMY AREA)에는 복수의 더미 게이트 라인들(DGL)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 대응하는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상부에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의 이전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 대응하는 제1 더미 영역(DUMMY AREA1)이 배치되고,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하부에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의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 대응하는 제2 더미 영역(DUMMY AREA2)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1 더미 영역(DUMMY AREA1)에는 복수의 제1 더미 게이트 라인들(DGL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더미 영역(DUMMY AREA2)에는 복수의 제2 더미 게이트 라인들(DGL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드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은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의 경계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데이터 전압의 극성 반전, 데이터 전압의 리프레시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경계 신호(SFC)는 상기 액티브 구간 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신호로 클럭 신호(CLK)의 트레이닝 구간과 액티브 데이터 구간을 구분한다. 상기 경계 신호(SFC)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하다가 로우 레벨로 감소한 후 다시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클럭 신호(CLK)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서 상기 게이트 신호가 스캐닝되는 타이밍에 동기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는 로드 신호에 동기될 수 있다.
반전 제어 신호(POL)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도 4a에서는 상기 반전 제어 신호(POL)가 하이 레벨일 때, 상기 데이터 전압들은 음극성인 것을 나타내었고, 상기 반전 제어 신호(POL)가 로우 레벨일 때, 상기 데이터 전압들은 양극성인 것을 나타내었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반전 제어 신호(POL)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사이에서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변경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반전 제어 신호(POL)는 다음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사이에서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전 제어 신호(POL)의 레벨은 상기 경계 신호(SFC)의 라이징 에지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신호(DATA)의 BFI 구간은 상기 데이터 신호(DATA)의 블랙 프레임 삽입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DATA)의 블랙 프레임 삽입 구간은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리셋되는 구간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신호(DATA)에 블랙 프레임이 삽입되면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출력 버퍼들이 리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FI 구간은 상기 경계 신호(SFC)가 하이 레벨이 된 후, 첫 클럭에서 다음 클럭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이전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블랙 계조를 나타내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화이트 계조를 나타내며,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소정의 설정 계조로 설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계조는 128 계조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설정 계조는 0 내지 256 계조 내에서 소정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계조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소모하지 않기 위해 0 계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계조는 이전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의 일반적인 계조와 큰 차이를 갖지 않도록 중간 계조인 128 계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a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DATA)의 시퀀스를 보면, 상기 이전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블랙 계조를 나타내다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 진입할 때(A 시점),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128 계조로 급격히 변경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로드 변화가 크게 일어나면서 리플 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128 계조를 나타내다가 상기 블랙 프레임 삽입 구간의 시작점(B 시점)에서 블랙 계조로 급격히 변경된다. 또한, 상기 블랙 프레임 삽입 구간의 종료점(C 시점)에서 상기 반전 제어 신호(POL)의 레벨이 바뀌어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음극성의 128 계조로 급격히 변경된다. 또한, 상기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이 끝나고 상기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 진입할 때(D 시점),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화이트 계조로 급격히 변경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신호는 A 시점, B 시점, C 시점 및 D 시점에서 급격한 레벨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급격한 레벨 변화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로드의 급격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이 매 프레임마다 반복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압의 로드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매 프레임마다 피크 전류가 발생하여 표시 장치의 구동 소음, 노이즈, 표시 품질 저하 및 소비 전력 증가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드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이전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화이트 계조 및 블랙 계조 사이에서 스윙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블랙 계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4b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DATA)의 시퀀스를 보면, 상기 이전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화이트 계조, 블랙 계조 및 화이트 계조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 변화가 크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 진입할 때(E 시점),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블랙 계조로 급격히 변경된다. 또한, 상기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이 끝나고 상기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 진입할 때(F 시점), 상기 데이터 신호(DATA)는 화이트 계조로 급격히 변경된다. 또한, 상기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에서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가 화이트 계조, 블랙 계조 및 화이트 계조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 변화가 크게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신호는 E 시점 및 F 시점에서 급격한 레벨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급격한 레벨 변화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로드의 급격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이 매 프레임마다 반복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압의 로드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매 프레임마다 피크 전류가 발생하여 표시 장치의 구동 소음, 노이즈, 표시 품질 저하 및 소비 전력 증가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복수의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 및 데이터 구동부(500)의 복수의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동작 및 그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은 각각 상기 데이터 라인(DL)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에 연결되는 상기 데이터 라인들의 구획에 따라 상기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의 경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개수는 상기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의 개수와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제1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510) 및 제2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510)은 연성 인쇄 회로들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520)은 연성 인쇄 회로들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데이터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데이터 집적 회로들은 상기 연성 인쇄 회로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은 6개의 표시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6개의 구동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3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1 타이밍에 턴 오프 되고, 나머지 3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2 타이밍에 턴 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1 타이밍에 턴 오프 되고, 다른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2 타이밍에 턴 오프 되며, 나머지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3 타이밍에 턴 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각각은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제1 턴 온 구간(TA1)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뒤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제1 턴 온 구간(TA1)과 다른 제1 턴 온 구간(TA2)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뒤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및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제1 턴 온 구간들(TA1, TA2)과 다른 제1 턴 온 구간(TA3)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뒤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 및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제1 턴 온 구간들(TA1, TA2, TA3)과 다른 제1 턴 온 구간(TA4)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뒤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 및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의 상기 제1 턴 온 구간들(TA1, TA2, TA3, TA4)과 다른 제1 턴 온 구간(TA5)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뒤 턴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 및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제1 턴 온 구간들(TA1, TA2, TA3, TA4, TA5)과 다른 제1 턴 온 구간(TA6)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 뒤 턴 오프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의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이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되는 순서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3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1 타이밍에 턴 온 되고, 나머지 3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2 타이밍에 턴 온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1 타이밍에 턴 온 되고, 다른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2 타이밍에 턴 온 되며, 나머지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제3 타이밍에 턴 온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각각은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온 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다시 턴 온 되어, 제2 턴 온 구간(TB1)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다시 턴 온 되어,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제2 턴 온 구간(TB1)과 다른 제2 턴 온 구간(TB2)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다시 턴 온 되어,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및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제2 턴 온 구간(TB1, TB2)과 다른 제2 턴 온 구간(TB3)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다시 턴 온 되어,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 및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제2 턴 온 구간(TB1, TB2, TB3)과 다른 제2 턴 온 구간(TB4)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다시 턴 온 되어,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 및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의 상기 제2 턴 온 구간(TB1, TB2, TB3, TB4)과 다른 제2 턴 온 구간(TB5)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다시 턴 온 되어,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 및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제2 턴 온 구간(TB1, TB2, TB3, TB4, TB5)과 다른 제2 턴 온 구간(TB6) 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의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이 순차적으로 턴 온 되는 순서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다를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의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동일한 길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각각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제2 턴 온 구간(TB6 내지 TB1)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TB6 내지 TB1)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턴 오프 순서는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턴 온 순서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상기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바로 이전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의 마지막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상기 제2 턴 온 구간(TB1 내지 TB6)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바로 다음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의 첫 번째 데이터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이 모두 동작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를 최대 로드(LMAX)라고 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이 모두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를 최소 로드(LMIN)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턴 오프 하는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동시에 턴 오프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급격한 로드(LOAD) 변화는 표시 장치의 소음 및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비동시적으로 턴 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의 변화가 상기 최대 로드(LMAX)로부터 상기 최소 로드(LMIN)로 서서히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턴 오프 하는 턴 오프 구간 이후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다시 턴 온된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동시에 턴 온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급격한 로드(LOAD) 변화는 표시 장치의 소음 및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비동시적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순차적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LOAD)의 변화가 상기 최소 로드(LMIN)로부터 상기 최대 로드(LMAX)로 서서히 변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타이밍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의 구동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5의 구동 블록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각각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턴 오프 및 턴 온 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구동 블록들(DIC2 내지 DIC6)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들(DATA)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530),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하는 버퍼부(540),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버퍼 스위치부(550), 상기 출력 버퍼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하는 복수의 채널들(CH)을 포함하는 채널부(560)를 포함한다.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에 의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의 연결이 모두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턴 오프된다.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에 의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가 모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턴 온된다.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는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제1 턴 온 구간(예컨대, TA1) 및 제2 턴 온 구간(예컨대, TB1)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턴 오프 구간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의 연결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출력 버퍼(B1)는 제1 데이터 라인에 출력할 데이터 전압을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채널(CH1)에 출력한다. 제1 출력 버퍼 스위치(SW1)는 상기 제1 출력 버퍼(B1) 및 상기 제1 채널(CH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출력 버퍼(B1) 및 상기 제1 채널(CH1)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를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칭 신호(DIDCSW2)를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에 출력한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턴 오프 타이밍 및 턴 온 타이밍은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턴 오프 타이밍 및 턴 온 타이밍보다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는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SW2)보다 빠른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SW2)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를 딜레이시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칭 신호(DIDCSW3)를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에 출력하고,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4 스위칭 신호(DIDCSW4)를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에 출력하며,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5 스위칭 신호(DIDCSW5)를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에 출력하고,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6 스위칭 신호(DIDCSW6)를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전압 리플 성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표시 오류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타이밍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동 블록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출력 버퍼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9의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구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각각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제2 턴 온 구간(TB6 내지 TB1)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TB6 내지 TB1)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각각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턴 오프 및 턴 온 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구동 블록들(DIC2 내지 DIC6)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들(DATA)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530),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하는 버퍼부(540),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버퍼 스위치부(550), 상기 출력 버퍼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하는 복수의 채널들(CH)을 포함하는 채널부(5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를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에 출력한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컨트롤러(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신호(DIDCCR1)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의해 생성되는 스타트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CR1)는 상기 스타트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캐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CR1)를 수신하여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스위칭 신호(DIDCCR2)를 생성하여,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칭 신호(DIDCCR2)는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CR1)에 의해 생성되는 캐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3 내지 제5 구동 블록(DIC3 내지 DIC5)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도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로부터 제6 스위칭 신호(DIDCCR5)를 수신하여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상기 제6 스위칭 신호(DIDCCR5)를 기초로 종료 신호(DIDCCR6)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종료 신호(DIDCCR6)를 기초로,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가 정상적으로 제어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전압 리플 성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표시 오류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타이밍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출력 버퍼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외하면, 도 10 및 도 11의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구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 및 상기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표시 블록들(AR1 내지 AR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각각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제2 턴 온 구간(TB6 내지 TB1)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TA1 내지 TA6)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TB6 내지 TB1)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은 각각 상기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턴 오프 및 턴 온 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구동 블록들(DIC2 내지 DIC6)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들(DATA)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530),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을 포함하는 버퍼부(540),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버퍼 스위치부(550), 상기 출력 버퍼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연결하는 복수의 채널들(CH)을 포함하는 채널부(5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를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에 출력한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은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컨트롤러(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를 수신하여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신호(DIDCCR1)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 신호(DIDCSW1)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스타트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CR1)는 상기 제1 스타트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캐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제3 구동 블록(DIC3)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CR1)를 수신하여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스위칭 신호(DIDCCR2)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칭 신호(DIDCCR2)는 상기 제2 스위칭 신호(DIDCCR1)에 의해 생성되는 캐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제2 구동 블록(DIC2)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로부터 상기 제3 스위칭 신호(DIDCCR2)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구동 블록(DIC1)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칭 신호(DIDCCR2)를 기초로 제1 종료 신호(DIDCCR3)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종료 신호(DIDCCR3)를 기초로,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3)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가 정상적으로 제어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4 구동 블록(DIC4)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제4 스위칭 신호(DIDCSW2)를 수신하여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5 스위칭 신호(DIDCCR4)를 생성하여,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4 스위칭 신호(DIDCSW2)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스타트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제5 스위칭 신호(DIDCCR4)는 상기 제2 스타트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캐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제4 구동 블록(DIC4)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로부터 상기 제5 스위칭 신호(DIDCCR4)를 수신하여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6 스위칭 신호(DIDCCR5)를 생성하여,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6 스위칭 신호(DIDCCR5)는 상기 제5 스위칭 신호(DIDCCR4)에 의해 생성되는 캐리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는 상기 제5 구동 블록(DIC5)의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570)로부터 상기 제6 스위칭 신호(DIDCCR5)를 수신하여 상기 제6 구동 블록(DIC6)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를 제어하고, 상기 제6 스위칭 신호(DIDCCR5)를 기초로 제2 종료 신호(DIDCCR6)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종료 신호(DIDCCR6)를 기초로, 상기 제4 내지 제6 구동 블록들(DIC4 내지 DIC6)의 상기 버퍼 스위치부(550)가 정상적으로 제어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에서 구동 블록들(DIC1 내지 DIC6)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BLANK PERIOD)의 전압 리플 성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표시 오류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압의 극성의 전환, 상기 데이터 전압과 더미 데이터 전압의 레벨 차이 등으로 인한 로드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 구동 블록들을 서로 다른 타이밍에 턴 오프 및 턴 온 시켜, 소음 및 노이즈를 저감하고,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510: 제1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
520: 제2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 53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540: 버퍼부 550: 버퍼 스위치부
560: 채널부 570: 스위칭 컨트롤러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구동 블록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동일한 길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출력 버퍼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제1 구동 블록 및 제2 구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1 구동 블록에 출력하고, 상기 제2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2 구동 블록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제1 구동 블록 및 제2 구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1 구동 블록에 출력하고,
    상기 제1 구동 블록은 상기 제2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제2 구동 블록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블록은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구동 블록의 출력 버퍼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구동 블록에 출력하는 스위칭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데이터 집적 회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 제2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이전 액티브 구간의 마지막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다음 액티브 구간의 첫 번째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턴 온 구간 동안 제1 설정 계조를 나타내는 제1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제1 설정 계조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복수의 구동 블록들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블록들은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서로 다른 턴 오프 타이밍 또는 서로 다른 턴 온 타이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동안 동일한 길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 내에서 제1 턴 온 구간, 제2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1 턴 온 구간 및 상기 제2 턴 온 구간 사이의 턴 오프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이전 액티브 구간의 마지막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턴 온 구간 동안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바로 다음 액티브 구간의 첫 번째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180002963A 2018-01-09 2018-01-09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477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63A KR102477471B1 (ko) 2018-01-09 2018-01-09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6/052,059 US10818219B2 (en) 2018-01-09 2018-08-0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N201811580006.5A CN110021255B (zh) 2018-01-09 2018-12-2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63A KR102477471B1 (ko) 2018-01-09 2018-01-09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09A true KR20190085209A (ko) 2019-07-18
KR102477471B1 KR102477471B1 (ko) 2022-12-14

Family

ID=6714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63A KR102477471B1 (ko) 2018-01-09 2018-01-09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8219B2 (ko)
KR (1) KR102477471B1 (ko)
CN (1) CN11002125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8997B1 (en) 2020-11-11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US11580886B2 (en) 2020-07-23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erforming multi-frequency driv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95A (ko) * 2011-12-21 2013-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60118010A1 (en) * 2014-10-24 2016-04-2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Driving Apparatus, Source Driver and Skew Adjustment Method
KR20170000897A (ko) * 2015-06-24 2017-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52B1 (ko) 2006-05-09 2008-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80064926A (ko) * 2007-01-06 200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68798B1 (ko) 2009-09-09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52584B1 (ko) 2013-03-14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그것의 대기전력 절감 방법
KR102088421B1 (ko) * 2013-08-01 2020-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KR102068589B1 (ko) * 2013-12-30 2020-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174104B1 (ko) * 2014-02-24 2020-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217609B1 (ko) * 2014-07-15 2021-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60017871A (ko)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475589B1 (ko) * 2016-04-29 2022-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95A (ko) * 2011-12-21 2013-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60118010A1 (en) * 2014-10-24 2016-04-2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Driving Apparatus, Source Driver and Skew Adjustment Method
KR20170000897A (ko) * 2015-06-24 2017-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0886B2 (en) 2020-07-23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erforming multi-frequency driv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US11928998B2 (en) 2020-07-23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erforming multi-frequency driv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US11288997B1 (en) 2020-11-11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21255A (zh) 2019-07-16
US10818219B2 (en) 2020-10-27
KR102477471B1 (ko) 2022-12-14
US20190213942A1 (en) 2019-07-11
CN110021255B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905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CN106205449B (zh) 显示装置、驱动显示面板的方法及用于显示装置的驱动器
US5754156A (en) LCD driver IC with pixel inversion operation
US8717338B2 (en) Display drive circuit
US20020036609A1 (en) Liquid crystal dr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orporating the same
KR1020066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인에이블 신호 생성방법
CN105118470A (zh) 一种栅极驱动电路及栅极驱动方法、阵列基板和显示面板
KR20170078924A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119195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0021255B (zh) 显示装置
US10885823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308840B2 (en) Display device, timing controller and source driver
KR20190023027A (ko) 충전율 보상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JP2011150241A (ja)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パネル駆動方法
KR100582381B1 (ko) 소스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 내에서 수행되는 화상 데이터압축 전송 방법
US2019031870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EP1643483B1 (en)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flat display device
KR2016008315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923034B2 (en) Driving system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094272B2 (en) Display driver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20210174760A1 (en) Display driver and display device
US1049015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363329B1 (ko) 소스 드라이브 아이씨의 개수가 감소된 액정 디스플레이모듈 및 소스 라인들을 구동하는 방법
CN117877409A (zh)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上电方法
US20230124102A1 (en) Driving method and driving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