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102A -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102A
KR20190085102A KR1020197018026A KR20197018026A KR20190085102A KR 20190085102 A KR20190085102 A KR 20190085102A KR 1020197018026 A KR1020197018026 A KR 1020197018026A KR 20197018026 A KR20197018026 A KR 20197018026A KR 20190085102 A KR20190085102 A KR 2019008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opening
cover
insect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115B1 (ko
Inventor
칸야 쿠라모토
히토시 카와다
Original Assignee
잇빤자이단호진 카켄테스트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잇빤자이단호진 카켄테스트센터 filed Critical 잇빤자이단호진 카켄테스트센터
Publication of KR2019008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수용체(1)는, 벌레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하게 하는 개구(11)가 형성되어서, 개구(11) 이외에는 벌레가 통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폐쇄되어 있다. 1쌍의 레일(2)은, 개구(11)를 개재해서 개구(11)의 양측에서 수용체 (1)의 외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수용체 (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과 커버(3)의 간극을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유지하고, 커버(3)를 수용체 (1)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한다. 시료 홀더는, 시료를 유지해서 레일(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시료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었을 때에, 시료를 개구(11)로부터 내부공간에 노출시킨다. 시료를 유지한 시료 홀더와 커버(3)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1쌍의 레일(2)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개구(11)를 커버(3)가 덮는 위치와 개구(11)를 시료가 덮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
본 발명은,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또는 애완동물의 생활에서, 불쾌한 벌레 또는 유해한 벌레를 피하기 위하여, 살충제, 기피제 및 구충제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들 살충제, 기피제 또는 구충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방충성능을 시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단락 [0021]에는, 우화 후 1 내지 2주간에 미흡혈의 모기를 넣은 천 케이지에, 실험자의 한쪽 팔에 자루 형상으로 한 시험 포백(布帛)을 삽입해서 넣고, 정해진 시간의 머무른 수와 흡혈행동의 동작을 나타낸 모기의 개체수를 계수해서, 시험품과 대조구 각각의 머무른 수 또는 흡혈행동한 고체수로부터, 기피 지수를 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단락 [0023]에는, 우화 후 1 내지 2주간의 미흡혈의 모기를 넣은 천 케이지에, 시험품과 대조품으로 각각 처리한 래트(rat)를 각각 철망자루에 넣어서 고정시키고, 3분 후의 머무른 수와 흡혈행동의 동작을 나타낸 모기의 개체수를 계수해서, 시험품과 대조구 각각의 수로부터, 기피 지수를 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단락 [0034]에 기재되어 있는 시험방법에서는, 상부의 개구부를 메쉬로 피복한 수지제 용기를 준비하고, 그 용기 밑면의 양단부 부근에 대형 크기의 유리제 샤알레를 각각 배치한다. 한쪽 샤알레에 약제 처리를 끝낸 검체 시트를, 다른 쪽에는 무처리의 블랭크 시트를 깐다. 각각의 샤알레 중앙에, 모기의 유인 모이가 되는 5% 설탕물 2g을 함침시킨 탈지면 시트를 넣은 소형 크기의 샤알레 를 놓고, 이것을 시험장치로 한다. 이 시험장치 내에 6시간 정도 절식시킨 흰줄숲모기(tiger mosquito) 100개체(자웅 무선별)를 샘플링하고, 2시간 내에, 검체 영역 및 블랭크 영역 각각의 대형 크기 샤알레에서, 모기의 정지가 확인된 합계 개체수를 기록한다.
특허문헌 4의 단락 [0029]에 기재되어 있는 시험방법에서는, 내경 10㎝ 길이 100㎝인 아크릴 수지제 원통을 가로 배치시키고, 그 양단부로부터 15㎝의 부분에 거즈를 붙여 필터로 하고, 또한 원통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에 플라스틱판에 의한 가동식 칸막이를 설치한다. 직경 10㎝의 여과지에 시험 대상인 각종 향료성분을 0.5g 함침시켜, 샘플 여과지로 한다. 한쪽 단부 측의 통벽의 일부에 샘플 곤충을 넣기 위한 구멍부를 뚫고, 그곳으로부터 보통의 집모기 암컷성충 25마리를 원통 내부에 놓아주고, 구멍부를 폐쇄한다. 한쪽 단부와 거즈 필터 사이에 샘플 여과지를 설치하고 나서, 원통 중앙부의 칸막이를 없애고, 칸막이 위치로부터 타단부의 방향에의 샘플 곤충의 이동수를 경시적으로 관찰한다.
JP 2005-023439 A JP 2006-169209 A JP 2010-126486 A JP 2013-136524 A
특허문헌 1 또는 2의 시험장치에서는, 모기를 넣은 천 케이지에 시료를 넣을 때에, 모기가 천 케이지로부터 도망가 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3의 시험방법에서는, 먼저 시료를 수지제 용기 속에 설치하고 이어서 모기를 넣으므로, 다수의 모기를 넣는데 시간이 걸려서, 시험을 개시한 시각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또한, 검체와 비교품의 경합 시험밖에 할 수 없다.
특허문헌 4의 시험장치에서는, 시료의 샘플 여과지와 모기는 거즈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시료에 모기가 접촉했을 때의 효과를 계측하는 시험을 행할 수 없다. 또한, 유인 모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시험할 수 있는 효과는 한정적이며, 또한, 시료물질의 확산 속도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방충성 시험에서 시험 중에 벌레가 도망가는 일 없이, 보다 다양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는,
벌레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개구 이외에는 상기 벌레가 통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폐쇄된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부터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판 형상의 커버와,
상기 개구를 개재해서 상기 개구의 양측에서 상기 수용체의 외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체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면과 상기 커버의 간극을 상기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유지해서, 상기 커버를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1쌍의 레일과,
시료를 유지해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었을 때에, 상기 시료를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할 수 있는 시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기 시료 홀더와 상기 커버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개구를 상기 커버가 덮는 위치와 상기 개구를 상기 시료가 덮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방충성 시험방법은,
제1 관점의 방충성 시험장치의 상기 수용체에 벌레를 넣고, 상기 커버를 상기 레일에서 유지해서 상기 개구를 상기 커버로 닫는 공정과,
시료를 상기 시료 홀더에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기 시료 홀더의 한 변을 상기 커버의 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시료가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에 상기 시료 홀더를 이동시키는 시료 부착 공정과,
상기 시료를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시켜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기 시료 홀더의 한 변에 상기 커버의 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시료가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시료 제거 공정과,
상기 시료의 효과를 계측하는 계측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 홀더와 커버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개구를 커버가 덮는 위치와 개구를 시료가 덮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방충성 시험에서 시험 중에 벌레가 도망가버리는 일 없이, 보다 다양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개구부의 정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개구부의 횡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개구부의 종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시료 홀더의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커버와 시료 홀더를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시료 홀더를 개구에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의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변형예 1에 따른 레일과 커버의 횡단면도;
도 10은 변형예 1에 따른 시료 홀더의 횡단면도;
도 11은 변형예 2에 따른 레일과 커버의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수용체 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모이 급여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지지기구의 사시도;
도 1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시료와 모이 급여장치를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수용체의 전개와 접기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의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또한, 이 개시에서 "벌레"란, 사람, 짐승, 새, 어패류 이외의 작은 동물의 총칭이며, "벌레"는, 절족동물 및 환형동물을 포함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사시도이다. 방충성 시험장치는, 개구(11)가 형성되고, 개구(11) 이외에는 벌레가 통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폐쇄되어서 내부에 벌레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체(1)로 구성되어 있다. 방충성 시험장치는, 수용체(1)의 외측에서부터 개구(11)를 덮을 수 있는 판 형상의 커버(3)를 구비한다. 수용체(1)에는, 개구(11)를 개재해서 개구(11)의 양측에서 수용체(1)의 외면에, 서로 평행한 1쌍의 레일(2)이 개구(11)마다 설치되어 있다. 레일(2)은,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과 커버(3)의 간극을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유지해서, 커버(3)를 수용체(1)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한다.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은, 판 형상 부재(10)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1)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수용체(1)는, 개구(11)가 형성된 면을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에, 수용하는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망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수용체(1)의 1개의 면에 3개의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1)의 수는 1개 이상이면 몇 개여도 된다. 또한, 복수의 면에 개구(11)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용체(1)는, 직방체로 한정되지 않고, 폐쇄된 입체이면 어떤 형태여도 된다. 수용체(1)는, 예를 들어, 양쪽의 밑면이 폐쇄된 원통이어도 된다. 그 경우, 원통면 또는 밑면에 개구(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수용체(1)는, 개구(11) 이외에 개폐할 수 있는 창문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 창문 또는 구멍이 폐쇄되어서, 수용체(1)에 벌레를 투입하고 나서, 시험을 종료할 때까지, 창문 또는 구멍을 벌레가 통과할 수 없으면 된다. 그러한 창문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수용체(1)는, 개구(11) 이외에는 벌레가 통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폐쇄되어서 내부에 벌레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체(1)는, 개구(11)가 형성된 면을 수직으로 해서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구(11)가 형성된 면을 위 또는 아래로 해서, 수평으로 배치해도 된다. 혹은, 개구(11)가 형성된 면을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해도 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개구부의 정면도이다. 도 2에서는, 3개의 개구(11) 중, 좌측의 1개는, 개구(11)를 폐쇄하는 커버(3)가 개방된 상태를, 우측의 2개는, 개구(11)가 커버(3)로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레일(2)은,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그 단부에서 커버(3)는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커버(3)와 레일(2) 또는 수용체(1)에는, 커버(3)가 개구(11)를 가로막는 위치에서 커버(3)를 유지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커버(3)와 레일(2) 중 한쪽에, 돌기가 형성된 스프링을 구비하고, 다른 쪽에 돌기가 끼워지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개구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선 단면을 나타낸다. 레일(2)은 각각, 수용체(1)의 외면에 돌출해서, 앞쪽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수용체(1)의 외면과 그에 대향하는 레일(2)의 대향면에서 커버(3)를 샌드위치시켜서 유지한다. 커버(3)는, 도 3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1쌍의 레일(2)의 대향하는 거리는 개구(11)의 폭보다 크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개구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Y-Y선 단면을 나타낸다. 레일(2)은, 대향하는 수용체(1)의 외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레일(2)은, 일단부에서 대향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이동 멈춤부(21)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11)로부터 이동 멈춤부(21)보다 멀리로는 커버(3)를 이동시킬 수 없다. 레일(2)의 이동 멈춤부(21)와 반대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커버(3)와 같은 단면형상의 부재를 레일(2)과 수용체(1)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시료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시료 홀더(4)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시료 홀더(4)는, 1개의 변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얇은 판 A(41) 및 판 B(42)로 구성되어 있다. 판 A(41) 및 판 B(42)의 결합에는, 예를 들어, 경첩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가요성을 지니고, 반복해서 굴신(즉, 굽히고 펴는 것)이 가능한 수지로 결합해도 된다. 판 A(41) 및 판 B(42)는 각각 구멍(43, 44)이 형성되어 있고, 판 A(41) 및 판 B(42)를 중첩되도록 폐쇄한 때에, 구멍(43, 44)끼리 겹쳐서 1개의 관통한 구멍을 구성한다.
판 A(41)에는, 네 구석에 오목구멍(45)이 형성되고, 판 B(42)에는, 네 구석에 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판 A(41)와 판 B(42)을 중첩되도록 폐쇄한 때에, 돌기(46)가 오목구멍(45)에 끼워맞춤된다. 판 A(41)와 판 B(42) 사이에 시트 형상의 시료를 샌드위치시켜서 폐쇄하면, 돌기(46)가 오목구멍(45)에 끼워맞춤되어서 시료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시료는, 예를 들어, 방충처리가 시행된 포백, 또는 방충처리가 시행되어 있지 않은 포백이다. 시료는 포백으로 한정되지 않고, 피부, 나무껍질 또는 잎 등을 모의하는 필름, 종이 또는 수지판 등이어도 된다. 판 A(41)와 판 B(42) 사이에 시트 형상의 시료를 샌드위치시켜서 폐쇄하면, 시료 홀더(4)의 단면은, 커버(3)의 단면과 같은 형상이 되고, 시료를 유지한 시료 홀더(4)를 레일(2)과 수용체(1)의 사이에 삽입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 판 A(41)와 판 B(42)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별체이어도 된다. 또한, 시료를 구멍(43, 44)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면, 오목구멍(45) 및 돌기(46)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커버와 시료 홀더를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시료(9)는, 판 A(41)와 판 B(42)에 샌드위치되어, 시료 홀더(4)에 유지되어 있다. 시료(9)는, 시료 홀더(4)의 구멍(43, 44)을 가로막고 있다. 도 6은, 커버(3)가 개구(11)를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 시료(9)를 유지한 시료 홀더(4)를 레일(2)과 수용체(1) 사이에 삽입하고, 커버(3)의 변에 시료 홀더(4)의 변을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3)와 시료 홀더(4)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채 1쌍의 레일(2)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커버(3)가 개구(11)를 덮는 위치로부터, 시료 홀더(4)에 유지된 시료(9)가 개구(11)를 덮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3)와 시료 홀더(4)는,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채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커버(3)와 시료 홀더(4)가 접촉한 변이 개구(11)를 통과할 때에, 커버(3)와 시료 홀더(4) 사이를 벌레가 통과할 수는 없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에 있어서 시료 홀더를 개구에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레일(2)의 폭방향에서, 수용체(1)의 개구(11)와 시료 홀더(4)의 구멍(43, 44)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므로, 시료 홀더(4)의 구멍(43, 44)이 개구(11)와 일치하는 위치로 시료 홀더(4)를 이동시켜서, 시료(9)를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때 구멍(43, 44)은, 개구(11)가 형성된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11)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시료 홀더(4)의 구멍(43, 44)이 개구(11)와 일치하는 위치로 시료 홀더(4)를 이동시키면, 정확히, 커버(3)가 이동 멈춤부(21)에 적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시료 홀더(4)를, 구멍(43, 44)이 개구(11)와 일치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걸리게 하는 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레일(2)의 이동 멈춤부(21)는 없어도 된다. 시료 홀더(4)를, 개구(11)의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는, 커버(3)를 수용체(1)로부터 이탈시켜도 무방하다. 이동 멈춤부(21)에 의해 커버(3)를 유지할 수 있으면, 시료 홀더(4)를 떼어낼 때에, 커버(3)가 이미 시료 홀더(4)에 접해서 레일(2)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1개의 개구(11)를 나타내지만, 다른 개구(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커버(3)와 시료 홀더(4)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채 1쌍의 레일(2)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시료 홀더(4)를 개구(11)의 위치에 이동시켜, 시료(9)를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반대로, 커버(3)와 시료 홀더(4)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채 반대로 슬라이딩시켜서, 개구(11)를 커버(3)로 덮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에 따르면,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한 채, 개구(11)를 커버(3)로 덮는 위치와, 개구(11)로부터 시료(9)를 노출하는 위치를 순시에 전환할 수 있다.
시료 홀더(4)에 유지된 시료(9)를 개구(11)의 위치와 일치시키면, 시료(9)는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바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료(9)가 벌레를 유인하는 효과, 또는 벌레가 시료(9)를 기피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벌레가 시료(9)에 접촉했을 경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료(9)의 담체가 포백과 같이 기체 또는 액체를 투과할 경우에, 시료 담체의 배면에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 예를 들면 유인 모이를 두면, 벌레를 시료(9)의 배면에 둔 물질로 유인해서, 시료(9) 쪽으로 가까이 끌어당길 수 있다. 그 결과, 벌레가 시료(9)를 기피하는 효과, 또는 벌레가 시료(9)에 접촉했을 경우의 효과를, 이른바, 보다 강조 또는 증폭시켜 조사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의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시험에 이용하는 벌레로서, 어떤 조건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 무리의 벌레, 예를 들어, 모기, 벼룩 또는 진드기 등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방충성 시험장치 및 시료(9)를 준비한다. 방충성 시험장치의 커버(3)를 슬라이드시켜서, 수용체(1)의 개구(11)를 개방한다(단계 S11). 사육되고 있는 한 무리의 벌레로부터, 자웅 각각 규정된 수의 개체를 추출해서,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에 넣어(단계 S12), 즉시 커버(3)를 슬라이드시켜서 개구(11)를 폐쇄한다(단계 S13). 수용체(1)에 개구(11) 이외의 개폐할 수 있는 창 또는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그 창 또는 구멍으로부터 벌레를 수용체(1)에 넣어도 된다. 그 경우, 개구(11)를 커버(3)로 폐쇄해둔다.
시료(9)를 시료 홀더(4)에 부착한다(단계 S14). 시험에 따라서는, 시료(9)의 배면에 유인 물질, 예를 들어, 유인 모이를 부착한다. 유인 물질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유인 모이의 액체를 포함한 탈지면 또는 여과지를, 시료(9)의 배면 측의 시료 홀더(4)에 점착 테이프로 붙일 수 있다. 그리고, 시료(9)를 유지하는 시료 홀더(4)와 커버(3)를, 서로 한 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시료 홀더(4)에 유지된 시료(9)를 개구(11)의 위치에 설치한다(단계 S15). 시료(9)를 개구(11)에 설치했을 때부터, 정해진 시간,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단계 S16).
시료(9)가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에, 시료(9)에 머무른 개체의 수, 유인 모이를 흡인하는 행동을 나타낸 개체의 수, 또는 시료(9)에 접촉해서 영향을 받은 개체의 수를, 각각, 관찰해서 계측할 수 있다. 혹은, 수용체(1)의 내부를 촬영해서, 예를 들어, 정해진 조건에 맞는 개체를 계수하거나, 벌레가 시료(9)에 머무르고 있는 총 시간을 계측할 수 있다.
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시료 홀더(4)와 커버(3)를, 서로 한 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키고, 커버(3)를 개구(11)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시료 홀더(4)를 수용체(1)로부터 빼낸다(단계 S17). 그리고, 정해진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를 계수한다(단계 S18). 전술한 바와 같이, 시료(9)가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에,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를 계수하거나, 개구(11)를 커버(3)로 덮고 나서, 아래로 떨어지고 있는 개체의 수를 계수하거나 한다.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수, 또는 기준에 해당하는 총 시간 등을, 그 시료(9)의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할 수 있다. 시험 대상 시료(9)와 비교하는 시료(9)로 동일한 시험을 행하면, 비교 대조에 대한 시험 대상의 시료(9)의 효과를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에 따르면, 방충성 시험에서 시험 중에 벌레가 도망가는 일 없이, 시험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 시료(9)에 대해서, 시료(9)가 벌레를 유인하는 효과, 또는 벌레가 시료(9)를 기피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벌레가 시료(9)에 바로 접촉한 경우의 효과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시료(9)의 배면에 유인 물질을 배치해서, 벌레가 시료(9)를 기피하는 효과, 또는 벌레가 시료(9)에 접촉한 경우의 효과를, 이른바, 보다 강조 또는 증폭시켜서 조사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다양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도 9는 변형예 1에 따른 레일과 커버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X-X선 단면에 상당한다. 변형예 1에서는, 레일(2)은 각각 대향하는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커버(3)는, 슬라이딩부(32)에 의해서 레일(2)을 감싸듯이 싸고, 슬라이딩부(32)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서, 수용체(1)의 외면과 레일(2)의 대향면에 끼워져 있다. 커버(3)가 레일(2)에 끼여 있는 상태에서, 커버(3)의 중앙부(31)는, 수용체(1)의 외면에 근접하고 있다. 변형예 1에서도, 레일(2)은,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과 커버(3)의 간극을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유지해서, 커버(3)를 수용체(1)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한다.
도 10은 변형예 1에 따른 시료 홀더의 횡단면도이다. 시료 홀더(4)는 부재 A(47)와 부재 B(48)로 구성된다. 부재 A(47)는, 변형예 1의 커버(3)와 단면의 외형이 같아서, 슬라이딩부(49)가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B(48)는, 부재 A(47)의 중앙의 오목부에 끼워맞춤된다. 부재 A(47) 및 부재 B(48)는, 각각 중앙에 구멍(43, 44)이 형성되고, 부재 B(48)를 부재 A(47)에 끼워맞춤시키면, 구멍(43, 44)끼리 겹쳐진다. 부재 A(47) 및 부재 B(48)의 구멍(43, 44)은, 수용체(1)의 개구(11)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재 A(47)와 부재 B(48) 사이에 시료(9)를 샌드위치시켜서 유지할 수 있다. 시료 홀더(4)는, 시료(9)를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서, 시료(9)를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노출시킨다.
변형예 1에서는, 시료 홀더(4)의 두께가 레일(2)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시료(9)의 두께의 범위가 크다. 또, 레일(2) 위도 유인 물질을 유지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변형예 2에 따른 레일과 커버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X-X선 단면에 상당한다. 변형예 2에서는, 커버(3)는, 수용체(1)의 외면보다 내부공간 쪽에 유지된다. 수용체(1)에는, 내측으로 쑥 들어간 부분의 바닥부(12)가 형성되고, 레일(2)은 수용체(1)의 외면이 연장된 돌출부로 구성된다. 커버(3)는 레일(2)과 바닥부(12) 사이에 끼워져서 유지된다. 수용체(1)의 개구(11)는 바닥부(12)에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2의 커버(3) 및 시료 홀더(4)로는, 실시형태 1의 커버(3) 및 시료 홀더(4)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변형예 2의 레일(2)은, 예를 들어,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면의 단부까지 형성되어서, 수용체(1)의 변에서부터 커버(3) 및 시료 홀더(4)를 삽입할 수 있다. 혹은,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도중까지밖에 레일(2)이 형성되지 않고, 레일(2)이 없는 부분으로부터 커버(3) 및 시료 홀더(4)를 삽입할 수 있다. 변형예 2에서는, 시료 홀더(4)가 수용체(1)의 내부공간 쪽에 돌출되어서 유지되므로, 시료(9)를 판 형상 부재(10)로부터, 내부공간 쪽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수용체 부분의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수용체(1)는, 개구(11)가 형성된 면 이외의 부분이,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망(1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공간에 수용된 벌레에 모이를 급여하는 모이 급여장치의 한 면을, 수용체(1)의 외측에서 개구(11)의 면에 맞춰서 유지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더욱, 수용체(1)에는, 수용체(1)의 외측에서부터 개구(11)가 형성된 면의 내부공간 쪽에,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 또는 벌레가 기피하는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5)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11), 레일(2), 커버(3) 및 시료 홀더(4)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수용체(1)는, 개구(11)가 형성된 면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고정 지지된다.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은,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의 판 형상 부재(10)로 형성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10)는 투명해도 된다. 판 형상 부재(10) 이외의 수용체(1)의 외면은, 가요성을 지니고, 수용체(1)에 수용되는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망목의 망(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10)에 대해서 망(13)을 당겨 늘려서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판 형상 부재(10)의 네 구석에 기둥(16)이 세워져 있다. 기둥(16)을 보강하기 위해서, 판 형상 부재(10)의 하나의 변의 양단부의 기둥(16)의 상부는 빔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기둥(16)은, 판 형상 부재(1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둥(16)을 판 형상 부재(10)에 대하여 세우면, 망(13)을 늘려서 벌레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기둥(16)을 판 형상 부재(10)를 따르게 하면, 망(13)을 접을 수 있다.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판 형상 부재(10)에는, 개구(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스터드(stud)(14)가 형성되어 있다. 스터드(14)에는, 벌레에 모이를 급여하는 모이 급여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 부재(10)에는, 관통하는 주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15)를 통해서,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 또는 벌레가 기피하는 물질을 수용체(1)의 내부에 주입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모이 급여장치의 단면도이다. 모이 급여장치(5)는 거의 원주형이며, 원주형 본체(51)의 한쪽의 밑면에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51)의 외경은, 시료 홀더(4)의 구멍(43, 44)에 끼이는 크기이다. 오목부(52)에는, 벌레의 모이가 되는 액체가 주입되고, 그 위를 막(53)으로 덮어서 액체를 유지한다. 막(53)은 원주형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O링(54)으로 고정된다. 원주형 외측면에는, 모이 급여장치(5)를 스터드(14)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판(55)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55)에는, 스터드(14)가 끼워지는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모이 급여장치(5)의 오목부(52)가 형성된 밑면을 수용체(1)의 개구(11)의 면과 일치시켜서, 모이 급여장치(5)는 수용체(1)의 외측에서 유지된다.
모이 급여장치(5)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센서와 히터를 구비하고, 온도 센서와 히터는, 모이의 액체를 정해진 온도로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접속된다. 모이인 액체는, 벌레와 시험의 내용에 따라서 선택된다. 모이는, 예를 들어, 동물의 혈액, 혹은 설탕의 수용액 또는 벌레가 좋아하는 수액이다. 특히, 모기, 벼룩 또는 진드기 등의 흡혈성의 벌레에 대해서, 동물의 혈액을 모이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모이의 온도를 동물의 체온 정도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액체를 유지하는 막(53)으로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 파라핀 필름, 혹은 콜라겐 또는 셀룰로스로 만든 소시지의 인공 케이싱을 이용할 수 있다. 막(53)으로서, 돼지 또는 양으로부터 채취한 장, 소위 소시지의 케이싱을 이용해도 된다. 모이 급여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천연 소재보다, 막압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인공 막 쪽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지지기구의 사시도이다. 지지기구(6)는, 기반(60), 지지 프레임(61) 및 지주(64)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61)은, 기반(60)의 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샤프트(62)와, 샤프트(62)의 양단부로부터 샤프트(62)에 직교하는 2방향으로 연장되는 암(arm)(63)을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61)은, 기반(60)에 평행한 샤프트(62)의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61)의 암(63)의 일단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주(64)로, 기반(60)에 지지된다. 지주(64)는, 길이가 조절가능하고, 일단부는 기반(6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암(6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지기구(6)에는, 예를 들어,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의 한 변을 지지 프레임(61)의 암(63)에 접촉시켜, 지지 프레임(61) 위에 수용체(1)가 놓인다. 지지기구(6)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대에 놓인다. 지지기구(6)는, 고정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고, 그리고 정해진 각도로 고정되어, 수용체(1)를 고정대에 지지한다. 수용체(1)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1)가 형성된 면이 내부공간 쪽을 상향으로 해서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고정 지지된다.
수용체(1)의 개구(11)가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면이, 수용체(1)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다면, 개구(11)가 형성된 면을 상향으로 해서, 수용체(1)를 지지기구(6)에 놓아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의 수용체(1)의 경우에는, 어느 쪽의 변을 지지기구(6)의 샤프트(62)를 따르게 해서, 놓아도 된다. 혹은, 수용체(1)를 지지기구(6)에 고정시키고, 수용체(1)를 샤프트(62)보다 아래로 유지할 수 있게 기반(60)을 구성해도 된다.
지지기구(6)로, 개구(11)가 형성된 면의 내부공간의 측을 상향으로 해서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하는 것은, 수용체(1)에 넣은 벌레가 시료(9)에 머무르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시험하는 대상의 벌레의 종류에 따라서는, 시료(9)가 수용체(1)의 천장면에 있을 경우나, 시료(9)의 면이 하향 또는 수직인 경우에 비해서, 상향 쪽이 벌레는 머무르기 쉬우므로, 시료(9)의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시험하는 대상의 벌레의 종류에 따라서는, 시료(9)의 면을 천장 혹은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각도, 또는 수직으로 해서, 수용체(1)를 고정시킨다. 지지기구(6)에 따르면, 벌레의 생태에 따라서, 시료(9)의 면이 최적인 방향으로 되도록, 각도를 조절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벌레의 생태에 맞춰서, 시료(9)의 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벌레의 시료(9)에의 머무른 수, 또는 모이를 섭취하는 개체가 많아지는 조건에서 시험을 행하여, 시험 시료와 비교 시료의 차이를 보다 명확히 계측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시료와 모이 급여장치를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용체(1)는, 판 형상 부재(10)의 개구(11)가 형성된 면이, 내부공간 쪽을 상향으로 해서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고정 지지되므로, 도 15에서는, 개구(11)가 형성된 면이 경사지게 표시되어 있다.
시료(9)는 시료 홀더(4)에 끼워져서 유지되어 있다. 시료 홀더(4)는, 시료(9)가 개구(11)로부터 내부공간에 노출되는 위치에서, 레일(2)에 유지되어 있다. 커버(3)는, 레일(2)의 이동 멈춤부(21)에 닿아 있고, 시료 홀더(4)는, 커버(3)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시료 홀더(4)는, 아래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모이 급여장치(5)가 스터드(14)에 부착되고, 모이 급여장치(5)의 모이를 유지하는 쪽의 밑면이 시료(9)에 눌려서, 시료(9)가 개구(11)의 내부공간 쪽의 면과 일치하도록 압입되어 있다. 모이 급여장치(5)는, 지지판(55)이 스터드(14)에 끼워지고, 지지판(55)은, 예를 들어, 스터드(14)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결합되는 2개의 너트(57)로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10)에 형성된 주입구(15)를 통해서, 니들(7)이 내부공간에 돌출하고 있다. 니들(7)은, 선단에 분사구가 형성된 중공 관으로, 배관(70)의 선두에 부착되어 있다. 배관(70)은, 도시하지 않은 시린지(syringe) 또는 압력 봄베 조절 밸브에 접속되어 있다. 시린지 또는 압력 봄베는,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 또는 벌레가 기피하는 물질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수용체(1)에 흡혈성의 모기를 수용하고, 모이 급여장치(5)에, 동물의 혈액을 넣고, 유인 모이로 한다. 또한, 개구(11)가 형성된 면의 내부공간 쪽에, 모기를 유인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니들(7)로 주입한다.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비중이 크므로, 확산하면서 판 형상 부재(10)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시료(9)를 씌워서, 모기를 유인한다. 이산화탄소는 또한 아래쪽으로 흘러서, 망목(網目)으로부터 밖으로 배출된다.
수용체(1)에 수용된 모기는, 시료(9)를 통해서, 모이 급여장치(5)의 혈액을 빨아들일 수 있다. 시료(9)에 모기의 흡혈행동을 억제 또는 저지하는 효과가 있을 경우의 흡혈행동하는 개체수는, 시료(9)에 모기의 흡혈행동을 억제 및 저지하는 효과가 없을 경우의 흡혈행동하는 개체수보다 적어지는 것이 예상된다. 규정의 수의 모기를 수용체(1)에 수용하고, 정해진 시간에 흡혈행동한 개체수로, 시료(9)의 방충효과를 계측할 수 있다.
흡혈한 모기는, 빨아들인 혈액을 체내에 모아두고 있으므로, 모기를 으깨서 혈액이 함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 모기가 흡혈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래서, 개구(11)를 커버(3)로 폐쇄해서 시료(9)를 제거한 후에, 모기를 수용체(1)에 수용한 채 일단 냉동시키고, 모기를 1마리씩 으깨서 흡혈한 개체를 계수한다. 미리 자웅 각각 규정의 수의 모기를 수용해서 시험하고, 암컷의 모기 중 흡혈한 개체수 또는 흡혈하지 않은 개체수를, 시험한 시료(9)의 방충성능을 의미하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시험에 이용한 포백 등과 동종의 담체로, 방충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담체를 비교 시료로 해서 동일한 시험을 행한 경우의, 흡혈한 개체수 또는 흡혈하지 않은 개체수와 비교해서, 시험 시료와 비교 시료와의 차이 또는 비를 시험 시료의 방충성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이를 섭취했는지의 여부 이외에, 시료(9)에, 벌레의 행동을 억제 혹은 불능으로 하는 효과가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시료(9)에 접근 또는 접촉한 벌레가 넉다운되어, 행동 불능에 빠질 경우에, 넉다운된 개체수를 가지고, 방충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장치의 수용체의 전개와 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수용체(1)를 레일(2)의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16에서는, 레일(2), 커버(3), 스터드(14) 및 망(13)이 생략되어 있다. 기둥(16)은 판 형상 부재(10)의 단부에 축(19)의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둥(16)은, 관 형상의 장대(pole) A(17)와, 장대 A(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대 B(18)로 구성되어 있다. 장대 A(17)는, 장대 A(17)에 대해서 장대 B(18)를 늘린 상태와, 수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장대 B(18)의 선단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기둥(16)과 서로 빔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기둥(16)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13)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둥(16)을 판 형상 부재(10)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서 장대 B(18)를 늘리면, 망(13)을 펼친 상태가 된다. 망(13)을 펼친 상태로부터, 장대 B(18)를 장대 A(17)에 수납해서 기둥(16)을 수축시키고, 기둥(16)을 판 형상 부재(10)를 따르게 하도록 기울이면, 망(13)을 판 형상 부재(10)에 근접시켜서 접을 수 있다. 벌레를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수용한 채로도, 망(13)을 접을 수 있다. 망(13)은 자루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망(13)을 접어도 벌레가 도망가는 일은 없다.
망(13)을 접을 수 있으므로, 벌레를 냉동시킬 경우에, 냉동기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망(13)을 접으면, 내부공간의 용적이 작아지므로, 신속하게 냉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체(1)를 보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망(13)과 기둥(16)의 구조는, 도 12 및 도 16에 나타낸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판 형상 부재(10)에 직교하는 변의 길이가 판 형상 부재(10)의 변의 길이의 반보다 작으면, 기둥(16)을 고정 길이로 해도 된다. 또한, 접었을 때에 기둥(16)이 중첩되는 것을 허용한다면, 기둥(16)은 고정 길이여도 무방하다. 기둥(16)은, 판 형상 부재(10)의 변과 평행한 면에서 회동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기둥(16)을 보강하는 빔을 없애고, 기둥(16)을 판 형상 부재(10)의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해도 된다.
수용체(1)는, 망(13)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 기둥(16)을 배치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둥(16)을 망(13) 밖에 배치해서, 모기장을 실내에 매달도록, 망(13)의 모서리를 기둥(16)에 거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 경우, 망(13)을 기둥(16)에 걸거나 떼거나 할 수 있으면, 기둥(16)은 판 형상 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필요는 없고, 기둥(16)을 판 형상 부재(10)에 착탈할 수 있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일부의 기둥(16)을 지지기구(6)의 암(63)으로 대용할 수도 있다.
도 1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방충성 시험의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수용체(1)의 기둥(16)을 세워서, 수용체(1)의 망(13)을 전개시킨다(단계 S20). 단계 S21 내지 단계 S25는, 도 8의 단계 S11 내지 단계 S15와 동일하다.
시료(9)를 유지하는 시료 홀더(4)와 커버(3)를, 서로 한 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시료 홀더(4)에 유지된 시료(9)를 개구(11)의 위치에 설치하면(단계 S25), 수용체(1)를 지지기구(6)에 설치한다(단계 S26). 단계 S25와 단계 S26을 교체해서, 수용체(1)를 지지기구(6)에 설치하고 나서, 시료 홀더(4)를 개구(11)의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다음에,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한다(단계 S27). 여기에서는,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한 때를, 시험의 개시 시각으로 한다.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을, 주입구(15)로부터 주입하고(단계 S28), 정해진 시간,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단계 S29).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을 주입하는 것은, 연속해서 주입해도 되고, 간헐적으로 주입해도 된다. 또한,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을 주입하는 속도는 일정한 비율로 한정되지 않고, 변화시켜도 된다.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모이 급여장치(5)를 뗀다(단계 S30). 이 경우, 모이 급여장치(5)를 뗄 때가, 시험의 종료 시각이다. 다음에, 수용체(1)를 지지기구(6)로부터 떼고(단계 S31), 시료 홀더(4)와 커버(3)를, 서로 한 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커버(3)를 개구(11)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시료 홀더(4)를 수용체(1)로부터 빼낸다(단계 S32). 시료 홀더(4)를 빼내고 나서, 수용체(1)를 지지기구(6)로부터 떼도 된다.
수용체(1)를 지지기구(6)로부터 떼면, 수용체(1)의 망(13)을 접는다(단계 S33). 망(13)을 접은 수용체(1)를 냉동고에 넣고, 수용체(1)에 수용된 벌레를 냉동시킨다(단계 S34). 벌레를 일단 냉동시키면, 정해진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를 계수한다(단계 S35). 예를 들면, 모기를 으깨서, 흡혈한 개체를 계수한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시료(9)가 개구(11)로부터 수용체(1)의 내부공간에 노출되어 있는 동안에,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를 계수하거나, 개구(11)를 커버(3)로 덮고 나서, 아래로 떨어져 있는 개체의 수를 계수하거나 한다.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하고 나서(단계 S27), 모이 급여장치(5)를 뗄 때까지(단계 S31)의 사이, 혹은 시료 홀더(4)를 수용체(1)에 설치하고 나서(단계 S25), 시료 홀더(4)를 수용체(1)로부터 떼낼 때까지(단계 S32)의 사이에, 정해진 기준에 해당하는 벌레를 계측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시료(9)로부터 정해진 범위에 접근한 벌레의 개체수, 시료(9)에 머무른 벌레의 개체수, 벌레가 시료(9)에 머무른 총 시간, 혹은 넉다운된 벌레의 개체수 등을 계측할 수 있다.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수, 또는 기준에 해당하는 총 시간을, 그 시료(9)의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방충 처리를 실시한 시료(9)와, 방충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시료(9)에 대해서,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동수의 벌레로 같은 시험을 행하고, 각각의 흡혈행동한 개체수로부터, 방충 처리를 실시한 시료(9)의 방충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흡혈행동한 개체수를 수용체(1)에 넣은 개체수로 정규화한다면, 수용체(1)에 넣은 개체수를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방충 처리를 실시한 시료(9)의 경우의 수용체(1)에 넣은 개체수를 Nt, 방충 처리를 실시한 시료(9)의 경우의 흡혈행동한 개체수를 nt, 방충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시료(9)의 경우의 수용체(1)에 넣은 개체수를 Nc, 방충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시료(9)의 경우의 흡혈행동한 개체수를 nc로 해서, 예를 들어, 방충처리의 효과를 이하의 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1) 흡혈행동한 개체수의 비율의 차
nc/Nc-nt/Nt
(2) 흡혈행동한 개체수의 비율의 비
(nc/Nc)/(nt/Nt) 단, nt≠0.
(3) 흡혈행동하지 않은 개체수의 비율의 비
(1- (nt/Nt))/(1-(nc/Nc)) 단, nc≠Nc.
Nt=Nc인 경우에는, 정규화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이하의 식으로도 평가할 수 있다.
(4) 흡혈행동한 개체수의 차
nc-nt
전술한 식은, 값이 클수록 방충효과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값이 작을수록 방충효과가 높은 것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의 부호를 반대로 하거나, 비를 역수로 한다.
또한, 흡혈행동한 개체수 대신에, 넉다운된 개체수, 혹은 사망한 개체수, 혹은 시료(9)에 머무른 개체수, 혹은 시료(9)에 머무른 총 시간을 이용해서, 방충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지지기구(6)를 실시형태 1의 수용체(1)를 지지하는 구조로 해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하는 벌레가 진드기와 같이 작고, 망(13)을 통과할 수 있을 경우에는, 수용체(1)의 외면을 수지 또는 금속의 판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 진드기가 시료(9)에 접근하기 쉽도록, 개구(11)가 형성된 면의 내부공간 쪽을 상향으로 한 편이 낫다. 실시형태 2의 지지기구(6)에 따르면, 개구(11)가 형성된 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시료(9)를 부착하는 면을, 수용하는 벌레의 특성에 맞춰서 최적인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방충성 시험장치는, 그 외에도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기구(6)는, 도 14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가 형성된 면의 각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으면, 지지 프레임(6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필요는 없고, 기반(60)에 고정할 수 있다. 그 경우, 샤프트(62)와 암(63)의 구조일 필요는 없고, 결정된 형상의 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지지기구(6)를 수용체(1)에 부착해버려도 무방하다. 수용체(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경우에도, 지지기구(6)를 수용체(1)에 고정해둘 수 있다. 그 경우에, 수용체(1)의 판 형상 부재(10)에 가깝게 되도록 지지기구(6)를 접어 꺾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하는 것은, 수용체(1)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이 급여장치(5)를 지지기구(6)에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지지기구(6)의 암(63)의 사이에 가로대를 걸치게 해서, 가로대에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시료 홀더(4)에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해도 된다. 또는, 시료 홀더(4)와 모이 급여장치(5)를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그 경우, 모이 급여장치(5)를 지지하는 것은 레일(2)이다. 그때, 레일(2)과 시료 홀더(4)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시료 홀더(4)에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할 경우, 또는 시료 홀더(4)와 모이 급여장치(5)를 일체로 구성할 경우에는, 시료(9)와 모이 급여장치(5)를 수용체(1)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하는 구조는, 스터드(14)와 너트(57)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캠이 형성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경우, 레버를 돌려서 캠으로 스터드(14)를 샌드위치시켜서 고정할 수 있다. 그 외에, 모이 급여장치(5)를 샌드위치시키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설치하고, 프레임과 모이 급여장치(5) 중 한쪽에 레일(2)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레일(2)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구조여도 된다. 레일에 홈을 슬라이드 끼워맞춤시켜서 모이 급여장치(5)를 부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방충성 시험장치는, 전술한 시험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시험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방충성 시험장치에서는, 실시형태 1의 방충성 시험장치와 같은 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외에, 예를 들어, 주입구(15)로부터 주입하는 물질의 효과만을 시험할 수 있다. 시료 홀더(4)에 유지시키는 시료(9)와, 모이 급여장치(5)를 동일한 것으로 해서, 주입구(15)로부터 주입하는 물질을 변화시켜서, 시험할 수 있다. 그 경우, 시료(9)에 머무른 개체수 또는 모이의 섭취 행동을 한 개체수, 혹은 시료(9)에 머무른 총 시간을 계측해서, 주입하는 물질의 벌레를 유인하는 효과, 또는 주입하는 물질을 벌레가 기피하는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주입하는 물질은, 기체로 한정되지 않고, 분무하는 액체 또는 살포하는 분체이어도 된다.
이외에, 피부에 도포하는 기피제의 효과를 시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료의 담체를 이용하지 않고, 모이 급여장치(5)의 표면에 바로 시료를 도포해서, 수용체(1)의 개구(11)에 설치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모이 급여장치(5)를 시료 홀더(4)에 부착하는 구조, 또는 시료 홀더(4)와 모이 급여장치(5)가 일체인 구조를 이용한다. 이 시험의 경우, 시료 홀더(4)에 유지되는 시료는, 모이 급여장치(5)에 도포한 약제이다. 예를 들면, 모이 급여장치(5)의 표면에, 벌레가 기피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를 도포한 경우와, 그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약제를 도포한 경우로, 시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모이 급여장치(5)에 머무른 개체수 또는 모이의 섭취 행동을 한 개체수, 혹은 모이 급여장치(5)에 머무른 총 시간을 계측해서, 그 성분을 벌레가 기피하는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방충성 시험장치에 계측장치를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체(1)의 내부에, 레이저광의 발광 소자와 수광소자를, 시료(9)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대향해서 배열하고, 레이저광을 가로지르는 개체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서, 시료(9)에 접근 또는 접촉한 개체수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시료(9)에 머무른 벌레의 개체수, 또는 벌레가 시료(9)에 머무른 총 시간을 계측하기 위하여, 촬영 장치와 녹화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화상인식장치를 이용해서, 정해진 기준에 해당하는 벌레를 계수할 수 있다.
수용체(1)의 내부를 촬영할 경우, 실시형태 2의 망(13)을 통해서 밖에서 촬영하는 것으로는,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수용체(1)의 내부에 촬영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둥(16)에 촬영 장치를 부착해서, 시료(9)를 포함하는 범위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서 제시된다. 그리고, 청구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1: 수용체 2: 레일
3: 커버 4: 시료 홀더
5: 모이 급여장치 6: 지지기구
7: 니들 9: 시료
10: 판 형상 부재 11: 개구
12: 바닥부 13: 망
14: 스터드 15: 주입구
16: 기둥 17: 장대 A
18: 장대 B 19: 축
21: 이동 멈춤부 31: 중앙부
32: 슬라이딩부 41: 판 A
42: 판 B 43: 구멍
44: 구멍 45: 오목구멍
46: 돌기 47: 부재 A
48: 부재 B 49: 슬라이딩부
51: 본체 52: 오목부
53: 막 54: O링
55: 지지판 56: 구멍
57: 너트 60: 기반
61: 지지 프레임 62: 샤프트
63: 암 64: 지주
70: 배관

Claims (9)

  1. 방충성 시험장치로서,
    벌레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통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개구 이외에는 상기 벌레가 통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폐쇄된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부터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판 형상의 커버;
    상기 개구를 개재해서 상기 개구의 양측에서 상기 수용체의 외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체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면과 상기 커버의 간극을 상기 벌레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유지해서, 상기 커버를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1쌍의 레일; 및
    시료를 유지해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었을 때에, 상기 시료를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시킬 수 있는 시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기 시료 홀더와 상기 커버를, 한 변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개구를 상기 커버가 덮는 위치와 상기 개구를 상기 시료가 덮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방충성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2개 이상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개구 각각에 대응해서 상기 1쌍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방충시험장치는, 상기 개구 각각에 대응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시료 홀더를 구비하는, 방충성 시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면이 상기 내부공간 쪽의 면을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고정 지지되는, 방충성 시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고, 그리고 정해진 각도로 고정되어, 상기 수용체를 상기 고정대에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비하는, 방충성 시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부터 상기 개구가 형성된 면의 상기 내부공간 쪽에, 상기 벌레를 유인하는 물질 또는 상기 벌레가 기피하는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방충성 시험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면을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와,
    상기 판 형상 부재에 지지되는 기둥 형상 부재와,
    주위가 상기 판 형상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기둥 형상 부재를 상기 판 형상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에 세웠을 때에, 상기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인장되어 상기 벌레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요성을 지니는 망을 구비하고,
    상기 망을 상기 판 형상 부재를 따르게 해서 접을 수 있는, 방충성 시험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홀더는, 상기 시료를 서로의 사이에 끼워서 유지할 수 있는 2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프레임은, 각각,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에서 레일에 유지되었을 때에, 상기 개구가 형성된 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상기 개구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방충성 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벌레에 모이를 급여하는 모이 급여장치의 한 면을 상기 개구의 면에 맞춰서, 상기 모이 급여장치를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 유지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방충성 시험장치.
  9. 방충성 시험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충성 시험장치의 상기 수용체에 벌레를 넣고, 상기 커버를 상기 레일에서 유지해서 상기 개구를 상기 커버로 닫는 공정;
    시료를 상기 시료 홀더에 유지하는 공정;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기 시료 홀더의 한 변을 상기 커버의 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시료가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에 상기 시료 홀더를 이동시키는 시료 부착 공정;
    상기 시료를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시켜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시료를 유지한 상기 시료 홀더의 한 변에 상기 커버의 변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1쌍의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시료가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시료 제거 공정; 및
    상기 시료의 효과를 계측하는 계측 공정을 포함하는, 방충성 시험방법.
KR1020197018026A 2016-12-27 2016-12-27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 KR102283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8873 WO2018122952A1 (ja) 2016-12-27 2016-12-27 防虫性試験装置および防虫性試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102A true KR20190085102A (ko) 2019-07-17
KR102283115B1 KR102283115B1 (ko) 2021-07-28

Family

ID=5989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026A KR102283115B1 (ko) 2016-12-27 2016-12-27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66130B2 (ko)
EP (1) EP3563679B1 (ko)
JP (1) JP6200126B1 (ko)
KR (1) KR102283115B1 (ko)
CN (1) CN110072387B (ko)
WO (1) WO2018122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3616B (zh) * 2021-12-26 2023-03-24 陕西省生物农业研究所 一种蚯蚓养殖箱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676A (en) * 1966-09-20 1968-08-20 George H. Barney Experimental animal cage
US3874335A (en) * 1974-01-11 1975-04-01 Vincent G Galasso Experimental study station
US4212267A (en) * 1978-12-08 1980-07-15 Patterson Irvin G Insect study station
US4252080A (en) * 1979-12-19 1981-02-24 Gioia Michael C Enclosed environment for the study of living things
US5074247A (en) * 1991-02-11 1991-12-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Insect containing test apparatus
JP2005023439A (ja) 2003-06-30 2005-01-27 Fuji Kasei Kk 持続型防虫忌避布帛の製造方法
JP2006169209A (ja) 2004-12-20 2006-06-29 Fuji Kasei Kk 動物用防虫忌避化粧料
US20060260548A1 (en) * 2005-05-17 2006-11-23 Eduardo Palomin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vitro evaluation of substances as mosquito repellents
JP2010126486A (ja) 2008-11-27 2010-06-10 Bio Eco:Kk 新規な害虫忌避剤
JP2013136524A (ja) 2011-12-28 2013-07-11 Dainippon Jochugiku Co Ltd 芳香性飛翔害虫忌避材
US20160270393A1 (en) * 2013-11-04 2016-09-22 Wageningen Universiteit Insect repell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4085A1 (de) * 2002-11-20 2004-06-09 Golombek, Peter-Michael Transportbox für Hunde und Gepäck, geeignet für den Einsatz in allen Vans Modellen die über herausnehmbare Autositze verfügen
JP2004290144A (ja) * 2003-03-28 2004-10-21 Sumitomo Chem Co Ltd 害虫駆除材
JP4710412B2 (ja) * 2005-05-17 2011-06-29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防蟻性能試験装置
JP5238965B2 (ja) * 2007-08-20 2013-07-17 株式会社ニックス 害虫忌避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した害虫忌避部材
CN102763626B (zh) * 2012-08-09 2014-06-18 安徽信远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虫卵收集装置
CN203000126U (zh) * 2012-11-19 2013-06-19 攀枝花学院 一种翻转伸缩连杆蚊帐支架
CN203040392U (zh) * 2013-02-04 2013-07-10 张蕴琨 力竭运动鼠笼
CN203340767U (zh) * 2013-07-12 2013-12-18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一种养殖盒倾斜固定装置
JP6435103B2 (ja) * 2014-03-11 2018-12-05 アース製薬株式会社 ゴキブリ忌避方法
CN105850892B (zh) * 2016-04-13 2019-08-02 东北林业大学 保湿养虫瓶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676A (en) * 1966-09-20 1968-08-20 George H. Barney Experimental animal cage
US3874335A (en) * 1974-01-11 1975-04-01 Vincent G Galasso Experimental study station
US4212267A (en) * 1978-12-08 1980-07-15 Patterson Irvin G Insect study station
US4252080A (en) * 1979-12-19 1981-02-24 Gioia Michael C Enclosed environment for the study of living things
US5074247A (en) * 1991-02-11 1991-12-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Insect containing test apparatus
JP2005023439A (ja) 2003-06-30 2005-01-27 Fuji Kasei Kk 持続型防虫忌避布帛の製造方法
JP2006169209A (ja) 2004-12-20 2006-06-29 Fuji Kasei Kk 動物用防虫忌避化粧料
US20060260548A1 (en) * 2005-05-17 2006-11-23 Eduardo Palomin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vitro evaluation of substances as mosquito repellents
JP2010126486A (ja) 2008-11-27 2010-06-10 Bio Eco:Kk 新規な害虫忌避剤
JP2013136524A (ja) 2011-12-28 2013-07-11 Dainippon Jochugiku Co Ltd 芳香性飛翔害虫忌避材
US20160270393A1 (en) * 2013-11-04 2016-09-22 Wageningen Universiteit Insect repell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2387B (zh) 2022-02-25
EP3563679B1 (en) 2021-07-14
KR102283115B1 (ko) 2021-07-28
US11266130B2 (en) 2022-03-08
JP6200126B1 (ja) 2017-09-20
EP3563679A1 (en) 2019-11-06
JPWO2018122952A1 (ja) 2018-12-27
US20200053993A1 (en) 2020-02-20
EP3563679A4 (en) 2020-07-08
WO2018122952A1 (ja) 2018-07-05
CN110072387A (zh)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631B2 (en) Bed bug trap and monitor
KR20190085102A (ko) 방충성 시험장치 및 방충성 시험방법
Chisholm et al. Field trapping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using synthetic sex attractants
KR100990838B1 (ko) 곤충유인트랩
US3987577A (en) Boll weevil trap
KR101793909B1 (ko) 흰개미 방제용 트랩
KR101062764B1 (ko) 모기 포집 액자
US20190357515A1 (en) Insect pest monitor and product transfer station
US200602605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vitro evaluation of substances as mosquito repellents
KR101566080B1 (ko) 기피력 측정용 기구
CN108935345A (zh) 一种测试小型蛾类昆虫嗅觉行为的装置
KR102199717B1 (ko)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KR102205777B1 (ko)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KR101855818B1 (ko) 곤충 포집장치
KR200488825Y1 (ko) 해충 제거 모듈
Bonds et al. Caged mosquito bioassay: studies on cage exposure pathways, effects of mesh on pesticide filtration, and mosquito containment
Cassini et al. Evaluation of alternative methods for testing the bioefficacy of household ambient insecticide products against Aedes albopictus
CN218515048U (zh) 一种便携式蚊虫嗅觉行为反应测定装置
KR102152386B1 (ko) 훈증살충력 측정용 기구
KR20180075275A (ko) 해충 제거용 포획장치
JPWO2017110455A1 (ja) 害虫防除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KR20160066419A (ko) 저장용기
Trout Mosquito control through insecticides applied to daytime resting sites: Evaluation in the urban environment
Kalaitzaki et al. Analysis of the behavior of Bactrocera oleae in attractant solutions used in bait spays with the use of time-lapse video
TR2024005315A2 (tr) Uçucu maddeleri̇n böcekleri̇ kovucu etki̇si̇ni̇ test etme ci̇hazi ve bu ci̇haz i̇le test etme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