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777B1 -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 Google Patents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777B1
KR102205777B1 KR1020190071490A KR20190071490A KR102205777B1 KR 102205777 B1 KR102205777 B1 KR 102205777B1 KR 1020190071490 A KR1020190071490 A KR 1020190071490A KR 20190071490 A KR20190071490 A KR 20190071490A KR 102205777 B1 KR102205777 B1 KR 10220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repellent
pull
insect
rail
wra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878A (ko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19007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7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6Fly papers or ribbons
    • A01M1/165Hang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해충유인용 램프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을 커버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의 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인된 해충이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포충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는 인출식 안내레일; 상기 포충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출식 안내레일에 결합되는 포충지 설치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포충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포충지의 양쪽을 고정하기 위한 포충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BLACK LIGHT TRAP WITH WITHDRAWALE FLYPAPER EXCHANGE STRUCTURE}
본 발명은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에 설치되는 포충기에서 포충지를 인출식으로 교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낮은 위치에서도 교환 및 정비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살충제를 분무하거나, 살충제를 증발시키는 장치를 사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수단이 있지만, 살충제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해충의 내성이 강해져서 쉽게 죽지 않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많은 양의 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포충지(일명 "끈끈이"라고도 함)에 달라붙어 죽게 하는 포충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포충지는 판지위에 접착제, 유인제 및 살충제 혼합액을 도포하여 유인제에 유도된 해충이 접착제에 달라붙어 죽게 한다.
이러한 포충지를 이용한 포충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52125호(공고일 : 2019.025.26)에는 벽걸이형 끈끈이 포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포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형 포충기는, 앞면에 면상의 끈끈이(300)를 상하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양쪽에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지지되어 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하는 램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포충기에 붙음방지돌기(120)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벽걸이형 끈끈이 포충기에 의하면, 끈끈이가 몸체에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끈끈이를 교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끈끈이 포충기는, 벽에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끈끈이를 교체하거나 램프를 교환하는 등의 작업이 매우 어렵고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벽걸이형 포충기는, 사람의 키보다 높은 위치, 대략 2m의 높이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끈끈이나 램프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야 함으로써 안정상의 위험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에 따른 벽걸이형 끈끈이 포충기는, 포충지를 가이드 레일 사이로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포충지 삽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포충지는 테두리가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양쪽의 가이드 레일 사이로 삽입할 때 쉽게 구겨지거나 변형되었고 이로 인하여 포충지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52125호(공고일 : 2019.025.26)
본 발명의 목적은, 벽에 설치되거나 공중에 거치되는 포충지를 이용한 포충기에서 포충지를 포충기로부터 인출시켜 교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충기보다 낮은 위치에서도 포충지의 교환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충을 포집함은 물론, 모기 등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간부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해충유인용 램프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을 커버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의 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인된 해충이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포충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는 인출식 안내레일; 상기 포충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출식 안내레일에 결합되는 포충지 설치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포충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포충지의 양쪽을 고정하기 위한 포충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인출식 안내레일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레일은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인출시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이동레일의 인출을 억제하고, 복귀시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이동레일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제어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복귀제어수단은, 상기 고정레일의 한쪽 영역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끝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체의 길이방향으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체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에 겹쳐질 때 충격을 완충하도록 상기 고정체와 이동체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쇽업소버;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고 설정된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이동체에 축 결합되는 멈춤부재; 및 상기 이동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멈춤부재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작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의 인출시에는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걸리면서 상기 멈춤부재를 인출방향으로 당겨 상기 이동체가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에 걸리게 하고, 겹침시에 상기 이동레일을 상기 고정체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면서 상기 멈춤부재를 소정각도 회전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멈춤부재가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포충지 고정수단은, 한 쌍의 집게, 한 쌍의 집게형 클램프 또는 한 쌍의 로울러형 홀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충지 고정수단은, 자석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에 마련되는 금속판; 및 상기 포충지의 단부가 상기 금속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충지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는,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외부로 확산되도록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는, 인출방향 쪽의 단부에 인출용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에,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에는,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당겨 신출시키기 위한 당김막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해충퇴치용 약액을 함유한 약액부재를 가열하여 훈증하기 위한 훈증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훈증수단은,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의 길이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 영역 또는 양쪽 변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작용하도록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에 접하거나 1 - 5mm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약액부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클립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에 설치되거나 공중에 거치되는 포충지를 이용한 포충기에서, 포충지를 안내레일에 설치된 설치부재에 설치함으로써, 설치부재를 포충기로부터 인출시켜 포충지를 포충기 외부에서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충지가 설치된 포충지 설치부재를 인출식 안내레일을 이용하여 인출시킴으로써, 포충기보다 낮은 위치에서도 포충지의 교환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충지 설치부재에 훈증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모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포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고정수단이 로울러형 홀더로 이루어진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고정수단이 자석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설치부재에 당김막대가 구비된 상태를 포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설치부재에 훈증수단이 마련된 상태를 포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10)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해충유인용 램프(30)가 마련되는 몸체(20)와, 해충유인용 램프(30)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방출공(42)이 형성되어 몸체(20)의 전면을 커버하고 수용공간(S)을 형성하도록 몸체(2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40)와, 해충유인용 램프(30)의 빛에 의해 수용공간(S)으로 유인된 해충이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수용공간(S)에 배치되는 포충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용공간(S)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수용공간(S)에 위치하는 몸체(20) 또는 커버부재(40)에 마련되는 인출식 안내레일(60)과, 포충지(50)가 안착되는 안착부(72)가 형성되어 인출식 안내레일(60)에 결합되는 포충지 설치부재(70)와, 안착부(72)에 안착된 포충지(5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포충지(50)의 양쪽을 고정하기 위한 포충지 고정수단(80)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10)를 이루는 몸체(20)는,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를 갖으며, 해충유인용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기 제어장치가 내부에 설치된다.
해충유인용 램프(30)는, 몸체(20)의 표면 중간부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나 형태의 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충유인을 위한 파장을 방출하는 엘이디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해충윤인용 램프(30)는, 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바(BAR) 형태를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유인용 램프(30)는, 막대형의 피씨비(31)에 다수개의 엘이디 소자들이 실장되어 이루어진다. 각 엘이디 소자들은, 모기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360 - 370 nm 파장을 갖는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32)들과, 파리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460 - 470 nm의 파장을 갖는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34)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32)들과 각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34)들은 교대로 실장 된다. 이와 같이 각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32)들과 각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34)들은 교대로 실장됨으로써, 모기와 파리 등을 포함한 해충을 용이하게 동시에 유인할 수 있고,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파장의 램프수단과, 파리, 하루살이, 날파리, 초파리 등을 유인하기 위한 램프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32)들과 각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34)들은 하나의 피씨비(31)에 각각 일렬로 배열되어 해충유인용 램프(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커버부재(40)는, 몸체(20)의 전면(해충유인용 램프가 설치된 면)을 커버하고, 몸체(2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폭방향으로 다중 절곡된 구조를 갖으며, 해충유인용 램프(30)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방출공(42)들이 형성된다. 커버부재(40)의 폭방향 양단은 몸체(20)의 양쪽 측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결합단이 형성된다. 이 결합단은 몸체(20)의 양쪽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 등에 의해 몸체(20)의 양쪽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다중 절곡된 커버부재(40)가 몸체(20)에 결합됨에 따라, 몸체(20)와 커버부재(40)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은 몸체(20)와 커버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개방구조는 해충이 간섭없이 수용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포충지(50)는, 해충유인용 램프(30)의 빛에 의해 수용공간(S)으로 유인된 해충이 접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접착제와 살충제 및 유인제 등이 종이재,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소정 면적의 소재 표면에 도포되어 구성된다. 즉, 해충유인용 램프(30)의 불빛에 유인된 해충이 수용공간(S)으로 유입되었을 때 해충이 접착되도록 소정면적을 갖는 소재의 표면에 약제가 도포된 것이다.
인출식 안내레일(60)은, 선택적으로 수용공간(S)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수용공간(S)에 위치하는 몸체(20) 또는 커버부재(40)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20)의 표면에 몸체(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인출식 안내레일(60)은, 몸체(20)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62)과, 고정레일(62)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다수의 볼베어링 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이동레일(64)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레일(64)은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포충지 설치부재(70)는 이동레일(6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포충지 설치부재(70)가 인출식 안내레일(60)에 설치됨으로써, 포충지(50)는 인출식 안내레일(60)에 의해 수용공간(S)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인출식 안내레일(6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제어수단(66)이 구비된다. 즉, 고정레일(62)에는, 이동레일(64)의 인출시 소정의 탄성으로 이동레일(64)의 인출을 억제하고, 복귀시 소정의 탄성으로 이동레일(64)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제어수단(66)이 마련된다. 이 복귀제어수단(66)은, 고정레일(62)의 한쪽 영역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안내홈(66A)이 형성되며, 안내홈(66A)의 끝에는 걸림홈(66B)이 형성된 고정체(66C)와, 고정체(66C)에 결합되어 고정체(66C)의 길이방향으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인장 스프링(66D)에 의해 고정체(66C)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이동체(66E)와, 이동체(66E)가 고정체(66C)에 겹쳐질 때 충격을 완충하도록 고정체(66C)와 이동체(66E)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쇽업소버(66F)와, 일측면에 결합홈(66G)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안내홈(66A)에 안내되고 걸림홈(66B)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66H)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안내홈(66A)에 안내되고 설정된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동체(66E)에 축 결합되는 멈춤부재(66J)와, 이동레일(64)의 단부에서 고정레일(62)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홈(66G)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멈춤부재(66J)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고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작동돌기(66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이러한 복귀제어수단(66)은, 이동레일(64)의 인출시에는 작동돌기(66K)가 결합홈(66G)에 걸리면서 멈춤부재(66J)를 인출방향으로 당겨 이동체(66E)가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걸림돌기(66H)를 걸림홈(66B)에 걸리게 하고, 겹침시에 이동레일(64)을 고정체(66C) 쪽으로 이동시키면 작동돌기(66K)가 결합홈(66G)에 걸리면서 상기 멈춤부재(66J)를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걸림돌기(66H)가 걸림홈(66B)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멈춤부재(66J)가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전술한 복귀제어수단(66)에 의해 이동레일(64)의 인입 마지막 구간에서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과 쇽업소버(66F)의 완충 작동으로 자동으로 서서히 인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귀제어수단(66)의 인장 스프링(66D)이 이동레일(64)의 인입상태를 고정하게 되므로 이동레일(64)의 인입상태 즉, 이동레일(64)이 고정레일(62)에 접혀진 상태는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포충지 설치부재(7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포충지(5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포충지(50)의 이면을 지지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포충지 설치부재(70)는 리벳이나 볼트 또는 기타의 결합수단에 의해 이동레일(64)에 결합된다.
이러한 포충지 설치부재(70)는, 유리, 목재, 반투명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해충유인용 램프(30)로부터 발생된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외부로 확산되도록 투명재질,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포충지 설치부재(70)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으로써, 해충유인용 램프(30)로부터 발생된 빛이 투명한 포충지 설치부재(70) 자체 또는 그 단면을 통하여 외부로 확산 또는 굴절되어 비춰질 수 있고, 따라서 해충유인용 불빛이 외부로 확장되어 비춰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포충지 설치부재(70)의 일단, 즉 인출방향 쪽의 단부에는 인출용 손잡이(74)가 마련된다. 이 인출용 손잡이(74)는, 투명한 합성수지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취부하여 수용공간(S) 외측으로 당기거나 수용공간(S)으로 밀어 넣기 위한 것이다.
포충지 고정수단(80)은, 포충지 설치부재(70)의 안착부(72)에 안착된 포충지(5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포충지(50)의 양쪽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포충지 고정수단(8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72)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형 클램프(82)로 이루어진다. 집게형 클램프(82)는, 내부에 복원 스프링을 구비하여 안착부(7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82A)과, 복원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도록 한쪽이 상기 고정판(82A)에 결합되는 가압부재(82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압부재(82B)의 반대쪽(고정판에 결합되는 반대쪽)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가압부재(82B)는 복원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놓게 되면 복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 하면서 포충지(50)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충지 고정수단(80)을 본 실시예에서는 집게형 클램프(82)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포충지(50)를 안착부(72)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충기(10)를 벽체의 소정 높이에 설치한다. 물론, 포충기(10)를 천정이나 기타 보에 매달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포충기(10)를 소정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은, 공중으로 날아다니는 해충을 공중에서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포충기(10)를 벽체에 설치할 경우에, 포충지 설치부재(70)가 하향으로 인출되도록 포충기(10)의 길이방향(수용공간이 개방된 방향)이 수직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물론, 포충기(10)의 길이방향이 수평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충기(10)가 수용공간(S)이 상향과 하향으로 개방되고, 포충지 설치부재(70)가 하향 쪽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충지(50)를 교체하거나 설치하기 위하여 손잡이(74)를 하향으로 당기게 되면, 이동레일(64)이 고정레일(62)에 안내되면서 하향으로 인출된다.
즉, 포충지 설치부재(70)에 구비된 손잡이(74)를 하향으로 당기면, 이동레일(64)이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하향으로 이동하여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이동레일(64)이 하향으로 펼쳐져 인출될 때, 복귀제어수단(66)의 작동돌기(66K)가 결합홈(66G)에 걸리면서 멈춤부재(66J)를 인출방향으로 당겨 이동체(66E)가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걸림돌기(66H)를 걸림홈(66B)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동체(66E)가 걸림홈(66B)에 걸리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동레일(64)의 작동돌기(66K)는 결합홈(66G)에 이탈되고, 이동레일(64)은 이동체(66E)와 분리되어 하향으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으로, 포충지 설치부재(70)는 하향으로 인출되어 수용공간(S) 외부로 노출된다.
포충지 설치부재(70)가 하향으로 인출되면, 포충지 고정수단(80)을 구성하는 양쪽의 집게형 클램프(82)를 상향으로 회동시켜 가압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이미 안착부(72)에 안착되어 있던 포충지(50)를 제거하고, 새로운 포충지(50)를 안착부(72)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집게형 클램프(82)로 포충지(50)의 양단을 각각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때, 집게형 클램프(82)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므로 포충지(50)의 양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인출식 안내레일(60)의 이동레일(64)을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포충지 설치부재(70)를 더 하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포충지(50)의 교체가 완료되면, 손잡이(74)를 취부하여 상향으로 밀어 넣는다. 손잡이(74)를 상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이동레일(64)이 상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레일(64)의 작동돌기(66K)가 결합홈(66G)에 걸리면서 멈춤부재(66J)를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걸림돌기(66H)가 걸림홈(66B)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멈춤부재(66J)가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자동 복귀하도록 작동된다. 이때, 쇽업소버(66F)는 이동체(66E)가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에 의해 고정체(66C)를 충격하는 것을 완충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레일(64)을 상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작동돌기(66K)가 결합홈(66G)에 걸리고, 멈춤부재(66J)가 인장 스프링(66D)의 복원 탄성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이동레일(64)에 결합된 포충지 설치부재(70)도 이동레일(64)과 함께 상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자동으로 상향 이동하는 구간은 이동체(66E)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이다.
이와 같이, 포충지 설치부재(70)를 하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몸체(20)보나 낮은 위치에서 포충지(5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동레일(64)이 인장 스프링(66D)의 탄성을 받는 이동체(66E)와 함께 상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므로 포충지 설치부재(70)가 수용공간(S)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고정수단이 로울러형 홀더로 이루어진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충지 고정수단(80)이 로울러형 홀더(84)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로울러형 홀더(84)는, 포충지 설치부재(70)의 안착부(72)의 상부영역(포충기가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함)에 수직면(84D)과 경사면(84A)이 마주보도록 구성된 홀더(84B)가 고정되고, 이 홀더(84B) 내부에 중량물인 로울러(84C)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로울러(84C)는 중력에 의해 항상 홀더(84B) 내부의 수직면(84D)과 경사면(84A)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의 로울러형 홀더(84)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충지(50)의 상단을수직면(84D)과 경사면(84A) 사이로 밀어 넣어 로울러(84C)와 수직면(84D)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포충지(50)의 상단을 로울러(84C)와 수직면(84D) 사이로 넣게 되면, 로울러(84C)가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포충지(50)의 상단을 가압하면서 고정하게 되므로, 포충지(5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포충지(5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포충지(50)를 로울러(84C)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로울러(84C)와 수직면(84D) 사이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충지(50)의 하단은 전술한 집게형 클램프(82)로 고정할 수도 있고, 자유단으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포충지 고정수단(80)이 로울러형 홀더(84)로 구성됨으로써, 포충지(50)의 상단을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고정수단이 자석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충지 고정수단(80)은, 자석형으로 이루어지되, 포충지 설치부재(70)의 안착부(72) 상,하부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금속판(86A)들과, 포충지(50)의 단부가 금속판(86A)에 위치한 상태에서 포충지(50)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금속판(86A)에 부착되는 자석(86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포충지 설치부재(70)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금속판(86A)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충지(50)의 양단, 즉 상단과 하단을 자석(86B)으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포충지(50)의 설치 및 제거(교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설치부재에 당김막대가 구비된 상태를 포현한 정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포충지 설치부재(70)에 당김막대(78)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포충지 설치부재(70)에 당김막대(78)가 구비됨됨으로써, 사용자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포충기(10)로부터 포충지 설치부재(70)를 하향으로 인출시켜 포충지(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당김막대(78)는 포충지 설치부재(70)의 손잡이(74)에 형성되는 걸림공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포충지 설치부재(70)의 일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포충지 설치부재에 훈증수단이 마련된 상태를 포현한 정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유인용 램프(30)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해충퇴치용 약액을 함유한 약액부재(92)를 가열하여 훈증하기 위한 훈증수단(90)이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여기서 훈증수단(9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서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증수단(90)은, 포충지 설치부재(70)의 길이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 영역 또는 양쪽 변 가장자리 영역에서 해충유인용 램프(3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작용하도록 해충유인용 램프(30)에 접하거나 1 - 5mm의 간격을 갖도록 해충유인용 램프(30)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94)와, 약액부재(92)가 끼워지도록 연장부(94)에 마련되는 클립부(96)로 이루어진다. 클립부(96)는 연장부(94) 쪽으로 절곡되어 자체 복원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약액부재(92)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94)에는 해충유인용 램프(30)의 열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관통공(94A)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훈증수단(90)은 1개 내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장부(94) 또는 포충지 설치부재(70)에 전기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 발열체에 의해 약액부재(92)의 훈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포충지 설치부재(70)에 훈증수단(90)이 마련됨으로써, 모기와 같은 해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훈증수단(90)이 포충지 설치부재(70)에 구비됨으로써, 약액부재(92)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포충기 20 : 몸체
30 : 해충유인용 램프 40 : 커버부재
50 : 포충지 60 : 인출식 안내레일
70 : 포충지 설치부재 80 : 포충지 고정수단
90 : 훈증수단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중간부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해충유인용 램프가 마련되는 몸체;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방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을 커버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의 빛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인된 해충이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포충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는 인출식 안내레일; 상기 포충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출식 안내레일에 결합되는 포충지 설치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포충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포충지의 양쪽을 고정하기 위한 포충지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식 안내레일은,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레일은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이동레일의 인출시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이동레일의 인출을 억제하고, 복귀시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이동레일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제어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복귀제어수단은,
    상기 고정레일의 한쪽 영역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끝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체의 길이방향으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체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에 겹쳐질 때 충격을 완충하도록 상기 고정체와 이동체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쇽업소버;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고 설정된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이동체에 축 결합되는 멈춤부재; 및 상기 이동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레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멈춤부재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작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의 인출시에는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걸리면서 상기 멈춤부재를 인출방향으로 당겨 상기 이동체가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홈에 걸리게 하고, 겹침시에 상기 이동레일을 상기 고정체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면서 상기 멈춤부재를 소정각도 회전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멈춤부재가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지 고정수단은, 한 쌍의 집게형 클램프 또는 한 쌍의 로울러형 홀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지 고정수단은,
    자석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에 마련되는 금속판; 및 상기 포충지의 단부가 상기 금속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충지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는,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된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외부로 확산되도록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는,
    인출방향 쪽의 단부에 인출용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에,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에는,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당겨 신출시키기 위한 당김막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는,
    막대형의 피씨비에 다수개의 엘이디 소자들이 실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엘이디 소자들은, 모기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360 - 370 nm 파장을 갖는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들; 및 파리를 포함한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460 - 470 nm의 파장을 갖는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들로 이루어지며, 각 상기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들과 각 상기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들은 교대로 실장되거나, 각 상기 모기유인용 엘이디 소자들과 각 상기 파리유인용 엘이디 소자들이 각각 일렬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해충퇴치용 약액을 함유한 약액부재를 가열하여 훈증하기 위한 훈증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훈증수단은,
    상기 포충지 설치부재의 길이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 영역 또는 양쪽 변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작용하도록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에 접하거나 1 - 5mm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해충유인용 램프 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약액부재가 끼워지도록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클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KR1020190071490A 2019-06-17 2019-06-17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KR10220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90A KR102205777B1 (ko) 2019-06-17 2019-06-17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90A KR102205777B1 (ko) 2019-06-17 2019-06-17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78A KR20200143878A (ko) 2020-12-28
KR102205777B1 true KR102205777B1 (ko) 2021-01-21

Family

ID=7408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490A KR102205777B1 (ko) 2019-06-17 2019-06-17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840B1 (ko) * 2021-03-19 2023-08-28 주식회사 아벡스테크닉 방연 마스크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9678B2 (ja) * 2008-02-04 2014-03-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捕虫シート
JP5216054B2 (ja) * 2010-07-16 2013-06-1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害虫捕獲シート
KR101952125B1 (ko) * 2015-02-11 2019-02-26 (주)한빛시스템 벽걸이형 끈끈이 포충기
KR102482762B1 (ko) * 2017-01-10 2022-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KR20190050882A (ko) * 2017-11-03 2019-05-1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78A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3177B1 (en) Device for trapping insects
US20090277074A1 (en) An improved apparatus for attracting, trapping, damaging instantly and killing of insects
US6708445B1 (en) Insect killer
AU2011232779A1 (en) Fly attractant system with toxicant-treated cords
US20100175307A1 (en) Apparatus for combatting or trapping nocturnal insects
KR102205777B1 (ko) 인출식 포충지 교환구조를 갖는 포충기
US20110099885A1 (en) Flying Insect Trap
KR20090085394A (ko) 해충 포집기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US20210076654A1 (en) Insect Trapping Instrument
CA2835372C (en) Flying insect attraction station
KR200458656Y1 (ko) 포충기
JP2007082479A (ja) 捕獲殺虫装置
KR102377483B1 (ko) 벽걸이형 포충기
JP2017143785A (ja) 捕虫器
CA2758344A1 (en) Fly attractant system with toxicant-treated cords
CN220587306U (zh) 一种选择性害虫捕杀装置
KR200390820Y1 (ko) 조명기구겸 포충기
KR200231341Y1 (ko) 유해 곤충 포획구
JP3759299B2 (ja) 昆虫誘引忌避装置
KR101932196B1 (ko) 유인식 해충 포획 장치
CN205390082U (zh) 一种茶树害虫诱杀装置
JP3012725B2 (ja) 害虫捕獲器
CN101511168B (zh) 用于打击或诱捕夜间活动昆虫的装置
TWM511755U (zh) 蚊蟲誘滅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