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787A - 위변조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위변조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787A
KR20190084787A KR1020180002928A KR20180002928A KR20190084787A KR 20190084787 A KR20190084787 A KR 20190084787A KR 1020180002928 A KR1020180002928 A KR 1020180002928A KR 20180002928 A KR20180002928 A KR 20180002928A KR 20190084787 A KR20190084787 A KR 2019008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harged
color
forgery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민
정택용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재의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재의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재의맥
Priority to KR102018000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787A/ko
Publication of KR2019008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87A/ko
Priority to KR1020190173111A priority patent/KR10225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변조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장비 없이 인체 자극만으로 간편하게 식별이 가능한 위변조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변조 식별장치 {APPARATUS FOR FORGERY DETECTION}
본 발명은 위변조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장비 없이 인체 자극만으로 간편하게 식별이 가능한 위변조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조상품으로 인한 진품의 고유한 상표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정품 인증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기존의 대표적인 위변조 식별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45194 호 (2011.5.4 공개)와 같은 홀로그램이 있다. 홀로그램은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로서 3차원 입체상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홀로그램은, 기준이 되는 레이저광과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광으로 이루어지는 간섭 줄무늬를 필름에 농담(濃淡)으로 기록한 것인데, 이때 사용되는 간섭 줄무늬는 어렵지 않게 복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육안으로는 정품/위조품 홀로그램을 쉽게 구분할 수 없어 위변조 식별장치로서 부적합하다.
이 외에도 자성입자의 광결정성을 이용해 색변화를 유도하는 M-Tag가 있는데, 이는 외부 자기장을 통해 입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반사된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기술 집약적인 나노기술의 바탕 아래 복제가 어렵고, 외부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다채로운 색을 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선 자성을 띠는 도구가 필요하므로 즉시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따라서,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하게 위변조를 식별할 수 있으면서도 복제가 어려운 기술에 대한 관련업계의 요구가 지대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45194 호 (2011.5.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인체 자극만으로 간편하게 식별이 가능한 위변조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자극과 직접 접촉하는 자극적용부, 및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패턴이 변하는 가변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자극은 열, 압력, 마찰, 용매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은 상기 식별장치에 28 내지 39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7 ℃,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5 ℃의 물체가 접촉해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은 상기 식별장치에 0.5 내지 15 kgf,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kgf,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kgf의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액상 또는 기상, 바람직하게는 액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 그 혼합용매, 그 용액, 또는 그 혼합용액,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그 혼합용매, 땀,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자극은 인체의 일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극적용부는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상기 자극적용부와 가변패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자극 또는 물리적 변화를 전달하는 매개전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제 1 대전서열을 갖고,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는 제 1 층;
상기 제 1 대전서열과 상이한 제 2 대전서열을 갖고,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고, 상기 제 1 층과 접하는 제 2 층; 및
일측이 대전되고 상기 대전된 측이 제 1 색을 갖고 그 반대측이 제 2 색을 갖는 제 1 입자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용한 제 1 공간을 갖고, 상기 제 2 층과 접하는 제 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자는 정해진 패턴에 의해 배열되고,
상기 제 3 층 중 상기 제 1 입자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을 향하는 제 1 입자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층은, 상기 제 1 입자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을 향하는 제 1 입자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제 2 입자를 수용한 제 2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층의 공간은 제 2 층에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층의 광투과율은 25 내지 9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의 광투과율은 25 내지 9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염화비닐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그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은 유리, 유리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층의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은
상기 제 2 층과 이격된 바탕층, 및
상기 제 2 층과 바탕층 사이에 개재되고 전기절연성인 격벽 또는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자의 평균입경은 4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색과 제 2 색은 CIE Lab에서의 색차가 8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자는 전기절연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층과 위변조 피식별체 사이에, 광결정성 콜로이드, 고광택금속, 응력발광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시인물(視認物)을 포함하는 제 4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자극은 인체의 일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감압색소, 감전색소, 시온색소, 그 혼합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색소로 패터닝된 제 5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색소는 열, 압력, 마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외부자극에 의해 광투과율이 25 내지 9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로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5 층과 위변조 피식별체 사이에, 광결정성 콜로이드, 고광택금속, 응력발광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시인물(視認物)을 갖는 제 6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자극은 인체의 일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ITO와 같은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 위변조 식별장치를 싼 가격에 대량생산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든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를 직접 또는 용매 등을 묻혀 문지름으로써 정품/위조품 여부를 '즉시', 그리고 별도의 도구 없이 '쉽게' 판별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40 내지 120 ㎛의 평균입경을 갖는 제 1 입자 등은 그 제작 조건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복제하기 어려우므로 위조품의 제작시도를 초기에 좌절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도 1은 자극적용부가 표면인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자극적용부가 층인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매개전달부가 개재된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미소섬(micro-island) 형태의 공간에 제 1 입자를 수용한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제 1 입자를 수용한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입자를 추가로 포함한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공간에 제 1 입자 및 제 2 입자를 수용한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외부자극이 가해지기 전의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외부자극이 가해진 후의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시인물층을 갖는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색소층을 갖는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색소층 및 시인물층을 갖는 본 발명 위변조 식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응력발광물'이란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자극과 직접 접촉하는 자극적용부 (10, 11), 및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패턴이 변하는 가변패턴부 (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극적용부 (10, 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지닌 층일 수도 있고, 단순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을 가리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자극은 열, 압력, 마찰, 용매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외부자극이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에 의해 발생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자석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 간편하게 위변조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자극 중 열은 상기 식별장치에 28 내지 39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7 ℃,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5 ℃의 인체, 예컨대 손가락이나 손바닥, 겨드랑이, 뺨, 이마 등이 접촉해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 역시 인체를 통해 상기 식별장치에 0.5 내지 15 kgf,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kgf,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kgf의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자극은 손가락 등에 묻힌 물과 같은 용매에 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의 상태는 액체 상태 뿐만 아니라 기체 상태나 고체 상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물, 유기용매, 이들의 혼합용매 외에 상기 용매에 염화나트륨과 같은 용질이 용해된 용액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물, 에탄올, 이들의 혼합용매, 땀, 또는 주정 등이 추가로 용해된 에탄올 수용액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당 등에서 물 또는 술 몇 방울을 손에 묻히거나 묻히지 않고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에 문지름으로써 간편하게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전달된 외부자극은 상기 자극적용부 (10, 11)를 통해 가변패턴부 (20)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야기하고 그 결과 가변패턴부 (20)의 패턴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패턴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외부자극에 의해 상기 가변패턴부 (20) 외에 자극적용부 (10, 11)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극적용부 (10, 11)와 가변패턴부 (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자극 또는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전달하는 매개전달부 (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전달부 (30)의 개재를 통해 외부자극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가변패턴부 (2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대전서열을 갖고,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는 제 1 층 (100);
상기 제 1 대전서열과 상이한 제 2 대전서열을 갖고,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고, 상기 제 1 층 (100)과 접하는 제 2 층 (200); 및
일측이 대전되고 상기 대전된 측이 제 1 색을 갖고 그 반대측이 제 2 색을 갖는 제 1 입자 (31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용한 제 1 공간 (315)을 갖고, 상기 제 2 층 (200)과 접하는 제 3 층 (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자 (310)는 정해진 패턴에 의해 배열되고,
상기 제 3 층 (300) 중 상기 제 1 입자 (310)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1 층 (100) 및 제 2 층 (200)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 (200)을 향하는 제 1 입자 (310)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제 1 입자 (310)가 외부자극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특정한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인체의 마찰로 인한 정전기 유도에 의해 상기 제 1 입자 (310)를 회전시킨다.
부도체는 원자들 간의 공유결합을 통해 서로의 전자를 금속보다 강한 인력으로 속박하여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전자가 쉽게 움직이기 어렵고 그 결과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부도체에서도 전기현상이 발생될 때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정전기(마찰전기)이다. 정전기 현상은 마찰을 통해 쉽게 발생하며, 다음의 메커니즘을 갖는다:
1) 부도체인 두 물체를 마찰한다.
2) 마찰에 의해 두 부도체에 마찰열이 발생한다.
3) 열에너지에 의해 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일부 자유전자들은 일시적으로 한 부도체에서 다른 부도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4) 이때 서로 다른 두 부도체는 전자에 대한 친화도가 각기 다르므로 상대적으로 전자에 대한 친화도가 높은 물질로 전자가 이동할 경우 해당 물체는 (-)대전체가 되고, 전자를 잃은 물체는 전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해져 (+)대전체가 된다.
이러한 정전기 현상을 위변조 식별장치에 적용한 것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이다. 마찰전기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물리적 연결선이 필요하지 않으며 동시에 위변조 식별장치의 박막(film)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먼저 도 4의 실시예는 3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 1 층 (100)은 제 1 대전서열을 갖고,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는 층으로서 전술한 자극적용부 (11)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 2 층 (200)은 상기 제 1 층 (100)과 접하는 층으로서 상기 제 1 대전서열과 상이한 제 2 대전서열을 갖고, 전술한 외부자극에 의해 상기 제 1 층 (100)으로 또는 제 1 층 (100)으로부터 전자가 이동함으로써 대전된다.
전술한 가변패턴부 (20)에 해당하는 제 3 층 (300)은 상기 제 2 층 (200)과 접하며 내부에 미소섬(micro-island) 형태의 제 1 공간 (315)을 갖고, 상기 제 1 공간 (315)은 그 내부에 제 1 입자 (310)를 또한 가진다. 상기 제 1 입자 (310)는 제 1 공간 (315)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일측이 대전되고 상기 대전된 측이 제 1 색을 갖고 그 반대측이 제 2 색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입자 (310)는 미리 정해진 패턴에 의해 배열되는데, 상기 제 3 층 (300) 중 상기 제 1 입자 (310)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1 층 (100) 및 제 2 층 (200)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 (200)을 향하는 제 1 입자 (310)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다.
예컨대, 도 9에서 제 1 입자 (310)의 대전된 측은 녹색을 갖고, 그 반대측은 적색을 가지며, 제 3 층 (300) 중 상기 제 1 입자 (310)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적색을 갖는 경우의 위변조 식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합성수지인 제 1 층 (100)을 손가락으로 마찰하면 마찰열에 의해 유리인 제 2 층 (200)의 전자가 제 1 층 (100)으로 이동하여 제 1 층 (100)은 (-)로, 제 2 층 (200)은 (+)로 대전된다. 예컨대 제 1 입자 (310)의 일측이 (-)로 대전되었다면, 도 10과 같이 제 1 입자 (310)가 회전하여 제 2 층 (200) 방향으로 녹색을 나타내고, 이는 나머지 영역의 적색과 상이한 색으로서 서로 대별됨으로써 위변조 식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층 (100)의 소재는 마찰에 의해 정전기 유도가 용이하게 발생하는 물질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염화비닐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그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 (200)의 소재는 정전기 유도에 의해 전자의 이동이 용이한 물질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상기 제 1 층 (100)의 대전서열과 상이한 대전서열을 갖는 유리, 유리섬유,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 (100) 및 제 2 층 (200)의 광투과율은 제 3 층 (300)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일정 수치 이상일 필요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25 내지 9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제 1 입자 (310)의 평균입경이 4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인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 이내일 때 약한 전압 혹은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위상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예방하면서도 고품질의 해상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색과 제 2 색은 위변조 식별패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CIE Lab에서의 색차가 8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CIE는 국제조명위원회의 약어이며, Lab는 각각 명도, 적녹, 황청을 가리킨다.
상기 제 3 층 (300)의 제 1 공간 (3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층 (200)과 이격된 바탕층 (390), 및
상기 제 2 층 (200)과 바탕층 (390) 사이에 개재되고 전기절연성인 격벽 (350)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공간 (315)을 도 5의 실시예처럼 형성하면 제조공정이 단순해져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층 (300)의 공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층 (200)에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기력의 전달효율이 높아져 제 1 입자 (310)의 회전이 원활해진다.
또한, 상기 제 3 층 (3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입자 (310)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상기 제 1 층 (100) 및 제 2 층 (200)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 (200)을 향하는 제 1 입자 (310)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제 2 입자 (320)를 수용한 제 2 공간 (325)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입자 (320)는 색상이 변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전이 불필요하고 그 결과 전기절연성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입자 (320) 역시 제 1 입자 (310)와 마찬가지로 전기전도성이고 일측이 대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 1 층 (100) 및 제 2 층 (200)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 (200)을 향하는 제 2 입자 (320)와 제 1 입자 (310)의 색은 상이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층 (300)의 제 2 공간 (32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층 (200)과 이격된 바탕층 (390), 및
상기 제 2 층 (200)과 바탕층 (390) 사이에 개재되고 전기절연성인 스페이서 (360)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입자 (320) 역시 전기절연성일 수도 있고 전기전도성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층 (300)과 위변조 피식별체 사이에, 광결정성 콜로이드, 고광택금속, 응력발광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시인물(視認物)을 포함하는 제 4 층 (4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결정성 콜로이드, 고광택금속, 응력발광물 등으로 이루어진 식별패턴이 주위와 확연히 구별될 수 있고, 그 결과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패턴을 용이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4 층 (400)의 시인물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입자 (310')는, 외부자극에 의해 광투과율이 25 내지 9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응력발광물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가해지는 기계적인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이러한 응력발광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구리가 혼합되어 녹색광을 발현하는 황화아연(Zns:Cu))과, 구리 및 망간이 혼합되어 적색광을 발현하는 황화아연(ZnS:Cu,Mn), ZnS:Mn, ZnS:Cu,Mn, ZnS:Cu,Pb, ZnS:Cu,Pb,Mn, MgF2:Mn, La2O2S:Eu, Y2O2S:Cu, EuD4TEA, EuD4TEA+1.25 mL DMMP, ZnS:Cu,Cl, ZnS:Cu,Mn,Cl, SrAl2O4:Eu, SrAl2O4:Ce, SrAl2O4:Ce,Ho, SrMgAl6O11:Eu, SrCaMgSi2O7:Eu, SrBaMgSi2O7:Eu, Sr2MgSi2O7:Eu, Ca2MgSi2O7:Eu,Dy, CaYAl3O7:Eu(Ba,Ca), TiO3:Pr3+, ZnGa2O4:Mn, MgGa2O4:Mn, Ca2Al2SiO7:Ce, ZrO2:Ti, ZnS:Mn,T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색소, 감전색소, 시온색소, 그 혼합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색소 (510)로 패터닝된 제 5 층 (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색소 (510)는 열, 압력, 마찰, 용매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외부자극에 의해 의도한 색을 발현케 함으로써 위변조 식별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상기 색소 (510)의 광투과율이 25 내지 99.5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로 증가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색소 (510) 너머의 위변조 피식별체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색소 (510)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진 패턴을 통해 위변조 식별패턴이 구현된다. 즉, 패터닝된 색소 (510)는 광투과율이 상승하여 뒤편의 위변조 피식별체를 노출시키고, 이는 색소 (510) 이외의 나머지 영역과 대별됨으로써 의도한 위변조 식별패턴을 발현시키는 원리이다.
본 발명의 위변조 식별장치는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 층 (500)과 위변조 피식별체 사이에, 광결정성 콜로이드, 고광택금속, 응력발광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시인물(視認物)을 갖는 제 6 층 (600)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 : 자극적용부 20 : 가변패턴부
30 : 매개전달부
100 : 제 1 층 200 : 제 2 층
300 : 제 3 층 310, 310' : 제 1 입자
315 : 제 1 공간 320 : 제 2 입자
325 : 제 2 공간 350 : 격벽
360 : 스페이서 390 : 바탕층
400 : 제 4 층 500 : 제 5 층
510 : 색소 600 : 제 6 층

Claims (5)

  1. 외부자극과 직접 접촉하는 자극적용부, 및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패턴이 변하는 가변패턴부를 포함하는, 위변조 식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극은 열, 압력, 마찰, 용매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식별장치.
  3. 제 1 대전서열을 갖고,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는 제 1 층;
    상기 제 1 대전서열과 상이한 제 2 대전서열을 갖고, 상기 외부자극에 의해 대전되고, 상기 제 1 층과 접하는 제 2 층; 및
    일측이 대전되고 상기 대전된 측이 제 1 색을 갖고 그 반대측이 제 2 색을 갖는 제 1 입자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용한 제 1 공간을 갖고, 상기 제 2 층과 접하는 제 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자는 정해진 패턴에 의해 배열되고,
    상기 제 3 층 중 상기 제 1 입자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을 향하는 제 1 입자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위변조 식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층은, 상기 제 1 입자가 배열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이 대전되었을 때 상기 제 2 층을 향하는 제 1 입자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제 2 입자를 수용한 제 2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식별장치.
  5. 감압색소, 감전색소, 시온색소, 그 혼합물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색소로 패터닝된 제 5 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식별장치.
KR1020180002928A 2018-01-09 2018-01-09 위변조 식별장치 KR20190084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28A KR20190084787A (ko) 2018-01-09 2018-01-09 위변조 식별장치
KR1020190173111A KR102259155B1 (ko) 2018-01-09 2019-12-23 위변조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28A KR20190084787A (ko) 2018-01-09 2018-01-09 위변조 식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111A Division KR102259155B1 (ko) 2018-01-09 2019-12-23 위변조 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87A true KR20190084787A (ko) 2019-07-17

Family

ID=6751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28A KR20190084787A (ko) 2018-01-09 2018-01-09 위변조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7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194A (ko) 2009-10-26 201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적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194A (ko) 2009-10-26 2011-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적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914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RU2645926C2 (ru) Слои оптического эффекта, демонстрирующие зависящий от угла обзора оптический эффект;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х получения; объекты, на которых нанесен слой оптического эффект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RU2655355C2 (ru) Слои оптического эффекта, демонстрирующие зависящий от угла обзора оптический эффект;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х получения; объекты со слоем оптического эффект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TW459159B (en) Electrophoretic material and electrophoretic device
TW578121B (en) Magnetophoretic and electromagnetophoretic display
WO2013183972A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WO2014077604A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WO2012018209A2 (ko)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복합 위조 방지 방법
JP2007033710A (ja) 画像表示装置
WO1995017703A1 (en) System for authenticating printed or reproduced documents
JPH05500588A (ja) インターディスパーズド2相フェライト複合体およびそれに由来するエレクトログラフィー磁性キャリヤ粒子
JP2003241230A (ja) 表示デバイス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媒体、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4287280A (ja) 表示デバイス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媒体、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20190084787A (ko) 위변조 식별장치
KR102259155B1 (ko) 위변조 식별장치
KR20200039154A (ko) 위조 및 변조 방지 방법.
US6950084B2 (en) Image display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83101A (ja) 単一成分導電性トナー
TW202022471A (zh) 電光介質及包含此電光介質的可寫裝置
JP498550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表示媒体
JP4661096B2 (ja) 表示デバイス用粒子、画像表示媒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3853555A (en) Method of color imaging a layer of electrically photosensitive agglomerates
JP4701609B2 (ja) 画像表示媒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98881A (ja) 表示デバイス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媒体並びに画像形成装置
WO2009141415A1 (en) Method for producing and colouring a material of an activ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