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704A -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704A
KR20190084704A KR1020180002775A KR20180002775A KR20190084704A KR 20190084704 A KR20190084704 A KR 20190084704A KR 1020180002775 A KR1020180002775 A KR 1020180002775A KR 20180002775 A KR20180002775 A KR 20180002775A KR 20190084704 A KR20190084704 A KR 2019008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lining
cavity lining
cavity
underground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978B1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주)세니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니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세니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00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전면에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이 상기 수직구의 벽면과 접촉되고 내측면이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내면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링형상의 탄성체와; 종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수직구의 하면에 고정되고, 측면이 상기 탄성체의 전면과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강판을; 포함함으로써,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수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 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REINFORCEMENT AND WATERPROOF STRUCTURE OF VERTICAL SHAFTS FOR UTILITY INTERFACE}
본 발명은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hield TBM 시공시 발생하는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고 차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는 지반 굴착을 수반하는 지하 매설물(배전선로를 비롯하여 유선방송 케이블·초고속정보통신망·상수도관·난방용 온수관 등 각종 생활관련 중요공급시설)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지하 시설물을 말하며, 한 장소에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설비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쾌적한 지상공간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이 건설되는 신도시, 상업지역, 아파트 단지 등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하 공동구는 그 내부로 지하수 등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수공법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방수공법으로는 콘크리트방수 또는 아스팔트방수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상기 콘크리트방수는 콘크리트에 방수액을 첨가하여 층층히 적층하여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이며, 아스팔트방수는 가열 용융한 아스팔트로 아스팔트펠트나 아스팔트루핑을 연속적으로 겹쳐서 방수층을 만드는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방수 또는 아스팔트방수가 공동구에 적용되더라도 종래에는 공동구 내부에 지하수 등이 쉽게 누수되면서 하자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하자를 보수하기 위한 비용의 소모가 많아지고, 유지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한 일례로 선등록특허 제10-0592104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공동구가 설치되는 지하의 바닥면에 소정의 두께로 설치되는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과, 공동구의 전후면을 제외한 사방 테두리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방수시트커버와, 상기 방수시트커버의 표면에 겹쳐지면서 방수시트커버와 함께 공동구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충격흡수가 가능한 수지발포제판넬로 형성된 방수시트 보호용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지하 공동구의 방수구조는 공동구가 설치되는 지하 바닥면에는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의 상면에 설치되는 공동구의 사방둘레에는 방수시트커버와 방수시트 보호용 커버를 순차적으로 감싸 설치함에 따라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과 방수시트커버와 방수시트 보호용 커버로 인하여 공동구 내부에 누수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종래와 같이 지하 건축구조물의 지하공동구를 방수시트나 방수제 등만을 이용하여 방수처리를 하게 되면 지하공동구를 방수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는 방수시트나 방수제에 토사가 그대로 접촉하게 되어 토사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나 습기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즉, 방수시트나 방수제가 오랜 시간 물이나 습기에 노출되어 있으면, 방수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수직구 및 공동구의 벽체 내부로 물이 침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벽체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물의 침투로 인하여 벽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공동구 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공동구는 수직구 등과 같은 구조물의 지하 외벽체의 중간부 또는 지하층 바닥에서 상기 수직구와 연결되어 전기·가스·수도 등 각종 공급시설을 수직구로 유입시킨다.
한편, 수직구는 광업, 도로, 지하철 및 철도 교통 터널, 양수발전소의 수압터널 건설과정에서 굴착 혹은 운용을 위해 건설되는 지하공간 구조물을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수직구는 지반을 발파 등에 의해 개착식으로 굴착하면서, 숏크리트, 락 볼트 등에 의해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시트에 의한 방수작업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타설 방식, 콘크리트 또는 강재에 의한 관체를 축조하면서 침하시키는 관체 침하방식에 의하여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수직구와 공동구를 연결하는 구조는 공동구와 연결되는 수직구의 내벽면에 단순히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한 보강벽을 가 시공한 후에 공동구를 통하여 공동구 라이닝이 상기 보강벽을 통과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 후에 상기 보강벽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서 수직구와 공동구를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수직구와 공동구 사이의 접속부가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구와 공동구 사이의 접속부에서 차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분 침투로 인하여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로 인입되는 통신이나 전력 케이블 등과 같은 시설물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전면에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이 상기 수직구의 벽면과 접촉되고 내측면이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내면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링형상의 탄성체와; 종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수직구의 하면에 고정되고, 측면이 상기 탄성체의 전면과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강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일정 정도로 가압된 상태로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전면과 상기 강판의 직립되게 배치된 판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전면과 접촉되는 영역에는 배수를 위한 별도의 유도배수공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의 상면은 체결볼트에 의하여 상기 수직구의 하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구와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단부 외면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구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외면과 상기 공간에는 보강 및 차수를 위하여 그라우팅 처리된 그라우팅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동구 라이닝 전방의 상기 강판의 상면과 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수직구의 내면과 나란하고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내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링형상의 고강도몰탈 마감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는,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1)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2)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1)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3)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에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이 상기 수직구(1)의 벽면과 접촉되고 내측면이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내면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링형상의 탄성체(100)와; 종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수직구(1)의 하면에 고정되고, 측면이 상기 탄성체(100)의 전면과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100)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강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직구(1)는 광업, 도로, 지하철, 철도 교통터널, 통신구, 엘리베이터, 집수정, 정화조, 물탱크, 방화수조 등 지하 공간 구조물의 일종을 말한다.
이러한 수직구(1)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개착식으로 굴착하면서 숏크리트, 락볼트 등에 의해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시트에 의한 방수작업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이 사용된다.
그리고, 수직구(1)의 내부로 통신케이블이나 전력케이블 등을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수직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동구(2)를 형성하여 공동구(2)와 수직구(1)가 교차하도록 한 후에 공동구(2)로 노출되는 수직구(1)의 벽면을 관통시켜 접속부(3)를 형성한 후에 공동구(2)에 공동구 라이닝(4)을 설치하고, 공동구 라이닝(4)의 단부 일부가 접속부(3)를 통과하여 수직구(1)와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촉되는 접속부(3)를 보강함과 동시에 차수를 위하여 접속부(3)의 전방에 차수 구조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는 크게 공동구 라이닝(4)의 전방에 공동구 라이닝(4)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탄성체(100)와, 탄성체(100)가 공동구 라이닝(4)의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100)를 지지하는 강판(200)으로 이루어진다.
탄성체(1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공동구 라이닝(4)의 전방에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부재로서 공동구 라이닝(4)에 변위가 발생시에 이러한 변위를 수용하여 공동구 라이닝(4)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성체(1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구(1)의 벽면 곡률에 대응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탄성체(100)는 수직전단 125%, 수평전단 150%, 신장 62.5%, 압축 50%에 대한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체(100)의 특성에 따라 강판(200)의 두께 및 탄성체(100) 자체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체(100)가 수직전단 125%, 수평전단 150%, 신장 62.5%, 압축 50%에 대한 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탄성체(100)의 두께는 100 mm 로 형성되고 폭은 250 mm 로 형성되며, 강판(200)의 두께는 10 mm 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체(100)를 형성하는 재질이 상기한 변위보다 큰 수치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면 탄성체(100)의 두께와 강판(20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탄성체(100)를 형성하는 재질이 상기한 변위보다 작은 수치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면 탄성체(100)의 두께와 강판(20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체(100)가 공동구 라이닝(4)의 전방에 구비됨으로써 구조물에 균열 등 일부 손상이 가해져도 탄성체(100)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수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체(100)는 일정 정도로 가압된 상태로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과 강판(200)의 직립되게 배치된 판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공동구 라이닝(4)이 탄성체(100)를 압착하는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시에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공동구 라이닝(4)이 탄성체(100)를 압착하는 반대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시에도 탄성체(100)와 공동구 라이닝(4)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탄성체(100)가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과 접촉되는 영역에는 배수를 위한 별도의 유도배수공(110)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 사이의 경계면으로 누수가 발생시에 유도배수공(110)을 통하여 배수를 유도하여 공동구 라이닝(4)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강판(200)은 'ㄱ'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둘레면이 일정 길이 돌출된 링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상술할 바와 같이, 탄성체(100)가 수직전단 125%, 수평전단 150%, 신장 62.5%, 압축 50%에 대한 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강판(200)의 두께는 10 mm 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판(200)의 둘레면은 체결볼트(210)에 의하여 수직구(1)의 판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강판(200)의 두께는 탄성체(200)가 갖는 탄성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강판(200)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구조를 살펴보면 상측에 위치한 둘레면이 체결볼트(210)에 의하여 외팔보 형상을 갖도록 수직구(1)에 고정 결합되므로 세로로 배치된 판면이 탄성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공동구 라이닝(4)의 변위 발생시에 상기 변위를 탄성체(200)가 수용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구 라이닝(4) 전방의 강판(200)의 상면과 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수직구(1)의 내면과 나란하고 공동구 라이닝(4)의 내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링형상의 고강도몰탈 마감재(300)가 설치되어 있다.
고강도몰탈 마감재(300)는 강판(200)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함으로써 강판(20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체결볼트(210)의 두부도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함으로써 강판(200)이 수직구(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공동구 라이닝(4)의 변위를 탄성체(100)가 정확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동구 라이닝(4)이 탄성체(10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시에 강판(200)이 탄성체(1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의 단부 외면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3)를 형성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수직구(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과 상기 공간에는 보강 및 차수를 위하여 그라우팅 처리된 그라우팅 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다.
그라우팅 부재(400)는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접속부(3)를 형성하는 공간에도 충진되어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공동구 라이닝(4)이나 수직구(1)에 변위가 발생시에 공동구 라이닝(4)과 수직구(1)의 외면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라우팅 부재(400)는 접속부(3)를 형성하는 공간까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3)를 형성하는 상기 공간을 통하여 수분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인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수직구와 공동구 라이링이 상호 접촉되는 접속부에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공동구(2)와 접속되는 수직구(1)의 벽면을 공동구 라이닝(4)이 인입될 수 있도록 공동구 라이닝(4)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절개하는 시공을 한다.
그 후, 공동구 라이닝(4)을 원형으로 절개된 수직구(1)의 벽면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공동구 라이닝(4)이 수직구(1)의 벽면 중앙 영역까지 삽입되도록 한 후에, 접속부(3)의 전방에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설치하게 된다.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설치하는 과정은 탄성체(100)를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에 배치하고, 강판(200)을 이용하여 탄성체(100)가 일정 정도록 가압되도록 누른 상태에서 강판(200)의 둘레면과 수직구(1)의 벽면으로 체결볼트(210)를 체결하여 강판(200)이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강판(200)의 전면에 고강도몰탈 마감재(300)를 설치하여 강판(200) 및 체결볼트(210)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한 후에 고강도몰탈 마감재(300)의 견고하게 양생이 완료되면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에 그라우팅 부재(400)를 설치하게 된다.
그라우팅 부재(400)는 수직구(1)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뿐만 아니라, 접속부(3)를 형성하는 공간에도 충진되도록 한 후에 그라우팅된 그라우팅 부재(400)를 양생하게 되면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는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수직구 2 : 공동구
3 : 접속부 4 : 공동구 라이닝
100 : 탄성체 110 : 유도배수공
200 : 강판 210 : 체결볼트
300 : 고강도몰탈 마감재 400 : 그라우팅 부재

Claims (6)

  1.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1)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2)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1)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3)의 전방 영역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에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이 상기 수직구(1)의 벽면과 접촉되고 내측면이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내면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링형상의 탄성체(100)와;
    종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수직구(1)의 하면에 고정되고, 측면이 상기 탄성체(100)의 전면과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100)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강판(2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00)는 일정 정도로 가압된 상태로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과 상기 강판(200)의 직립되게 배치된 판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00)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전면과 접촉되는 영역에는 배수를 위한 별도의 유도배수공(110)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200)의 둘레면은 체결볼트(210)에 의하여 상기 수직구(1)의 판면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1)와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단부 외면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3)를 형성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구(1)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과 상기 공간에는 보강 및 차수를 위하여 그라우팅 처리된 그라우팅 부재(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 라이닝(4) 전방의 상기 강판(200)의 상면과 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수직구(1)의 내면과 나란하고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내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링형상의 고강도몰탈 마감재(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20180002775A 2018-01-09 2018-01-09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210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75A KR102103978B1 (ko) 2018-01-09 2018-01-09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75A KR102103978B1 (ko) 2018-01-09 2018-01-09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04A true KR20190084704A (ko) 2019-07-17
KR102103978B1 KR102103978B1 (ko) 2020-04-23

Family

ID=6751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75A KR102103978B1 (ko) 2018-01-09 2018-01-09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6146A (zh) * 2021-03-31 2021-06-22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圆阴井内壁混凝土涂抹装置
CN113006147A (zh) * 2021-03-31 2021-06-22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圆阴井内壁自动粉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972A (ko) * 2008-03-10 2009-09-15 조용우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JP2011241639A (ja) * 2010-05-20 2011-12-01 Kajima Corp 立坑坑口部の接合構造
KR20130016482A (ko) * 2011-08-08 2013-02-18 (주)서원산업 맨홀 접속구 및 맨홀 접속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972A (ko) * 2008-03-10 2009-09-15 조용우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JP2011241639A (ja) * 2010-05-20 2011-12-01 Kajima Corp 立坑坑口部の接合構造
KR20130016482A (ko) * 2011-08-08 2013-02-18 (주)서원산업 맨홀 접속구 및 맨홀 접속관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6146A (zh) * 2021-03-31 2021-06-22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圆阴井内壁混凝土涂抹装置
CN113006147A (zh) * 2021-03-31 2021-06-22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圆阴井内壁自动粉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978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7159B (zh) 一种浅埋暗挖地铁车站分离开敞式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5961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104612696B (zh) 大断面暗挖地铁车站在粉细砂层中穿越高架桥柱洞法施工方法
CN108252329A (zh) 围护结构承力的装配式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KR10182087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109296371A (zh) Mjs法与水平冻结法联合加固承压富水砂性地层交叠车站下穿段的体系及其施工方法
CN101575859B (zh) 地下连续墙防渗接头及其施工方法
CN201538975U (zh) 地下连续墙防渗接头
CN112031814A (zh) 一种穿越浅层大载荷公路的进洞施工方法
KR20190084704A (ko)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113153379B (zh) 隧道防排水系统及施工工艺
CN207795260U (zh) 一种下穿电力隧道的暗挖主体
KR20100086110A (ko) 가설 복합관 및 이를 이용한 관로와 터널 비굴착 매설공법
KR101968968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512594A (zh) 旋挖钻机遇空洞成孔成桩的简易方法
CN212202065U (zh) 一种适用于上软下硬复合地层的隧道结构
KR101859611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109119943A (zh) 电缆在顶管两端的敷设方式优化方法
CN213088018U (zh) 一种盾构下穿建筑物防沉降控制的支护结构
CN113464721A (zh) 一种隧道顶管的低噪降震免开槽式施工方法及装置
CN209837116U (zh) 一种适用于地下地铁车站主体与暗挖附属结构接口变形缝的排水构造
KR102125014B1 (ko)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0926285B1 (ko) 관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CN111472803B (zh) 一种适用于上软下硬复合地层的隧道结构及施工方法
CN220979511U (zh) 全风化花岗岩浅埋偏压隧道洞口强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