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508A -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508A
KR20190084508A KR1020180002340A KR20180002340A KR20190084508A KR 20190084508 A KR20190084508 A KR 20190084508A KR 1020180002340 A KR1020180002340 A KR 1020180002340A KR 20180002340 A KR20180002340 A KR 20180002340A KR 20190084508 A KR20190084508 A KR 20190084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screen
input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734B1 (ko
Inventor
김지은
이종기
김은비
이수정
이주은
정신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734B1/ko
Priority to US16/239,859 priority patent/US11200087B2/en
Priority to EP19150533.8A priority patent/EP35089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터치 스크린, 및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기 위한 제1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WEARABLE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 등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비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한번에 많은 데이터나 정보를 표시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는, 한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최대한 효율적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실행할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나 정보를 한정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어려웠다. 즉,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더라도, 한정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는,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태스크가 종료된 후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태스트를 새롭게 실행할 수 밖에 없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받는 것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실행 중인 제1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제2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모두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터치 스크린, 및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기 위한 제1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웨어러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모두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a부터 도 7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8a부터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a부터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a부터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5a부터 도 1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 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250), 제2입력 장치(251), 및 터치 스크린(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또는 1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201)는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프로세서(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2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201)의 동작은 프로세서(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가정할 것이다.
전자 장치(201)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2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메모리(예컨대,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2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메모리(예컨대,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2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또는 실행 상태를 터치 스크린(26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60)은 도 1의 표시 장치(예컨대, 도 1의 16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260)은 전자 장치(201)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260)은 전자 장치(20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260)은 전자 장치(201)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의 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을 통해, 터치 스크린(260)에 대한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또는 터치-드래그 입력), 스와이프 입력, 및 핀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제1입력 장치(250)는 전자 장치(2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입력 장치(250)는 시계의 배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입력 장치(250)를 제1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제2방향(예컨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1)는 회전에 대응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2입력 장치(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입력 장치(251)는 시계의 용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입력 장치(251)를 회전시키거나, 제2입력 장치(251)를 누를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1)는 회전 또는 누름에 대응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스피커(155)를 통해 정보를 음성 또는 소리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행 화면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행 화면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실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을 통해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3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15)을 포함하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310)를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310)는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또는 전체 부분)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15)을 표시할 수 있다. 제1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201)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어플리케이션은 시계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기 위한 제1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에 응답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입력은,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다양한 제스쳐나 입력(또는 터치 입력)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입력은, 터치 스크린(260)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프로세서(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임의로 또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201)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1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실행 횟수, 및 실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201)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어플리케이션이 시계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면, 제2어플리케이션은 일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1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화면들을 함께(또는 동시에) 표시하는 명령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후보들을 표시할 수 있고, 후보들 중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을 기존에 표시되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260)에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되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330)과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되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부분은, 터치 스크린(260)의 중앙 영역에 대응하고, 전체 영역보다 작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부분은 제1부분과 상이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부분은 제1부분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실행 화면(33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되기에 적합한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15)을 축소한 화면이거나, 상기 실행 화면(315)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제2실행 화면(340)은,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되기에 적합한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실행 화면(340)은,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1실행 화면을 둘러싸는 형태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즉, 제2실행 화면(340)은 제1실행 화면(330)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행 화면(330)과 제2실행 화면(340)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 형태에 따라 제1실행 화면(330)과 제2실행 화면(340)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워치의 형태가 사각형인 경우, 제1실행 화면(330)과 제2실행 화면(340)는 사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401).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함께 활성화하기 위한 지정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403).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과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함께 활성화하기 위한 제1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405).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제1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260)에 제2부분에 제2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451).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53).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실행이 요청된 제2어플리케이션에 앞서 다른 제1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면(453의 아니오), 전자 장치(201)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455). 예컨대,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은,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제1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453의 예), 전자 장치(201)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57). 예컨대, 제1부분은, 터치 스크린(26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제1부분은,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보다 작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부분에 표시할 경우(457의 예), 전자 장치(201)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을 축소한 화면 또는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의 화면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459).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부분에 표시하지 않을 경우(457의 아니오), 전자 장치(201)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타입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461). 예컨대, 제2부분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을 둘러싸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제2부분에 표시되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제1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표시되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타입의 실행 화면 및 제2타입의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화면들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가 “2017년 12월 01일의 스케줄 표시”인 경우에는,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은 일반적인 달력 형태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는 화면일 수 있다. 제2타입의 실행 화면은 실질적으로 닫힌 루프(closed loop)의 형태를 가지면서, 루프 형태의 적어도 일 지점에 스케줄을 나타내는 구성을 가지는 화면일 수도 있다. 루프 형태의 화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즉, 제2타입의 실행 화면은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을 축소한 화면 또는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을 크롭핑(cropping)한 화면이 아닌,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화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전체에 단독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표시되면서, 특정 영역(예컨대, 중심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을 축소한 화면 또는 제1타입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크롭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표시되면서, 특정 영역(예컨대,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1타입과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제2타입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501).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과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기 위한 지정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503). 예컨대, 지정된 입력은, 터치 스크린(260)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05).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정된 제2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프로세서(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의해 지정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된 경우(505의 예),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지정된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을 함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519).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제2실행 화면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505의 아니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507).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성이 높은 제2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 또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실행 시간, 및/또는 실행 횟수 등에 기초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제1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509의 아니오), 전자 장치(201)는 임의로(또는 자동으로) 제2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임의로 선택된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을 함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519).
제1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509의 예), 전자 장치(201)는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11).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아니면(511의 아니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을 함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519).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이면(511의 예),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또는 제공)할 수 있다(513).
전자 장치(201)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515). 예컨대, 사용자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선택된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을 함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519).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이면(511의 예),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함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과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601).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603).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260))에 대한 입력(또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입력(또는 터치 입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605).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과 제2실행 화면 중 어느 화면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입력(또는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607).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수신된 터치 입력이 싱글-터치 입력, 멀티-터치 입력, 터치 앤 드래그 입력, 스와이프 입력, 핀치 입력 중 어느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입력(또는 터치 입력)의 위치와 종류에 기초하여 제1어플리케이션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609).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예컨대, 도 2의 제1입력 장치(250))와 제2입력 장치(예컨대, 도 2의 제2입력 장치(250))를 통해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250)와 제2입력 장치 중 어느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입력 장치(250)(예컨대, 베젤 형태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25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입력 장치(251)(예컨대, 용두 형태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201)는 제2입력 장치(25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입력 장치(251)가 눌려지면, 전자 장치(201)는 제2입력 장치(251)의 눌림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7a부터 도 7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APP1)과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APP2)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에 대한 제1터치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예컨대, 클릭 또는 선택 기능)을 수행하고, 제2실행 화면(APP2)에 대한 제2터치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예컨대, 클릭 또는 선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스와이프 기능(예컨대, 페이지 이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APP2)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스와이프 기능(예컨대, 페이지 이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으로부터 제2실행 화면(APP2)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또는 터치 앤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2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에 대응하는 화면(예컨대, 제1실행 화면(APP1)이 축소된 화면)이 제2실행 화면(APP2)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2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APP2)으로부터 제1실행 화면(APP1)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또는 터치 앤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1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2실행 화면(APP2)에 대응하는 화면(예컨대, 제2실행 화면(APP2)이 축소된 화면)이 제1실행 화면(APP1)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3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e와 도 7f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에 대한 핀치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APP)에 대한 핀치 입력에 따라, 제2실행 화면(APP2)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에 대한 제1핀치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방향에 대응하는 제1핀치 입력에 따라 크기가 증가된 제1실행 화면(APP1)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74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APP)에 대한 제2핀치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2방향에 대응하는 제2핀치 입력에 따라 크기가 감소된 제1실행 화면(APP1)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7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부터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8a부터 도 8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APP1)과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APP2)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을 제2실행 화면(APP2)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30)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에 대응하는 화면(예컨대, 제1실행 화면(APP1)이 축소된 화면)이 제2실행 화면(APP2)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2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이동된 제1실행 화면(APP1)에 대응하는 화면이 제2실행 화면(APP2)의 가장자리 영역(또는 외부 경계 영역)에 지정된 시간동안 머무르면,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핀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5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50)은 제1실행 화면(APP1)을 확대한 화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핀치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4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증가된 제1실행 화면(APP1)이 지정된 크기보다 커지면,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5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핀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APP1)과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APP2)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감소된 실행 화면이 지정된 크기보다 작아지면, 제1실행 화면(APP1)과 제2실행 화면(APP2)이 함께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핀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70)을 표시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70)은 제2실행 화면(APP2)과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70)은,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적합한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핀치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APP1)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60)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감소된 제1실행 화면(APP1)이 지정된 크기보다 작아지면,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7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912)과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914)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912)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914)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914)에 대한 제1입력을 수신하면, 제2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3실행 화면(922)과 제3어플리케이션의 제4실행 화면(924)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2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어플리케이션은, 제2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3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프로세서(예컨대,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입력은, 제2실행 화면(912)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914)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3실행 화면(922)을 표시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제3어플리케이션의 제4실행 화면(924)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실행 화면(922)은 제2실행 화면(914)과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즉, 제3실행 화면(922)은 제2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1부분에 표시되기에 적합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4실행 화면(924)은 제3어플리케이션의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부분에 표시되기에 적합한 화면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912)에 대한 제1입력을 수신하면,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40)은 제1실행 화면(912)을 확대한 화면일 수 있다. 제1입력은, 제1실행 화면(912)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1입력은, 제1실행 화면(912)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일 수도 있다.
도 10a부터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헬스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0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0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0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0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1015)에 대응하는 제1화면(1035)이 제2실행 화면(102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1035)은, 제1실행 화면(1015)이 축소된 화면이거나 제1실행 화면(1015)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에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헬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등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화면(1035)의 드래그 입력이 제2실행 화면(1020)의 특정 위치(예컨대, 오른쪽 아래 영역)에서 해제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매핑된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예컨대, 오후 4시)에 헬스와 관련된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실행 화면(1020)에 매핑된 시간 정보는 '오늘'을 기준으로 시계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020)에 매핑된 시간은, 원형의 북쪽 일 지점을 12시로 결정되고, 상기 일 지점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30도 마다 매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특정 위치에 일정 등록을 나타내는 아이콘(104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일정이 등록됨을 나타내는 정보(104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일정이 등록됨을 알리는 정보(또는 음성)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된 아이콘(1045)이 선택되면,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1060)를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된 아이콘(1045)이 선택되면,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멀티-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2화면(1071)과 제3화면(1072)이 제2실행 화면(102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7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화면(1071)과 제3화면(1072)은, 제1실행 화면이 축소된 화면이거나 제1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2화면(1071)과 제3화면(1072)은 서로 동일한 화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멀티-드래그 입력이 해제된 위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간에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헬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등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2화면(1071)과 제3화면(1072)의 드래그 입력이 제2실행 화면(1020)의 제1위치(예컨대, 왼쪽 위 영역)와 제2위치(예컨대, 오른쪽 아래 영역)에서 해제되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매핑된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제1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예컨대, 오후 10시)과 제2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예컨대, 오후 4시)에 헬스와 관련된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위치에 일정 등록을 나타내는 제1아이콘(1085)을 표시하고, 제2위치에 일정 등록을 나타내는 제2아이콘(1087)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일정이 등록됨을 나타내는 정보(108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일정이 등록됨을 알리는 정보(또는 음성)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일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1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1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1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1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1115)에 대응하는 제1화면(1135)이 제2실행 화면(112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1135)은, 제1실행 화면(1115)이 축소된 화면이거나 제1실행 화면(1115)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에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일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등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화면(1135)의 드래그 입력이 제2실행 화면(1120)의 특정 위치(예컨대, 오른쪽 아래 영역)에서 해제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 매핑된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예컨대, 9월 20일 오후 8시)에 공연과 관련된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특정 위치에 일정 등록을 나타내는 아이콘(114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일정이 등록됨을 나타내는 정보(114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일정이 등록됨을 알리는 정보(또는 음성)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일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시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50)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12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120)은 이전에 등록된 일정에 대한 아이콘(1145)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실행 화면(1120)은 특정 시간(오후 8시)을 나타내는 특정 위치에 등록된 일정을 나타내는 아이콘(1145)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된 아이콘(1145)이 선택되면,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1160)를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된 아이콘(1145)이 선택되면,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또는 음성)를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2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2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2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2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1215)에 대응하는 제1화면(1235)이 제2실행 화면(1220)으로 이동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1235)은, 제1실행 화면(1215)이 축소된 화면이거나 제1실행 화면(1215)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이 제2실행 화면(1220)에서 해제되면, 제1실행 화면(1215)에 포함된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확인된 시간(예컨대, 오후 4시)을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확인된 시간(예컨대, 오후 4시)에 대응하는 제2실행 화면에 특정 위치를 판단하고, 특정 위치에 일정 등록을 나타내는 아이콘(124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일정이 등록됨을 나타내는 정보(124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일정이 등록됨을 알리는 정보(또는 음성)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시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250)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12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120)은 이전에 등록된 일정에 대한 아이콘(1145)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실행 화면(1120)은 특정 시간(예컨대, 오후 4시)을 나타내는 특정 위치에 등록된 일정을 나타내는 아이콘(1145)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된 아이콘(1245)이 선택되면,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1260)를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된 아이콘(1245)이 선택되면,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또는 음성)를 스피커(예컨대, 도 1의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3a부터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3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3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3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3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320)은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실행 화면(1320)은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실행 화면(1320)은 오전 또는 오후를 나타내는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입력 장치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입력 장치(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입력 장치(1305)는 베젤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의 회전에 대응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회전되면, 제2실행 화면(1320)에 표시된 날짜 이외의 날에 대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1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내일' 날짜에 대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2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어제' 날짜에 대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1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면, '모레', 및/또는 '글피' 등 그 이후의 날짜에 대한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해당하는 날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실행 화면(1320)에 '내일'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실행 화면(1320)에 '어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예 따라,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제공하는 페이지를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제1입력 장치(1305)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4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4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4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4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420)은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실행 화면(1420)은 등록된 일정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과 등록된 일정들 각각에 대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1415)에 대한 제1핀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1실행 화면(1415)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1415)이 감소한 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1425)만큼 제2실행 화면(142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실행 화면(1420)은 제1핀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1영역(1425)에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1영역(1425)에 날짜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오늘' 날짜에 대한 정보(1427)를 다른 날짜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영역(1425)에 대한 제2핀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1실행 화면(1415)의 크기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실행 화면(1415)이 더 감소된 영역에 대응하는 제2영역(1435)만큼 제2실행 화면(1420)의 크기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실행 화면(1420)은 제2핀치 입력에 응답하여 제2영역(1435)에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1)는 제2영역(1435)에 연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1)는 '올해' 연도에 대한 정보(1437)를 다른 연도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1영역(1425)과 제2영역(1435)은 제2실행 화면(142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1영역(1425)과 제2영역(1435)에 추가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제2실행 화면(1420)과 새롭게 추가된 제1영역(1425)과 제2영역(1435)을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제2실행 화면(1420)과, 제1영역(1425), 및 제2영역(1435)의 색상이나 음영을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5a부터 도 1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날씨 어플리케이션 또는 날씨 위젯)의 제1실행 화면(15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작동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5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5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5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510)은 날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날씨에 대한 정보는 외부 서버(예컨대, 도 1의 서버(108))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520)은 시간에 따른 외부 장치들의 작동 일정을 나타낼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520)은 제1외부 장치(예컨대, 공기 청정기)의 작동 일정을 나타내는 제1지시자(1525)와 제2외부 장치(예컨대, 세탁기)의 작동 일정을 나타내는 제2지시자(1527)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b와 도 1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실행 화면(1515)에 표시된 날씨 정보를 참조하여, 제1지시자(1525) 및/또는 제2지시자(1527)를 조절하여 제1외부 장치와 제2외부 장치의 작동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위치에 대응하는 제1지시자(1525)를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2위치에서 제1지시자(1535)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2위치에 매핑된 시간에 제1외부 장치(예컨대, 공기 청정기)의 작동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2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통신 모듈(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통해 제1외부 장치가 제2위치에 매핑된 시간에 작동되도록 제1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는 핀치 입력에 따라 제1크기에 대응하는 제1지시자(1525)를 제2크기로 확대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핀치 입력에 따라 제2크기에 대응하는 제1지시자(1545)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2크기에 매핑된 시간에 제1외부 장치(예컨대, 공기 청정기)의 작동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2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통신 모듈(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통해 제1외부 장치가 제2크기에 매핑된 시간에 작동되도록 제1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201)는 핀치 입력에 따라 제1크기에 대응하는 제1지시자(1525)를 제3크기로 축소시킬 수도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핀치 입력에 따라 제2크기에 대응하는 제1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어플리케이션은 제3크기에 매핑된 시간에 제1외부 장치(예컨대, 공기 청정기)의 작동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2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통신 모듈(예컨대, 도 1의 통신 모듈(190))을 통해 제1외부 장치가 제3크기에 매핑된 시간에 작동되도록 제1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택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61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전화 어플리케이션, 긴급 전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62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6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62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615)은 사용자가 탑승한 택시의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201)가 획득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620)은 즐겨찾기 연락처 아이콘(1625) 및 긴급 전화 아이콘(1627)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즐겨찾기 연락처 아이콘(1625)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정된 즐겨찾기 연락처에 대응할 수 있다. 긴급 전화 아이콘(1627)은, 지정된 긴급 전화 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즐겨찾기 연락처 아이콘(1625)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즐겨찾기 연락처로 전화를 발신하거나 문자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즐겨찾기 연락처 아이콘(1625)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즐겨찾기 연락처로 전화 발신 또는 문자 전송을 위한 화면(1635)을 표시할 수 있다. 전화 발신 또는 문자 전송을 위한 화면(1635)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201)는 즐겨찾기 연락처로 전화를 발신하거나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1)는, 즐겨찾기 연락처로 전자 장치(201)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201)는, 긴급 전화 아이콘(162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긴급 전화 연락처로 전화를 발신하거나 긴급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1)는, 긴급 전화 연락처로 전자 장치(201)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현지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워치 페이스(1710)를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 워치 페이스(1710)는 현재 전자 장치(201)가 위치하는 지역의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워치 페이스(1710)는 현재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워치 페이스(1710)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을 수신하면,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현재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72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다른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73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72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73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725)은 워치 페이스(1710)를 축소한 화면일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725)는 현재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725)는 현재 지역의 워킹 시간에 대한 정보(1727)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730)은 다른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실행 화면(1730)은 다른 지역의 워킹 시간에 대한 정보(173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다른 지역의 워킹 시간과 현재 지역의 워킹 시간을 비교할 수 있도록, 다른 지역의 워킹 시간에 대한 정보(1732)는 현재 지역의 워킹 시간에 대한 정보(1727)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컨대,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을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실행 화면(1810)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을 수신하면,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825)과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다른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 어플리케이션)의 제2실행 화면(1830)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82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제2실행 화면(1830)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825)은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810)을 축소한 화면일 수 있다.
제2실행 화면(1830)은 다른 지역의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실행 화면(1830)은 다른 지역의 워킹 시간에 대한 정보(1832)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1실행 화면(1825)에 대응하는 제1화면(1835)을 제2실행 화면(18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1835)은, 제1실행 화면(1825)이 축소된 화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에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전화 발신 또는 문자 전송을 예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실행 화면(1830)에 표시된 다른 지역의 워킹 시간을 참조하여, 다른 지역의 워킹 시간 내에 전화를 발신하거나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어플리케이션(예컨대,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제1실행 화면(1915)과 적어도 하나의 제2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멤버쉽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쿠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제2실행 화면(1921, 1922, 및/또는 1923)을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9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실행 화면(1915)은 터치 스크린(예컨대, 도 2의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에 표시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실행 화면(1921, 1922, 및/또는 1923)은 터치 스크린(260)의 제2부분(예컨대, 중앙 부분의 주변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실행 화면(1915)은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카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카드에 대한 정보는 전자 장치(201)에 저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실행 화면(1921, 1922, 및/또는 1923)은 멤버쉽 카드 및/또는 쿠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2실행 화면들(1921, 1922, 및/또는 1923) 중 선택된 실행 화면(1921)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실행 화면(1921)을 제1실행 화면(1915)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실행 화면(1921)에 대응하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50)과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50)을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과 제2부분에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94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1)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260)의 제1부분에 선택된 실행 화면(1921)에 대응하는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45)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45)은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예컨대, 멤버쉽 카드 정보, 쿠폰 정보, 및/또는 바코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45)은 제2부분에서 표시되던 실행 화면(1921)과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기존의 제2부분에서 표시되던 실행 화면(1921)이 위치했던 부분에 제1실행 화면(1915)에 대응하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5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50)은 제1실행 화면을 축소한 화면이거나 제1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50)은 제1실행 화면(1915)과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940)에서, 제2부분에 표시된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950)이 제1부분으로 드래그되면, 다시 제1실행 화면(1915)을 제1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1)는 이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910)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터치 스크린, 및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기 위한 제1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행 화면들 각각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1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화면이고, 상기 복수의 실행 화면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구성은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실행 화면에 대한 제1터치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실행 화면에 대한 제2터치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실행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실행 화면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일정을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이 결제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부분에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실행 화면에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3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부분에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어플리케이션의 제4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실행 화면에 대하여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부분에 표시하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에 대한 핀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부분의 크기가 지정된 크기보다 커지도록 조절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실행 화면만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만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은, 상기 제1부분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1실행 화면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축소한 화면이거나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상기 제2실행 화면과 상이한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실행 화면에 대한 제1터치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실행 화면에 대한 제2터치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웨어러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및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기 위한 제1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싸는 웨어러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행 화면들 각각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1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화면이고,
    상기 복수의 실행 화면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구성은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실행 화면에 대한 제1터치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실행 화면에 대한 제2터치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실행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2실행 화면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일정을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이 결제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부분에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실행 화면에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3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부분에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3어플리케이션의 제4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실행 화면에 대하여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부분에 표시하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에 대한 핀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부분의 크기가 지정된 크기보다 커지도록 조절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실행 화면만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의 외부 경계 영역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만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은, 상기 제1부분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인 웨어러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 화면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축소한 화면이거나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인 웨어러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상기 제2실행 화면과 상이한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
  18.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과 다른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둘러싸는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 화면에 대한 제1터치 입력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실행 화면에 대한 제2터치 입력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1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웨어러블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제1실행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부분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의 대응하는 복수의 실행 화면들 중 제2실행 화면을 상기 제1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2부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002340A 2018-01-08 2018-01-08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52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40A KR102521734B1 (ko) 2018-01-08 2018-01-08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6/239,859 US11200087B2 (en) 2018-01-08 2019-01-04 Wearable device for exe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19150533.8A EP3508969B1 (en) 2018-01-08 2019-01-07 Wearable device for exe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340A KR102521734B1 (ko) 2018-01-08 2018-01-08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08A true KR20190084508A (ko) 2019-07-17
KR102521734B1 KR102521734B1 (ko) 2023-04-17

Family

ID=6668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340A KR102521734B1 (ko) 2018-01-08 2018-01-08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00087B2 (ko)
EP (1) EP3508969B1 (ko)
KR (1) KR10252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EP4321088A3 (en) 2015-08-20 2024-04-24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KR102354046B1 (ko) 2019-05-06 2022-01-25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제한된 동작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181103B1 (en) 2020-05-11 2022-1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N118012306A (zh) 2020-05-11 2024-05-10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20240094894A1 (en) * 2022-09-20 2024-03-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Context-aware antenna tu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28724A (ko) * 2013-04-29 201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4389A (ko) * 2013-11-12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11931A (ko) * 2016-03-30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1116A1 (en) * 2004-10-28 2006-05-11 Danny Rittman Multifunctional telephone, walkie talkie, instant messenger, video-phone computer, based on WiFi (Wireless Fidelity) and WiMax technology, for establishing glob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video conferencing via the internet
US9992314B2 (en) * 2008-01-24 2018-06-05 Garmin Switzerland Gmbh Automatic device mode switching
US9996246B2 (en) *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KR102101741B1 (ko) * 2013-08-16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2866101B1 (en) * 2013-10-16 2020-07-15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20160085125A (ko) 2015-01-07 2016-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3879A (ko) 2015-04-17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70016262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77714A (ko) 2015-12-28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28724A (ko) * 2013-04-29 201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4389A (ko) * 2013-11-12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11931A (ko) * 2016-03-30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3037A1 (en) 2019-07-11
EP3508969B1 (en) 2022-11-09
US11200087B2 (en) 2021-12-14
EP3508969A1 (en) 2019-07-10
KR102521734B1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734B1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07390967B (zh) 用于显示应用的方法及其电子装置
EP3695591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115136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setting and executing various functions thereof
CN107850982B (zh) 屏幕操作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KR20190045765A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1140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58067A (ko)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2021021620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on which execution screen for multiple applications is displayed, and metho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19006987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KR20150115365A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164186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90043015A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57080A (ko)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9227487A1 (zh) 一种项目的显示方法及终端
CN111566608B (zh) 用于提供与键盘布局相关联的功能的设备和方法
KR20190025328A (ko) 어플리케이션 시작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9002156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50624A (ko)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829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EP3016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of content change
US20220129282A1 (en) Context-based user-personalized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EP341178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90202A (ko)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14003A (ko) 복수의 출력 화면 환경에서 가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