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094A -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094A
KR20190084094A KR1020197016600A KR20197016600A KR20190084094A KR 20190084094 A KR20190084094 A KR 20190084094A KR 1020197016600 A KR1020197016600 A KR 1020197016600A KR 20197016600 A KR20197016600 A KR 20197016600A KR 20190084094 A KR20190084094 A KR 2019008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ohrok
glutamicum
glucuronid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하메드 마제드
칼야남 나가브후스하남
비나 바트
아누락 판데
Original Assignee
새미 랩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미 랩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새미 랩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오록실룸 인디쿰(Oroxylum indicum)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생리활성 성분인 오록실린 A(Oroxylin A),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크리신(Chrysin), 및 이들의 글루쿠로니드(glucuronide)인,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Oroxylin A-7-glucuronide),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Baicalein-7-glucuronide) 및 크리신-7-글루쿠로니드(Chrysin-7-glucuronide)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6년 11월 11일자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62420676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PCT 출원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오록실룸 인디쿰(Oroxylum indicum)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리활성 성분인 오록실린 A(Oroxylin A),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크리신(Chrysin), 및 이들의 글루쿠로니드(glucuronide)를 오록 실룸 인디쿰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동남 아시아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있는 오록실룸 인디쿰 [과(family): 능소화과(Bignoniaceae)] 또는 브로큰 본즈 트리(Broken bones tree)는 아유르베다 계통의 약제(ayurvedic system of medicine)에 중요한 허브이다. 이 식물의 뿌리 및 줄기 수피(stem bark)는 광범위한 의약적 특성 (medicinal property)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Deka et al., Oroxylum indicum - a medicinal plant of North East India: An overview of its nutritional, remedial, and prophylactic properties, Journal of Applied Pharmaceutical Science, 2013, Vol. 3 (Suppl 1), S104-S112). 이 식물로부터 분리된 많은 중요한 플라보노이드(flavanoid), 즉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크리신, 바이칼린(Baicalin), 스쿠텔라린(Scutellarin), 히스피둘린(Hispidulin) 및 이들의 유도체는 약리학적 특성(pharmacological property) 덕분이며, 이들 중 많은 것은 평가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 따라서, 오록실룸 인디쿰에 존재하는 중요한 활성 성분들(actives)을 분리 및 확인하여 이들의 치료학적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산업적인 필요성(industrial need)이 존재한다.
선행 연구(Prior investigation)는 식물에 존재하는 중요한 생리활성 성분을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Rao 등의 미국 특허 제7,855,200호는 생리활성 성분인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크리신의 헥산(hexane) 및 아세톤 매개 분리방법을 개시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싸고, 시간 소모가 크거나 또는 산업상 실행 불가능하다. 따라서, 경제적이면서도 산업상 실행 가능한 신규한 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으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신규한 방법을 개시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오록실룸 인디쿰으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인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크리신, 및 이들의 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것에 대한 비자명하며 산업상 이용 가능한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크리신 및 이들의 글루쿠로니드를 포함하는 신규한 조성물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목적을 충족하며 관련된 이점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인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크리신, 및 이들의 글루쿠로니드인 오록실린 A- 7 - 글루쿠로니드, 바이칼레인7 - 글루쿠로니드 및 크리신-7 - 글루쿠로니드의 분리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리활성 성분인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크리신, 및 이들의 글루쿠로니드 성분인 오록실린 A- 7 - 글루쿠로니드,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및 크리신-7-글루쿠로니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도 1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 바이칼레인 및 크리신의 확인을 위한 HPLC 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다.
도 2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의 확인을 위한 양자 NMR 스펙트럼 (prot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3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의 확인을 위한 탄소 NMR 스펙트럼 (Carb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4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의 질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5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의 확인을 위한 양자 NMR 스펙트럼 (prot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6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의 확인을 위한 탄소 NMR 스펙트럼 (Carb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7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의 질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8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크리신의 확인을 위한 양자 NMR 스펙트럼 (prot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9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크리신의 확인을 위한 탄소 NMR 스펙트럼 (Carb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10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크리신의 질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1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및 크리신-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HPLC 크로마토그래피를 나타낸다.
도 12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양자 NMR 스펙트럼 (prot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13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탄소 NMR 스펙트럼 (Carb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14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의 질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5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양자 NMR 스펙트럼 (prot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16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탄소 NMR 스펙트럼 (Carb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17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의 질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8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크리신-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양자 NMR 스펙트럼 (prot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19는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크리신-7-글루쿠로니드의 확인을 위한 탄소 NMR 스펙트럼 (Carbon NMR spectrum)을 나타낸다.
도 20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크리신-7-글루쿠로니드의 질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Oroxylum indicum)으로부터 오록실린 A (Oroxylin A) 및 이의 글루쿠로니드(glucuronide)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추출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bark)를 절단, 건조 및 분쇄(pulverising)하여 미세 분말(fine powder)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미세 분말 100 kg을 80% 메탄올 (v/v)로 추출하여 수성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수성 메탄올 추출물을 수(water)중에 용해시켜 탁한 용액(turbid solution)을 수득하는 단계;
d) 유기 용매를 이용해서 상기 단계 c)의 탁한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용매 분획을 농축 및 건조해서 황갈색 분말(yellow brown colour powder)을 수득하는 단계;
f) HPLC, NMR 및 질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d)의 분말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오록실린 A,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낸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낸 크리신(Chrysin)으로 특성화하는 단계;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학식 2]
Figure pct00002
[화학식 3]
Figure pct00003
g) 상기 단계 d)의 수성 분획을 농축 및 건조해서 갈색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h) HPLC, NMR 및 질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g)의 분말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낸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낸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나타낸 크리신-7-글루쿠로니드로 특성화하는 단계.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화학식 5]
Figure pct00005
[화학식 6]
Figure pct00006
관련 양태에서, 상기 단계 d)의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관련 양태에서, 상기 단계 d)의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10% 이상의 오록실린 A, 10% 이상의 바이칼레인 및 2% 이상의 크리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추가의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약 10%-15%의 오록실린 A, 약 10%-25%의 바이칼레인 및 약 2%-10%의 크리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다른 관련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0.5% 이상의 오록실린 A-7- 글루쿠로니드, 2% 이상의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및 0.5% 이상의 크리신-7-글루쿠로니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추가의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약 0.5%-8%의 오록실린 A - 7 - 글루쿠로니드, 약 2%-10%의 바이칼레인 - 7 - 글루쿠로니드 및 약 0.5%-5%의 크리신 - 7 - 글루쿠로니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기술적 효과를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가장 바람직한 양태는 본원의 아래에서 설명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다.
[ 실시예 1: 오록실룸 인디쿰 으로부터의 생리활성 성분의 분리 및 확인]
오록실룸 인디쿰은 동남아시아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 식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및 확인하기 위해, 수피를 절단하였고, 건조하였으며 미세 분말(fine powder)로 분쇄시켰다(pulverising). 미세 분말 100 kg을 80% 메탄올 (v/v)로 추출해서 수성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수중에 더 용해시켜 탁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탁한 용액을 더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분리하였고, 농축 및 건조시켜서 황갈색 분말을 수득했다. HPLC를 이용해서 노란색 분말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및 확인하였고 (도 1), NMR 및 질량 분석기를 이용해서 각각 하기 화학식 1, 2 및 3으로 나타낸 오록실린 A (도 2 - 4), 바이칼레인 (도 5-7) 크리신 (도 8- 10)으로 더 특성화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7
[화학식 2]
Figure pct00008
[화학식 3]
Figure pct00009
수성 분획을 추가로 농축 및 건조시켜서 갈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HPLC를 이용해서 갈색 분말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aq. 분획)을 분리 및 확인했고 (도 11), NMR 및 질량 분석기를 이용해서 각각 화학식 4, 5 및 6으로 나타낸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 (도 12-14),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도 15-17) 및 크리신-7-글루쿠로니드 (도 18-20)로 추가로 특성화했다.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생리활성 성분의 함유랑이 표 1에 표로 제시된다.
[표 1: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및 수성 분획 중 확인된 분자의 함유량]
Figure pct00010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변화는 앞서 말한 개시 및 교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떤 양태만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이 이에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오록실룸 인디쿰(Oroxylum indicum)으로부터 오록실린 A (Oroxylin A) 및 이의 글루쿠로니드(glucuronide)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추출방법:
    a)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bark)를 절단, 건조 및 분쇄(pulverising)하여 미세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미세 분말 100 kg을 80% 메탄올 (v/v)로 추출하여 수성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수성 메탄올 추출물을 수(water)중에 용해시켜 탁한 용액(turbid solution)을 수득하는 단계;
    d) 유기 용매를 이용해서 상기 단계 c)의 탁한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용매 분획을 농축 및 건조해서 황갈색 분말(yellow brown colour powder)을 수득하는 단계;
    f) HPLC, NMR 및 질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d)의 분말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오록실린 A,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낸 바이칼레인(Baicalein)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낸 크리신(Chrysin)으로 특성화하는 단계;
    화학식 1
    Figure pct00011


    화학식 2
    Figure pct00012


    화학식 3
    Figure pct00013


    g) 상기 단계 d)의 수성 분획을 농축 및 건조해서 갈색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h) HPLC, NMR 및 질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g)의 분말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낸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Oroxylin A-7-glucuronide),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낸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Baicalein-7-glucuronide)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나타낸 크리신-7-글루쿠로니드(Chrysin-7-glucuronide)로 특성화하는 단계.
    화학식 4
    Figure pct00014


    화학식 5
    Figure pct00015


    화학식 6
    Figure pct0001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유기 용매는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추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인, 추출방법.
  4.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10% 이상의 오록실린 A, 10% 이상의 바이칼레인 및 2% 이상의 크리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10%-15%의 오록실린 A, 10%-25%의 바이칼레인 및 2%-10%의 크리신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0.5% 이상의 오록실린 A-7- 글루쿠로니드, 2% 이상의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및 0.5% 이상의 크리신-7-글루쿠로니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록실룸 인디쿰의 수피로부터 분리된, 0.5%-8%의 오록실린 A-7-글루쿠로니드, 2%-10%의 바이칼레인-7-글루쿠로니드, 0.5%-5%의 크리신-7-글루쿠로니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197016600A 2016-11-11 2017-11-07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20190084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0676P 2016-11-11 2016-11-11
US62/420,676 2016-11-11
PCT/US2017/060290 WO2018089325A1 (en) 2016-11-11 2017-11-07 Composition containing oroxylin a and method of extra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094A true KR20190084094A (ko) 2019-07-15

Family

ID=6210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600A KR20190084094A (ko) 2016-11-11 2017-11-07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55982B2 (ko)
EP (1) EP3538089A4 (ko)
JP (1) JP6851476B2 (ko)
KR (1) KR20190084094A (ko)
CN (1) CN110139647B (ko)
AU (1) AU2017356883B2 (ko)
CA (1) CA3043168C (ko)
NZ (1) NZ753943A (ko)
WO (1) WO2018089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9645B2 (ja) * 2017-06-15 2023-01-20 サミ-サビンサ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βセクレターゼの阻害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10959980B2 (en) 2018-06-15 2021-03-30 Sami-Sabinsa Group Limited Bioactive molecules from oroxylum indicum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WO2020032913A1 (en) * 2018-08-04 2020-02-13 Muhammed Majeed Process for synthesis of oroxylin a
EP4021397A4 (en) * 2019-08-26 2023-09-27 Sami-Sabinsa Group Limited HERBAL ACTIVE INGREDIENTS AND THEIR EFFECT AGAINST POLLUTION
WO2024073699A1 (en) * 2022-09-29 2024-04-04 Muhammed Majeed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hirsutis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588A1 (en) * 2002-03-01 2003-09-04 Unigen Pharmaceuticals, Inc. Identification of free-B-ring flavonoids as potent COX-2 inhibitors
US20050008710A1 (en) * 2003-07-09 2005-01-13 Phytomyco Research Corporation Method for screening for endothelin-receptor antagonist activity and for treating conditions caused by endothelin
EP1855528A4 (en) * 2005-03-10 2009-04-01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LAVONOIDS WITH FREE B-RING AND FLAVANES AS A THERAPY AGENT
JP2009527461A (ja) * 2006-01-09 2009-07-30 カウンシル オブ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胃腸毒性、関連する症状及び潰瘍の処置のための天然作用物質
CN101394858A (zh) * 2006-02-21 2009-03-25 科学与工业技术研究委员会 肠道α-葡萄糖苷酶抑制剂及其分离方法和用途
CN103479659A (zh) * 2013-10-16 2014-01-01 吉林大学 三种木蝴蝶苷在制备抗金葡菌感染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4788A1 (en) 2018-12-06
NZ753943A (en) 2021-03-26
WO2018089325A1 (en) 2018-05-17
AU2017356883B2 (en) 2023-03-30
CN110139647A (zh) 2019-08-16
AU2017356883A1 (en) 2019-06-13
US10555982B2 (en) 2020-02-11
EP3538089A4 (en) 2020-08-05
JP6851476B2 (ja) 2021-03-31
CA3043168A1 (en) 2018-05-17
CN110139647B (zh) 2022-11-01
JP2020504708A (ja) 2020-02-13
EP3538089A1 (en) 2019-09-18
CA3043168C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094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Gontijo et al. Biological and chemical aspects of natural biflavonoids from plants: a brief review
Salleh et al. Antioxidant and anticholinesterase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of Cinnamomum griffithii and C. macrocarpum
KR102539298B1 (ko) 티모하이드로퀴논 함유 조성물 및 이들의 조제 방법
Pandey et al. Rapid screening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fruit extracts of Myristica species and their in vitro antiproliferative activity
EP1795201A1 (en) Isolation of oleuropein from the leaves of olive tree
Keefover-Ring et al. Phenylpropanoid glycosides of Mimulus guttatus (yellow monkeyflower)
Sólyomváry 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lignans and sesquilignans in the fruits of Cnicus benedictus L.: Quantitative chromatographic and spectroscopic approaches
CN110785181A (zh) 从阿江榄仁的树皮制备阿江榄仁葡糖苷的标准化组合物的方法
Shafaghat et al.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analysis of the flavonoid from Chaerophyllum macropodum (Boiss.)
Muñoz et al. Propolis from Chilean matorral hives
Mariconda et al. Herbal formulations of Thymus serpyllum L. and Hypericum perforatum L. from southern Italy: Preparation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JP2008308630A (ja) キク科植物由来の抗酸化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2,4−ヘキサジエナール誘導体
Balderas-López et al. Cardiac glycosides from Cascabela thevetioides by HPLC-MS analysis
Mazumder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hytochemicals of crude extracts of Ageratina adenophora leaves
US2021019673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oroxylin a and method of extraction thereof
Lavanya et al. Preliminary Qualitative Analysis of Phytoconstituents of Dichrostachys cinerea L.
Shafaghat et al. Flavonoids from Zosimia absinthifolia (Vent.) Link
JP2006008552A (ja) フラバノン化合物の製造方法
Olennikov et al. Phenolic compounds of Sophora flavescens Soland. of Russian origin
Shamsudin et al. Integrat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Liquid Chromatography-Quadruple Time of Flight-Mass Spectrometry-Based Untargeted Metabolomics Reveal Possible Metabolites Related to Antioxidant Activity in Stingless Bee Honey
Granados‐Balbuena et al. Phytochemical profile of petals from black Dahlia pinnata by flow injection analysis–electrospray ionization–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mass spectrometry
Fuad et al.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ngifera sp. leaf extracts
Rahma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ster from seeds of Indigofera heterantha (Wall)
JP6856223B2 (ja) ヒト毛乳頭細胞増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