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53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534A
KR20190083534A KR1020180001307A KR20180001307A KR20190083534A KR 20190083534 A KR20190083534 A KR 20190083534A KR 1020180001307 A KR1020180001307 A KR 1020180001307A KR 20180001307 A KR20180001307 A KR 20180001307A KR 20190083534 A KR20190083534 A KR 2019008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sensor
light
logo memb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040B1 (ko
Inventor
손창원
진경신
김신아
유호준
윤현규
송호권
채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040B1/ko
Priority to CN201880080842.9A priority patent/CN111480334B/zh
Priority to PCT/KR2018/009684 priority patent/WO2019135461A1/ko
Priority to US16/768,218 priority patent/US20200296850A1/en
Priority to EP18898523.8A priority patent/EP3697082A4/en
Publication of KR2019008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81Signs, boards or panels having a curved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로고 부재 및 로고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는 로고 부재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특히,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작은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
다만, 베젤 두께가 얇아짐에 따른 디자인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의 발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부에 구비되어야할 각종 부품의 실장이 어려워졌다.
도 1은 각종 부품이 실장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R 센서, 조도 센서 및 컬러 센서 등 각종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과는 별도로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의 부재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일부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광을 센싱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서 로고 표시의 측면에는 센서가 배치된 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가 슬림해지고 베젤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각종 센서의 센싱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이 얇아짐에 따라 센서의 실장이 어려워지고 센싱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센싱 성능을 유지하도록 센서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로고 부재 및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영역은 문자 영역 및 심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문자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형상 및 상기 심볼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센서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은 헤이즈(haze) 특성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사된 광은 상기 일 면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상기 로고 부재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전반사면 및 방출면을 포함하는 웨지(wedge)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상기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전반사된 광은 상기 방출면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면의 상기 웨지 구조 외의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된 광이 상기 센서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과 접하는 에지의 상기 일 영역에 접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광은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로고 부재 및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영역은 문자 영역 및 심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문자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형상 및 상기 심볼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센서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은 헤이즈(haze) 특성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사된 광은 상기 일 면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상기 로고 부재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전반사면 및 방출면을 포함하는 웨지(wedge)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상기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전반사된 광은 상기 방출면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면의 상기 웨지 구조 외의 영역에는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된 광이 상기 센서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과 접하는 에지의 상기 일 영역에 접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광은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는 로고 부재의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어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며, 로고 부재의 일면은 광을 투과시키는 재잴을 포함하여 센싱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각종 부품이 실장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의 일 예이다.
도 2b는 로고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로고 부재 형태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로고 부재 제조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로고 부재의 재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로고 영역을 통해 광이 투과되는 경우, 센서의 위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로고 부재의 위치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는 로고 부재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로고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의 일 예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로고 부재(120) 및 센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디지털 사이니지, LFD(large format display), 디스플레이 월,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PMP,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PC,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라면 어떤 장치라도 무방하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1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110)의 전방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또한,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로고 부재(120)는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전방에 대응되는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고 영역은 로고가 표시된 영역을 의미한다.
로고 부재(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는 상측 면이 오픈된 정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로고 부재(120)의 상측 면은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고 부재(120)는 오픈된 면이 없는 정육면체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로고 부재(120)는 상측 면이 오픈되고, 측면의 일부가 오픈된 정육면체일 수도 있다. 로고 부재(120)는 일 면이 로고 영역을 포함할 수만 있다면 일 면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센서(130)는 로고 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30)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130)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센서(130)는 로고 부재(120)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130)는 입사된 광을 센싱하여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IR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 광의 색상, 광의 방향 및 광의 조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30)가 로고 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는 로고 부재(120)만을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13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측에 돌출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로고 부재(120) 및 센서(130)의 구조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로고 부재(120) 형태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로고 부재(120)는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고 부재(120)의 일 면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센서(130)는 로고 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30)는 로고 부재(120)의 일 면 중 광이 투과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배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로고 부재(120)의 일 면은 곡면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의 일 면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0) 역시 로고 부재(120)에 대응되도록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로고 부재(120) 및 센서(130)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센서(130)의 형태를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의 크기보다 센서(13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면, 센서(130)는 곡면이 없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로고 부재(120)는 로고 형태의 입체 조형물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 형태의 입체 조형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조형물은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며, 센서(130)는 입체 조형물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로고 부재(120) 제조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로고 부재(120)의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일 면은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이때, 광은 로고 영역을 통해 투과되거나, 일 면 중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을 통해 투과될 수 있다.
먼저, 도 4a는 로고 영역이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며, 일 면 중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이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의 로고 부재(120)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a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레진 사출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레진 사출물 전체를 특정 색상으로 도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이, 도색된 레진 사출물에서 로고 영역으로 이용될 부분을 레이저 조각(Laser engraving)하여 로고 부재(1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로고 영역은 도색이 벗겨지고 레진만 남겨진 상태이며, 일 면 중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도색이 된 상태일 수 있다. 광은 레진으로 된 로고 영역을 투과하여 로고 부재(120) 내측의 센서(130)에 도달할 수 있다. 도색이 된 배경 영역은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130)는 로고 부재(120)의 내측에서 로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은 광을 투과시키므로, 센서(130)는 로고 영역의 후방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4b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레진 사출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레진 사출물에서 로고 영역으로 이용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특정 색상으로 도색하여 로고 부재(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의 투과 여부, 센서의 배치 등은 도 4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광은 배경 영역을 통해 투과될 수도 있다. 도 4c는 로고 영역이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며, 일 면 중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이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의 로고 부재(120)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c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레진 사출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레진 사출물에서 로고 영역으로 이용될 부분을 특정 색상으로 실크 인쇄하여 로고 부재(1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로고 영역은 실크 인쇄된 상태이며, 배경 영역은 레진만 남겨진 상태일 수 있다. 광은 레진으로 된 배경 영역을 투과하여 로고 부재(120) 내측의 센서(130)에 도달할 수 있다. 실크 인쇄된 로고 영역은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130)는 로고 부재(120)의 내측에서 로고 부재(12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광을 투과시키는 배경 영역은 로고 영역보다 넓어, 배경 영역만이 광을 투과시키는 경우는 로고 영역만이 광을 투과시키는 경우보다 로고 부재(120) 내부로 투과되는 광량이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센서(130)가 로고 부재(12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더라도 센싱 성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경 영역이 로고 영역보다 넓으므로, 센서(130)가 배경 영역 후방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센서(130)가 사용자에게 보여 디자인을 해칠 수도 있다. 반면, 센서(130)는 배경 영역 후방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면, 디자인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레진 사출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 기구물에 로고 영역을 파내는 방식으로 로고 부재(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로고 영역의 빈 공간을 광의 투과가 가능하면서 로고 부재(120) 내부의 회로물을 가려줄 수 있는 재질의 물질로 채울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레진 사출물 대신 유리와 같은 다른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광을 투과시키면서 로고 부재(120) 내부의 회로물을 가려줄 수 있는 재질의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로고 부재(120) 내부의 회로물을 가려준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식별하기 어려운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로고 영역 및 배경 영역 중 하나를 통해 광이 투과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 및 배경 영역 전체를 통해 광이 투과되도록 로고 부재(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로고 부재(120)의 재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는 레진이 없는 경우 Warm 조명 하에서 광의 입사 각도 별 컬러 센서의 센싱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레진이 없는 경우 Cool 조명 하에서 광의 입사 각도 별 컬러 센서의 센싱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에 따라 컬러 센서의 센싱 성능이 달라지고,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질수록 컬러 센서의 센싱 성능은 저하되며, 광의 입사 각도가 작을수록 컬러 센서의 센싱 성능은 개선될 수 있다. 즉, 컬러 센서는 광이 정면에서 입사되는 경우에 최고의 성능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로고 부재(120)의 일 면은 헤이즈(haze) 특성을 가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가 레진으로 형성되는 경우, 레진의 사출 시 헤이즈 특성을 가지는 입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입사된 광은 일 면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로고 부재(120)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고, 로고 부재(120)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130)는 수광 범위가 넓어져 센싱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c에서 점선은 이상적인 센싱 성능을 나타내는 코사인(Cosine) 곡선이며, 실선은 헤이즈 특성을 가지는 입자가 포함된 레진이 있는 경우 광의 입사 각도 별 컬러 센서의 센싱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의 경우 도 5a 및 도 5b와 비교하여 센싱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로고 부재(120)의 재질을 이용하여 센서(130)의 센싱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의 일면에서 광이 투과되는 영역을 렌즈 형태로 형성하여 로고 부재(120) 내측에 배치된 센서(130)의 센싱 성능을 개선할 수도 있다. 또는, 로고 부재(120)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로고 영역을 통해 광이 투과되는 경우, 센서(130)의 위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센서(130)가 로고 영역을 통해 광을 센싱하는 경우는 센서(130)가 오픈된 경우보다 센싱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적의 위치로 센서(130)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30)의 위치는 로고 영역에 포함된 문자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 및 'U'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어 많은 양의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0)는 광량 확보를 위해 'M' 및 'U'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문자만이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고 영역은 문자 영역 및 심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130)의 위치는 문자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형상 및 심볼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130)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130)의 위치는 센서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30)는 IR 센서(131) 및 컬러 센서(132)를 포함하며, 컬러 센서(132)보다 크기가 큰 IR 센서(131)는 더 많은 광량 확보를 위해 'M'의 후방에 배치되고, 컬러 센서(132)는 'U'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로고 영역에서 면적이 넓은 영역에 센서(130)를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적이 너무 넓은 경우 센서(130)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센서(130)는 사용자에게 식별이 어려운 정도의 면적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로고 부재(120)의 위치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0)는 화면 및 베젤을 포함하며, 로고 부재(120)는 베젤의 하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서는 로고 부재(120)가 디스플레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좌측, 우측 또는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에서는 로고 부재(120)가 디스플레이(110)에 부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베젤의 일부가 로고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베젤 내부에 센서(1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는 로고 부재(120)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녹색 광을 방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적색 광을 방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의 형성 시에는 시인성의 확보 및 회로의 보호를 위한 방수방진 기능의 확보가 중요할 수 있다.
먼저, 도 8a는 로고 부재(120)의 측면도의 일 예를 나타내며, 좌측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일 면(810) 및 로고 부재(120) 내측에 배치된 센서(130)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110)의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820)를 포함하고,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830)은 전반사면(831) 및 방출면(832)을 포함하는 웨지(wedge)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830)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사출물일 수 있으며, 발광 소자(820) 및 하부면(830)이 인디케이터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부면(830)이 사출물로 형성됨에 따라 로고 부재(120) 내부의 회로 및 인디케이터 등의 방수방진이 가능하며, 정전기(Electrostatic Discharge) 등과 같은 전기적 영향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발광 소자(82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전반사면(831)에 의해 전반사되고, 전반사된 광은 방출면(832)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820)는 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반사면(831)은 발광 소자(82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의 반사율을 높이도록 표면이 처리될 수 있다. 방출면(832)은 전반사면(831)으로부터 전반사된 광이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표면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로고 부재(120)는 발광 소자(820)의 상부 및 센서(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차폐막(8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막(840)은 발광 소자(8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센서(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는 로고 부재(120)의 측면도의 다른 예를 나타내며, 좌측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일 면(810) 및 로고 부재(120) 내측에 배치된 센서(130)를 도시하였다.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고 부재(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820) 및 센서(130)와 발광 소자(820)의 사이에 형성되어, 방출된 광이 센서(13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840)을 포함할 수 있다.
로고 부재(120)의 후면(851)은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852)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며,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852)은 로고 부재(120)의 후면(851)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 접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820)로부터 방출된 광은 홀을 통과하여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도 8b에서는 로고 부재(120)의 후면(851)의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이 로고 부재(120)의 후면(851)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된 영역은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852)과 45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820)로부터 방출된 광은 돌출된 영역이 로고 부재(120)의 후면(851)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경우보다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로고 부재(120)가 디스플레이(110)의 하측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로고 부재(120)의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820) 등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는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에 웨지 구조(910)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며, 로고 부재(120)는 하부면의 웨지 구조(910) 외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920)은 하부면의 웨지 구조(910)의 측면 영역에 원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지 구조(910)가 하부면의 후방에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심부에 버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면에 복수의 버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b는 로고 부재(120)의 하부면에 홀 및 후면의 돌출된 영역(930)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며, 로고 부재(120)는 하부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9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940)은 하부면의 중심부에 4방향 버튼 및 확인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 따르면, 웨지 구조나 후면의 돌출된 영역은 각각 하부면의 일 영역 및 후면의 일 영역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웨지 구조나 후면의 돌출된 영역은 각각 하부면의 너버 전체 및 후면의 너비 전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로고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로고 부재(210) 및 로고 부재(210)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는 로고 부재(210)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로고 영역은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며, 일 면 중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고, 센서는 로고 부재(210)의 내측에서 로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로고 영역은 문자 영역 및 심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의 위치는 문자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형상 및 심볼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센서의 위치는 센서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로고 영역은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며, 일 면 중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고, 센서는 로고 부재(210)의 내측에서 로고 부재(210)의 일 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로고 부재(210)의 일 면은 헤이즈(haze) 특성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며, 입사된 광은 일 면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로고 부재(210)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한편, 로고 부재(210)는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로고 부재(210)의 하부면은 전반사면 및 방출면을 포함하는 웨지(wedge) 구조를 포함하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되고, 전반사된 광은 방출면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면의 웨지 구조 외의 영역에는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로고 부재(210)는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로고 부재(210)는 본체의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및 센서 및 발광 소자의 사이에 형성되어, 방출된 광이 센서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을 포함하고, 로고 부재(210)의 후면은 로고 부재(210)의 하부면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며, 로고 부재(210)의 하부면은 로고 부재(210)의 후면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 접하는 홀을 포함하고, 방출된 광은 홀을 통과하여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그 밖에 도 2a 내지 도 9b에서 설명한 내용 중 디스플레이가 필요 없는 내용이라면, 전자 장치(2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는 로고 부재의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어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며, 로고 부재의 일면은 광을 투과시키는 재잴을 포함하여 센싱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고 부재는 웨지 구조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함에 따라 방수방진 기능의 확보 및 정전기로부터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사출물이므로, 사용자는 로고 부재 내부의 회로 등을 식별할 수 없다.
한편, 이상의 도면에서는 로고 부재의 일 면이 'SAMSUNG'이라는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얼마든지 다른 문자 및 심볼 등을 포함하는 로고 영역에 대하여도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로고 부재는 센서가 없이 인디케이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는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고,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웨지 구조를 포함하며, 로고 부재는 웨지 구조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로고 부재는 인디케이터가 없이 센서만을 포함하며, 센서는 웨지 구조를 통해 광을 센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웨지 구조를 포함하며, 센서는 로고 부재의 하측을 향하며 웨지 구조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방출된 IR 신호 등은 웨지 구조의 방출면을 통해 웨지 구조 내부로 입사되며, 입사된 IR 신호는 전반사면을 통해 센서 방향으로 전반사될 수도 있다. 하측을 향하고 있는 센서는 웨지 구조를 통해 전반사된 IR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로고 부재 내의 발광 소자는 로고 부재의 하측을 통해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고 부재가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형성되더라도 발광 소자는 로고 부재의 측면을 통해 광을방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로고 부재 130 : 센서
131 : IR 센서 132 : 컬러 센서
200 : 전자 장치 210 : 로고 부재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로고 부재; 및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은, 문자 영역 및 심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문자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형상 및 상기 심볼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센서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은,
    헤이즈(haze) 특성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사된 광은,
    상기 일 면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상기 로고 부재의 내부로 확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전반사면 및 방출면을 포함하는 웨지(wedge)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상기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전반사된 광은 상기 방출면을 통해 방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의 상기 웨지 구조 외의 영역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된 광이 상기 센서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과 접하는 에지의 상기 일 영역에 접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광은,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면에 로고 영역을 포함하는 로고 부재; 및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센싱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은, 문자 영역 및 심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문자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형상 및 상기 심볼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의 형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IR 센서, 컬러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센서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재질이며,
    상기 일 면 중 상기 로고 영역 외의 배경 영역은,
    상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로고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부재의 일 면은,
    헤이즈(haze) 특성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사된 광은,
    상기 일 면에 포함된 입자에 의해 상기 로고 부재의 내부로 확산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전반사면 및 방출면을 포함하는 웨지(wedge)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상기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되고, 상기 전반사된 광은 상기 방출면을 통해 방출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의 상기 웨지 구조 외의 영역에는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된, 전자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로고 부재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센서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된 광이 상기 센서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과 접하는 에지의 일 영역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로고 부재의 하부면은,
    상기 로고 부재의 후면과 접하는 에지의 상기 일 영역에 접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된 광은,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돌출된 영역에 의해 반사되는, 전자 장치.
KR1020180001307A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KR10247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07A KR102477040B1 (ko)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CN201880080842.9A CN111480334B (zh) 2018-01-04 2018-08-22 显示设备和电子设备
PCT/KR2018/009684 WO2019135461A1 (ko) 2018-01-04 2018-08-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US16/768,218 US20200296850A1 (en) 2018-01-04 2018-08-22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18898523.8A EP3697082A4 (en) 2018-01-04 2018-08-22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07A KR102477040B1 (ko)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34A true KR20190083534A (ko) 2019-07-12
KR102477040B1 KR102477040B1 (ko) 2022-12-14

Family

ID=6714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07A KR102477040B1 (ko)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96850A1 (ko)
EP (1) EP3697082A4 (ko)
KR (1) KR102477040B1 (ko)
CN (1) CN111480334B (ko)
WO (1) WO20191354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9216B2 (en) 2021-08-18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ing device, display device using the sensor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426A (ko) * 2012-02-14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 컨트롤 신호에 따라, 로고 타입의 인디케이터를 조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1060A (ko) * 2013-02-07 201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고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15155A (ko) * 2014-04-02 2015-10-14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입체 로고 식별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735A (ja) * 1994-10-04 1996-04-23 Sony Corp 再生装置
JPH10228349A (ja) * 1996-12-10 1998-08-25 Kenichi Yamamoto 画像表示装置の指示標識操作方式
US9338836B2 (en) * 2006-09-27 2016-05-10 Tseng-Lu Chien Multiple display-units LED light device has special light effects
US8326501B2 (en) * 2009-02-27 2012-12-04 Nissan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by-wire in a motor vehicle
US8531130B2 (en) * 2010-03-31 2013-09-10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rightness adjusting of an illuminated logo
KR20130001694U (ko) * 2011-09-02 2013-03-12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측광장치
KR20140017310A (ko) * 2012-07-31 201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기기
CN203150038U (zh) * 2012-09-24 2013-08-21 合肥鑫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ed背光源的logo显示装置
CN204031323U (zh) * 2014-06-19 2014-12-17 日照海帝电器有限公司 一种电视遥控模块与3d模块的组合结构
CN104122673B (zh) * 2014-07-31 2017-03-08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的3d光栅贴合工艺
KR101678790B1 (ko) * 2015-08-26 2016-11-23 주식회사원광전자 표시용 엘이디와 조도센서의 일체형 패키지
CN205622928U (zh) * 2016-04-21 2016-10-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一种可自动引导的展厅
CN205883415U (zh) * 2016-07-21 2017-01-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机及其指示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426A (ko) * 2012-02-14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 컨트롤 신호에 따라, 로고 타입의 인디케이터를 조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1060A (ko) * 2013-02-07 201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고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15155A (ko) * 2014-04-02 2015-10-14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입체 로고 식별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9216B2 (en) 2021-08-18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ing device, display device using the sensor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80334B (zh) 2023-04-14
US20200296850A1 (en) 2020-09-17
CN111480334A (zh) 2020-07-31
EP3697082A4 (en) 2021-02-24
EP3697082A1 (en) 2020-08-19
KR102477040B1 (ko) 2022-12-14
WO2019135461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414B2 (en) Display screen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8783884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wo graphics
JP5911282B2 (ja) 表示装置用ウィンドウ部材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CN107884975B (zh) 电子装置及传感器组件
EP3355556A1 (en) Display module and eletronic device
CN108418911B (zh) 电子装置
CN108418910B (zh) 电子装置
KR20150049859A (ko) 베젤 가림 부재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US9927567B2 (en) Display with additional lighting effects
CN107968910B (zh) 电子装置
CN108566460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124032B (zh) 电子装置
CN107818733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1032169B1 (ko) 광 반사 표시 방법, 광 반사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8183990B (zh) 电子装置
CN108494897B (zh) 电子装置
KR201900835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US10394064B2 (en) Display apparatus
US10928665B2 (en) Display device
KR1018616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8874663U (zh) 电子装置
CN109561207A (zh)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RU2784010C2 (ru) Узел экрана дисплея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97619Y1 (ko) 격벽을 갖는 광확산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JP7404062B2 (ja) 表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