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310A -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310A
KR20140017310A KR1020120084113A KR20120084113A KR20140017310A KR 20140017310 A KR20140017310 A KR 20140017310A KR 1020120084113 A KR1020120084113 A KR 1020120084113A KR 20120084113 A KR20120084113 A KR 20120084113A KR 20140017310 A KR20140017310 A KR 2014001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mber
image
light
digital device
refle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숙
이영아
한경태
윤상원
이정록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310A/ko
Publication of KR2014001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 생성 및 출력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지털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일 예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에 구비되어 광을 소정 각도(angle)로 조사하는 광 조사부(light emitting unit); 및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 또는/및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space)상에 로고 이미지를 플로팅(floating)하는 반사 부재(reflecting unit)를 포함한 고정부(standing unit)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이다.
누군가에게 TV 이미지를 떠올려 보라고 하면 대부분은, 사각형 모양의 네모 박스를 떠올린다. 다시 말해,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대부분 유사한 모양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왜냐하면 디자인의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트렌드(trend)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법적 또는 해석상의 문제는 논외로 하더라도, 이렇게 각 제조사에서 제조된 물품들의 디자인(design)의 유사성이 강해질수록 소비자는 디자인에 근거한 제품 식별에 혼동 또는 혼동 염려가 더 커진다. 따라서, 소비자는, 제품의 디자인만으로 해당 제품이 어느 제조사(manufacturer)의 어떤 제품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이렇게 제품 식별이 힘들어지면, 소비자는 의도하지 않은 제품을 구매하는 등 구매 실수가 잦고, 제조사도 제품 판매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제조사는 이러한 소비자의 혼동 등으로부터 자사의 제품을 식별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디자인적 요소뿐만 아니라 자사 로고(logo)와 같은 식별 수단 예컨대, 트레이드마크(trademark)를 제품에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트레이드마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에게는 디자인만으로는 구분이 쉽지 않았던 제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의도하지 않은 제품을 구매하는 등의 구매 실수를 줄여주고, 제조사에게는 디자인 변경에 비해 적은 비용, 시간, 노력 등으로 타 제조사와의 차별화할 수 있게 해 준다.
더불어, 최근에 트레이드마크는, 단지 제품 식별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에 대한 신뢰도에도 큰 영향을 주어 소비자의 제품 구매 여부 판단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
한편, 종래 TV 등 디지털 기기는, 액정 또는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테두리 부분에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진 베젤(Bezel)을 구비하고, 베젤 상에 미리 제작된 트레이드마크를 부착하였다.
하지만, 최근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필요 또는 기능적인 요소 등을 고려하여, 점차 베젤을 줄이거나 아예 제거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이렇게 베젤을 줄이거나 제거해 버린다면, 종래 방식에 따를 경우에는 제품 외관에 트레이드마크를 부착할 공간이 부족하거나 없어 제품 식별 등이 다시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부재를 위한 베젤(Bezel)과 관계없이 즉, 상기 베젤의 두께나 폭이 얇거나 제거(무베젤)되더라도 로고(logo)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지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 생성 및 출력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지털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일 예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에 구비되어 광을 소정 각도(angle)로 조사하는 광 조사부(light emitting unit); 및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 또는/및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space)상에 로고 이미지를 플로팅(floating)하는 반사 부재(reflecting unit)를 포함한 고정부(standing unit);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반사 부재는, 상기 소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는, 반사판, 투명 아크릴, 및 프리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광 조사부 상에는, 상기 로고 이미지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로고 이미지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광 조사부 및 반사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 또는/및 볼록 렌즈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조사되거나 반사 또는/및 굴절되는 광을 집약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에는,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키 및 IR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를 지지하는 소정 두께의 베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기울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 또는 상기 베젤을 기준으로 프론트 패널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베젤(Bezel)의 두께 내지 폭이 얇거나 무베젤인 경우에도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출력되는 이미지를 통해 제품 식별, 구매 욕구 고취뿐만 아니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 구성 블록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로고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 외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고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 외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7은 디지털 기기에서 이미지를 생성 또는/및 출력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디지털 기기 외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기기(digital device)”라 함은, 일종의 컴퓨팅 기기(computing device)로, TV와 같은 고정형 기기(Stand Device)뿐만 아니라 노트북,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를 통칭하는 것으로, 컨텐트(content)를 처리하고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미지(image)”라 함은, 예를 들어, 제품 또는/및 제조사의 식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로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되고 출력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로는 제품 또는 제조사의 로고(logo)와 같은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는 로고 이미지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기기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기기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에 구비되어 광을 소정 각도(angle)로 조사하는 광 조사부(light emitting unit); 및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 또는/및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space)상에 로고 이미지를 플로팅(floating)하는 반사 부재(reflecting unit)를 포함한 고정부(standing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기기(100)는,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30), 복조부(140), 제어부(150), 비디오 출력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전원 공급부(180), 사용자 인터페이스(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기기(100)는,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리모컨(remote controller)(195) 또는 모바일 기기와 같은 다른 디지털 기기와 통신하여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가 방송을 지원한다면 RF(Radio Frequency) 튜너와 같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2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단일 캐리어(single-carrier)의 RF 방송 신호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의 복수 캐리어(multi-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40)는, 수신부(110)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이를 복조한다.
일 예로, 복조부(140)는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에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외부장치와 디지털 기기(100) 사이에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Blu-ray), 게임 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을 포함), 셋톱박스(STB), 모바일 기기 등을 포함한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디지털 기기(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이나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리모컨)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리모컨 또는 모바일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디지털 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8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50),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16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후술할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제어부는 각각 개별 실시 예일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 구성 블록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전술한 도 1에서와 같이, 디지털 기기(100)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부(251), 영상 디코더(252), 스케일러(252), OSD 생성부(257), 믹서(254),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 그리고 포맷터(2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251)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을 역다중화 한다.
영상 디코더(25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53)는, 복호화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resolution)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OSD 생성부(257)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믹서(254)는, 상기 OSD 생성부(257)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252, 253)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믹싱(mixing)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2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 주파수에 기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는, 입력되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포맷터(256)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2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256)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차분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도 1 내지 2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서로 병합되어 모듈화되거나 모듈에서 분리되어 개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는, 다양한 입력에 대해 일부 구성들은 입력되는 신호 내지 데이터를 바이패스(bypass)할 수도 있다.
도 3은 로고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 외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로고 이미지(330)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300)의 외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a)는 베젤(320)에 로고 이미지(330)가 부착된 디지털 기기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디지털 기기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3(b)를 참조하면, 디지털 기기(300)는 크게 화면이 제공되는 액정 등 디스플레이 부재(310)와 베젤(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젤(320)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부재(310) 즉,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비디오 또는 이미지에 대한 오디오를 제공하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젤(320)은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의 프론트 패널(front panel)로서, 전원 버튼, 해상도 조절, 밝기 조절 등과 같은 각종 기능 항목들도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에, 베젤(320)은 중앙 부분에 제조사 로고 이미지(330)를 부착한다.
다만, 로고 이미지(330)는, 기 제작된 로고 이미지를 베젤 표면상에 접착 또는 부착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태 등에 관계없이 항상 노출되어 있다.
또한, 로고 이미지(330)는, 오랫동안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이물질 등에 의해 탈색 또는 탈착의 염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새로운 로고 이미지를 해당 부분에 부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4는 로고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기기 외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전술한 도 3과 달리, 베젤의 두께를 최소화하거나 무베젤인 상태에서 로고 이미지(420)를 출력하는 디지털 기기(40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디지털 기기(400)는 도 3과 같이,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410)를 구비하였으나 도 3과 달리, 베젤의 두께를 최소화하거나 무베젤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디스플레이 부재(410)에 집중하도록 하거나 액정의 크기가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게 한다.
한편, 로고 이미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410)의 하단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로고 이미지(420)는 디스플레이 부재(410) 하단의 중앙이 아닌 측면 쪽에 위치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410)의 상단 또는 측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로고 이미지(420)는 제조사의 로고 이미지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이미지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는, 로고 이미지(420)는, 디지털 기기(400)의 상태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고, 동일 또는 다른 이미지의 경우에도 예를 들어, 시간대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컬러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등의 처리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디지털 기기(400)와 같이, 최소화된 베젤 또는 무베젤 상태에서 로고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5 내지 7은 디지털 기기에서 이미지를 생성 또는/및 출력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무베젤인 경우에 로고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나, 베젤이 있는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 가능하다.
반사 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에는,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키 및 IR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디지털 기기의 측면도를 예시하였다.
도 5(a)는 전술한 도 1에서의 디스플레이 부재(510) 하단의 지지 부재의 일부인 반사 부재로 반사판(520)을 이용하는 경우이고, 도 5(b)는 반사 부재로 투명 아크릴(530)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여기서, 도 5(a) 내지 5(b)의 반사 부재는 도 5(c)와 같이, 기본적으로 입광 되는 광을 반사 또는/및 굴절시켜 출력한다. 따라서, 입광 되는 광을 반사 또는/및 굴절하여 출광 하는 프리즘과 같은 모든 부재들이 반사 부재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반사 부재(520/530) 상에는 오목 또는/및 볼록 렌즈가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105) 상에도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광 조사부(105)와 반사 부재(520/530) 상의 렌즈 층 구조는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내지 5(b)를 참조할 때, 디스플레이 부재(510) 하단의 반사 부재(520/53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광을 소정 각도로 반사 부재(520/530)로 조사하는 광 조사부(10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 조사부(105)와 반사 부재(520/530) 중 적어도 하나 상에는 예를 들어, 로고 이미지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광 조사부 및 반사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 또는/및 볼록 렌즈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조사되거나 반사 또는/및 굴절되는 광을 집약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 조사부(105)에서 조사된 광은 예를 들어, 제1 렌즈 층 및 음각 또는 양각된 부분을 거쳐 제2 렌즈 층을 거쳐 입광되어 반사 부재를 거쳐 출광되어 도 5(d)와 같은 음각(intaglio) 또는 양각(carving)된 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광 조사부(105)와 반사 부재(520/530) 사이에 구현 가능한 제1 렌즈층, 제2 렌즈 층 등은 필요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c)에서, 반사 부재(520/5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부재(510)의 하단 전부에 반사 부재가 구현되거나 또는 반사 부재(520/530)는 단지 광 조사부(5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출광하는데 필요한 정도로만 구현되고 나머지 부분은 반사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 부재는 리모컨과 같은 신호의 수신을 위한 IR 수신부, 소정 기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 부재는, 광 조사부(105)의 크기와 동일 또는 그보다 더 크게 구현되어 입광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부분에 수신기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키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는, 반사 부재를 제외한 부분으로써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과 접촉되어 반사 부재를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내지 5(b)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부재의 앞면 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반사 부재(520/530)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과 소정 기울기로 구현되고, 전면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조절된다.
소정 기울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 또는 상기 베젤을 기준으로 프론트 패널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소정 기울기는,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을 기준으로 10도 내지 70도의 범위 내에서 형성 가능하나, 30도 내지 45도 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에 베젤이 구현된 경우에도 도 5의 반사 부재를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에 구현된 베젤의 두께 또는 폭이 너무 두꺼우면 베젤 상에 반사 부재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 경우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미지가 출력되는 공간을 베젤 내부에 형성한 후 해당 공간상에 도 5와 같은 반사 부재를 구현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도 6(b)와 같이, 만약 베젤의 두께 내지 폭이 적절한 정도이면, 베젤 상에 반사 부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6(a) 내지 6(b)는 편의상 측면도를 도시하여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았으나, 베젤 상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출력이 필요한 공간을 베젤과 별도로 확보함으로써 해당 공간에 반사 부재를 구현하여 베젤의 두께나 폭과 관계없이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a)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IR 수신부(720)가 디스플레이 부재(710) 상에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였다. 이는 주로 베젤 상에 주로 형성되었으나, 도 7(b)와 같이 고정부에 반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별도의 IR 수신부(720)를 구비하지 않고도 지지 부재(730) 상에 IR 수신부를 흡수하여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관 디자인에 방해를 주지 않고 필수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디지털 기기 외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반사 부재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반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디스플레이 부재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a)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 출력되기 전의 디지털 기기의 외관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가 출력된 디지털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그 밖에, 반사 부재는 소정 너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재의 너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너비를 가지며, 조사되는 광의 수광에 어려움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광 조사부(105)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광 조사부는 예를 들어, R, G, B 각 LED 또는 LED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컨대, 도 5(c)와 같은 반사판, 투명 아크릴 또는 프리즘에 R, G, B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비지블 이펙트(visible effect)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의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로고 이미지 제공 이전에 전체 투명 아크릴 또는 프리즘을 R, G, B 조합으로 스캔함으로써 전원 연결되었음을 알리고 이후에 음각 또는 양각된 로고 이미지에 R, G, B 광을 집중 조사하여 도 7(b)와 같은 로고 이미지가 공간상에 플로팅되도록 한다.
한편, 광 조사부(105)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LED 세트 중 하나의 광만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줄여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부재와 광 조사부(105) 상에는 오목 또는/및 볼록 렌즈를 적절히 배치하여 조사되는 광을 집약하거나 광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여 광의 확산과 집약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축소 또는 확대 등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 세트의 뎁쓰(depth)가 주는 표현 사이즈의 한계를 상기와 같이, 적절한 렌즈를 선택 또는 배치함으로써 표현 사이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원하는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음각 또는 양각된 이미지가 충분히 작더라도 이러한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도 8(b)와 같이 충분한 정도의 사이즈로 확대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광 조사부(105)의 led 세트의 각도 또는/및 그와 연계된 세트 쪽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 각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조사되는 광의 세기나 각도를 임의 조절하여 반사 부재의 각도가 고정된 경우에도 플로팅 되는 이미지의 크기, 위치 등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TV 세트가 도 7(b) 또는 도 8과 같은 반사 부재 구조를 가지지 않고 평면 또는 아예 반사 부재가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하단이 아닌 후면 하단 쪽에 광 조사부가 위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러한 TV 세트는 스탠드 형이 아닌 벽걸이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벽걸이 형인 경우에 반사 부재가 없는 경우에도 제어부(150)는, 벽까지의 거리 또는/및 광 조사부의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벽을 통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도 7(b) 또는 도 8과 유사한 위치에 유사한 크기의 로고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광 조사부는 예컨대, 제어부(150)의 제어 이외에도 수동으로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TV 세트 설치 시에 설치 기사가 간편하게 조작하여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150)는 TV 세트의 상태에 따라 광 조사부(105)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이미지로 TV 세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세트가 전원은 연결되었으나 파워-온 신호 등이 입력되지 않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는 광 조사부(105)를 통해 R LED 소자의 광이 주로 조사되도록 하고, 스탠바이 상태가 해제되어 TV 세트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성화 상태에서는 G LED 소자의 광이 주로 조사되도록 하고, TV 세트가 스탠바이 상태는 아니나 소정 시간 이상 아무런 입력이 없거나 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 등의 움직임이 없는 등 슬립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B LED 소자의 광이 주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는 TV 세트의 상태에 따라 특정 LED 소자의 광을 받아 다양한 컬러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가 이미지의 색상만으로도 쉽게 현재 TV 세트의 상태를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광 조사부(105)를 통해 LED 세트 내 각 LED 소자의 광 조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TV 세트의 파워 상태나 볼륨 레벨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b) 또는 도 8의 경우, 이미지와 별도로 사용작가 리모컨 등을 통해 볼륨 레벨을 업/다운시킨다고 한다면, 제어부(150)는 현재 볼륨 레벨이 최대 볼륨 레벨 대비 어느 정도인지 막대 그래프 형태로 적절히 R, G, B LED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막대 그래프 형태는 도 9(b)의 이미지가 플로팅 되는 영역에서 좌측을 볼륨 레벨 제로(0)이라고 가정하면, 우측으로 갈수록 볼륨 레벨이 업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광이 조사되도록 LED 소자의 광 조사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출력되는 볼륨 레벨 막대 그래프 형태와 기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가 일부 오버랩될 수도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파워 상태도 막대 그래프 형태로 출력 가능하다. 이는 주로 모바일 기기에서 이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반사 부재는 예를 들어, 광 수신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소정 기능 수행을 위한 키 입력을 전송하면 반사 부재에서 이러한 리모컨의 키 입력을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의 광 조사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광 조사부는 광 수신부의 역할을 대신하고, 광 조사부는 이러한 신호가 전송되면 다시 광을 조사하여 간단하게 로고 이미지 또는 반사 부재 스캔을 통해 리모컨 입력 수신 여부를 피드백(feedback)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부재는 예컨대, 일 측이 디스플레이 부재의 후면 쪽 또는 그의 하단에 형성된 베젤의 일 측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반사 부재는 도 7(b) 또는 8과 같은 형상을 가진 경우에는 예컨대, 반사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지지 부재는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부재와 지지 부재를 합쳐 고정부라 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를 세트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접근 시에는 로고 이미지 출력에서 해당 반사 부재가 예컨대, 리모컨에 대응되는 TV 컨트롤러, 메뉴나 해상도 조절과 같은 기능 버튼, 또는 세트 비밀번호 해제/연결 등을 위한 터치 보드로 이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시네마 스크린과 같이 IR이 돌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반사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즉, IR 수신부를 대신하여 세트 외관을 깔끔하게 디자인 가능하고 반사 부재를 다용도로 이용 가능하다.
한편, 반사 부재의 각도는 매질의 굴절율 등을 고려하여 고정이 아니라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로 제어부(150)에서 광 조사부(105)의 광 조사 각도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동일 조사 각도에 대해 반사 부재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도 8(b)와 같이, 반사 부재와 세트 하단의 소정 공간상에 적절하게 이미지 등이 플로팅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 부재는 반드시 세트 하단에 부착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스탠드형 세트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가 필요하고, 이러한 지지 구조상에 적절하게 반사 부재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구조상에 구현된 반사 부재의 각도, 렌즈 등과 광 조사부의 광 조사 각도, 렌즈 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반사 부재와 스탠드형 세트의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소정 크기로 이미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400: 디지털 기기 410: 디스플레이 부재
420: 로고 이미지 520,530: 반사 부재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에 구비되어 광을 소정 각도로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소정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 또는/및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하단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상에 로고 이미지를 플로팅(floating)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 고정부(standing unit);
    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소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타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반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와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반사판, 투명 아크릴, 및 프리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또는 광 조사부 상에는,
    상기 로고 이미지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로고 이미지가 음각 또는 양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 광 조사부 및 반사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 또는/및 볼록 렌즈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조사되거나 반사 또는/및 굴절되는 광을 집약 또는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 또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에는,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 키 및 IR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를 지지하는 소정 두께의 베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울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하단 또는 상기 베젤을 기준으로 프론트 패널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10도 내지 70도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KR1020120084113A 2012-07-31 2012-07-31 디지털 기기 KR2014001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13A KR20140017310A (ko) 2012-07-31 2012-07-31 디지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13A KR20140017310A (ko) 2012-07-31 2012-07-31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10A true KR20140017310A (ko) 2014-02-11

Family

ID=5026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113A KR20140017310A (ko) 2012-07-31 2012-07-31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3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25A1 (en) * 2016-09-01 2018-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9661810A (zh) * 2016-09-01 2019-04-1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19135461A1 (ko) * 2018-01-04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25A1 (en) * 2016-09-01 2018-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9661810A (zh) * 2016-09-01 2019-04-1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US10823994B2 (en) 2016-09-01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9661810B (zh) * 2016-09-01 2021-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US11112635B2 (en) 2016-09-01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19135461A1 (ko) * 2018-01-04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9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307101A1 (en) Display apparatus
CN105093580B (zh) 一种防窥结构、显示面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EP3036896B1 (en) Display apparatus
KR101382926B1 (ko)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CN102177710B (zh) 显示设备、控制显示设备的发光二极管阵列的方法
KR101911705B1 (ko)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쇼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쇼케이스 시스템
US20070164975A1 (en) Display device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10088623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120106121A1 (en) Display apparatus
KR20080080935A (ko)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
KR20140017310A (ko) 디지털 기기
JP6074591B2 (ja) 表示装置
CN201199314Y (zh) 一种多功能投影dvd机
KR20140017309A (ko) 디지털 기기
KR102224634B1 (ko) 영상표시장치
CN110730338A (zh) 一种电视背景墙投影装置
KR101470630B1 (ko) 텔레비젼 시스템
JP2016065929A (ja) 電子機器、映像システムおよび眼鏡装置
US20180184040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JP2023069643A (ja) 表示装置
KR202400239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4064230A (ja) 表示装置
KR20230089075A (ko) Tv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