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935A -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 - Google Patents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935A
KR20080080935A KR1020080018823A KR20080018823A KR20080080935A KR 20080080935 A KR20080080935 A KR 20080080935A KR 1020080018823 A KR1020080018823 A KR 1020080018823A KR 20080018823 A KR20080018823 A KR 20080018823A KR 20080080935 A KR20080080935 A KR 2008008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multimedia information
mirror
digital multimedi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주
Original Assignee
(주)쓰리디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디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쓰리디아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8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미러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외선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인터랙티브 또는 쌍방향) 디지털 정보 거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시스템 케이스부;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하고 외부의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하프미러; 상기 하프미러의 일면에 위치하며, 물체를 센싱하여 물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에서 추출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미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거울, 하프미러, 터치센서, 인터랙티브, 원격 제어

Description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Interactive digital multimedia information mirror device}
본 발명은 하프미러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센서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인터랙티브 또는 쌍방향) 디지털 정보 거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의 진보와 네트워크 및 정보 디스플레이 기술의 진화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정보통신 기술의 고도화로 각종 정보들이 넘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공간에서 자신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 위주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기존의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정보 제공 대신 사용자 중심의 선택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프미러를 이용한 정보전달 장치는 주로 광고판의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단지 단순한 필름형태의 이미지나 간단한 동영상 형태의 이미지를 광고판 형태로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어려운 단점과 사용자 위주의 컨텐츠 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광고선전을 위한 이벤트의 일환으로 근접 적외선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시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만을 통하여 영상표출을 제어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프미러를 이용한 정보전달 장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하프미러를 이용한 정보전달 장치는 시스템 케이스(110), 디스플레이(120), 하프미러(130) 및 근접센서(14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20)는 시스템 케이스(1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영상을 제공한다. 하프미러(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상면에 위치하며 일정한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가지고 있다. 근접센서(140)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한다.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 구성에서 사용되는 근접센서(140)를 이용한 장치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PDP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전원 on/off시 약 10초이상의 대기시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을 관찰하기 위해서 고정된 위치에서 일정시간을 대기해야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내용전달이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하프미러를 이용한 정보전달 장치는 단순히 디스플 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를 통한 표시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람의 접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거울의 기능 또는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이미지의 광고 기능만 수행한다. 특히 이러한 거울의 구성에 있어 하프미러의 특성은 낮은 반사도에 의한 거울 기능의 저하와 단순한 광고형태의 이미지 제공만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장치는 일반적인 가정이나 각종 공공장소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중심에서 직접 선택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장치가 다양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사용자는 단순 거울의 기능과 더불어 자신이 원하는 각종 유익한 정보만을 직접 선택하여 제공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은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들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무선인터넷, 블루투스, RFID, 휴대폰 정보통신망등을 이용한 각종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용 정보통신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장치에서 선택한 유용한 정보를 즉시 자신의 단말기나 개인정보 저장위치로 다운로드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은 다양한 유무선통신 기술들과 결합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주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LAN, 무선인터넷, 근거리 무선통신, 이동통신등을 이용한 각종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주변 장치들을 제어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시스템 케이스부;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하고 외부의 광을 반사할 수 있는 하프미러; 상기 하프미러의 일면에 위치하며, 물체를 센싱하여 물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에서 추출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미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프레임 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수신하는 광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은 적외선 또는 상기 적외선보다 파장이 짧은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는 투과성이 높은 센서로서 음파진동센서, 저항막방식센서, 정전용량방식센서, 압력방식센서, 이미징센서,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는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반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프미러는 20 ~ 30%의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영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PDP, LCD, OLED, 프로젝터 및 입체영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가 물체를 센싱하는 경우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영상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평상시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거울위에 가벼운 손 터치를 하면, 디스플레이의 화면상 동일 위치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종래기술과 같이 사전에 지정된 이미지나 동영상의 시청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영상 인식센서를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관람함으로 사용자에게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직접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양방향 대화형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화된 구조의 장치 구성을 통하여, 장치의 설치나 분해시 용이성과 최소의 설치공간을 제공하여 기존의 다양한 공간이나 장소에 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사무실, 화장실, 공공장소, 대화형 광고장치등에 다양한 형태로 응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가정내 다양한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구성에 따른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케이스부(210), 디스플레이부(220), 하프미러(230) 및 터치 센서(240)가 도시된다.
시스템 케이스부(21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 하프미러(230) 및 터치 센서(24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따라서 벽이나 일정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액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케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수용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하프미러(230)는 평상시 거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반사율을 가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출력된 영상을 투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투 과율을 가진다.
터치 센서(240)는 하프미러(230) 전면에서 물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센서(240)는 이러한 물체 위치 인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20)에 소정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별도의 멀티미디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세부 구성품에 대한 개략도이다.
시스템 케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제어부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20), 터치 센서(240), 스피커 및 영상카메라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특히 시스템 케이스부(210)의 뒷면 일단부(예를 들면,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부(220) 및 제어부의 열을 발산하기 위한 송풍구 및 발열팬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케이스부(210)의 뒷면 타단부(예를 들면, 하단부)에는 장치의 변경 및 수리를 위한 점검구 형태의 개폐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프미러(230)의 반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시스템 케이스부(210)의 외부를 검정색 시트지나 도색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며, 박막형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20)는 PDP, LCD, OLED, 프로젝터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특히 높은 휘도를 갖는 약 2~100인치급 PDP나 LCD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20)는 2~100인치 정도로 예시를 하였으나 그 외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220)가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프미러(230)는 내부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시스템 케이스부(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20~30%의 투과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230)는 투과율이 약 25%이며, 경우에 따라 20~30%사이의 범위내에서 알맞게 조정 할 수 있다. 하프미러(230)의 투과율이 20%이하일 경우에는, 전면에서 거울의 기능은 우수하다. 그러나 하프미러 후면의 디스플레이 영상이 투과되는 밝기는 전체적으로 어두워져 시청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투과율이 30%이상일 경우에는 하프미러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의 구조가 보이며, 전면에서 거울의 반사율이 낮아져 거울의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프미러(230)가 우수한 거울의 기능과 더불어 하프미러 후면의 디스플레이 영상이 우수한 시안성을 갖는 투과도를 얻기 위해서는 Ag-멀티레이어 코팅(Ag-Multilayer coating)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Ag-멀티레이어 코팅은 전체 하프미러(230)에서 디스플레이부(220)로 사용되는 부분만을 먼저 코팅되지 않도록 보호용 마스킹 작업을 한다. 그리고 그 외 부분에 대하여 일정 두께 이상의 두꺼운 Ag 코팅을 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220) 영역에 보호용 마스킹을 제거하고 전체적으로 다시 일정 두께의 얇은 Ag를 코팅한다. 따라서 하프미러(230)는 전체적으로 거울의 기능을 수행 할 때 높은 반사율을 유지 할 수 있다. 그리고 하프미러(23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기능을 수행 할 때는 높은 투과도를 유지하여 해당 영상의 시안성을 향상 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터치 센서(240)는 물체 인식을 위한 광센서로서, 예를 들면 적외선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 터치 센서(240)는 하프미러(230)의 일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터치 센서(240)는 하프미러(230)의 타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물체 인식을 한다. 특히 터치 센서(240)는 전체 프레임 크기 중 디스플레이 영상이 나타나는 영역에서 세부 영역을 특정하도록 위치를 재설정 한다. 또한 터치 센서(24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영상과 터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0)와 터치센서(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내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단면구조를 살펴본다. 후면에는 시스템 케이스부(210)와 여기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위치한다. 그 위에 거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프미러(230)는 유리기판(236)위에 Ag멀티레이어(233)가 코팅된 형태로 구성된다. 하프미러(230)의 상부에는 외부 물체의 위치 및 이벤트 인식을 위한 터치센서(240) 프레임이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벽면이나 일정 공간의 내부로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그리고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외부에서 관찰시 주변의 인테리어나 미관을 고려하여 매립형 케이스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일반 벽면의 외장형으로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벽면에 내장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장치의 외곽에 벽면 지지대를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장치의 교체 및 보수를 위해 별도의 하프미러와 적외선 터치센서를 위한 외장형 고정 지지대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5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에 사용된 터치센서의 구조도 이다. 이하에서는 적외선 터치센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적외선 터치센서(240)는 사각형의 프레임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A1, A2, A3, …, An)과 상측(B1, B2, B3, …, Bn)에는 각각 적외선 LED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반대편의 우측(R1, R2, R3, …, Rn)과 하측(r1, r2, r3, …, rn)에는 적외선 LED의 빛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리시버소자가 역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각각 A1에 상응하는 R1과 B1에 상응하는 r1의 적외선 신호가 매트릭스로 송수신되고 있다. 사용자가 일정 영역안에 손이나 물체를 접근시키면 적외선 빛의 송수신이 단절되면서 해당 위치가 검출된다. 이를 이용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해당 제어장치로 보내어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도 5와 같은 적외선 터치센서(240)를 이용하면,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단지 하프미러만을 통과하여 표출함으로 선명한 영상 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의 적외선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의 컨텐츠 및 정보화면을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잇다. 그 외 터치센서는 적외선이 아닌 적외선보다 파장이 짧아 투과성이 높은 광(예를 들어 가시광선, 자외선등)을 이용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상술한 광을 이용한 터치센서가 아닌 투과성이 높은 터치센서로서 하프미러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터치센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투과성이 높은 센서로서 하프미러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터치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센서는 기존의 저항막방식센서, 정전용량방식센서, 압력방식센서, 음파진동센서, 근접센서, 이미징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의 구성 개략도를 제시한다.
시스템 케이스부(210), 디스플레이부(220), 하프미러(230) 및 터치 센서(240)의 위치 및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시스템 케이스부(210) 내부에는 제어부(510)를 내장 할 수 있도록 내부 구조를 배열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10)는 내부의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 터치 센서(240) 및 제어부(510)에는 각각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포트(520) 및 전원공급 케이블(53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와 같이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평상시 하프미러에 의해 일반적인 거울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하프미러 배면의 디스플레이(220)는 검은색의 바탕화면을 갖는 대기화면 모드를 유지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하프미러 위에 가벼운 손터치를 하면, 하프미러 전면에 위치하는 적외선 터치센서(240) 프레임이 이를 인식한다. 이후 도 7의 (b)와 같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출력화면 모드로 변경되어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화면이 표출 된다.
이때 제어부(510)는 적외선 터치센서(240)에 의해 하프미러 위의 손터치 위치에 상응하는 도 7의 (b)의 A, B, C, D의 상하좌우 검출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한 해당 위치와 디스플레이부(220) 화면상의 위치를 연결한다. 그리고 마우스 클릭 및 더블 클릭등의 효과를 부가하여 구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20)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에는 상부의 대형 디스플레이부(220) 화면이외에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 할 수 있다.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개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독립된 별도의 크기로 각종 동영상 및 다양한 정보를 표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정에서 사용되는 경우 가족 동영상 및 디지털 액자의 기능 수행, 또는 주식정보등을 표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유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에 연결 할 수 있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장치 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 할 수 있다.
도 7의 (c)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디스플레이(220)에 원격 제어 가능한 가정내 전자장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된 원격 제어 가능한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가능한 전자장치의 선택은 터치센서(240)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전자장치가 표시된 부분의 터치센서를 터치함으로서 해당 전자장치가 선택되게 된다. 전자장치 표시위치에 위치한 터치센서(240) 영역을 통한 전자장치 선택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제어한다.
도 7의 (d)는 TV를 원격 제어 하기 위한 TV 제어 메뉴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디스플레이(220)에 표시된 도면이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도 7의 (c)에서 TV를 원격 제어 하기 위해 선택하면 이후 디스플레이(220)에는 TV 제어 메뉴가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된 제어 메뉴 중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TV를 원격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서도 TV 제어 메뉴의 선택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240)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원격 제어 하기 위해 TV를 예로 들었지만 그 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와 인터넷이나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내장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대화형 디지털 멀 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시스템 케이스부(710), 디스플레이부(720), 하프미러(730), 터치 센서(740) 및 입체 영상(75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2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내장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과 같이 평상시 거울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사람이 접근하여 거울 위에 손을 올린다. 이후 터치센서(740)에 의해 하프미러(730) 배면에 위치한 3차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부(720)에서 입체영상이 투영된다. 입체영상은 하프미러 전면의 허공에 투영된다.
도 9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제어 흐름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20), 터치 센서(240), 제어부(510), 전원부(810), 통신부(820), 영상제공 케이블(830), 스피커(840) 및 영상 카메라(85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6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전원부(810)은 디스플레이부(220)와 제어부(510)와 통신부(820)에 연결된다.
제어부(510)는 터치 센서(240), 통신부(820), 스피커(840) 및 영상 카메라(8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10)는 터치 센서(240)에 인식된 위치를 디스플레이부(220)와 연결하여 해당 컨텐츠를 표출한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터치 센서(240)를 터치하면, 터 치 센서(240)에서 감지한 터치한 해당 위치 신호를 제어부(510)로 보내준다.
이때 제어부(510)는 통신부(820), 스피커(840), 영상 카메라(8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1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화면에 영상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510)는 터치 센서(240)의 위치 신호에 맞는 디스플레이부(220) 화면의 위치에 해당 이벤트를 발생 시킨다. 그리고 보다 효과적인 연출을 위하여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510)는 각종 음향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외부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외부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메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820)를 통해 해당 전자장치(87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82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영상신호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82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820)는 예를 들면, LAN, RFID,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Zigbee), Wi-Fi, Wibro, 이동통신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여 제어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510)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통신부(820)를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220)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20)는 터치 센서(24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 부(51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인터넷/홈네트워크(860)를 통하여 전자장치(87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820)가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N,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Zigbee), Wi-Fi, Wibro. 이동통신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여 제어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510)는 통신부(820)를 통하여 송신한 제어신호로 인터넷/홈네트워크(860)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치(870)를 제어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10)는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TV, 냉장고, 세탁기, 오디오, 컴퓨터등의 전자장치(870)를 원격 제어 할 수 있다.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가 인터넷/홈네트워크(860)와 연결되어 전자장치(870)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은 도 11에서 후술 하기로 한다.
도 10와 도 11은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단계 S910에서, 외부의 터치 인식이 없는 경우는 단계 S930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평상시 검은색바탕의 대기화면 모드를 유지하여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단계 S910에서, 외부의 터치인식 발생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계 S920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영역에 해당 영상을 표출하여 다양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장치의 기능을 수행 한다.
단계 S940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센서는 터치센서 위치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이에 상응하는 정확한 위치를 검출한다.
단계 S950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거나 인터넷/홈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면 단계 S960이 수행된다. 만일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단계 S970이 수행된다.
단계 S960에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가 클릭 가능한 메뉴를 제시하며, 사용자는 해당 위치의 메뉴를 선택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다.
단계 S970에서, 제어부는 인터넷/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가능한 전자장치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해당 전자장치의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전자장치의 제어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전자장치를 원격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 TV, 냉장고, 세탁기, 오디오, 컴퓨터등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전자장치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장치를 선택한다. 그러면 해당 전자장치의 제어 메뉴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어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전자장치의 제어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선택과 선택된 전자장치의 제어 메뉴 선택 기능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 예로서 사용된 적외선 터치센서는 좌우 사각형 프레임에 적외선 송신부와 수신부가 각각 상하좌우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로서 투과성이 높은 터치센서를 하프미러의 일면에 배치하여 터치센서 기능을 수행 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카메라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웹캠이나 CCTV용 저가의 카메라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의 구성은 경우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 형태의 다양한 구성과 형태의 변경이 가능 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의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의 세부 구성품에 대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에 사용된 적외선 터치센서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의 장치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의 작동원리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장치.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의 제어 흐름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의 제어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시스템 케이스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하프미러
240: 터치 센서
510: 제어부
810: 전원부
820: 통신부
830: 영상제공 케이블
840: 스피커
850: 영상 카메라
860: 인터넷/홈네트워크
870: 전자장치

Claims (14)

  1.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시스템 케이스부;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하고 외부의 광을 반사할 수 있는 하프미러;
    상기 하프미러의 일면에 위치하며, 물체를 센싱하여 물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터치센서;
    상기 터치 센서에서 추출된 물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미리 설정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시스템 케이스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적외선 또는 상기 적외선보다 파장이 짧은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는 투과성이 높은 센서로서 음파진동센서, 저항막방식센서, 정전용량방식센서, 압력방식센서, 이미징센서,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반사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20 ~ 30%의 투과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되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상기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장치로 송신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원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PDP, LCD, OLED, 프로젝터 및 입체영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가 물체를 센싱하는 경우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영상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 거울 장치.
KR1020080018823A 2007-03-02 2008-02-29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 KR20080080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55 2007-03-02
KR20070020755 2007-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935A true KR20080080935A (ko) 2008-09-05

Family

ID=3973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823A KR20080080935A (ko) 2007-03-02 2008-02-29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0935A (ko)
WO (1) WO200810855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23B1 (ko) * 2011-07-07 2012-03-06 주식회사 시광 광고물?광고영상?조명의 트레블이펙트(Treble Effect)를 통한 다이나믹 광고장치
KR101274362B1 (ko) * 2010-10-29 2013-06-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385717B1 (ko) * 2012-11-14 2014-04-15 주식회사 더브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워크인 쿨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워크인 쿨러
KR20150083609A (ko) * 2014-01-10 2015-07-20 송기선 조광미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9163994B2 (en) 2009-01-23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80107300A (ko) * 2014-03-13 2018-10-01 이베이 인크. 사용자 관심에 기초한 대화형 디스플레이
KR20200028660A (ko) * 2018-09-07 2020-03-17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월패드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0160A (zh) * 2013-06-13 2013-09-04 苏州旭宇升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橱窗
CN103996362A (zh) * 2014-05-04 2014-08-20 赵颖 一种多媒体影音镜
WO2018009399A1 (en) 2016-07-08 2018-01-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irror having an integrated electronic display
WO2018013074A1 (en) * 2016-07-11 2018-0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rror display devices
US10602861B2 (en) 2018-07-03 2020-03-31 Ksenia Meyers Digital vanity mirror assembly
WO2022050216A1 (ja) * 2020-09-04 2022-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2855B2 (ja) * 2002-07-23 2009-06-03 株式会社 ニューコム ショーウィンドウ・インタラクティブ表示装置
JP4427968B2 (ja) * 2003-05-23 2010-03-10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タラクティブ型形状及び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6053277A (ja) * 2004-08-10 2006-02-23 Scalar Corp 多機能画像表示装置
JP2006066610A (ja) * 2004-08-26 2006-03-09 Fujitsu Ltd 光増幅装置、ラマン増幅器、光波長多重伝送システム、光波長多重伝送方法
JP2006126379A (ja) * 2004-10-27 2006-05-18 Scalar Corp 多機能画像表示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3994B2 (en) 2009-01-23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KR101274362B1 (ko) * 2010-10-29 2013-06-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116223B1 (ko) * 2011-07-07 2012-03-06 주식회사 시광 광고물?광고영상?조명의 트레블이펙트(Treble Effect)를 통한 다이나믹 광고장치
WO2013005889A1 (ko) * 2011-07-07 2013-01-10 주식회사 시광 광고물/광고영상/조명의 트레블이펙트를 통한 다이나믹 광고장치
KR101385717B1 (ko) * 2012-11-14 2014-04-15 주식회사 더브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워크인 쿨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워크인 쿨러
KR20150083609A (ko) * 2014-01-10 2015-07-20 송기선 조광미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80107300A (ko) * 2014-03-13 2018-10-01 이베이 인크. 사용자 관심에 기초한 대화형 디스플레이
US10664543B2 (en) 2014-03-13 2020-05-26 Ebay Inc. System, method,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customized fitting room environment
US10706117B2 (en) 2014-03-13 2020-07-07 Ebay Inc.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utilizing wear time to recommend items
US11188606B2 (en) 2014-03-13 2021-11-30 Ebay Inc. Interactive displays based on user interest
US11544341B2 (en) 2014-03-13 2023-01-03 Ebay Inc. Social shopping experience utilizing interactive mirror and polling of target audience members identified by a relationship with product information about an item being worn by a user
KR20200028660A (ko) * 2018-09-07 2020-03-17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월패드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8558A1 (en)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0935A (ko) 대화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거울 장치
US1086758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101382926B1 (ko)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102271433B1 (ko)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US7916129B2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KR1022453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52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92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70410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nd-wear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CN110476147B (zh) 电子装置及其显示内容的方法
US2016013217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display apparatus
EP3144785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nput function
CN104780451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TW201533475A (zh) 投影系統及其投影方法
CN103793047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7201580A (ja) 壁掛けtvの存在を、未視聴時に目立たなくする一連の装置。
US20120176544A1 (en) Method for auto-setting configuration of televis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type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KR20130003384A (ko) 화상 및 미러 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0612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80024696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879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5505A (ko) 이동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86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225399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