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113A -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113A
KR20190083113A KR1020180000659A KR20180000659A KR20190083113A KR 20190083113 A KR20190083113 A KR 20190083113A KR 1020180000659 A KR1020180000659 A KR 1020180000659A KR 20180000659 A KR20180000659 A KR 20180000659A KR 20190083113 A KR20190083113 A KR 20190083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nection pipe
connection
valves
manu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517B1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인광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광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광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5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01H33/56Gas reservoirs
    • H01H33/563Gas reservoirs comprising means for monitoring the density of the insulating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가스 성분분석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SF6 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가스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로부터 SF가스를 상기 가스분석기로 공급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며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2연결배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분석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로 구성된 연결배관부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 상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3연결배관 상에 설치된 제2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상에 설치된 제3수동개폐밸브로 구성된 밸브부를 포함하는 연결배관모듈; 상기 제2연결배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가스 성분분석방법{SF6 GAS COMPONENT ANALYSIS AUXILIARY DEVICE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AND SF6 GAS COMPONENT ANALYSIS METHOD USING THIS SAME}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분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전열개폐장치와 가스분석기를 연결하여 가스분석작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고 SF6가스의 외부배출없이 소량의 SF가스만을 이용해 가스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분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연 개폐 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이하, 'GIS'라 한다)란 변전소 등과 같은 고압 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갖는 시설에서 정상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사고시 단락, 지락 등의 이상 상태에서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전력 계통을 보호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GIS는 차단기(CB), 상부 단로기(상부 DS), 제1모선단로기(제1BUS DS), 제2모선단로기(제1BUS DS) 등으로 나뉘어진 구획 내부에 SF6(육불화황 가스)를 충진되어, 이 SF6를 이용하는 가스절연방식의 기기이다.
도 1과 같이, GIS는 차단기, 상부 단로기, 제1모선단로기, 제2모선단로기의 구획 내부에 SF6를 충진 또는 배기시키기 위해 각각 가스밸브(14a,14b,14c,14d)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GIS는 차단기(CB), 상부 단로기(상부 DS), 제1모선단로기(제1BUS DS), 제2모선단로기(제1BUS DS)의 구획 내부에 충진된 SF6를 가스분석기를 통해 SF6의 오염도를 분석하여 오염도에 따라 각 구획에 충진된 SF6를 교체한다.
구체적으로, 가스분석기(20)를 통해 SF6에 포함된 수분함량이나 아황산가스의 함량을 분석하여 SF6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SF6의 오염도를 분석하여 SF6를 교체할 수 있다.
SF6를 가스분석기(20)를 통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작업자는 도 1과 같이, 제1가스밸브(14a)에 가스분석기(20)를 연결하고, 제1가스밸브(14a)의 레버(h)를 열어 차단기(CB) 구획 내의 SF6가스가 가스분석기(20)로 유입되게 하여 차단기(CB) 구획 내에 충진된 SF6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고, 이 작업이 끝난 후에 순차적으로 가스분석기(20)를 제2가스밸브(14b)에 연결하여 상부 단로기(상부 DS)의 구획내에 충진된 SF6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각각 가스분석(20)를 제3가스밸브(14c)에 연결하여 제1모선단로기(제1BUS DS)의 구획내에 충진된 SF6 가스의 분석을 진행하고, 또한, 가스분석기(20)를 제4가스밸브(14d)에 연결하여 제2모선단로기(제1BUS DS)의 구획내에 충진된 SF6 가스의 분석작업을 진행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GIS 기기의 각 구획 내에 충진된 SF6 가스분석을 위해서, 제1내지 제4가스밸브(14a,14b,14c,14d)에 각각 가스분석기(20)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가스분석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스분석기(20)를 가스밸브(14a,14b,14c,14d)에 연결하고, 가스밸브의 레버(h)를 열어 GIS로부터 SF6가 가스분석기(20)로 유입될 때, 가스분석기(20)와 가스밸브를 연결한 배관 내의 공기가 먼저 가스분석기(20)로 유입된 다음에 SF6가 가스분석기(20)로 유입되게 됨으로써, 가스분석기(20)의 분석에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분석기(20)로 먼저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로 드레인되게 한 후, SF6만을 유입시켜 가스분석기(20)에 유입시켜 가스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가스분석기(20)와 가스밸브(14a,14b,14c,14d)를 연결한 배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드레인 시킨 과정에서, GIS로부터 초기 배출되는 SF6까지 외부(대기)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SF6는 지구온난화를 유발시키는 대표적인 환경 오염물질의 하나로 2005년 2월 발효된 교토 의정서에서도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을 정도로 대기오염의 원인물질로서, 이렇게 GIS의 가스분석시 대기로 배출되어지는 SF6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769671호 공개특허 10-2014-0006413호 공개특허 10-2015-00468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SF6 가스분석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분석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SF6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최소한의 SF6 가스만을 사용하여 가스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분석 보조장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가스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로부터 SF가스를 상기 가스분석기로 공급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며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2연결배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분석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로 구성된 연결배관부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 상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3연결배관 상에 설치된 제2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상에 설치된 제3수동개폐밸브로 구성된 밸브부를 포함하는 연결배관모듈; 상기 제2연결배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배관모듈은 베이스판; 하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연결배관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배관부가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완충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연결배관부에 고정되는 내관;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해 상하 이동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되는 SF6를 수거하여 가스회수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분석 보조장치를 이용한 가스분석방법은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가스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로부터 SF가스를 상기 가스분석기로 공급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며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2연결배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분석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로 구성된 연결배관부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 상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3연결배관 상에 설치된 제2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상에 설치된 제3수동개폐밸브로 구성된 밸브부를 포함하는 연결배관모듈; 상기 제2연결배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가스분석조장치를 이용하는 가스분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밸브부를 조작하여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6가스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가스분석기에 공급되어 상기 각 구획 내부의 SF6가스에 대한 가스분석이 이루어지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연결배관부 내에 잔존하는 SF6가스를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가스회수부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한꺼번에 모두 연결하여 밸브조작을 통해 각 가스밸브를 개별적으로 가스분석기에 연결하여 가스분석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 비해 가스성분분석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한꺼번에 모두 연결하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다음에, 밸브조작을 통해 각 가스밸브로부터 SF6가스가 진공유로를 통해 가스분석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기존과 같이 가스절연개페장치와 가스분석기의 연결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드레인 하기 위해 SF6가스까지 외부로 배출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없이, 가스성분분석을 위해 소량의 SF6만이 소요되므로, 가스절연개페장치의 유지보수에 유리하며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SF6가스를 가스분석기로 분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분석 보조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스분석 보조장치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가스분석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분석보조장치(100)는 연결배관모듈(101)과 진공펌프(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배관모듈(101)은 절연가스개폐장치(10)의 가스밸브들(14a,14b,14c,14d)과 가스분석기(20)를 연결하여 각 가스밸브(14a,14b,14c,14d)로부터 SF6가스를 가스분석기(2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배관모듈(101)은 베이스판(110), 연결배관부(120), 밸브부(v1~v6) 및, 완충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판(110)은 사각판 형태로 구성되며, 베이스판(110) 상에 나머지 구성들이 설치된다. 베이스판(110)은 가스절연개폐장치(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베이스판(110)은 절연가스개폐장치(10)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배관부(120)는 가스절연개폐장치(10)의 복수의 가스밸브(14a,14b,14c,14d)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121,122,123,124)과, 복수의 제1연결배관(121,122,123,124)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2연결배관(125)과, 제2연결배관(125)의 측단에 형성되며 가스분석기(20)가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1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가스절연개폐장치(10)는 가스밸브(14a,14b,14c,14d)가 4개로 구성되므로 제1연결배관(121,122,123,124)은 4개로 구성된다. 다만, 가스절연개페장치(10)의 가스밸브의 수가 5개 6개인 경우, 제1연결배관(121,122,123,124)은 그 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연결배관(121,122,123,124)은 서로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가스밸브(14a,14b,14c,14d)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연결배관(121,122,123,124)은 가스밸브(14a,14b,14c,14d)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4개의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각각 가스밸브(14a,14b,14c,14d)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연결배관(126)의 말단에는 진공펌프(105)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3연결배관(126)은 제1연결배관(121,122,123,124)과 나란히 배치되도록 제2연결배관(126)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부(v1~v6)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121,122,123,124) 상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수동개폐밸브(v1,v2,v3,v4)와, 제3연결배관(126) 상에 설치된 제2수동개폐밸브(v5)와, 제2연결배관(125)의 말단부 상에 설치된 제3수동개폐밸브(v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완충부(13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베이스판(110)과 연결배관부(1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연결배관부(120)를 지지한다.
완충부(130)는 하단이 베이스판(110)에 고정되는 외관(131)과, 외관(131)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단이 연결배관부(120)의 하단에 고정되는 내관(133)과, 외관(131)과 내관(133) 사이에 설치되어, 내관(133)이 외관(131)에 대해 상하이동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완충용 스프링(1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연결배관부(120)는 완충부(130)에 의해 베이스판(110)상부에 설치되며, 완충부(130)의 완충기능에 의해 연결배관부(120)가 베이스판(110)에 대해 충격흡수될 수 있다. 즉, 연결배관부(12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완충부(13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연결배관부(120)의 파손이나 연결부위의 누수 등과 같은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다.
진공펌프(105)는 제2연결배관(125)의 말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연결배관부(120) 내의 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진공펌프(105)는 직접 제2연결배관(125)의 말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호스를 통해 제2연결배관(125)의 말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수동개폐밸브(v1,v2,v3,v4)가 모두 개방되고, 제2수동개폐밸브(v5)를 차단되며, 제3수동개폐밸브(v6)가 개방된 상태에서, 진공펌프(105)가 구동되면, 연결배관부(120) 내부의 가스(공기)가 배출되면서 연결배관부(12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가스분석 보조장치(100)는 가스분석과정 후, 연결배관부(120) 내에 잔존하는 SF6가스를 수거하기 위한 가스회수부(10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스회수부(106)는 가스회수를 회수할 수 있는 회수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공펌프(105)의 배출구와 연결유로(107)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 연결유로상에는 3방향 수동밸브(10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3방향 수동밸브(108)를 제1조작위치로 조작하는 경우, 진공펌프(105)의 배출구와 가스회수부(106)가 연결되어, 진공펌프(105)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가스회수부(106)로 유입되어 수거되도록 구성되고, 3방향 수동밸브(108)를 제2조작위치로 조작하는 경우, 진공펌프(105)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3방향 수동밸브(108)의 배출포트(109)를 통해 외부(대기)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가스분석 보조장치(100)를 이용한 가스분석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스분석을 위해, 제1연결배관(121,122,123,124)을 각각의 가스밸브(14a,14b,14c,14d)에 연결하고, 제3연결배관(126)에 가스분석기(20)를 연결하며, 제2연결배관(125)의 말단부(125a)에 진공펌프(105)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분석을 위해 가스배관부(120)를 가스절연개폐장치(10)의 각 가스밸브(14a,14b,14c,14d), 가스분석기(20), 진공펌프(105)에 연결하게 되면, 가스배관부(120) 내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각 가스밸브(14a,14b,14c,14d)는 차단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펌프(105)를 구동하여 연결배관부(120)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연결배관부(120)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제1수동개폐밸브(v1,v2,v3,v4)를 모두 개방시키고, 제2수동개폐밸브(v5)를 차단하며, 제3수동개폐밸브(v6)를 개방시키도록 조작한 후, 진공펌프(105)를 구동시키면, 연결배관부(120) 내부의 공기가 삼방밸브(108)의 배출포트(10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연결배관부(12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수동개폐밸브(v6)를 차단함으로써, 연결배관부(120) 내의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스회수부(106)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가스회수부(106)가 없이 구성되는 경우, 연결유로(107) 및 3방향 밸브(108)의 구성이 제외되며, 이 경우, 진공펌프(105)의 구동에 따라 연결배관부(120) 내의 공기는 진공펌프(105)의 배출구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연결배관부(120) 내부가 진공상태를 이룬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수동개폐밸브(v1,v2,v3,v4) 중 첫번째 밸브(v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나머지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밸브(v2,v3,v3)는 차단시키며, 제2 수동개폐밸브(v5)를 개방시킨 다음, 가스절연개페장치(10)의 제1가스밸브(14a)를 개방함으로써, 차단기(CB) 구획 내부의 SF6가스가 가스분석기(20)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가스분석기(20)를 통해 차단기(CB) 측의 SF6 가스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수동개폐밸브의 첫번째 밸브(v1)와 제1가스밸브(14a)를 차단시키고, 제1수동개폐밸브의 두번째 밸브(v2)를 개방시킨 다음, 가스절연개페장치(10)의 제2가스밸브(14b)를 개방시킴으로써, 상부 단로기(상부 DS) 측의 SF6가스가 가스분석기(20)로 유입되게 하여 가스분석이 이루어지게 한다.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제1수동개폐밸브의 두번째 밸브(v2) 및 제2가스밸브(14b)를 차단시킨 다음, 제1수동개폐밸브의 세번째 밸브(v3) 및 제3가스밸브(14c)를 개방시켜 제1모선단로기(제1BUS DS) 측의 SF6 가스의 가스분석이 이루어지게 하며, 이후, 작업자는 제1수동개폐밸브의 세번째 밸브(v3) 및 제3가스밸브(14c)를 차단시킨 다음, 제1수동개폐밸브의 네번째 밸브(v4) 및 제4가스밸브(14d)를 개방시켜 제2모선단로기(제2BUS DS) 측의 SF6 가스의 가스분석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후, 가스분석이 완료된 다음, 네번째 밸브(v4) 및 제4가스밸브(14d)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연결배관부(12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가 되게 한 후, 차단기(CB), 상부 단로기(상부 DS), 제1모선단로기(제1BUS DS), 제2모선단로기(제1BUS DS) 등으로 나뉘어진 구획 내부의 SF6가스를 각각 가스분석기(20)를 통해 가스분석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기존과 같이 배관내의 공기를 드레인하면서 SF6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일 없이 소량의 SF6가스가 진공상태의 연결배관부(120)를 통해 가스분석기(20)로 공급되게 됨으로써, SF6가스의 외부방출에 따른 대기오염과 분석에 필요한 SF6가스량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연결배관부(120)가 가스절연개폐장치(10)의 복수의 가스밸브(14a,14b,14c,14d)와 가스분석기(20)를 함께 연결시켜 놓은 상태에서, 가스절연개폐장치(10)의 가스밸브(14a,14b,14c,14d)과 제1수동개폐밸브(v1,v2,v3,v4)를 조절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10)의 차단기(CB), 상부 단로기(상부 DS), 제1모선단로기(제1BUS DS), 제2모선단로기(제1BUS DS) 측의 모든 SF6가스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분석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탁월하게 줄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부위의 SF가스 분석이 완료된 후에는, 연결배관부(120) 내에 일부의 SF6가스가 잔존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수동개페밸브(v1,v2,v3,v4)는 개방시키고, 제2수동개폐밸브(v5)를 차단하며, 제3수동개폐밸브(v6)를 개방시킨 다음, 진공펌프(105)를 구동시킴으로써, 연결배관부(120) 내에 잔존하는 SF6가스가 연결유로(107)를 통해 가스회수부(106)에 수거되어 저장됨으로써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가스회수부(106)에 회수된 SF6가스는 대기오염이 되지 않고 특수폐기처리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연결배관부(120) 내에 잔존하는 SF6를 회수하는 과정으로 인해, 연결배관부(120) 내부는 다시 진공상태가 될 수 있고, 이렇게 연결배관부(120)가 진공상태를 이룬 경우, 제3수동개폐밸브(v6)를 차단하여 연결배관부(120) 내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스절연개폐장치
14a,14b,14c,14d...가스밸브
101...연결배관모듈
105...진공펌프
106...가스회수부
107...연결유로
108...3방향 밸브
109...배출포트
110...베이스판
120...연결배관부
121,122,123,124....제1연결배관
125...제2연결배관
126...제3연결배관
130...완충부
131...외관
133...내관
135...스프링
v1,v2,v3,v4...제1수동개폐밸브
v5...제2수동개폐밸브
v6...제2수동개폐밸브

Claims (5)

  1.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가스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로부터 SF가스를 상기 가스분석기로 공급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며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2연결배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분석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로 구성된 연결배관부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 상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3연결배관 상에 설치된 제2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상에 설치된 제3수동개폐밸브로 구성된 밸브부를 포함하는 연결배관모듈;
    상기 제2연결배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모듈은
    베이스판;
    하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연결배관부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배관부가 상기 베이스판에 대해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복수의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연결배관부에 고정되는 내관;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해 상하 이동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되는 SF6를 수거하여 가스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
  5.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가스를 배출시키는 복수의 가스밸브와 가스분석기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로부터 SF가스를 상기 가스분석기로 공급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가스밸브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연결배관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며 제2연결배관과, 상기 제2연결배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분석기가 연결되는 제3연결배관로 구성된 연결배관부와, 상기 복수의 제1연결배관 상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3연결배관 상에 설치된 제2수동개폐밸브와, 상기 제2연결배관상에 설치된 제3수동개폐밸브로 구성된 밸브부를 포함하는 연결배관모듈; 상기 제2연결배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가스분석조장치를 이용하는 가스분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연결배관부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밸브부를 조작하여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각 구획내의 SF6가스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가스분석기에 공급되어 상기 각 구획 내부의 SF6가스에 대한 가스분석이 이루어지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연결배관부 내에 잔존하는 SF6가스를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가스회수부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석 보조장치를 이용한 가스분석방법.

KR1020180000659A 2018-01-03 2018-01-03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KR10203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59A KR102038517B1 (ko) 2018-01-03 2018-01-03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59A KR102038517B1 (ko) 2018-01-03 2018-01-03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113A true KR20190083113A (ko) 2019-07-11
KR102038517B1 KR102038517B1 (ko) 2019-10-30

Family

ID=6725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659A KR102038517B1 (ko) 2018-01-03 2018-01-03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382A (ko) 2020-04-10 2021-10-20 한국전력공사 정밀 분석이 가능한 sf6 분해가스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2433970B1 (ko) * 2022-03-02 2022-08-23 (주)비티엑스 가스 절연 개폐기용 가스압력의 점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606B2 (ja) * 2002-05-22 2006-03-2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真空分析装置
KR100661213B1 (ko) * 2005-12-17 2006-12-2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제품 이송용 완충장치
KR20140006413A (ko) 2012-07-05 2014-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Gis 차단부의 건전성 평가 장치
KR20150046858A (ko) 2013-10-23 2015-05-04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육불화황 가스 적용 전력기기의 점검 및 보수 시스템
KR101769671B1 (ko) 2015-07-23 2017-08-30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 개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606B2 (ja) * 2002-05-22 2006-03-2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真空分析装置
KR100661213B1 (ko) * 2005-12-17 2006-12-2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제품 이송용 완충장치
KR20140006413A (ko) 2012-07-05 2014-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Gis 차단부의 건전성 평가 장치
KR20150046858A (ko) 2013-10-23 2015-05-04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육불화황 가스 적용 전력기기의 점검 및 보수 시스템
KR101769671B1 (ko) 2015-07-23 2017-08-30 한국전력공사 가스절연 개폐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382A (ko) 2020-04-10 2021-10-20 한국전력공사 정밀 분석이 가능한 sf6 분해가스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2433970B1 (ko) * 2022-03-02 2022-08-23 (주)비티엑스 가스 절연 개폐기용 가스압력의 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517B1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113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sf6가스 성분분석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sf6가스 성분분석방법
CA2569057C (en) Gas recovery of sulphur hexafluoride
CN105651565A (zh) 用于sf6气体分析的现场采样装置
CN105181856A (zh) 用于单孔式六氟化硫电气设备绝缘气体的自动检测装置
KR20150036457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1083758B1 (ko) 육불화황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분석 가스 저장장치 및 그 방법
KR101086311B1 (ko) 육불화황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가스필터장치
KR20150046858A (ko) 육불화황 가스 적용 전력기기의 점검 및 보수 시스템
CN205301017U (zh) 用于sf6气体分析的现场采样装置
CN205340370U (zh) 三通阀门式净化循环装置
CN205228896U (zh) 一种多功能sf6气体测试采样装置
CN111208394A (zh) 一种四通道在线监测绝缘气体分解产物的装置和方法
CN217568087U (zh) Gis室内突发故障下的sf6气体泄漏快速回收系统
KR102637973B1 (ko) 가스절연개폐기용 압력 점검장치
CN114100309A (zh) Gis室内突发故障下的sf6气体泄漏快速回收系统及装置
CN105003820B (zh) Gis开关的充气装置及其充气方法
CN105185627B (zh) 一种利用内窥镜辅助调整新建gis设备隔离开关动触头位置的方法
CN107819314A (zh) 一种新型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的主母线结构
CN209525327U (zh) Sf6纯度分析进样装置
CN102494161B (zh) 变电站气体湿度、分解物试验用多功能组合试验阀
CN107289323B (zh) 简易便携式六氟化硫气体回收装置及该装置的操作方法
CN109307744B (zh) 一种sf6断路器气体试验成套装置
CN213456763U (zh) 一种电气设备绝缘气体分解产物检测装置
CN206656893U (zh) 一种六氟化硫绝缘气体自动在线采样装置
KR20140052388A (ko) 초고압 가스절연 개폐설비 차단기용 내부 점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2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2

Effective date: 201909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