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489A -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489A
KR20190082489A KR1020180000148A KR20180000148A KR20190082489A KR 20190082489 A KR20190082489 A KR 20190082489A KR 1020180000148 A KR1020180000148 A KR 1020180000148A KR 20180000148 A KR20180000148 A KR 20180000148A KR 20190082489 A KR20190082489 A KR 2019008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substrate
optical elem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8000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489A/ko
Publication of KR2019008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5Moulded or casted pack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57Details of housings having a supporting carrier or a mounting substrate or a mounting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에 광소자와 렌즈가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된 빛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로 입사되는 구조로 광통신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광소자와 렌즈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 광소자와 렌즈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조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와 렌즈가 정확하게 정렬되는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수직하게 장착도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에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에 광소자와 렌즈가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된 빛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로 입사되는 구조로 광통신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광소자와 렌즈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 광소자와 렌즈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조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와 렌즈가 정확하게 정렬되는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및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광통신 기술도 빠르게 진보하여 왔다. 특히, 광통신 기술은 전자기 간섭에 무관하다는 장점과 함께 광대역 통신의 구현에 유리하고,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기간망이나 장거리 통신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단의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렌즈 등을 거쳐 광섬유로 입사시켜 수신단으로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역으로 상기 광섬유를 거쳐 전송된 빛을 다시 렌즈 등을 거쳐 수광소자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빛에 실려온 소정의 정보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광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서는 상기 발광소자나 수광소자 등 광소자와 렌즈 등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상기 빛의 손실이 커지면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 블록을 기판에 장착하여 송신단 또는 수신단을 구성하였으나, 이때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홀은 공차가 크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와 렌즈의 광축 오차가 커지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었다.
특히, 도 2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소자와 렌즈 등의 광축 오차(틀어짐)가 커지면 빛의 손실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효율이 빠르게 저하되는 바, 광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소자와 렌즈 등을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기판에 홀을 가공하는 경우 30μm 이상의 큰 가공 공차를 가질 수 있어 빛의 손실이 커지면서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따랐다. 이에 대하여, 상기 홀의 직경을 보다 정밀하게 보정하기 위하여 와셔 등의 추가 구조물을 사용하는 구조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와셔의 일부가 기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렌즈 블록의 안착시 기울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어 광축 오차에 따른 효율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광통신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수삽 작업 등 수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판에 가공되는 홀의 공차가 크기 때문에 제품 편차가 커질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품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광소자와 상기 렌즈 등의 광축을 조정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도 따랐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특2003-00714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상기 광소자와 렌즈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을 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광소자와 렌즈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조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와 렌즈가 정확하게 정렬되는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을 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에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소자부는 복수의 광소자와 복수의 렌즈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광소자와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광소자가 실장되는 복수의 패드와 상기 복수의 광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블록에는 광섬유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은, 상기 광섬유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디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소자부는 상기 발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에 각각 대응되어 상기 복수의 광섬유에 입사되도록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부에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소자 상에 레진이 사출되어 상기 광소자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블록에는 상기 광섬유 블록을 고정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은, 제1 기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에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와 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를 안착시키는 광소자부 안착 단계; 및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을 상기 제2 기판 상부에 장착하는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는, 상기 광소자 상에 레진을 사출하여 상기 광소자와 상기 렌즈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는, 상기 광소자와 상기 렌즈를 제2 기판 상에 실장하여 광소자부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는, 상기 광섬유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을 상기 제2 기판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에서는, 상기 프레임 블록에 구비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을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 블록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블록에는 광섬유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은, 상기 광섬유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은 제1 기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에 광소자와 렌즈가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된 빛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로 입사되는 구조로 광통신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소자와 렌즈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광소자와 렌즈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조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와 렌즈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2는 광통신 모듈에서의 광축 오차에 따른 효율 변화 그래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의 각 구성요소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의 상면 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섬유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에서의 광섬유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a와 도 3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 제1 기판(150) 상에 제2 기판(140)이 수직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은, 제1 기판(150), 상기 제1 기판(150) 상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140), 상기 제2 기판(140)에 실장되며,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110),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 및 상기 광섬유(131)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131)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131)에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131)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광섬유(131)를 통해 상기 제1 기판(150)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소자부(110)는 복수의 광소자(111)와 복수의 렌즈(113)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광소자(111)와 상기 복수의 렌즈(113)는 상기 제2 기판(140)에 실장되어 광통신 모듈(1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기판(140)에는 상기 복수의 광소자(111)가 실장되는 복수의 패드와 상기 복수의 광소자(111)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은, 상기 제2 기판(140)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12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 블록을 기판에 장착하여 송신단 또는 수신단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홀은 공차가 크기 때문에, 상기 광소자와 렌즈의 광축 오차가 커지면서 효율이 저하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제품의 효율 특성 등 편차가 커질 수 있었으며, 나아가 상기 제품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광소자와 상기 렌즈 등의 광축을 조정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는 제2 기판(140) 상에 광소자(111)와 렌즈(113)가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부(110)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된 빛이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로 입사되는 구조로 광통신 모듈(1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1)와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광소자(111)와 렌즈(113)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조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111)와 렌즈(113)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는, 광소자(111)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광소자(111)와 일체로 결합된 렌즈(113)를 거쳐 광섬유(131)로 인가되어 전송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기판(140)에 형성되는 홀에서의 공차와 무관하게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에 따른 빛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상기 광통신 모듈(100)에서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을 각 구성별로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 상기 제2 기판(140)으로서 HPCB(Hard Printed Circuit Board) 등 다양한 종류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HPCB 등의 기판에 홀을 가공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30μm 이상의 큰 가공 공차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HPCB 등의 기판에 가공된 홀을 기준 홀(reference hole)로 사용하여 광소자(111)와 렌즈(113) 등을 실장하고 정렬하는 경우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가 커지면서 빛의 손실이 급격하게 커질 수 있고, 나아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통신 모듈의 효율이 빠르게 저하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는 제2 기판(140) 상에 광소자(111)와 렌즈(113)가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부(11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를 높은 정밀도로 정렬하여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고 상기 광통신 모듈(100)의 효율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는, 상기 광소자부(110)가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된 빛이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도 1의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달리 프리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111)에서 발광된 빛을 집광하여 상기 광섬유(131)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는, 상기 제2 기판(140)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광소자(111)와 렌즈(113)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는 광소자부(110)를 안착하여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2 기판(140)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131)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130)을 포함하여 광통신 모듈(1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의 진행 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프리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광섬유(131)로 빛을 인가할 수 있는 바, 광통신 모듈(10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소요되는 부품의 종류 및 숫자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간의 정렬 오차에 따른 손실도 줄여 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소자(111)가 빛을 발광하는 송신단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광소자(111)가 빛을 수광하는 수신단의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광소자(111)는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VCSEL) 등 발광소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다양한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부(110)에서, 상기 렌즈(113)는 상기 광소자(111) 상에 레진(resin)이 사출되어 상기 광소자(111)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어 상기 광소자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부(110)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의 HPCB 등의 기판에 가공된 홀의 공차로 인한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가 높은 정밀도로 정렬된 광소자부(11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 상기 광소자부(110)는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가 실장되는 마운트 기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운트 기판(112)에는 상기 광소자(111)가 실장되는 패드와 상기 광소자(111)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운트 기판(112)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111)와 렌즈(113)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FPCB)을 상기 제2 기판(140)에 안착하여 광통신 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기판(140)은 상기 마운트 기판(112)으로 사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에는 가이드 홀(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블록(120) 또는 상기 광섬유 블록(130)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제2 기판(140)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광섬유(131)가 보다 정확하게 정렬되어 광통신 모듈(100)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는, 상기 제2 기판(140)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12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블록(120)에는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고정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는, 상기 기판(140) 상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131)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13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섬유 블록(130)에는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132)은 상기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복수의 광섬유(131)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한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을 구성하는 광소자부(110), 프레임 블록(120) 및 광섬유 블록(130)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 5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부(110)의 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소자부(110)는 광소자(111), 상기 광소자(111)와 일체로 결합되는 렌즈(113) 및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가 실장되는 마운트 기판(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렌즈(113)는 상기 광소자(111) 상에 레진(resin)이 사출되어 상기 광소자(111)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고 광통신 모듈(100)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블록(120)의 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블록(120)은 상기 제2 기판(140)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지지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블록(120)에는,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고정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121)이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 블록(13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섬유 블록(130)은 상기 광섬유 블록 고정홈(133)에 의하여 정해지는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어 상기 렌즈(113)를 거쳐 집광된 빛을 효율적으로 인가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 블록(120)이 상기 광섬유 블록(130)과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광섬유 블록(130)이 상기 프레임 블록(120)을 포함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5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130)의 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 나아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1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130)에는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상기 렌즈 블록(13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광섬유 블록 고정 돌출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132)은 상기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광섬유 안착홈(132)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131)가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광섬유(131)를 상기 광섬유 안착홈(132) 안으로 안착시키는 조립 공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블록(130)에서는,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 안착홈(132)에서는 상기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광섬유(131)를 상기 광섬유 안착홈(132) 안으로 안착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광섬유 안착홈(132)의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티어드롭 형상을 가지는 광섬유 안착홈(132)을 제한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 제조 방법은, 제1 기판(150)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140) 상에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111)와 렌즈(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110)를 안착시키는 광소자부 안착 단계(S110) 및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131)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130)을 상기 제2 기판(140) 상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하는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 살핀다. 다만,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과 겹치는 부분은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 제조 방법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S110)에서는 제1 기판(150)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140) 상에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111)와 렌즈(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110)를 안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S110)는 상기 광소자(111) 상에 레진을 사출하여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S110)는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렌즈(113)를 마운트 기판(112) 상에 실장하여 광소자부(110)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운트 기판(112)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기판(140)은 상기 마운트 기판(112)으로 사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2 기판(140)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131)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1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131)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130)을 상기 제2 기판(140) 상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S120)는,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120)을 상기 제2 기판(140)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S120)에서는 상기 프레임 블록(120)에 구비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121)에 상기 광섬유 블록(130)에 구비되는 광섬유 블록 고정 돌출부(133)를 삽입하여 상기 광섬유 블록(130)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100)에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FPCB)에는 가이드 홀(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블록(120) 또는 상기 광섬유 블록(130)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제2 기판(140)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광소자(111)와 상기 광섬유(131)가 보다 정확하게 정렬되어 광통신 모듈(100)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블록(130)에는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132)은, 상기 광섬유(131)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광소자(111)와 렌즈(113) 간의 광축 오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광소자(111)와 렌즈(113)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조정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광소자(111)와 렌즈(113)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광통신 모듈 110 : 광소자부
111 : 광소자 112 : 마운트 기판
113 : 렌즈 120 : 프레임 블록
121 : 광섬유 블록 고정홈 130 : 광섬유 블록
131 : 광섬유 132 : 광섬유 안착홈
133 : 광섬유 블록 고정 돌출부 140 : 제2 기판
150 : 제1 기판

Claims (16)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에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부는 복수의 광소자와 복수의 렌즈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광소자와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광소자가 실장되는 복수의 패드와 상기 복수의 광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블록에는 광섬유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은,
    상기 광섬유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디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부는 상기 발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에 각각 대응되어 상기 복수의 광섬유에 입사되도록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부에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소자 상에 레진이 사출되어 상기 광소자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광섬유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블록에는 상기 광섬유 블록을 고정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10. 제1 기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2 기판 상에 일체로 결합된 광소자와 렌즈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발광하는 광소자부를 안착시키는 광소자부 안착 단계; 및
    상기 제2 기판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섬유를 안착하여 상기 광소자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도록 하는 광섬유 블록을 상기 제2 기판 상부에 장착하는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는,
    상기 광소자 상에 레진을 사출하여 상기 광소자와 상기 렌즈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부 안착 단계는,
    상기 광소자와 상기 렌즈를 제2 기판 상에 실장하여 광소자부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는,
    상기 광섬유 블록을 지지하는 프레임 블록을 상기 제2 기판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블록 장착 단계에서는,
    상기 프레임 블록에 구비되는 광섬유 블록 고정홈을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 블록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블록에는 광섬유가 안착되는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광섬유 안착홈은,
    상기 광섬유가 안착되는 지점에서 외부 방향으로 홈의 간격이 벌어지는 티어드롭(teardrop) 형상을 이루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모듈 제조 방법.
KR1020180000148A 2018-01-02 2018-01-02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KR20190082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48A KR20190082489A (ko) 2018-01-02 2018-01-02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48A KR20190082489A (ko) 2018-01-02 2018-01-02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89A true KR20190082489A (ko) 2019-07-10

Family

ID=6725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48A KR20190082489A (ko) 2018-01-02 2018-01-02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4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425A (ko) 2002-02-28 2003-09-03 (주) 파이오닉스 광결합 모듈 어셈블리 및 그의 패키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425A (ko) 2002-02-28 2003-09-03 (주) 파이오닉스 광결합 모듈 어셈블리 및 그의 패키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6074B2 (ja) 光学モジュールデバイス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7066657B2 (en) Optical subassembly
KR100446161B1 (ko) 광모듈 및 이 광모듈의 조립방법
EP2581776A1 (en) Optical connector with alignment element, optical unit and assembly method
KR20160045731A (ko) 다중화기 또는 역다중화기로서 동작하기 위한 거울 및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
US9134490B2 (en) Passive alignment multichannel parallel optical system
WO2018048535A1 (en) Optica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26198B2 (en) Multi-channel optical receiving module
KR20170012339A (ko) 광전 디바이스로의 광파이버 서브조립체의 비전 기반 피동 정렬
US20140199019A1 (en) Optical Engine
US200400375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ssive alignment of optical waveguides and optoelectronic components and optical system using said device
US10345542B2 (en) Opto-mechanical coupler
WO2016088349A1 (ja) 光モジュール
US6619858B1 (en) Optical interconnect
CN103443675A (zh) 光学中介件
US20200174207A1 (en) Electro-optical device
CN103270443A (zh) 光学模块及其制造方法
US20200241334A1 (en) Optical isolator array for use in an optical subassembly module
JP6568698B2 (ja) 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光モジュール用レセプタクル及び光モジュール
KR20190082489A (ko)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JP2005215678A (ja) 両方向光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両方向光送受信パッケージ
US20020126962A1 (en) Brent waveguide for connection to at least one device, adaptive passive alignment features facilitating the conn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90067636A (ko) 광통신 모듈 및 제조 방법
US20200041734A1 (en) Optical module
US20200225427A1 (en) Lens clip for coupling and optical alignment of an optical lens and an optical subassembly module implement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