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97A -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997A
KR20190081997A KR1020170184902A KR20170184902A KR20190081997A KR 20190081997 A KR20190081997 A KR 20190081997A KR 1020170184902 A KR1020170184902 A KR 1020170184902A KR 20170184902 A KR20170184902 A KR 20170184902A KR 20190081997 A KR20190081997 A KR 2019008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er
unit
wire
frame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376B1 (ko
Inventor
기병국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7/00Twisting wire; Twisting wire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및 선재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선재의 타단을 고정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클램프를 포함하는 단위 트위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트위스터는 복수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트위스터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1 단위 트위스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전면에 각격을 두고 설치된 제 2 단위 트위스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3 단위 트위스터; 및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4 단위 트위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는 결합되어, 하측 트위스터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는 결합되어, 상측 트위스터 세트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상측 슬라이딩 장치; 및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하측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가 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선재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도 선재 트위스팅 작업이 계속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Wire twis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선재 트위스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소선을 자동으로 꼬아서 트위스트된 선재를 가공하는 선재 트위스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작업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전선(혹은 선재)을 꼬아서 작업을 한다. 소량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전선을 트위스팅 할 수 있으나, 대량의 전선을 작업하는 경우, 자동 선재 트위스트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선재 트위스트기의 경우, 선재의 양단을 작업자가 선재 트위스트기에 연결한 후, 선재 트위스트기의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선재를 다시 연결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하로 복수개의 선재 트위스트기를 배치한 후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안전상 이유로 복수개의 선재 트위스트기 중 어느 하나의 트위스트 작업이 완료된 후에나 나머지 선재 트위스트기에 선재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비의 유후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킨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및 선재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선재의 타단을 고정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클램프를 포함하는 단위 트위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트위스터는 복수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트위스터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1 단위 트위스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전면에 각격을 두고 설치된 제 2 단위 트위스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3 단위 트위스터; 및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4 단위 트위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는 결합되어, 하측 트위스터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는 결합되어, 상측 트위스터 세트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상측 슬라이딩 장치; 및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하측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는,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고정 클램프를 일체로 고정하는 상측 고정부재; 상기 상측 고정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레일; 및 상기 상측 레일 상에서 상기 상측 고정부재를, 상기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인 설치위치와 상기 회전 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작업위치 사이에 이동 구동하는 상측 수평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터는,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고정 클램프를 일체로 고정하는 하측 고정부재; 상기 하측 고정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하측 레일; 및 상기 하측 레일 상에서 상기 하측 고정부재를, 상기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인 설치위치와 상기 회전 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작업위치 사이에 이동 구동하는 하측 수평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는,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회전 고정체; 및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터는,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회전 고정체; 및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의 출력축에 상측 출력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동축에 제 3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퍼 회동축에 제 4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3 종동기어와 상기 제 4 종동기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의 출력축에 하측 출력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동축에 제 1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퍼 회동축에 제 2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하측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하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의 구획된 영역이 구비된 와이어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에 2개의 선재를 각각 연결하는 상측 선재 연결 단계;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3 선재를 트위스트 하는 제 3 트위스트 단계; 상기 제 3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상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상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4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상측 후퇴 단계; 상기 상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4 선재를 트위스터 하는 제 4 트위스트 단계; 상기 상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에 2개의 선재를 각각 연결하는 하측 선재 연결 단계;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1 선재를 트위스트 하는 제 1 트위스트 단계; 상기 제 1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하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2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하측 후퇴 단계; 상기 제 4 트위스트 단계 및 상기 하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상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3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상측 전진 단계; 상기 상측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의 상기 회전 크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를 개방하여, 상기 제 3 선재와 상기 제 4 선재를 배출하는 상측 배출 단계; 상기 하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2 선재를 트위스터 하는 제 2 트위스트 단계; 상기 제 2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1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하측 전진 단계; 및 상기 하측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의 상기 회전 크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를 배출하는 하측 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상측 전진 단계 이전에, 상기 하측 후퇴단계가 시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하측 후퇴 단계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상측전진단계를 진행하는 상측 배출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측 배출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선재 연결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상기 하측 전진단계 이전에, 상기 상측 후퇴단계가 시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상측 후퇴단계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하측 전진단계를 진행하는 하측 배출여부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작업자가 선재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도 선재 트위스팅 작업이 계속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재의 배출작업 시, 상하로 배치된 트위스터 세트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높였다.
그리고, 와이어 정렬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선재를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시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트위스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하측 트위스터 세트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와이어 정렬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상하측 트위스터 세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상하측 트위스터 세트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개면도
도 6는 작업전 선재의 평면도
도 7는 작업후 선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 내지 도 14는 도 2의 상측 트위스트세트와 하측 트위스트세트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트위스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하측 트위스터 세트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와이어 정렬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상하측 트위스터 세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상하측 트위스터 세트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개면도, 도 6는 작업전 선재의 평면도, 도 7는 작업후 선재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 트위스트기는,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00)과, 복수의 단위 트위스터(200a-d)가 결합되며 프레임(100)의 전면에 설치된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와,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의 상단의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와,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며 복수의 구획된 영역이 구비된 와이어 정렬부(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와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가 설치되는 전면부(110)와, 전면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 및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에서 배출되는 트위스트된 선재를 보관하는 보관함(120)과, 보관함(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되지 않은 선재를 보관하는 적재대(130)를 포함한다.
선재(10)는 전선 등의 와이어를 말한다. 적재대(130)의 보관되는 작업되지 않은 선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소선재(11)이나,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의 소선재(11)의 양단은 일부 꼬이거나 결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보관함(120)에 보관되는 트위스트된 선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소선재(11)가 서로 트위스트되어 작업이 완료된 선재이다. 본 발명의 선재 트위스트기는 도 6에 도시된 소선재를 작업하여 도 7과 같이 트위스트된 소선재를 생산하는 장비이다.
보관함(120)의 전면부(110)와 연결되는 부위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면(121)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완료된 선재가 일정구역에 수집되도록 하여, 다음 공정으로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트위스터(200a-d)는, 선재(1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220)와, 상기 선재(10)의 타단을 고정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클램프(210)를 포함한다. 고정클램프(220) 및 회전 클램프(210) 각각은 공압 등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클램핑 동작을 할 수 있다. 복수의 소선재(11)로 구성된 선재의 양단을 고정 클램프(220)와 회전 클램프(210)에 클램핑한 후, 회전 클램프(210)를 회동시킴으로써, 트위스트된 하나의 선재(10)가 작업된다.
이러한 단위 트위스터(200a-d)는 복수개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데,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설치된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와,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의 전면에 각격을 두고 설치된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와,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와,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는 결합되어,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단위 트위스터(200c)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는 결합되어,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를 형성한다. 즉, 프레임(100)의 전면에 상하로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와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가 형성되고,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와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 각각은 2개의 단위 트위스터(200a-d)를 각각 전면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비한다.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는,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의 상기 고정 클램프(210)를 일체로 고정하는 상측 고정부재(310b)와, 상기 상측 고정부재(310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레일(320b)과, 상기 상측 레일(320b) 상에서 상기 상측 고정부재(310b)를, 상기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인 설치위치와 상기 회전 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작업위치 사이에 이동 구동하는 상측 수평 구동부(330b)와,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의 상기 회전클램프(21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회전 고정체(350b)와,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의 상기 회전 클램프(210)를 회동시키는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b)와,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를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방향(FR)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상측 슬라이딩 장치(340b)를 포함한다.
즉,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의 상측 고정부재(310b)를 상측 수평 구동부(330b)에 의해서, 도 2의 수평방향(상측 레일(320b)방향, L)으로 구동하며, 상측 슬라이딩 장치(340b)를 이용하여,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 전체를 프레임의 전면방향(FR)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측 레일(320b)의 상면 혹은 하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랙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 수평 구동부(330b)는 상측 레일(320b)의 나사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된 모터(미도시)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서, 상측 레일(320b)의 상면에서, 상측 고정부재(310b)가 수평방향(L)으로 구동된다.
상측 슬라이딩 장치(340b)는 일단이 상측 수평 구동부(330b)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 고정부재(310b)에 지지된 제 1 공압실린더(341b)와, 일단이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측 회전 고정체(350b)에 고정된 제 2 공압 실린더(342b)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b)는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며, 상기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의 출력축(361b)에 상측 출력기어(362b)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의 상기 회전클램프(210)의 회동축(211c)에 제 3 종동기어(212c)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의 상기 회전 클램퍼(210) 회동축(211d)에 제 4 종동기어(212d)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슬라이딩(340b) 장치에 의해,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가 전후 방향(FR)으로 이동 시, 상기 상측 출력기어(362b)에 상기 제 3 종동기어(212c)와 상기 제 4 종동기어(212d)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즉, 도 4와 같이, 제 2 공압실린더(342b)가 프레임의 전면부(110)에서 상측 회전 고정체(350b)를 이격시키는 경우, 상측 출력기어(362b)에 제 3 종동기어(212c)가 맞물리고, 도 5와 같이, 제 2 공압실린더(342b)가 프레임의 전면부(110)를 향해 상측 회전 고정체(350b)를 당기는 경우, 상측 출력기어(362b)에 제 3 종동기어(212d)가 맞물리게 된다.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터(300a)는,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의 상기 고정 클램프(220)를 일체로 고정하는 하측 고정부재(310a)와, 상기 하측 고정부재(310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하측 레일(320a)과, 상기 하측 레일(320a) 상에서 상기 하측 고정부재(310a)를, 상기 회전 클램프(210)에 인접한 위치인 설치위치와 상기 회전 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작업위치 사이에 이동 구동하는 하측 수평 구동부(330a)와,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의 상기 회전클램프(21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회전 고정체(350a)와,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의 상기 회전 클램프(210)를 회동시키는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a)와,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를 포함한다.
즉,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의 하측 고정부재(310a)를 하측 수평 구동부(330a)에 의해서, 도 2의 수평방향(하측 레일(320a)방향, L)으로 구동하며,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를 이용하여,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 전체를 프레임의 전면방향(FR)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하측 레일(320a)의 상면 혹은 하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랙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수평 구동부(330a)는 하측 레일(320a)의 나사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된 모터(미도시)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서, 하측 레일(320a)의 상면에서, 하측 고정부재(310a)가 수평방향(L)으로 구동된다.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는 일단이 하측 수평 구동부(320a)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 고정부재(310a)에 지지된 제 1 공압실린더(341a)와, 일단이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측 회전 고정체(350a)에 고정된 제 2 공압 실린더(342a)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a)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a)의 출력축(361a)에 하측 출력기어(362a)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의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동축(211a)에 제 1 종동기어(212a)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의 상기 회전 클램퍼 회동축(211b)에 제 2 종동기어(212b)가 설치되며, 상기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에 의해,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하측 출력기어(362a)에 상기 제 1 종동기어(212a)와 상기 제 2 종동기어(212b)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즉, 도 4와 같이, 제 2 공압실린더(342a)가 프레임의 전면부(110)에서 하측 회전 고정체(350a)를 이격시키는 경우, 하측 출력기어(362a)에 제 1 종동기어(212a)가 맞물리고, 도 5와 같이, 제 2 공압실린더(342b)가 프레임의 전면부(110)를 향해 하측 회전 고정체(350a)를 당기는 경우, 하측 출력기어(362a)에 제 2 종동기어(212b)가 맞물리게 된다.
와이어 정렬부(400)는, 적재대(13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단위 트위스터(200)의 고정 클램프(210)에 일단이 고정된 선재가 꼬이지 않고, 해당되는 단위 트위스터(200)의 회전 클램프(220)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다. 즉, 와이어 정렬부(400)는 단위 트위스터(200)의 수만큼 구획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분리봉(4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단위 트위스터(200)를 사용하므로 4개의 공간이 구획될 수 있도록 5개의 분리봉(410)이 사용된다. 또한,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와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를 구획하기 위해 가운데에 위치한 상하 분리봉(420)은 직경을 상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선재 트위스트기의 동작 설명을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의 설명을 통해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 내지 도 14는 도 2의 상측 트위스트세트와 하측 트위스트세트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다.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은,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의 제어방법을 설명한 후, 이와 연동되는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의 제어방법을 기술한다.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의 제어방법은,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에 2개의 선재(10)를 각각 연결하는 상측 선재 연결 단계(T1)와,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200c)에 연결된 선재인 제 3 선재를 트위스트 하는 제 3 트위스트 단계(T2)와, 상기 제 3 트위스트 단계(T2) 이후에, 상측 슬라이딩 장치(340b)를 구동하여, 상기 상측 출력기어(362b)에 상기 제 4 종동기어(212d)를 맞물리도록 하는 상측 후퇴 단계(T3)와, 상기 상측 후퇴 단계(T3) 이후에,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에 연결된 선재인 제 4 선재를 트위스터 하는 제 4 트위스트 단계(T4)와, 상기 제 4 트위스트 단계(T4) 이후에, 상기 상측 슬라이딩 장치(340b)를 구동하여, 상기 상측 출력기어(362b)에 상기 제 3 종동기어(212c)를 맞물리도록 하는 상측 전진 단계(T6)와, 상기 상측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의 상기 회전 크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를 개방하여, 상기 제 3 선재와 상기 제 4 선재를 배출하는 상측 배출 단계(T7)을 포함한다.
상측 선재 연결 단계(T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수평 구동부(330b)에 의해 상측 고정부재(310b)가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설치위치에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된 상측 고정부재(310b)의 고정클램프(210)에 작업자가 2개의 선재(10)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부재(310b)가 작업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되지 않은 선재(10)의 타단은 와이어 정렬부(400)에 의해 서로 꼬이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는 전진된 상태이므로, 상측 출력기어(362b)에 제 3 종동기어(212c)가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b)을 구동하면, 제 3 트위스트 단계(T2)가 진행되어, 도 10와 같이, 제 3 선재(10c)를 트위스트 할 수 있다.
상측 후퇴 단계(T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슬라이딩 장치(340b)을 구동하여, 상측 트위스터 세트(300b)를 후퇴시켜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460b)의 구동력을 제 4 단위 트위스터(200d)에 전달한다. 그 결과, 제 4 선재(10d)를 트위스팅하는 제 4 트위스트 단계(T4)가 진행된다.
도 13과 같이, 상측 전진 단계(T6)를 진행 후, 도 14와 같이 상측 배출 단계(T7)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상측 배출 단계(T7) 이후에, 상기 상측 선재 연결단계(T1)를 반복 수행한다.
하측 트위트터 세트(300a)의 제어방법은, 상기 상측 후퇴 단계(T3) 이후에,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에 2개의 선재를 각각 연결하는 하측 선재 연결 단계(B1)와,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200a)에 연결된 선재인 제 1 선재(10a)를 트위스트 하는 제 1 트위스트 단계(B2)와, 상기 제 1 트위스트 단계(B2) 이후에,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를 구동하여, 상기 하측 출력기어(362a)에 상기 제 2 종동기어(212b)를 맞물리도록 하는 하측 후퇴 단계(B3)와, 상기 하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2 선재(10b)를 트위스터 하는 제 2 트위스트 단계(B4)와, 상기 제 2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를 구동하여, 상기 하측 출력기어(361a)에 상기 제 1 종동기어(212a)를 맞물리도록 하는 하측 전진 단계(B6)와, 상기 하측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200a)의 상기 회전 크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선재(10a)와 상기 제 2 선재(10b)를 배출하는 하측 배출 단계(B7)를 포함한다.
상측 전진단계(T6)는 제 4 트위스트단계(T4) 및 하측 후퇴단계(B3) 이후에 진행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하측 선재 연결 단계(B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후퇴단계(T3) 이후에 진행된다. 하측 선재 연결단계(B1)는, 하측 수평 구동부(330a)에 의해 하측 고정부재(310a)가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설치위치에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된 상측 고정부재(310b)의 고정클램프(210)에 작업자가 2개의 선재(10)의 일단을 고정하는 단계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고정부재(310a)가 작업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도 12와 같이,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가 전진된 상태이므로, 하측 출력기어(362a)에 제 1 종동기어(212a)가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360a)를 구동하면, 제 1 트위스트 단계(T1)가 진행되어, 제 1 선재(10a)를 트위스트 할 수 있다.
하측 후퇴 단계(B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슬라이딩 장치(340a)을 구동하여, 하측 트위스터 세트(300a)를 후퇴시켜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460a)의 구동력을 제 2 단위 트위스터(200b)에 전달한다. 그 결과, 도 1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선재(10b)를 트위스팅하는 제 2 트위스트 단계(T2)가 진행된다.
그 다음, 도 10와 같이, 하측 전진 단계(B6)를 진행 후, 하측 배출 단계(B7)를 진행하게 된다.
하측 배출 단계(B7) 이후에, 하측 선재 연결단계(B1)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상기 상측 전진 단계(T6) 이전에, 상기 하측 후퇴단계(B3)가 시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하측 후퇴 단계(B3)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상측전진단계(T6)를 진행하는 상측 배출여부 판단단계(T5)와, 상기 하측 전진단계(B6) 이전에, 상기 상측 후퇴단계(T3)가 시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상측 후퇴단계(T3)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하측 전진단계(B6)를 진행하는 하측 배출여부 판단단계(B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측 전진단계(T6) 이전에 작업자가 작업하는 하측 선재 연결단계(B1), 제 1 트위스트단계(B2) 및 하측후퇴단계(B3)가 완료되어, 상측에서 배출되는 선재가 하측 트위스터 세트에 간섭받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작업자가 선재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도 선재 트위스팅 작업이 계속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재의 배출작업 시, 상하로 배치된 트위스터 세트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높였다.
그리고, 와이어 정렬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선재를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시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프레임 200: 단위 트위스터
300a: 하측 트위스터 세트 300b: 상측 트위스터 세트
400: 와이어 정렬부 220: 고정 클램프
210: 회전 클램프 200a: 제 1 단위 트위스터
200b: 제 2 단위 트위스터 200c: 제 3 단위 트위스터
200d: 제 4 단위 트위스터 300a: 하측 트위스터 세트
300b: 상측 트위스터 세트

Claims (9)

  1. 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및
    선재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선재의 타단을 고정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클램프를 포함하는 단위 트위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트위스터는 복수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트위스터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1 단위 트위스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전면에 각격을 두고 설치된 제 2 단위 트위스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제 3 단위 트위스터; 및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4 단위 트위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는 결합되어, 하측 트위스터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는 결합되어, 상측 트위스터 세트를 형성하며,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상측 슬라이딩 장치; 및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를 상기 프레임의 전면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하는 하측 슬라이딩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는,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고정 클램프를 일체로 고정하는 상측 고정부재;
    상기 상측 고정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레일; 및
    상기 상측 레일 상에서 상기 상측 고정부재를, 상기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인 설치위치와 상기 회전 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작업위치 사이에 이동 구동하는 상측 수평 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터는,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고정 클램프를 일체로 고정하는 하측 고정부재;
    상기 하측 고정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하측 레일; 및
    상기 하측 레일 상에서 상기 하측 고정부재를, 상기 회전 클램프에 인접한 위치인 설치위치와 상기 회전 클램프에서 멀어지는 작업위치 사이에 이동 구동하는 하측 수평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터는,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회전 고정체; 및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는,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회전 고정체; 및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와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상측 회전 클램프 모터의 출력축에 상측 출력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동축에 제 3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퍼 회동축에 제 4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3 종동기어와 상기 제 4 종동기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 회전 클램프 모터의 출력축에 하측 출력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클램프의 회동축에 제 1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의 상기 회전 클램퍼 회동축에 제 2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하측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하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의 구획된 영역이 구비된 와이어 정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7. 제 5항의 선재 트위스트기를 제어하는 선재 트위스터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에 2개의 선재를 각각 연결하는 상측 선재 연결 단계;
    상기 제 3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3 선재를 트위스트 하는 제 3 트위스트 단계;
    상기 제 3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상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상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4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상측 후퇴 단계;
    상기 상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제 4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4 선재를 트위스터 하는 제 4 트위스트 단계;
    상기 상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에 2개의 선재를 각각 연결하는 하측 선재 연결 단계;
    상기 제 1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1 선재를 트위스트 하는 제 1 트위스트 단계;
    상기 제 1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하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2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하측 후퇴 단계;
    상기 제 4 트위스트 단계 및 상기 하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상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3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상측 전진 단계;
    상기 상측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트위스터 세트의 상기 회전 크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를 개방하여, 상기 제 3 선재와 상기 제 4 선재를 배출하는 상측 배출 단계;
    상기 하측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단위 트위스터에 연결된 선재인 제 2 선재를 트위스터 하는 제 2 트위스트 단계;
    상기 제 2 트위스트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슬라이딩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하측 출력기어에 상기 제 1 종동기어를 맞물리도록 하는 하측 전진 단계; 및
    상기 하측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하측 트위스터 세트의 상기 회전 크램프와 상기 고정 클램프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를 배출하는 하측 배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전진 단계 이전에, 상기 하측 후퇴단계가 시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하측 후퇴 단계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상측전진단계를 진행하는 상측 배출여부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배출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선재 연결단계를 반복 수행하며,
    상기 하측 전진단계 이전에, 상기 상측 후퇴단계가 시작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상측 후퇴단계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하측 전진단계를 진행하는 하측 배출여부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트위스트기.
KR1020170184902A 2017-12-29 2017-12-29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902A KR102029376B1 (ko) 2017-12-29 2017-12-29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902A KR102029376B1 (ko) 2017-12-29 2017-12-29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97A true KR20190081997A (ko) 2019-07-09
KR102029376B1 KR102029376B1 (ko) 2019-10-07

Family

ID=6726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902A KR102029376B1 (ko) 2017-12-29 2017-12-29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420A (ja) * 1999-08-20 2001-03-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ツイストケーブル製造装置
JP2004362881A (ja) * 2003-06-03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ツイスト電線製造装置
KR100639775B1 (ko) * 2005-06-20 2006-10-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와이어 트위스팅장치
JP2008277033A (ja) * 2007-04-26 2008-11-13 Yazaki Corp 電線撚り合わ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420A (ja) * 1999-08-20 2001-03-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ツイストケーブル製造装置
JP2004362881A (ja) * 2003-06-03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ツイスト電線製造装置
JP4120479B2 (ja) * 2003-06-03 2008-07-16 住友電装株式会社 ツイスト電線製造装置
KR100639775B1 (ko) * 2005-06-20 2006-10-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와이어 트위스팅장치
JP2008277033A (ja) * 2007-04-26 2008-11-13 Yazaki Corp 電線撚り合わ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76B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9948B1 (ja) 複数ワイヤ同時巻線方法及びその巻線装置
JP2012028197A (ja) ツイスト線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9183479B (zh) 拉索用钢丝绳的制造设备及方法
CN106738383B (zh) 间距可调式切割机
KR20190081997A (ko) 선재 트위스트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10024278U (zh) 一种框板焊接定位工装
CN213415841U (zh) 一种光纤钢丝加工用收卷设备
KR100339710B1 (ko)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KR102310393B1 (ko) 모터 고정자용 동시권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JP2001297935A (ja) 巻線製造システムおよび巻線製造方法
CN211848613U (zh) 一种钢绞线成绳装置
KR101324565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KR102138762B1 (ko)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KR102001404B1 (ko) 중소형 케이블 드럼의 풀링 및 커팅장치
CN213646788U (zh) 一种加工中心手动进给的限位装置
CN112941943A (zh) 一种钢丝绳插编机
KR102137769B1 (ko)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CN214529909U (zh) 一种钢丝绳插编机
CN214815274U (zh) 一种摩托车主轴下料装置
CN218708022U (zh) 一种用于电梯井道电缆的开线系统
JP2008022699A (ja) 複数ワイヤ同時巻線方法及びその巻線装置
CN218614316U (zh) 一种可水平自由移位的线切割机
CN217498240U (zh) 一种新型全自动绳卷捆绳机
CN112407383B (zh) 一种双绑丝自动打捆机器人
CN216193101U (zh) 一种纺织机械断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