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923A -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923A
KR20190081923A KR1020170184788A KR20170184788A KR20190081923A KR 20190081923 A KR20190081923 A KR 20190081923A KR 1020170184788 A KR1020170184788 A KR 1020170184788A KR 20170184788 A KR20170184788 A KR 20170184788A KR 20190081923 A KR20190081923 A KR 20190081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drone
main body
movable fram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천
Original Assignee
김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천 filed Critical 김규천
Priority to KR102017018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923A/ko
Publication of KR2019008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로터와 구동모터를 구비한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론 본체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정해진 회전각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POLE LOADABLE DRONE AND POLE LOAD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기체에 폴대를 탑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원격 조종과 자동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로서, 기본적으로 비행기나 헬리콥터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이 된다.
헬리콥터와 같이 로터를 회전시켜서 양력 및 추진력을 얻는 드론은 로터가 4개인 쿼드롭터, 6개인 헥사콥터, 8개인 옥토콥터 등으로 구분되고, 통칭해서 멀티콥터로도 지칭된다.
통상적으로 드론은 메인바디와, 이 메인바디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암과, 지지암의 끝부분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드론은 메인바디의 하부에 촬영장비나, 방제장비, 물류 탑재장치 등과 같은 각종 추가 기기가 장착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드론은 직경에 비해 길이가 매우 긴 형상을 가진 봉형 또는 관형의 폴대를 탑재하기가 불편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비록, 드론의 기체 하단에 소정의 로봇암이나 그리퍼(gripper)를 장착하여 폴대를 탑재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이 경우 다양한 길이의 폴대를 탑재하기가 어려운 취약점이 있다. 즉, 폴대를 수직하게 세워서 탑재하는 경우에는 폴대의 상단을 로봇암이나 그리퍼로 잡는 방식을 채용해야 하는 관계로 폴대의 길이가 매우 긴 경우에는 탑재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자중 등에 의해 쉽게 드론의 균형이 무너지고 자세 제어가 어렵게 되어 기체의 추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폴대를 수평하게 눕혀서 탑재하는 경우에는 폴대를 세우는 동작은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고, 무게 중심이 로봇암이나 그리퍼에 쏠리게 되므로 마찬가지로 쉽게 드론의 균형이 무너지고 자세 제어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안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문헌 1에는 드론의 바디를 제1 바디와 제2 바디로 분리하는 한편,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에 폴대를 회동 가능하게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폴대 탑재형 드론은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도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전용의 바디 구조가 요구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기성품 드론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262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드론에 범용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재된 폴대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로터와 구동모터를 구비한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론 본체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정해진 회전각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을 제공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은 링형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드론 본체가 랜딩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제1 위치와 수직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드론 본체와 상기 가동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드론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링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대 탑재부는 상기 가동 프레임 상에서 서로 대칭되는 양편에 마련된 볼트 또는 너트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대의 한쪽 끝부분에는 도구 또는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로터와 구동모터를 구비한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드론 본체를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1 링형 프레임과, 상기 제1 링형 프레임에 조립되어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링형 프레임을 구비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링형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론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론 본체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드론의 폴대 탑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드론 본체를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1 링형 프레임과, 상기 제1 링형 프레임에 조립되어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링형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기성품 드론 본체에 폴대 탑재 장치를 조립하여 구현이 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각종 연장이나 로봇암, 카메라 마운트 등과 같은 도구가 장착되는 폴대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더라도 기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폴대의 탑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 탑재형 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 탑재형 드론을 적용하여 잣을 채취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 탑재형 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드론 본체(100)와, 드론 본체(1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가동 프레임(110)과, 가동 프레임(110)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론 본체(100)는 원격 조종과 무인 자동 비행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와 통신장치, 광학장치, 센서, 위성항법장치(GPS), 배터리, 구동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소정의 PCB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탑재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드론 본체(100)의 하부에는 랜딩기어(Landing gear)가 부가될 수 있다. 드론 본체(100)를 이루는 상기 기술적 수단으로는 통상의 기술이 채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드론 본체(100)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로터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드론 본체(100)에는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소정의 지지암이 포함될 수 있다. 로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회전 시 드론의 비행을 위한 양력 및 추력을 발생시킨다. 로터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가동 프레임(110)은 드론 본체(100)를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드론 본체(100)를 중심으로 정해진 회전각 범위(예컨대, 0도~90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프레임(110)은 링형, 다각형, 원통형 또는 구형상의 망형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동 프레임(110)이 구형상의 망형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드론 본체(100)에 설치된 로터 부분까지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가동 프레임(110)이 링형이나 다각형,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드론 본체(100)의 센터 부분을 둘러싸면서 종방향(진행방향))으로 설치된다. 가동 프레임(110)은 링형이나 다각형,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드론 본체(100)에 설치된 로터 부분까지 전체를 감싸도록 설계가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동 프레임(110)이 링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중심으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동 프레임(110)은 지지 부재(120)에 의해 지지되어 드론 본체(100)의 적어도 센터 부분을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된다.
지지 부재(120)는 드론 본체(100)와 가동 프레임(110)에 사이에 개재되어 드론 본체(100)에 대해 가동 프레임(110)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120)는, 양단이 각각 상기 드론 본체(100)와 상기 가동 프레임(110)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드론 본체(100)에 대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지지 부재(1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지지 부재(120)의 끝부분에는 가동 프레임(110)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소정의 롤러, 베어링 또는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가동 프레임(110)은 지지 부재(120)의 끝부분에 조립된 상태에서 드론 본체(100)의 둘레를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대안으로, 가동 프레임(110)은 지지 부재(120)의 끝부분과 볼트결합 등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1 링형 프레임과, 상기 제1 링형 프레임의 일측(바람직하게, 가동 프레임(110)의 반경 방향으로 바깥면)에 조립되는 제2 링형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링형 프레임은 드론 본체(100)를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링형 프레임은 상기 제1 링형 프레임에 조립되어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탑재된 폴대(1)의 각도 조절을 위해, 가동 프레임(110)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정해진 각도로 한 피치씩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기어 이(gear tooth)를 구비하거나, 빡빡하게 슬립되면서 회전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때, 외력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가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드론 본체(100)나 제1 링형 프레임에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 제어신호에 따른 회전력을 제공하는 폴대 각도 조절용 서보모터(미도시)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가동 프레임(110)은 지지 부재(120)를 회전축으로 하여, 드론 본체(100)가 랜딩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제1 위치와 수직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프레임(110)은 드론 본체(100)가 랜딩된 상태에서는 지면에 대해 나란한 제1 위치(0도)에서 드론 본체(100)를 원형으로 둘러싸고, 공중에 이륙한 상태에서는 예컨대, 제2 위치까지 90도 회동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자세가 전환된다.
가동 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전환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120)에 대해 슬립되면서 전체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지지 부재(120)에 고정된 제1 링형 프레임에 대하여 제2 링형 프레임이 원주 방향으로 회동되어 폴대의 탑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폴대 탑재부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가진 폴대(1)를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동 프레임(110)의 양편에 배치되어 있다. 폴대 탑재부는 폴대(1)를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가동 프레임(110)의 서로 반대되는 양편에 형성된 볼트, 너트 구멍, 또는 관형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폴대 탑재부는 소정의 클램프나 홀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폴대 탑재부에 탑재되는 폴대(1)는 직경에 비해 길이의 비율이 매우 큰 다양한 것이 채용 가능하다. 폴대(1)는 가동 프레임(110)의 양편에 마련된 폴대 탑재부에 각각 체결되는 제1 폴대와 제2 폴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폴대와 제2 폴대는 길이 및 무게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대(1)의 단면 형상은 원형, 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길이는 예컨대, 수 센티미터에서 수 미터까지 드론의 크기나 사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것이 채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폴대(1)는 원형의 외주를 가지는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장대가 채용된다. 폴대(1)는 단일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단 파이프 형태, 또는 힌지에 의해 폴딩 가능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폴대(1)는 그 자체가 소정 기능을 가진 도구가 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폴대(1)의 끝부분에는 임업용 기구, 농기구, 전동공구와 같은 다양한 도구나 전자기기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대(1)의 끝부분에는 각종 연장이나 로봇암, 카메라 어셈블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폴대(1)가 가동 프레임(110)의 양편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에 각각 체결되는 제1 폴대와 제2 폴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동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양편에 위치하는 제1 폴대와 제2 폴대의 길이와 무게 비율은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고려할 때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제1 폴대와 제2 폴대의 길이 비율이 상이할 경우에는 무게 비율이 동일하도록 폴대 굵기나 소정의 웨이트(Weight)가 부가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가동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편에는 제1 폴대가 배치되고 타편에는 제1 폴대와 동일한 무게를 가진 웨이트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 탑재형 드론은 기체가 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폴대(1)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가동 프레임(110)의 폴대 탑재부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폴대(1)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므로 탑재 가능한 폴대(1)의 길이에는 사실상 제한이 없다.
폴대 탑재부에 폴대(1)를 장착하여 폴대(1)를 고정한 후에는 드론을 상승시키고, 가동 프레임(110)을 제어하여 드론 본체(100)의 둘레에 롤(roll) 방향으로 회동시켜 세우고, 다시 가동 프레임(110)을 제어하여 피치(pitch)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폴대(1)를 필요한 각도(예컨대, 45도, 90도 등)로 세팅한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폴대(1)의 길이가 매우 길더라도 폴대(1)의 중량이 드론의 허용 탑재 중량을 만족한다면 안정적으로 이를 드론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드론 본체(100)의 전방으로 10m 길이로 연장될 수 있게 폴대(1)를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 가동 프레임(110)의 앞뒤로 각각 10m 길이의 폴대를 장착하거나, 가동 프레임(110)의 앞부분에는 10m 길이의 폴대를 장착하고 뒷부분에는 앞부분의 폴대와 무게가 동일한 웨이트를 탑재하거나, 가동 프레임(110)의 앞부분에는 10m 길이의 폴대를 장착하고 뒷부분에는 길이가 상이하지만 무게가 동일한 폴대를 탑재하여 드론 본체(100)의 중심에 폴대(1)의 무게중심을 맞추면 된다.
이러한 폴대(1)는 최초 드론이 랜딩된 상태에서는 가동 프레임(110)이 제1 위치에 있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가동 프레임(110)의 폴대 탑재부에 나사결합 등으로 장착된다. 폴대(1)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탑재되므로, 탑재 중량을 만족한다면 10m 길이의 폴대(1)를 탑재하는 데 문제가 없다.
다음, 드론이 공중에 이륙한 상태에서 지지 부재(120)를 축으로 하여 가동 프레임(110)을 제2 위치까지 롤 방향으로 90도 회동시켜서 가동 프레임(110)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게 자세를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폴대(1)는 여전히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이후, 폴대(1)는 필요에 따라 가동 프레임(110)의 피치 방향 회전에 의해 회동하여 탑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폴대(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게 세워질 수 있으며, 비스듬히 경사진 각도로 탑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폴대(1)의 끝부분에는 카메라나 각종 도구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는 폴대(1)의 끝부분에 잣채취용 도구(잣 낫)를 장착하고 폴대(1)의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드론을 조종하여 잣을 채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잣 낫을 잣송이에 걸은 상태에서 드론을 전진 혹은 후진시켜서 잣송이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잣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이때 폴대(1)는 충분히 길이가 긴 것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드론의 기체가 잣나무에 접촉하여 충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잣 채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마운트 등과 같은 도구가 장착되는 폴대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더라도 기체의 센터 부분과 폴대(1)의 무게중심을 일치시켜서 기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폴대의 탑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가동 프레임(110)이 드론 본체(100)의 적어도 센터 부분을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프레임(110)은 드론 본체(100)를 둘러싸는 원통형이나 구형상의 망형체로 변형될 수 있다.
1: 폴대 100: 드론 본체
110: 가동 프레임 120: 지지 부재

Claims (8)

  1.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로터와 구동모터를 구비한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론 본체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정해진 회전각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링형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드론 본체가 랜딩되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제1 위치와 수직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드론 본체와 상기 가동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드론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링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 탑재부는 상기 가동 프레임 상에서 서로 대칭되는 양편에 마련된 볼트 또는 너트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의 한쪽 끝부분에는 도구 또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
  6.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로터와 구동모터를 구비한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드론 본체를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1 링형 프레임과, 상기 제1 링형 프레임에 조립되어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링형 프레임을 구비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링형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폴대 탑재형 드론.
  7. 드론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드론 본체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프레임; 및
    상기 가동 프레임에 배치된 폴대 탑재부;를 포함하는 드론의 폴대 탑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드론 본체를 원형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는 제1 링형 프레임과, 상기 제1 링형 프레임에 조립되어 원주 방향으로 슬립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링형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폴대 탑재 장치.
KR1020170184788A 2017-12-29 2017-12-29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KR20190081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88A KR20190081923A (ko) 2017-12-29 2017-12-29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88A KR20190081923A (ko) 2017-12-29 2017-12-29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923A true KR20190081923A (ko) 2019-07-09

Family

ID=6726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788A KR20190081923A (ko) 2017-12-29 2017-12-29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0601A (zh) * 2021-09-28 2022-02-11 国网浙江义乌市供电有限公司 一种适用于轻型多旋翼无人机的验电搭载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249A (ko) 2015-08-26 2017-03-08 김규천 폴대 탑재형 드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249A (ko) 2015-08-26 2017-03-08 김규천 폴대 탑재형 드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0601A (zh) * 2021-09-28 2022-02-11 国网浙江义乌市供电有限公司 一种适用于轻型多旋翼无人机的验电搭载装置
CN114030601B (zh) * 2021-09-28 2023-12-19 国网浙江义乌市供电有限公司 一种适用于轻型多旋翼无人机的验电搭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6249A (ko) 폴대 탑재형 드론
US8342440B2 (en) Miniature robotic vehicle with ground and flight capability
US8695919B2 (en) Aerial unit and method for elevating payloads
US8590829B2 (en) System, floating unit and method for elevating payloads
CN101298283B (zh) 采集空中信息的机载云台装置及其应用
KR20040094707A (ko) 항공기
SE535518C2 (sv) Lyftanordning för lyft av komponenter ingående i vindkraftverk och liknande konstruktioner
JP6085520B2 (ja) 遠隔操縦式無人飛行体
WO2022014080A1 (ja) 飛行体および導通検査方法
US9601974B2 (en) Armature assembly apparatus
KR20190081923A (ko) 폴대 탑재형 드론 및 이를 위한 폴대 탑재 장치
JP7216845B2 (ja) スラスタ安定化を有する吊り下げ式空中車両システム
KR20000022110A (ko) 활주부로 지지되는 헬리콥터용 수송대
WO20190016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WIND ELEMENTS
WO2020062504A1 (zh) 机臂组件及包括该机臂组件的无人机
EP29619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nd/or disassembling a wind turbine electric generator
CN109625264B (zh) 一种可调节小型物流运输装置及其组装方法
EP0232930A1 (en) Manipulator with rod mechanism
CN210971570U (zh) 一种无人飞机多功能悬挂架
CN215011730U (zh) 飞行式果实采摘系统
WO2013005182A2 (en) Wind power plant
CN210004071U (zh) 监控摄像机可移动支架
CN209852590U (zh) 一种无人机飞行抓取系统
US20170267499A1 (en) Lifting mechanism and lifting device comprising it
CN211167472U (zh) 一种角度可调节的高稳定型靶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