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75A -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75A
KR20190080575A KR1020170183109A KR20170183109A KR20190080575A KR 20190080575 A KR20190080575 A KR 20190080575A KR 1020170183109 A KR1020170183109 A KR 1020170183109A KR 20170183109 A KR20170183109 A KR 20170183109A KR 20190080575 A KR20190080575 A KR 20190080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rate
sports equipment
video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772B1 (ko
Inventor
황인석
박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8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7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5/23245
    • H04N5/23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스포츠 장비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는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한다.

Description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DEVICE AND METHOD FOR VIDEOING SPORTS AND SERVER FOR PROVIDING VIDEO LINKED WITH VIDEO DEVICE}
본 발명은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란 피사체의 빛이 렌즈를 통해 촬상 소자에 이미지를 만들고, 촬상 소자가 그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기록 또는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TV용 방송 카메라로서, 이미지를 3색으로 분해하여 3개의 촬상 소자로 동시에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플럼비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TV용 방송 카메라를 통해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 2017-0019809호는 비디오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TV용 방송 카메라를 통해 라이브 방송을 촬영하는 경우, TV용 방송 카메라는 1초당 30프레임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TV용 방송 카메라를 통해 1초당 30프레임의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시청자는 피사체가 저속으로 움직인다 하더라도 TV 시청에 큰 방해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TV용 방송 카메라를 통해 스포츠 경기를 촬영하는 경우, 봅슬레이, 스피드 스케이트, 쇼트트랙 스케이트와 같이 고속의 움직임을 갖는 환경에서는 1초당 30프레임의 영상으로 정확하게 순간을 포착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간으로 고속으로 움직이는 스포츠 선수의 영상을 방송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임의의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된 순간에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전환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속의 영상이라도 실시간으로 순간을 포착하여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의 고속 화면을 슬로우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포츠 선수의 시점에 따라 스포츠 경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로부터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고속으로 움직이는 스포츠 선수의 영상을 방송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임의의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된 순간에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전환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고속의 영상이라도 실시간으로 순간을 포착하여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의 고속 화면을 슬로우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스포츠 선수의 시점에 따라 스포츠 경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은 영상 촬영 장치(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영상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 촬영 장치(110) 또는 사용자 단말(13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스포츠 선수의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피드 스케이트, 쇼트트랙 스케이트, 스키 및 봅슬레이 등과 같이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종목의 선수들의 장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봅슬레이 경기의 경우, 봅슬레이 썰매의 앞 부분에 영상 촬영 장치(110)를 부착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110)가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쇼트트랙 스케이트, 스피드 스케이트 경기의 경우, 선수의 헬멧에 영상 촬영 장치(110)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헬멧의 좌측 도는 우측의 옆면에 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선수의 헬멧에 설치되는 경우, 선수의 시선을 따라 스포츠 경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는 예를 들어, 고속 프레임율을 가진 CMOS 센서와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츠 장비(100)를 착용한 선수가 고속으로 움직이게 되면, 영상 촬영 장치(110) 또한 고속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이로 센서로부터 얻게 되는 출력값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영상 촬영 장치(110)는 센서를 통해 스포츠 장비(100)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촬영 범위를 보정함으로써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장치(110)는 검출된 속도가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속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프레임율을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율은 제 1 프레임율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제 1 프레임율에서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면,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촬영된 영상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사용자 단말(130)로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프레임율로부터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어 촬영된 영상을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 촬영 장치(110)의 버퍼에 저장되지 않은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되어 수신된 영상을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슬로우 모션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슬로우 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은 스포츠 경기의 전개가 빨라짐으로써 시청이 어려워진 스포츠 경기를, 고속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슬로우 모션 영상을 통해 정확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촬영 장치(110)는 촬영부(210), 전송부(220), 검출부(230), 진동 억제부(240), 판단부(250) 및 변경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210)는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율은, 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속도일 수 있다.
촬영부(210)는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제 1 프레임율이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면,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율은 제 1 프레임율보다 높은 것으로, 예를 들어, 1초당 1,000프레임의 속도일 수 있다.
전송부(220)는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20)는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면,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출부(230)는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230)는 센서를 통해 스포츠 장비(100)의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일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출력값은 가속도 값 및 자이로 값을 XYZ 축의 방향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230)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가속 데이터와 움직임 데이터로부터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 및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진동 억제부(240)는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억제부(240)는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 억제부(240)는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촬영부(210)의 촬영 범위를 정해진 범위 내에서 'Read Start'의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로 계속 바꿔주도록 보정함으로써, 진동에 반대되는 효과를 주어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진동 억제부(240)는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모터를 통해 촬영 렌즈를 조절함으로써, 진동에 반대되는 효과를 주어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판단부(250)는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50)는 검출부(230)를 통해 검출된 속도가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속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50)는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자이로 센서의 가속도 데이터와 움직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된 선수의 움직임, 가속도, 방향 및 속도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조건은 딥러닝 기법을 통해 선수의 몸무게, 경기 종목, 기구간 움직임 등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조건이 고정된 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변경부(260)는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프레임율을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110)에서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10)에서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스포츠 장비(100)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 1 프레임율을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는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서버(120)는 수신부(410) 및 전송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410)는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율은 일반적인 속도로, 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속도일 수 있다.
수신부(410)는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프레임율로부터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어 촬영된 영상을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410)는 영상 촬영 장치(110)의 버퍼에 저장되지 않은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율은 제 1 프레임율보다 높은 것으로, 예를 들어, 1초당 1,000프레임의 속도일 수 있다.
전송부(420)는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420)는 제 1 프레임율로부터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어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420)는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되어 수신된 영상을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가 고속으로 진행됨에 따라,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되어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면, 전송부(420)는 고속으로 촬영된 스포츠 경기 화면을 사용자 단말(130)에서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영상 제공 서버(120)에서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110)와 연동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120)에서 스포츠 장비(100)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120)와 연동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스포츠 장비(110)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프레임율로부터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어 촬영된 영상을 영상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영상 촬영 장치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영상 제공 서버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영상 촬영 장치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영상 제공 서버에서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포츠 장비
110: 영상 촬영 장치
120: 영상 제공 서버
210) 촬영부
220: 전송부
230: 검출부
240: 전동 억제부
250: 판단부
260: 변경부
410: 수신부
420: 전송부

Claims (18)

  1. 스포츠 장비에 설치되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하는 변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스포츠 장비의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검출된 속도가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속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진동 억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억제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억제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의 촬영 범위를 보정함으로써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은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제공되는 것인, 영상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율은 상기 제 1 프레임율보다 높은 것인, 영상 촬영 장치.
  9.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제 1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로부터 제 2 프레임율로 변경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버퍼에 저장되지 않은 상기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되어 수신된 영상을 슬로우 모션 영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율은 상기 제 1 프레임율보다 높은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3.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출력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율을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프레임율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촬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값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스포츠 장비의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속도가 상기 고속 촬영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속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영상 촬영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율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변경된 제 2 프레임율로 실시간으로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영상 촬영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촬영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억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포츠 장비에 설치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인, 영상 촬영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억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부의 촬영 범위를 보정함으로써 상기 스포츠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인, 영상 촬영 방법.
KR1020170183109A 2017-12-28 2017-12-28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KR10201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09A KR102014772B1 (ko) 2017-12-28 2017-12-28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09A KR102014772B1 (ko) 2017-12-28 2017-12-28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75A true KR20190080575A (ko) 2019-07-08
KR102014772B1 KR102014772B1 (ko) 2019-08-27

Family

ID=6725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09A KR102014772B1 (ko) 2017-12-28 2017-12-28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7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10B1 (ko) * 2005-12-29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변환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112681A (ko) * 2007-02-01 2009-10-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재생 장치와 화상 재생 방법 및 촬상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018418B1 (ko) * 2008-10-21 2011-02-28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10B1 (ko) * 2005-12-29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의 이동 속도에 따른 카메라의 프레임 수 변환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112681A (ko) * 2007-02-01 2009-10-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재생 장치와 화상 재생 방법 및 촬상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018418B1 (ko) * 2008-10-21 2011-02-28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772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26299B (zh) 视频图像稳定化
JP6713537B2 (ja) 複数の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処理
CN108347563B (zh) 视频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363191B1 (en) Omnidirectional camera with movement detection
US10148876B1 (en) Panoramic video cameras, camera system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handling multiple video streams while tracking an object
US942026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2018509113A (ja) 独立符号化バックグラウンド更新に基づく映像伝送
JP2004180306A (ja) 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デジタルズーム
JP201005064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8079547B (zh) 图像处理装置、分析系统、图像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US957823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90335153A1 (en) Method for multi-camera device
KR102014772B1 (ko) 경기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영상 촬영 장치와 연동하는 영상 제공 서버
JP2012151688A (ja) 映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9696959B (zh) 一种画面展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0095648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GB2552150A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CN107426522B (zh) 基于虚拟现实设备的视频方法和系统
JP6787072B2 (ja) 画像処理装置、解析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5783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57104B1 (ko) 놀이공간 영상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JP6284203B2 (ja) 監視装置
US20230293008A1 (en) Body worn camera, sensor and content delivery system
CN109218596B (zh) 动态拍照方法、装置及终端
US97363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data stream from an in-flight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