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90A -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90A
KR20190080190A KR1020170182483A KR20170182483A KR20190080190A KR 20190080190 A KR20190080190 A KR 20190080190A KR 1020170182483 A KR1020170182483 A KR 1020170182483A KR 20170182483 A KR20170182483 A KR 20170182483A KR 20190080190 A KR20190080190 A KR 2019008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gle unit
coupled
exterior materia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창
Original Assignee
황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창 filed Critical 황인창
Priority to KR102017018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190A/ko
Publication of KR2019008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2)에, 상기 벽체(1) 외측에 부착된 단열재 외측에서 결합되는 고정구 본체(10)와,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와 맞물려 지지하는 앵글유니트(30)를 구비하는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10)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2개의 앙카볼트(2) 각각이 삽입되게 끼우도록 된 2개의 관형부(11)들과, 상기 관형부(11)들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관형부(11)들 각각에 대응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홀(15)이 형성된 고정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포성 단열재 외측에서 상기 고정구 본체에 앵글 유닛이 배치됨에도 앵글유닛과 그에 의해 맞물려 지지되는 외장재가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화가 유지됨으로써 지진발생시 외장재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고정구 본체의 관형부를 단열재를 관통하여 앙카볼트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STON OUTER PANNELS OF BUIN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포성 단열재가 외측면에 부착된 콘크리트 건축물 석판 외장재를 지진 발생시에도 외장재를 탈락 염려없이 안정되게 고정유지하도록 개선된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외벽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타일, 테라코타, 석판 등의 외장재 패널들을 부착고정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 건축물 외벽에 폴리우레탄 폼 또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성 단열재가 설치되고 그 외측에 석판과 같은 외장재 패널이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고정유닛으로 외장재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건축물 외벽에의 외장재 패널 고정구조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270436호(등록일자 2013년05월28일)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제 1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한 쌍의 제 2 볼트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 건축물 벽면에 매입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발포성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볼트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앙카볼트; 상기 제 2 볼트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 본체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포성 단열재를 뚫고 상기 건축물 벽면에 접촉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볼트; 세로판과 가로판으로 이루어져 "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판에는 상기 고정구 본체의 제 1 볼트 결합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의 끝단이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후단부는 상기 가로판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패널을 설치하는 끼움 격판부가 구비된 조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진 발생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진폭이 발생될 때 발포성 단열재의 압축성에 의해 폭방향의 변위가 발생될 수 있어서 그 단열재 외측에 배치되는 앵글유닛과 같은 외장재 고정장치가 벽체와 일체화되지 못하고, 그 고정장치가 벽체와 다른 변위의 진동 양상을 나타냄에 따라 고정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석판과 같은 외장재에도 또한 벽체와 다른 진동 양상의 진폭이 발생됨에 따라, 고정장치에 맞물려 지지되는 석판과 같은 외장재가 고정장치에서 탈락되어 낙하됨으로써, 외장재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그 하측의 지면에 있는 사람이 부상당할 수 있고, 차량과 같은 재물의 손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지진발생시에도, 건축물의 석판과 같은 외장재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개선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70436호(등록일자 2013년05월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서의 지진발생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발포성 단열재 외측에서 벽체에 고정된 앙카볼트에 안정되게 고정유지되어 벽체에 대하여 일체화 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고정장치에 맞물려 지지되는 석판과 같은 외장재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개선된 구조의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는 앙카볼트에, 상기 벽체 외측에 부착된 단열재 외측에서 결합되는 고정구 본체와, 상기 고정구 본체의 외측에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와 맞물려 지지하는 앵글유니트를 구비하는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2개의 앙카볼트 각각이 삽입되게 끼우도록 된 2개의 관형부들과, 상기 관형부들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관형부들 각각에 대응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홀이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형부들은 상하로 연결하는 판상의 연결부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그 양측면에서 연결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부가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자유단부와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글유니트는 판상의 부재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수직부와 수평부가 일체로 된 본체와, 상기 수평부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를 결합하여 고정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 본체의 고정판에 볼트로 결합되는 앵글유니트에는 관형부들과 연통되는 홀들 각각에 대응하여 수직의 수직부에 장공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두개의 앙카볼트가 발포서 단열재를 관통하는 관형부들에 삽입되어 고정구 본체가 결합됨으로써 발포성 단열재 외측에서 상기 고정구 본체에 앵글 유닛이 배치됨에도 앵글유닛과 그에 의해 맞물려 지지되는 외장재가 콘크리트 벽체와 일체화가 유지됨으로써 지진발생시 외장재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고정구 본체의 관형부를 단열재를 관통하여 앙카볼트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고정구 본체와, 그 고정구 본체에 결합되는 앵글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2)에, 상기 벽체(1) 외측에 부착된 단열재 외측에서 결합되는 고정구 본체(10)와,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와 맞물려 지지하는 앵글유니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앙카볼트(2)는 상하로 이격되어 두개가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 본체(10)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2개의 앙카볼트(2) 각각이 삽입되게 끼우도록 된 2개의 관형부(11)들과, 상기 관형부(11)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판상의 연결부(13), 상기 관형부(11)들과 연결부(13)의 단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관형부(11)들 각각에 대응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홀(15)이 형성된 고정판(16)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3)는 관형부(11)와 전체 길이에 걸쳐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의 관형부(1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3)에는 그 양측면에서 연결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부(17)가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7)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연결부(13)의 자유단부와 일치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고정구 본체(10)의 관형부(11)들과 연결부(13) 및 지지부(17)의 단부들이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상하좌우로 맞대어져 배치된다.
상기 고정구 본체(10)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단열재, 예를들어 발포성 단열재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 그 외측에서 돌출된 앙카볼트에 관형부(11)들에 끼워서 배치하며, 이때 상기 고정판(16)은 단열재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이로써, 종래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해 단열재에 칼로 도려내어거나 화염으로 녹여 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글유니트(30)는 판상의 부재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수직부(32)와 수평부(33)가 일체로 된 본체(31)와, 상기 수평부(33)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를 결합하여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35)의 외측 단부에는 그 상면과 저면에서 각각 돌출된 고정핀(36)들이 형성되어 상측의 고정핀은 지지판(35) 상측의 석재(60)의 저면에 형성된 홈(37)에 끼워져 고정하고, 하측의 고정핀은 지지판(35) 하측의 석재 상면에 형성된 홈(38)에 끼워져 석재들을 고정지지한다. 상기 수평부(33)에는 장공(39)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5)에 형성된 홀(40)을 통해 볼트로 위치 조정하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고정판(16)에는 앵글유니트(30)가 볼트로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앵글유니트(30)에는 관형부(11)들과 연통되는 홀(15)들 각각에 대응하여 수직의 수직부(32)에 형성된 장공(34)들이 수직부(32)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해 볼트로 체결하여 앵글유니트가 고정판(16)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앵글유니트(30)의 수직부(32)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두개의 장공(34)을 통해 고정구 본체(10)의 고정판(16)에 형성된 홀(15)들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됨으로써, 종래 하나의 볼트로 본체 고정판에 앵글유니트로 결합할 때 앵글유니트의 수평부(33)가 완전히 수평이 되지 않게 배치되어 석판 외장재가 비스듬히, 안정되지 않게 장착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는 도 4의 사용상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앙카볼트(2)가 콘크리트 벽체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단열재(50)를 배치하고,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두개의 관형부(11)들을 각각 상기 앙카볼트(2)를 삽입되게 끼움으로써, 상하로 이격된 관형부(11)들과 그 관형부들 사이의 연결부(13) 및 연결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부(17)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고정판(16)에 앵글유니트(30)의 수직부(32)를 상하로 형성된 장공을 통해 볼트로 고정되고, 앵글유니트와 그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석판 외장재가 고정구 본체(10)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에 일체화되게 고정됨으로써,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석판 외장재(60)가 탈락됨이 없이 안정되게 고정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장재를 지진발생시에도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이용할 수 있다.
1 : 벽체 2 : 앙카볼트
10 : (고정구) 본체 11 : 관형부
13 : 연결부 15 : 홀
16 : 고정판 17 : 지지부
30 : 앵글유니트 31 : 본체
32 : 수직부 33 : 수평부
34 : 장공 35 : 지지판
36 : 고정핀 37, 38 : 홈
50 : 단열재

Claims (3)

  1.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2)에, 상기 벽체(1) 외측에 부착된 단열재 외측에서 결합되는 고정구 본체(10)와,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와 맞물려 지지하는 앵글유니트(30)를 구비하는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10)는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2개의 앙카볼트(2) 각각이 삽입되게 끼우도록 된 2개의 관형부(11)들과, 상기 관형부(11)들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관형부(11)들 각각에 대응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홀(15)이 형성된 고정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11)들은 상하로 연결하는 판상의 연결부(13)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3)에는 그 양측면에서 연결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부(17)가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7)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연결부(13)의 자유단부와 일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유니트(30)는 판상의 부재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수직부(32)와 수평부(33)가 일체로 된 본체(31)와, 상기 수평부(33)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결합되며 석판 외장재를 결합하여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고정판(16)에 볼트로 결합되는 앵글유니트(30)에는 관형부(11)들과 연통되는 홀(15)들 각각에 대응하여 수직의 수직부(32)에 장공(34)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KR1020170182483A 2017-12-28 2017-12-28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KR20190080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83A KR20190080190A (ko) 2017-12-28 2017-12-28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83A KR20190080190A (ko) 2017-12-28 2017-12-28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90A true KR20190080190A (ko) 2019-07-08

Family

ID=6725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483A KR20190080190A (ko) 2017-12-28 2017-12-28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05B1 (ko) 2020-04-29 2021-03-23 (주)비피판넬 칸막이 벽체의 내진 브래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36B1 (ko)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36B1 (ko)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05B1 (ko) 2020-04-29 2021-03-23 (주)비피판넬 칸막이 벽체의 내진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43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KR10114744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1315025B1 (ko) 커튼월용 앵커장치
JP2016501327A (ja) 建物構造のための断熱壁システム
KR20190080190A (ko) 건축용 석판 외장재 고정장치
JP4943317B2 (ja) プレート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プレート部材で構成した壁面構造
JP2018009383A (ja) 外壁パネル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金物
KR20150016009A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구조물
JP4169659B2 (ja) 断熱材の取付構造
KR101922940B1 (ko) 준불연성단열재를 이용한 거푸집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KR101452134B1 (ko)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JP2008045268A (ja) ユニットパネルセット及びユニットパネル工法
JP7222746B2 (ja) 間仕切りユニット、及びこの間仕切りユニットを用いた間仕切り構造
JP6027061B2 (ja) 床構造および床パネル
KR20200123345A (ko)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6838872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90106200A (ko) 콘크리트패널 정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패널구조물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JP7141840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断熱材の設置方法
JP2004100268A (ja) 免震取付け具及び免震壁構造
JP2020076216A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この間仕切壁構造の施工方法
JP7465051B2 (ja) パネル取付方法、及びパネル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