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820A -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9820A KR20190079820A KR1020170181814A KR20170181814A KR20190079820A KR 20190079820 A KR20190079820 A KR 20190079820A KR 1020170181814 A KR1020170181814 A KR 1020170181814A KR 20170181814 A KR20170181814 A KR 20170181814A KR 20190079820 A KR20190079820 A KR 201900798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outlet
- air
- inlet
- colle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250 beta ra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819 chronic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사선 소스인 베타레이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미세 먼지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의 측정을 위해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포집부에 있어서, 미세먼지의 리크를 방지하고,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여지의 변형을 방지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air using a Betalay, which is a radiation sour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measuring fine du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ing part of an automatic fine particle measuring device and an automatic fine particle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collecting part of the automatic fine particle measuring device.
경제활동에 따른 에너지 사용의 증가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대도시의 대기 중에 부유 분진 농도의 증가가 초래되었고, 이로 인해 시정장애 및 인간의 호흡기 질환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Due to the increase in energy use and the rapid increase of automobiles due to economic activities,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dust in the atmosphere of large cities has increased, resulting in mental disorders and human respiratory diseases.
국내에서는 입자상 대기오염 물질에 대해서 1995년부터 대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분진 중입자의 직경이 10㎛ 이하인 입자(이하, PM10)를 기준항목으로 설정하여 관리해오고 있으며, 최근 주요 대도시의 미세먼지 오염도가 환경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고 있어 PM10에 대한 환경기준을 대폭 강화하려 하고 있다.In Korea, particulate pollutants (PM10)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10 μ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M10") have been managed as standard items since 1995, and recently, Far exceeding the environmental standards for PM10.
한편, 미국 EPA에서는 1997년부터 보다 더 강화된 미세분진 기준을 추가하여 대기 중의 PM2.5 입자들을 관리하고 있다. 2.5㎛이하의 미세 입자(이하, PM2.5)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하는 위해도 규명은 과거에도 그래 왔고, 현재에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Meanwhile, the US EPA has been managing atmospheric PM2.5 particles since 1997 with the addition of more fine particulate standard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ine particles smaller than 2.5 μ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M 2.5) and the risk of how it can affect humans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actively pursued in the past.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PM2.5를 흡입하였을 경우 인간은 만성 천식 등 호흡기 계통의 질환은 물론, 심장 질환, 심한 경우 폐암과 관련된 각종 질병에 걸릴 수 있다.It has been found that when PM2.5 is inhaled, humans can suffer various diseases related to heart diseases and severe lung cancer as well as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chronic asthma.
인간의 흉부까지 도달할 수 있는 미세 먼지의 입경의 범위는 10㎛ 정도이고, 특히 입자의 크기가 2.5㎛인 경우 흉부 침적률이 최대이기 때문에, 대기질 오염 기준으로써 입자의 측정은 2.5㎛ 이하이어야 한다.The range o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dust that can reach the human chest is about 10 탆, and especially when the particle size is 2.5 탆, the chest deposition rate is the maximum. Therefore, do.
이를 인식한 우리 정부도 그동안 총 부유분진으로 규제해왔던 대기오염물질 기준을 1995년에 PM10 기준(연평균80㎍/㎥, 일평균 150㎍/㎥)으로 변경하였으며, 앞으로 PM2.5로 수정할 계획이다.Recognizing this, the Korean government has changed the standard of air pollutants that had been regulated by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o the PM10 standard (annual average 80 ㎍ / ㎥,
입자상 물질(PM)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전통적인 중력에 의한 측정, 광학적인 산란을 이용한 측정 등 몇 가지가 있으나, 각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때문에 베타선의 감쇄원리에 기초를 둔 베타레이 흡수 법이 대기부유분진 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several method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such as conventional gravity measurement and optical scattering measurement. However, due to the problems of each, the beta ray absorption method based on the principle of attenuation of the beta ray It is widely used for floating dust measurement.
베타레이 흡수 법을 이용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는 대기를 유입시키는 도입부와, 대기 중의 먼지를 여지(glass fiber filter)에 포집하는 포집부와, 베타선원 검출기를 통해 여지에 포집된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분석부 및 대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The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for fine dust using the Betalay absorption method includes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dust in the air in a glass fiber filter, and an amount of dust collected in the filter through a Beta source detector And a flow ra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atmospheric air.
위와 같은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인해 미세먼지의 정확한 측정을 방해한다.The collecting part of the automatic fine dust measur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inders accurate measurement of the fine dust due to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유로를 형성하고 유로 사이에 여지를 끼워 여지에 필터링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측정부의 특성 상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여지의 변형이나 훼손이 발생된다. Firs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ing part that collects the dust that is filtered in the filter by forming the flow path and the filter between the flow paths, the filter is deformed or damag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둘째, 먼지 포집 과정 중 공기의 압력 및 여지의 변형으로 인해 공기가 포집부 밖으로 리크되어 리크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만큼 정확한 미세먼지의 포집이 불가하다. Secon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air pressure and the air during the dust collecting process, the air leaks out of the collecting part and it is not possible to collect the fine dust as accurate a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leaked ai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부 상의 여지가 끼워지는 유입부와 유출구 사이에 유연한 재질의 리크 방지부를 구비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유출을 방지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ak preventive part of a flexible material between an inflow part and an outflow port, And a dust collecting part of the automatic dust measuring device and an automatic fine dust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리크 방지부는, 위 유출구 상에 구비되며 여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공기 유동 압력에 따른 여지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outlet and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filter paper, there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filter paper due to the air flow pressure. The dust collecting portion of the automatic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a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는,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 받아, 여지를 통해 미세먼지를 포집한 후 여지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여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부를 연통하는 유출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타면이 상기 제2 유입구 둘레에 고정 구비되며, 일면이 상기 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유출구 둘레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탄성 재질의 리크 방지부를 포함한다. The collect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fine dust through the air inflow portion through the air inflow portion and then collects the fine dust through the air inflow portion, The collecting portion of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an inlet space formed therein, the collector including a first inlet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a first outlet for supplying air to the filter;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dischar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and the air outlet with the space therebetween,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fixed around the second inlet, And an anti-leak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one surface abutt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outlet portion with the space therebetween.
이때, 상기 리크 방지부는,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유출공간을 연통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며, 제2 유입구 상에는 상기 여지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has a second inlet communicating the first outlet with the outlet space,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lter sheet is formed on the second inlet.
또한, 상기 지지부는, 단부가 상기 제2 유입구 둘레에 연결되는 십자형 또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cross shape or a lattice shape in which an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ort.
또한, 상기 리크 방지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leak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one surface of the leak preventing port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유입구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출구가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the first inlet port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outlet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ort.
또한, 상기 유입공간 상에는,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유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다. A guide channel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port to the first outlet port is formed in the inflow space.
또한, 상기 유출공간은, 상기 공기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출구는, 상기 리크 방지부의 대향면에 형성된다. The outflow space may include a second outflow port connected to the air outflow port, and the second outflow port is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leak prevention port.
아울러, 상기 포집부는, 상기 리크 방지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하우징은 탄성계수가 상기 리크 방지부의 탄성계수 보다 높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탄성계수보다 낮다. Further, the colle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housing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leak preventing portion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buffer housing has a coefficient of elasticity higher than an elastic modulus of the leak preventing portion, Coefficien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는, 상술된 포집부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llecting unit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측정 장치는, 롤 타입으로 되는 여지; 상기 여지가 권취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여지를 상기 포집부에 공급하는 여지 공급롤; 회전에 의해 상기 포집부로부터 사용된 여지를 공급받아 권취하는 여지 회수롤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roll type roll paper; A paper feed roll which winds the paper and feeds the paper to the collecting portion by rotation; And a papermaking roll for taking up the used papermaking from the collecting part by rotation and winding the papermaking papermaking roll.
또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여지의 고정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하우징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The measu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housing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for separa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for fixing and moving the paper.
또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여지의 일면에 포집되는 미세먼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유출구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유출구의 대향면에 구비되는, 측정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device provid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outlet so as to face the first outlet through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monitor fine dust collect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sheet. And further includes an analysis unit.
아울러, 상기 측정 장치의 유입공간 상에는,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유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유로의 유출단 높이는 상기 측정분석부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 guide path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to the first outlet is formed on the inflow space of the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height of the outflow end of the guide path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d of the measurement analysis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는 리크 방지부를 통해 미세먼지 포집 과정에서 공기의 리크가 발생되지 않아 정밀한 미세먼지 포집이 가능하고 정확한 미세먼지량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collecting portion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fine dust including the fine dust coll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collect fine dust without leakage of air in the fine dust collecting process through the leak preven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fine dust.
또한, 리크 방지부에 형성된 지지부를 통해 최대 400mmHg 의 압력이 여지에 발생해도 여지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미세먼지의 정밀한 포집 및 정확한 미세먼지량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urther, even if a pressure of 400 mmHg at the maximum is generated through the support formed in the leak preventing portion, no deformation of the paper is caused, so that the fine dust can be accurately collected and the amount of fine dust can be accurately mea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입부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출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 단면도 (여지 이동 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 단면도 (여지 고정 시)
도 6은 포집 과정을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포집부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부분투영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in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lecting part (at the time of moving the pap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lecting part (when the filter is fix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cting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collecting process.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dust particles including a coll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fine dust including a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중 여지를 통해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포집부(1000)의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1000)는 상부파트(제1 하우징)와 하부파트(제2 하우징)로 나뉘며 상부파트에 연결된 공기 유입부(2000)를 통해 공기를 유입 받게 되며, 상부파트의 유출홀과 하부파트의 유입홀 사이에 여지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파트와 하부파트를 밀착시켜 상부파트의 유출홀과 하부파트의 유입홀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지를 통해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파트는 공기 유출부(3000)는 통해 공기를 배출하고, 공기 유출부(3000) 상에는 유량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유량 제어부의 구동을 통해 공기 유입부(2000)로부터 공기를 포집부(1000)로 유입시키고, 포집부(10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파트에는 여지의 미세먼지 포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측정분석부(5000)가 설치되어 베타선원 검출기를 통해 여지에 포집된 먼지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1000)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포집 시 상부파트와 하부파트 사이로 발생될 수 있는 공기의 리크 및 여지의 변형을 방지함에 그 특징이 있는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포집부(10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1000) 중 포집부(1000)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제1 하우징(100)의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포집부(1000)의 출구 측에 배치된 제2 하우징(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포집부(1000)의 개략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집부(1000)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2000) 측에 배치된 제1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기 유입공간(110)이 형성된 함체 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100)은 유입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제1 하우징(100)의 측면에 제1 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제1 유입구(120)는 공기 유입부(2000)와 연결되어 공기 유입부(20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공간(110)으로 공급한다. 또한 제1 하우징(100)은 유입된 공기를 여지(S)에 통과시키도록 제1 하우징(100)의 하면에 유입공간(110)과 연통되는 제1 유출구(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유출구(150)는 여지(S)의 일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100) 상에는 측정분석부(5000)가 끼워지며, 측정분석부(5000)는 단부가 유입공간(110) 상에 노출되고, 여지(S)의 일면에 포집되는 먼지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다. 측정분석부(5000)는 여지(S)의 일면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단부가 제1 하우징(100)의 상면을 통해 삽입되어 제1 하우징의 제1 유출구(150) 측을 모니터링 하게 된다. 제1 유입구(120)는 공기 유동 성능을 높이기 위해 제1 유출구(150)의 대향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위와 같은 측정분석부(5000)의 배치 때문에 제1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0) 내부에는 제1 유입구(12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1 유출구(150)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유로(16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160)의 끝단 높이는 측정분석부(5000)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유동 중인 공기가 측정분석부(5000)의 단부에 의해 유동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2 and 4,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집부(1000)는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부(3000) 측에 배치된 제2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200)은 상면이 상기 제1 하우징(100)의 일면에 맞닿도록 하여 제1 하우징(100)의 하면과 제2 하우징의 일면 사이에 여지(S)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여지(S)는 일정시간 먼지를 포집한 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먼지가 포집되지 않은 새로운 면에 먼지를 포집 받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여지(S)의 이동을 위해 제2 하우징(200)은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하우징(200)은 내부에 공기 유출공간(210)이 형성된 함체 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하우징(200) 유출공간(210)과 연통되도록 하면에 제2 유출구(220)가 형성되고, 제2 유출구(220)는 공기 유출부(3000)와 연결되어 제1 하우징(100) 및 여지(S)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 유출부(3000)로 배출한다. 또한, 제2 하우징(200)의 공기 유출공간(210)의 일측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100, 200)이 밀착되었을 때 제1 유출구(150)로부터 공기를 유입 받게 되는 데, 제2 하우징(200)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을 유동하는 공기의 리크를 방지하기 위한 리크 방지부(230)가 구비된다. 리크 방지부(2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제1 유출구(150)와 유출공간(210)을 연통하는 제2 유입구(231)가 형성된다. 즉 제1 유출구(150)와 제2 유입구(231) 사이에 여지(S)가 끼워지며, 제1 유출구(15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여지(S)를 통과하여 제2 유입구(231)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리크 방지부(230)는 제2 하우징(200)의 일면에서 일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제2 하우징(200)과 결합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제1 하우징(100)의 타면과 결합 시 수축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200)을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또한, 리크 방지부(230)는 제2 유입구(231) 상에 여지(S)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40)가 형성된다. 지지부(240)는 단부가 제2 유입구(231)의 둘레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 유동 압력에 의해 여지(S)가 타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상에는 지지부(240)가 십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여지(S)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무방하다.3 and 4, the collecting
아울러 제2 하우징(200) 상에는 제2 하우징(200)과 리크 방지부(230) 사이에 구비되어 리크 방지부(230)가 제1 하우징(200)에 맞닿았을 때 충격을 방지하고, 밀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완충하우징(250)을 더 포함한다. 완충하우징(250)은 리크 방지부(230) 보다 큰 직경 및 두께를 갖는 링형으로 구성된다. 완충하우징(250)의 중앙에는 제2 유입구(231)와 유출공간(210)을 연결하는 연통구(241)가 형성된다. 또한, 완충하우징(250)의 일면에는 리크 방지부(230)의 고정으로 위해 타측으로 함몰된 안착부(255)가 형성된다. 완충하우징(250)은 리크 방지부(230) 보다 탄성계수가 높고, 상기 제2 하우징(200) 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완충하우징(250)의 직경은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테이퍼 형으로 구성하여 리크 방지부(230)와 제1 하우징이 밀착되었을 때, 리크 방지부(230)와 제2 하우징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리크를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집부(1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0)의 하면과 제2 하우징(200)의 상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공기 유출부(3000) 상에 구비된 유량 제어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공기 유입부(2000)에서 공기를 유입 받아 제1 유입구(120), 제1 유출구(150), 여지(S), 제2 유입구(231), 제2 유출구(220)를 경유하여 공기 유출부(3000)로 배출된다. 이때 여지(S)의 일면에 포집된 미세먼지를 측정분석부(5000)를 통해 모니터링 하여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 및 분석하게 된다. 일정시간 포집을 진행한 후 여지(S)의 이동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0)이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여지(S)를 이동시키게 된다. 5, the collecting
도 6에는 포집 과정을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포집부(1000)의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ollecting
도시된 바와 같이 여지(S)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에 끼워지되, 일정시간 포집(M1)을 완료하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새로운 면을 통해 포집(M2)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per S is sandwiched between the
이하, 상술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1000)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10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fine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1000)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100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포집부(1000)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10000)의 부분투영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e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10000)는 대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2000)와, 대기 중의 먼지를 여지(glass fiber filter)에 포집하는 포집부(1000)와, 베타선원 검출기를 통해 여지에 포집된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분석부(5000), 미세먼지가 포집된 후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출부(3000) 및 대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부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ne dust
또한, 여지(S)가 권취되어 포집부(1000)로 여지를 공급하는 여지공급롤(4100) 및 미세먼지의 측정과 분석이 완료된 여지를 회수하는 여지회수롤(4200)을 포함한다. Further, a
또한, 측정분석부(5000), 여지공급롤(4100), 여지회수롤(4200) 및 유량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00)와, 측정분석부(5000)를 통해 모니터링된 미세먼지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000)와 상술된 구성이 수용되며 내부 확인이 가능한 도어(9500)가 구비된 케이스(9000)를 포함한다. The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0 : 포집부
100 : 제1 하우징
110 : 유입공간
200 : 제2 하우징
230 : 리크 방지부
240 : 지지부
250 : 고정하우징
2000 : 공기 유입부
3000 : 공기 유출부
4100 : 여지 공급롤
4200 : 여지회수롤
5000 : 측정분석부
6000 : 제어부
7000 : 모니터
9000 : 케이스
10000 :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1000: collection part
100: first housing 110: inflow space
200: second housing 230: leak preventing portion
240: support part 250: fixed housing
2000: air inlet
3000: air outlet
4100: Wool feed roll 4200: Wool roll recovery roll
5000: Measurement analysis section
6000:
7000: Monitor
9000: Case
10000: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fine dust
Claims (13)
상기 포집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여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부를 연통하는 유출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은,
타면이 상기 제2 유입구 둘레에 고정 구비되며, 일면이 상기 여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유출구 둘레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탄성 재질의 리크 방지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A collecting portion of an automatic fine dust measuring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through a filter paper after receiving air through an air inlet portion and discharging air passing through a filter through an air outlet portion,
The collecting unit collects,
A first housing having therein an inflow space including a first inflow port connected to the air inflow section and a first outflow port for supplying air to the inflow port; And
And a second housing having therein an outflow space communicating the first outflow port and the air outflow section with the space therebetween,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nd an anti-leak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fixed around the second inlet and is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periphery of the first outlet with one side thereof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collecting portion of the automatic fine- Included fine dust automatic measuring device.
상기 리크 방지부는,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유출공간을 연통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며, 제2 유입구 상에는 상기 여지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k-
A second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and the outlet space is forme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is formed on the second inlet.
상기 지지부는,
단부가 상기 제2 유입구 둘레에 연결되는 십자형 또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end portion is formed in a cruciform or lattice shap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ort.
상기 리크 방지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되, 일면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k-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with one surfac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o one side.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유입구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출구가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using includes:
Wherein the first inle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first outlet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유입공간 상에는,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유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inflow space,
Wherein 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to the first outlet is formed.
상기 유출공간은,
상기 공기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출구는, 상기 리크 방지부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low-
And a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air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is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leakage preventing portion.
상기 포집부는,
상기 리크 방지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하우징은 탄성계수가 상기 리크 방지부의 탄성계수 보다 높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탄성계수보다 낮은,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llecting unit collects,
Wherein the buffer housing has an elastic modulus higher than an elastic modulus of the leak preventing portion and lower than an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housing, Collecting part of automatic measuring device.
An automatic fine dus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the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측정 장치는,
롤 타입으로 되는 여지;
상기 여지가 권취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여지를 상기 포집부에 공급하는 여지 공급롤;
회전에 의해 상기 포집부로부터 사용된 여지를 공급받아 권취하는 여지 회수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Roll type;
A paper feed roll which winds the paper and feeds the paper to the collecting portion by rotation;
And a papermaking roll for taking up the used papermaking from the collecting part by rotation and winding the papermaking papermaking roll.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여지의 고정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하우징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for separa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for fixing and moving the paper.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여지의 일면에 포집되는 미세먼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유출구를 향하도록 상기 제1 유출구의 대향면에 구비되는, 측정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And a measurement analyzing section provid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outlet so as to face the first outlet through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so as to monitor fine dust collect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sheet,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dust.
상기 측정 장치의 유입공간 상에는,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 유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유로의 유출단 높이는 상기 측정분석부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On the inflow space of the measuring device,
A guide passage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to the first outlet,
And the height of the outlet end of the guide channel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d of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814A KR20190079820A (en) | 2017-12-28 | 2017-12-28 |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814A KR20190079820A (en) | 2017-12-28 | 2017-12-28 |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820A true KR20190079820A (en) | 2019-07-08 |
Family
ID=6725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814A KR20190079820A (en) | 2017-12-28 | 2017-12-28 |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9820A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241B1 (en) | 2021-09-08 | 2021-11-11 | 대한민국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ne dust using low-power laser |
KR20220007204A (en) * | 2020-07-10 | 2022-01-18 | (주)켄텍 | Fine dust measuring device using beta-ray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20026062A (en) * | 2020-08-25 | 2022-03-04 | (주)켄텍 | Continuous beta-ray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30269A (en) * | 2021-08-25 | 2023-03-06 | (주)켄텍 | Beta-ray fine dust measuring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
KR20230030756A (en) | 2021-08-26 | 2023-03-07 | (주)켄텍 | Manufacturing method of improved source for measuring fine dust |
KR20230059581A (en) * | 2021-10-26 | 2023-05-03 | 주식회사 엑스엘 |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
KR20230111078A (en) * | 2022-01-17 | 2023-07-25 | 코스텍 주식회사 | Beta-ray source, detector-integrated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by beta-ray absorption |
WO2024025322A1 (en) * | 2022-07-26 | 2024-02-01 |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 Autonomous mobile system for det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ai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289B1 (en) | 2012-01-30 | 2013-06-24 | (주)켄텍 | Dual particulate matter analyzer by using beta-ray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1814A patent/KR2019007982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8289B1 (en) | 2012-01-30 | 2013-06-24 | (주)켄텍 | Dual particulate matter analyzer by using beta-ray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204A (en) * | 2020-07-10 | 2022-01-18 | (주)켄텍 | Fine dust measuring device using beta-ray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20026062A (en) * | 2020-08-25 | 2022-03-04 | (주)켄텍 | Continuous beta-ray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30269A (en) * | 2021-08-25 | 2023-03-06 | (주)켄텍 | Beta-ray fine dust measuring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
KR20230030756A (en) | 2021-08-26 | 2023-03-07 | (주)켄텍 | Manufacturing method of improved source for measuring fine dust |
KR102325241B1 (en) | 2021-09-08 | 2021-11-11 | 대한민국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ne dust using low-power laser |
EP4148412A1 (en) | 2021-09-08 | 2023-03-15 |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ne dust using low-power laser light |
KR20230059581A (en) * | 2021-10-26 | 2023-05-03 | 주식회사 엑스엘 |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
KR20230111078A (en) * | 2022-01-17 | 2023-07-25 | 코스텍 주식회사 | Beta-ray source, detector-integrated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by beta-ray absorption |
WO2024025322A1 (en) * | 2022-07-26 | 2024-02-01 |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 Autonomous mobile system for det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ai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9820A (en) |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 |
KR101278289B1 (en) | Dual particulate matter analyzer by using beta-ray | |
KR101678175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and simultaneously sampling of heavy metal | |
CN203101227U (en) | PM2.5 monitor suitable for high-humidity environment | |
JP6266127B2 (en) | Clean air device and dust inspection method | |
JP6837986B2 (en) | A device for measuring exposure to fine particles, especially nanotubes | |
CN211292462U (en) | Aerosol particle collecting and sampling system | |
KR20190043507A (en) | measuring apparatus for suspended particulates | |
CN109124487B (en) | Floor sweep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929390B2 (en) | Air filter leak test method and apparatus | |
JP2022070243A (en) | Fluid composition sens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US5954845A (en) | Apparatus for sampling aerosols | |
CN116297061B (en) | Based on light scattering wearing formula total dirt and breathe dirt synchronous real-time supervision appearance | |
US10401263B2 (en) | Device for picking and transporting nanoobjects contained in aerosols, with a cassette with a module suited to reducing the suction noise during picking | |
CN114414449B (en) | Novel intelligent occupational health real-time detection device | |
CN113588357B (en) | Automatic paper feeding sampling and measuring device for radioactive aerosol | |
KR102164220B1 (en) | Test apparatus in filter manufacturing | |
JP5950144B2 (en) | Air purifier and its test system | |
JP2015121561A (en) |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testing system therefor | |
CN212364138U (en) | Atmospheric particulate on-line monitoring device | |
KR100464161B1 (en) | A Respirable Aerosol Sampler | |
KR102158142B1 (en) | device for measuring dust by different particle size in chimney | |
KR20180013677A (en) | Measuring instrument | |
KR102600764B1 (en) |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 |
KR20240008529A (en) | Pm 10 pm 2.5 .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