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764B1 -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 Google Patents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764B1
KR102600764B1 KR1020210143902A KR20210143902A KR102600764B1 KR 102600764 B1 KR102600764 B1 KR 102600764B1 KR 1020210143902 A KR1020210143902 A KR 1020210143902A KR 20210143902 A KR20210143902 A KR 20210143902A KR 102600764 B1 KR102600764 B1 KR 10260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inlet
film
measuring device
low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9581A (en
Inventor
주흥로
전정은
이은성
도기봉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to KR102021014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64B1/en
Publication of KR2023005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2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beta or electr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1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선 발생 모듈의 위치가 가변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내측에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도입부(35)를 포함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입부(35)를 통해 조사되는 베타선을 검출하는 베타선 검출기(31); 및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상기 도입부(35)에 대향하도록 이동하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is variabl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0 having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an introduction portion 35 formed through an upper surface; A beta ray detector 31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 and detecting beta rays irradi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part 35; and a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that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 in the fine dust collection mode and moves to face the introduction portion 35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Description

베타선 발생 모듈의 위치가 가변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미세먼지 측정 방식으로, 베타선법, 중량법 및 광 산란법 등이 있다. 베타선법은 미세먼지가 흡착된 필터 상부에 베타선을 조사하고 그 필터의 하부에서 조사된 베타선의 검출량을 이용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Methods for measuring fine dust include beta-ray method, gravimetric method, and light scattering method. The beta ray method radiates beta rays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where fine dust is adsorbed and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using the detection amount of beta rays irradiated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베타선법은 공기 흡입부에 분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10 이상의 입자를 제거하며 설정유랑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에 10 이하의 먼지를 공급할 수 있다. 분리장치는 입경분리 구조 형태에 따라 사이클론(Cyclone)방식과 임팩터(impactor)방식 등이 존재한다. 베타선법에서 분리장치에서 걸러지는 입자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The beta radiation method has a separ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air intake section, so It removes more than 10 particles and sucks air through the set flow to fill the filter. The following dust can be supplied. There are two types of separation devices, such as cyclone type and impactor type,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le separation structure. In the beta radiation method, the size of particles filtered out in the separation device can vary.

베타선법은 단독 디바이스로 또는 베타선법과 광산란식이 융합되는 형태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다. 특수한 형태로서, 베타선법은 네트워크로 저사양(예를 들어, 광산란식) 계측 방식과 네트워크로 연동하면서 계측 기능과 동시에 저사양의 계측값의 보정을 위한 기준값을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beta radiation method can be applied in the field as a standalone device or in the form of a fusion of the beta radiation method and light scattering method. As a special form, the beta radiation method may be used in a form that links a low-specification (e.g.,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method to a network and has both a measurement function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reference value for correction of low-specification measurement values. .

1. 한국등록특허 제1278289호1. Korean Patent No. 1278289

본 발명은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that can increase measurement accuracy.

본 발명은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that is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내측에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도입부(35)를 포함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입부(35)를 통해 조사되는 베타선을 검출하는 베타선 검출기(31); 및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상기 도입부(35)에 대향하도록 이동하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포함한다.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30 having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an introduction portion 35 formed through an upper surface; A beta ray detector 31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 and detecting beta rays irradi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part 35; and a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that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 in the fine dust collection mode and moves to face the introduction portion 35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여기서,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상기 도입부(35)의 상부에 위치한 하부 인렛(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인렛(400)의 하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압박부(440)가 구비되고, 상기 압박부(440)는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필름(50)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상기 필름(50)을 상기 하우징(30)의 상부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Her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lower inlet 400 located above the introduction part 35, and a pressing part 440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400, The pressing unit 440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in the fine dust collection mode to bring the film 5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

그리고, 상기 하부 인렛(400)은 미세먼지 측정 동작시 상기 필름(50)과 이격되고, 미세먼지 측정 동작 동안 상기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상기 하부 인렛(400)과 상기 필름(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inlet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lm 50 during the fine dust measurement operation, and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inlet 400 and the film 50 during the fine dust measurement operation. can be located

또한, 상기 압박부(440)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부(440)의 내주면은 상기 도입부(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ssing part 44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44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troduction part 35.

또한, 상기 압박부(440)는 상기 하부 인렛(400)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상기 필름(50)을 압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ssing unit 440 may press the film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0 located at the top of the lower inlet 400.

또한, 상기 압박부(440)는 상기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상기 하부 인렛(400) 및 상기 도입부(35)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440 maintains airtightness between the pressing part 440 and the film 5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inlet 400 and the introduction part 35 flows into the pressing part 440 and the film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films 50.

본 발명은 베타선 발생 모듈의 오염을 방지하고 베타선의 누수를 감소키셔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그 정확도가 유지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mination of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and reduces beta ray leakage,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lengthen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 accuracy is maintained.

본 발명은 상부 인렛과 하부 인렛의 분리 구조를 통해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tenance work can be very easy through the separation structure of the upper inlet and lower inlet.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인렛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포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포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베타선 소스 투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베타선 소스 투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미세 먼지 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미세 먼지 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분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side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in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lower inlet of Figure 1.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front to explain th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to explain th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ure 1.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front to explain the beta-ray source input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to explain the beta ray source input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ure 1.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front for explaining the fine dust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for explaining the fine dust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 1.
FIGS. 7A to 7E are front and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disassembly proces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Hereinafter,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Below, descriptions of previously known matters are omitted or simplifi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상부 인렛(100), 고정부(200), 이동부(300), 하부 인렛(400), 하우징(30) 및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n upper inlet 100, a fixed part 200, a moving part 300, a lower inlet 400, a housing 30, and a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there is.

상부 인렛(100)은 내측에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측부로 돌출된 거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하부 인렛(400)의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고정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110)의 하부면은 고정부(200)의 상부면에 거치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의 상부에는 분리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기 설정된 입자 사이즈로 필터링할 수 있다. The upper inlet 100 may include an air passage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on the inside. The upper inlet 100 may be cylindrical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upper inlet 1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10 protruding from the side. The upper inlet 100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lower inlet 400. The upper inlet 10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200.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1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00. A separation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upper inlet 100 to filter fine dust into a preset particle size.

고정부(200)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형일 수 있다. 고정부(20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부(20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고정 프레임(1000, 도 4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00)은 이동부(300)의 이동과 무관하게 고정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매체이면 형태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The fixing part 200 may be hollow and open upward and down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2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200 may be penetrated by the upper inlet 100. The fixing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fixing frame 1000 (see FIG. 4). The fixing frame 1000 may be of any shape as long as it is a medium tha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fixing unit 200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300.

고정부(200)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210, 도 7a 참조)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220, 도 7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는 서로 밀착되고, 체결공(201)을 통과하는 체결나사(P)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는 고정부(200)를 제 1 측과 제 2 측으로 양분하는 형태이며, 좌우로 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밀착된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가 내측에 형성하는 원통형 공간에 상부 인렛(100)이 삽입될 수 있다. The fixing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210 (see FIG. 7A) located in the front and a second fixing part 220 (see FIG. 7A) located in the rear. The first fixing part 2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n be tightly fix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screw P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01. The first fixing part 2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0 have a shape that bisects the fixing part 200 into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left and right symmetrical. The upper inlet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pace formed on the inside by the first fixing part 2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0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고정부(200)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하부 연장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lower extension part 230 extending downward.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장부(23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가이드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 guide hole 231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may be formed in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230.

이동부(3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 300 may be installed on the fixed part 20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이동부(300)는 상부 인렛(10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는 내측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이동부(300)의 상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와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에 스프링(330)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330)은 원통형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330)의 하단은 이동부(300)에서 스프링(330)의 하단에 대향하는 면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링(330)의 상단은 고정부(200)에서 스프링(330)의 상단에 대향하는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330)은 상부 연장부(320)와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 및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과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에서 연장되며, 내측에 상부 인렛(100)을 수용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300 may include an inner space penetrated vertically by the upper inlet 100. The moving part 300 may include an upper extension part 320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moving part 300. The inside of the upper extension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 spring 3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extension 3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Spring 330 may be a cylindrical compression spr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330 is supported by the surface oppos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330 in the moving part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pring 330 is supported by the surface opposing the upper end of the spring 330 in the fixed part 200. Can be supported by surfaces. The spring 330 extends between the upper extension 3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n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2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nd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inlet 100. ) can be accommodated.

상부 연장부(320)의 외면은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의 외면은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는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과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연장부(320)는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xtension 32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lower extension 230.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xtension part 3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230. The upper extension 320 can move up and down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2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t this time, the upper extension 320 may be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230.

이동부(300)는 이동부(300)의 상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봉(3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봉(310)은 가이드공(23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봉(310)은 가이드공(23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300 may include a guide rod 310 extending upward from the moving part 300. The guide rod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31. The guide rod 310 can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hole 231.

이동부(300)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 3 하부 연장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3 하부 연장부(350)는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관통하는 체결공(35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352)는 체결공(3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352)는 일단에 밀착부(352a)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352a)는 하부 인렛(400)의 외면에 밀착되어 하부 인렛(400)을 이동부(3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The moving part 300 may include a third lower extension part 350 extending downward. The third lower extension 350 may include a fastening hole 351 penetrating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The fastener 352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fastener hole 351. The fastening portion 352 may be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portion 352a at one end. The contact portion 35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400 and can stably fix the lower inlet 400 to the moving unit 300.

이동부(300)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 2 하부 연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부 연장부(340)는 제 3 하부 연장부(35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oving part 300 may include a second lower extension part 340 extending downward. The second lower extension 340 may be located inside the third lower extension 350.

이동부(300)는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0)에 고정된 하부 인렛(400)도 이동부(3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부(300)는 가이드봉(31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230) 및 상부 연장부(320)의 외면이 밀착되는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The moving unit 300 can move up and down by a separate driving means (not shown). At this time, the lower inlet 400 fixed to the moving part 300 can als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part 300. When the moving part 300 moves up and down, the moving part 300 moves the guide hole 230 into which the guide rod 310 is inserted and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230 into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xtension part 320 is in close contact. You can be guided by your inner self.

하부 인렛(400)은 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inlet 40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moving part 300 located below the fixing part 200.

하부 인렛(400)은 상부 외측 영역에 홈 형태의 체결부(420, 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420)에 제 2 하부 연장부(340)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하부 연장부(340)는 하부 인렛(400)의 체결공(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360)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은 제 2 연장부(340)의 체결공(360) 및 하부 인렛(400)의 체결공(43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제 2 하부 연장부(34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inlet 40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fastening portion 420 (see FIG. 3) in the upper outer region. 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340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420. The second lower extension 34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36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430 of the lower inlet 400. The lower inlet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wer extension 340 by a fastening means (not shown)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360 of the second extension 340 and the fastening hole 430 of the lower inlet 400. Can be detachably fixed to.

하부 인렛(400)의 내측에 상부 인렛(100)의 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에 대향하는 하부 인렛(400)의 내면은 상부 인렛(100)에 밀착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 내면과 상부 인렛(100) 외면 사이에 오링(2)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 하단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인렛(400) 내부 영역에 경사부(410)가 구비될 수 잇다. 경사부(410)는 반경이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경사부(410)는 하부 인렛(40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410)는 상부 인렛(10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수렴시켜 하부 인렛(400) 하부에 위치한 도입부(35, 도 5 참조)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하부 인렛(400) 하부의 개구된 영역은 도입부(35)에 대향할 수 있다. 하부 인렛(400) 하부의 개구된 영역은 도입부(35) 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하부 인렛(400) 하부의 개구된 영역은 도입부(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let 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lower inlet 400.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400 facing the upper inlet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let 100. An O-ring 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4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n inclined portion 41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area of the lower inlet 40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inlet 100.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have a shape whose radius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extend to the bottom of the lower inlet 400. The inclined portion 410 may converge air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upper inlet 100 and discharge it toward the introduction portion 35 (see FIG. 5) located below the lower inlet 400. The open area below the lower inlet 400 may face the introduction portion 35. The open area below the lower inlet 40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radius than the introduction part 35, and the open area below the lower inlet 40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troduction part 35.

하부 인렛(400)의 하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압박부(440, 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압박부(440)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압박부(440)의 내주면은 도입부(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압박부(440)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필름(50, 도 4 참조)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필름(50)을 하우징(30)의 상부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압박부(440)는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미세먼지 포집 동작 동안 하부 인렛(400) 및 도입부(35)를 통과하는 공기가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 및 필름(50)과 하우징(30)의 상부면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pressure portion 440 (see FIG. 2) protruding downward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400. The pressing part 44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44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troduction part 35. The pressing unit 44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see FIG. 4)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0 while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operates in the fine dust collection mode to press the film 50 into the housing 30. It can be attached closely to the upper surface. The pressing unit 440 maintains airtightness between the pressing unit 440 and the film 50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inlet 400 and the introduction part 35 is compressed into the pressing unit 440 and the film ( 50)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and the housing 30 can be prevented.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하부 인렛(400)은 필름(50)과 이격되고,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부 인렛(400)과 필름(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While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operates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the lower inlet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lm 50, and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can be located between the lower inlet 400 and the film 50. there is.

필름(50)은 하부 인렛(400)의 하부와 하우징(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필름(50)은 하우징 제 1 측에 위치한 제 1 롤러(10) 및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롤러(20)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운반될 수 있다. 필름(50)은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연장되며, 필름(50)은 도입부(35)의 상부를 모두 덮을 수 있다. The film 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inlet 400 and the housing 30. The film 50 may be transported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while sliding by the first roller 10 loc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roller 20 located on the second side. The film 50 extends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and the film 50 may cover the entire top of the introduction portion 35.

하우징(30)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상부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도입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30 may have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The housing 30 may include an introduction portion 35 that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vertically.

하우징(30)의 내측 수용 공간에는 도입부(35)를 통해 조사되는 베타선을 검출하는 베타선 검출기(3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30 may be provided with a beta ray detector 31 that detects beta rays irradi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part 35.

하우징(30)의 일측에는 배출구(34)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도입부(35)에서 배출구(34)까지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33)를 구비할 수 있다. An outlet 34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0. The housing 30 may be provided with a flow path 33 through which air can move from the introduction part 35 to the outlet 34.

트레일러 엑츄에이터(41)는 하우징(3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일러(41)에 트레일러(42)가 탑재될 수 있다. 트레일러(42)에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이 탑재될 수 있다.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부로 베타선을 조사할 수 있다. 트레일러 엑츄에이터(41)가 트레일러(42)를 좌우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우징(30)의 외측과 도입부(35) 간을 이동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동작할 때,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동작할 때,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도입부(35)에 대향할 수 있다. The trailer actuator 41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A trailer 42 may be mounted on the trailer 41. A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may be mounted on the trailer 42.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can emit beta rays to the lower part. As the trailer actuator 41 drives the trailer 42 left and right, the beta ray generating module 43 can move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and the introduction part 35. When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operates in the fine dust collection mode,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 and when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operates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 may face the introduction portion 35.

상기와 같이, 상부 인렛(100)과 상부 인렛(100)의 하부한 하부 인렛(4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inlet 100 and the lower inlet 400 below the upper inlet 100 are detachably coupled to facilitate maintenance.

이하,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에서 도 1의 일부 구성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도시하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to 6,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To clarify the point, some components of FIG. 1 are omitted or simply shown in FIGS. 4 to 6.

1.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포집 모드에서의 동작1. Operation in collection mode of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포집 모드일 때, 하부 인렛(400)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압박부(440)가 필름(50)의 상부면을 하부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박부(400)와 필름(50)이 서로 밀착되고 및 필름(50)과 하우징(30) 상부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필름(50)과 하우징(30)이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밀착시 필요한 힘을 탄성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30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이동부(300)를 과도하게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압박부(440)가 필름(5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하게 압박부(400)가 필름(50)을 가압하도록 구동 수단의 구동을 매우 정밀하게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은 하부 인렛(400)이 고정 설치된 이동부(300)의 하강에 의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의 상하 이동은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이 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in collection mode, the lower inlet 400 may move downward. Additionally, the pressing unit 440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downward. As a result, the pressing unit 400 and the film 5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lm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lm 50 and the housing 30 can be firm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0. By making the force required for close contact an elastic force,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moving part 300 can prevent the pressing part 440 from damaging the film 50 by excessively lowering the moving part 300. It may be possible, and there may be no need to drive the driving means very precisely so that the pressing unit 400 accurately presses the film 50. The lower inlet 400 may move downward by lowering the moving unit 300 on which the lower inlet 400 is fixedly installed. A separate driving means (not shown) may be responsible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unit 300.

이 같은 상태에서 상부 인렛(100) 내부 공간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을 통과한 공기는 하부 인렛(400)의 경사부(410)에 의해 중심 측으로 수렴되며, 수렴된 공기는 필름(50), 도입부(35) 및 유로(33) 순으로 경유하며, 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In this state, air may flow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inlet 10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inlet 100 is converged toward the center by the inclined portion 410 of the lower inlet 400, and the converged air passes through the film 50, the introduction part 35, and the flow path 33 in that order. ,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4.

포집 모드에서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우징(30)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먼지 포집시 베타선 발생 모듈(43)이 미세먼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베타선 발생 모듈(43)의 오염에 의한 측정 오차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the collection mode,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may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 As a result,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fine dust when collecting fine dust.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measurement errors due to contamination of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can be reduced.

2.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베타선 소스 투입 모드 및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의 동작2.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in beta ray source input mode and fine dust measurement mode

도 5를 참조하면, 포집 모드가 완료되면, 하부 인렛(400)은 필름(50)과 이격되도록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인렛(400)은 하부 인렛(400)이 고정 설치된 이동부(3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collection mode is completed, the lower inlet 400 may move up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lm 50. At this time, the lower inlet 400 can be moved upward by the moving part 300 on which the lower inlet 400 is fixedly installed moves upward.

그리고, 하부 인렛(40) 하단과 필름(50) 사이에서 도입부(35)에 대향하도록 베타선 발생 모듈(43)이 하우징(30) 외측에서 도입부(35)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일러 액츄에이터(41)는 트레일러(42)를 기동하여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하우징(30) 외측에서 도입부(35)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베타선이 방출되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의 하부는 필름(50)의 상부면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ta ray generating module 43 may be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toward the introduction part 35 between the bottom of the lower inlet 40 and the film 50 to face the introduction part 35. At this time, the trailer actuator 41 can operate the trailer 42 to move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to the introduction part 35.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where beta rays are emitte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at a preset interval.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베타선을 방출하고, 그 방출되어 필름(50) 및 도입부(35)를 통과한 베타선을 베타선 검출기(31)가 검출할 수 있다. 베타선 검출기(31)는 검출된 베타선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라인(L)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tate shown in FIG. 5,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emits beta rays, and the beta ray detector 31 can detect the emitted beta ray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lm 50 and the introduction portion 35. The beta ray detector 31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beta ray to the outside through a signal line (L).

이와 달리, 도 6과 같이 추가적으로,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하부 인렛(400)의 하부가 베타선 발생 모듈(43)에 접하도록 하강한 상태에서 미세먼지 측정 모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베타선 발생 모듈(43)의 하부면은 압박부(440)에 의해 눌려지면서 필름(50)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인렛(400)의 하부가 베타선 발생 모듈(43)에 접하도록 하강한 상태에서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베타선을 방출하고, 그 방출되어 필름(50) 및 도입부(35)를 통과한 베타선을 베타선 검출기(31)가 검출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도 6과 같은 동작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부언하면, 도 5의 상태에서 미세먼지 측정 모드가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도 6과 같은 방식을 통해 누수되는 베타선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측정 정밀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lower inlet 400 is lowered to contact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may be pressed by the pressing part 440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lower inlet 400 is lowered to contact the beta ray generating module 43, the beta ray generating module 43 emits beta rays, which are emitted and pass through the film 50 and the introduction portion 35. The beta ray detector 31 can detect beta rays.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the operation shown in FIG. 6 is an optional option that can be omitted or added. In additio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may be performed in the state of FIG. 5. However, by minimizing the beta rays leaking through the method shown in FIG. 6, the measurement precis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n be greatly increased.

미세먼지 측정 모드가 완료되면,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도 4와 같이, 하우징(30)의 외측으로 복귀할 수 있다. Whe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is completed,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may retur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 4.

이하, 도 1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분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assembly operation for maintenance of the fine dust measur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A to 7E.

도 7a를 참고하면, 하부 인렛(400)이 상부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하부 인렛(400)의 상하 이동 구간 중 최상부로 하부 인렛(400)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7A, the lower inlet 400 may be moved upward and stopp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inlet 400 is moved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vertical movement section of the lower inlet 400 to facilitate disassembly work.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제 1 고정부(210)의 전면에 위치한 체결나사(P)를 제거한 후 제 1 고정부(210)를 제 2 고정부(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220)는 고정 프레임(100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A and 7B , the first fixing part 21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220 after removing the fastening screw P located on the front of the first fixing part 210. At this time, the second fixing part 220 may be fixed to the fixing frame 1000.

도 7c를 참고하면, 제 1 고정부(210)가 제 2 고정부(2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 인렛(100)을 상부로 잡아 당겨 상부 인렛(100)을 고정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C, while the first fixing part 2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220, the upper inlet 100 is pulled upward to separate the upper inlet 100 from the fixing part 200. You can.

도 7c 및 도 7d를 참고하면, 하부인렛(400) 측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제거한 후 하부 인렛(400)을 이동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C and 7D , the lower inlet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ving part 300 after removing the fastening means (not shown) on the lower inlet 400 side.

이에 의해, 도 7e에서와 같이, 세척 대상인 상부 인렛(100)과 하부 인렛(400)이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7E, the upper inlet 100 and lower inlet 400, which are objects of cleaning, can be separated.

미세먼지를 필터에 용이하게 포집시키기 위해 경사부(410)를 구비한 하부 인렛(400)은 세척 작업이 용이하기 않다. 그리고, 경사부(410)는 미세 먼지가 잘 적층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부 인렛(100)과 하부 인렛(400)을 분리형 타입으로 제작하고, 하부 인렛(400)을 낮은 깊이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미세 먼지가 잘 적층되는 하부 인렛(400)의 세척 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물론, 분리형 타입이어서 상부 인렛(100) 또한 깊이가 낮아지므로 상부 인렛(100)의 세척 작업 또한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인렛(100)이 하부 인렛(4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조립하는 것에 의해 상부 인렛(100)을 통과한 공기가 상부 인렛(100)과 하부 인렛(400)이 접하는 영역에서 미세먼지가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The lower inlet 400, which has an inclined portion 410 to easily collect fine dust in the filter, is not easy to clean. And, the inclined portion 410 is an area where fine dust is easily deposited. Therefore, by manufacturing the upper inlet 100 and the lower inlet 400 as separate types and manufacturing the lower inlet 400 at a low depth, cleaning of the lower inlet 400, on which fine dust is easily deposited, is possible. The task can be very easy. Of course, since it is a separate type, the depth of the upper inlet 100 is also reduced, so cleaning of the upper inlet 100 can also be easy. In addition, by assembling the upper inlet 100 to be located inside the lower inlet 40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inlet 100 accumulates fine dust in the area where the upper inlet 100 and the lower inlet 400 contact. The problem may not occur.

100 : 상부 인렛
110 : 거치부
200 : 고정부
201 : 체결공
210 : 제 1 고정부
220 : 제 2 고정부
230 : 제 1 하부 연장부
231 : 가이드공
300 : 이동부
310 : 가이드봉
320 : 상부 연장부
330 : 스프링
340 : 제 2 하부 연장부
350 : 제 3 하부 연장부
351 : 체결공
532 : 체결부
352a : 밀착부
360 : 체결공
400 : 하부 인렛
410 : 경사부
420 : 체결부
430 : 체결공
440 : 압박부
2 : 오링
10 : 제 1 롤러
20 : 제 2 롤러
30 : 하우징
31 : 베타선 검출기
33: 유로
34 : 배출구
35 : 도입부
L : 신호 라인
41 : 트레일러 액츄에이터
42 : 트레일러
43 : 베타선 발생 모듈
1000 : 고정 프레임
100: upper inlet
110: holder
200: fixing part
201: fastener
210: first fixing part
220: second fixing part
230: first lower extension
231: Guide ball
300: moving part
310: Guide rod
320: upper extension part
330: spring
340: second lower extension
350: third lower extension
351: Fastener
532: fastening part
352a: Close contact part
360: Fastener
400: lower inlet
410: inclined portion
420: fastening part
430: Fastener
440: compression unit
2: O-ring
10: first roller
20: second roller
30: housing
31: Beta ray detector
33: Euro
34: outlet
35: Introduction
L: signal line
41: trailer actuator
42: trailer
43: Beta ray generation module
1000: fixed frame

Claims (6)

고정 프레임(1000)에 고정되고 고정부(200);
상기 고정부(20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300);
상기 이동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300)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부 인렛(400);
상기 고정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인렛(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 인렛(100);
상기 하부 인렛(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도입부(35)를 포함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입부(35)를 통해 조사되는 베타선을 검출하는 베타선 검출기(31); 및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상기 도입부(35)에 대향하도록 이동하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0)는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이 상기 상부 인렛(100)의 외면과 이격되는 제 1 하부 연장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이동부(300)의 상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장부(320)는 외면이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과 상기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Fixed to the fixing frame 1000 and having a fixing part 200;
A moving part 300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t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rt 200;
a lower inlet 400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moving part 300 and moves up and down as the moving part 300 moves;
an upper inlet 100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ing part 200 and whos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lower inlet 400;
A housing 30 located below the lower inlet 400, having a receiving space inside, and including an introduction portion 35 formed through an upper surface;
A beta ray detector 31 located inside the housing 30 and detecting beta rays irradi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part 35; and
It includes a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that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0 in the fine dust collection mode and moves to face the introduction part 35 in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e,
The fixing part 200 extends downward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lower extension part 230 whose inn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The moving part 300 includes an upper extension part 320 extending upward from the top of the moving part 300,
The upper extension portion 320 has an out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230 and extends vertic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2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inlet 100.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제 1 항 있어서,
상기 하부 인렛(400)의 하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압박부(440)가 구비되고,
상기 압박부(440)는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필름(50)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상기 필름(50)을 상기 하우징(30)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In clause 1,
A pressing portion 440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let 400,
The pressing unit 44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50 in fine dust collection mode to bring the film 5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렛(400)은 미세먼지 측정 동작시 상기 필름(50)과 이격되고,
미세먼지 측정 동작 동안 상기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상기 하부 인렛(400)과 상기 필름(5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lower inlet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lm 50 during a fine dust measurement operation,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beta ray generation module 43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inlet 400 and the film 50 during the fine dust measurement oper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440)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부(440)의 내주면은 상기 도입부(35)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440 is formed in a disk shape,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440 is located inside the introduction part 3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440)는 상기 하부 인렛(400)의 상부에 위치한 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상기 필름(50)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ing unit 440 is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 50 is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0 located at the top of the lower inlet 40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440)는 상기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상기 하부 인렛(400) 및 상기 도입부(35)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ing part 440 maintains airtightness between the pressing part 440 and the film 50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lower inlet 400 and the introduction part 35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440 and the film ( 50)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leakage through the space.
KR1020210143902A 2021-10-26 2021-10-26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KR102600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02A KR102600764B1 (en) 2021-10-26 2021-10-26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02A KR102600764B1 (en) 2021-10-26 2021-10-26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581A KR20230059581A (en) 2023-05-03
KR102600764B1 true KR102600764B1 (en) 2023-11-10

Family

ID=8638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02A KR102600764B1 (en) 2021-10-26 2021-10-26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76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89B1 (en) 2012-01-30 2013-06-24 (주)켄텍 Dual particulate matter analyzer by using beta-ray
KR102052733B1 (en) * 2019-03-07 2019-12-11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ulate matter within a stack based on beta-ray
CN112730179A (en) 2020-12-23 2021-04-30 天津智易时代科技发展有限公司 Portable beta-ray in-situ online monitor and monitoring method
KR102261070B1 (en) * 2020-08-03 2021-06-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inuous Stack fine dust measurement system with beta-ray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739B1 (en) * 2004-10-04 2006-05-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uspended particulates measuring apparatus
KR101678175B1 (en) * 2015-02-25 2016-11-21 (주)켄텍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and simultaneously sampling of heavy metal
KR20190079820A (en) * 2017-12-28 2019-07-08 (주)켄텍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289B1 (en) 2012-01-30 2013-06-24 (주)켄텍 Dual particulate matter analyzer by using beta-ray
KR102052733B1 (en) * 2019-03-07 2019-12-11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An apparatus for measuring fine particulate matter within a stack based on beta-ray
KR102261070B1 (en) * 2020-08-03 2021-06-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inuous Stack fine dust measurement system with beta-ray technology
CN112730179A (en) 2020-12-23 2021-04-30 天津智易时代科技发展有限公司 Portable beta-ray in-situ online monitor and monito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581A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0653A (en) Housing for a flow cytometry apparatus with particle unclogging feature
CN10452070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bilirubin level assessment from blood separated plasma
US8056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sampling
KR101932478B1 (en) Particulate Matter Measuring Method
US9528926B2 (en) Fluorescence flow cytometry device and method
US20130327957A1 (en) Fluorescence flow cytometry
KR10167817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and simultaneously sampling of heavy metal
KR20190079820A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Particulate Matter Analyzer and Particulate Matter Analyzer having the Same
CN105738262B (en) β ray method tri-channel atmosphere particulate matter monitors
KR102600764B1 (en)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variable position of beta-ray generating module
EP3961184A1 (en) Fluid composition sens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70197207A1 (en) Pipette tip system,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2572911B1 (en)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an inlet separation structure
KR101145915B1 (en) Paticle Measurement Apparatus with Cascade Impacter Module
KR20190043507A (en) measuring apparatus for suspended particulates
JP2000065731A (en) Surface plasmon resonance angle detection device and sample supply collection method
CN205506626U (en) Beta - ray method three channels monitoring of atmospheric particulates equipment
CN108562747B (en) Enzyme-free fluorescent chemiluminescence comprehensive enzyme-labeled detector
JP2019516091A (en) Removable insert for test unit with light source illuminating aerosol sample
JP2010226978A (en) Cell sorter
US202304055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able nozzle with cam latch engagement in flow cytometers
US20240131506A1 (en) Removable circular nozzle for flow cytometers
US20220268688A1 (en) Integrated compact cell sorter
KR102615037B1 (en) Betaray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using a fine dust filter with calibration function
KR20190020262A (en) measuring apparatus for suspended particu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