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398A - 기액분리기 - Google Patents

기액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398A
KR20190079398A KR1020170181577A KR20170181577A KR20190079398A KR 20190079398 A KR20190079398 A KR 20190079398A KR 1020170181577 A KR1020170181577 A KR 1020170181577A KR 20170181577 A KR20170181577 A KR 20170181577A KR 20190079398 A KR20190079398 A KR 2019007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separator
fuel
vent pip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766B1 (ko
Inventor
이태규
이용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7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64D37/32Safety mea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reventing explosiv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탱크에 구비되는 벤트관을 통하여 연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상측에 상부유통로가 형성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유통로로부터 하방으로 중공된 확장공간을 가지며, 하측에 하부유통로가 형성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공간은 상기 상부유통로 및 상기 하부유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시킴으로써, 유체에 함유된 연료가 자중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의 배출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키며, 분리된 연료의 재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폼을 더 포함하여,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연료의 분리효율을 증대시킨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액분리기{Gas-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연료 탱크에 구비되는 벤트관을 통하여 연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소형 여객기, 무인 항공기, 회전 익기 또는 고정 익기 등과 같은 항공기의 연료 탱크에 구비되는 벤트관과 연결되어 유출되는 연료와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여객기, 무인 항공기, 회전 익기, 고정 익기 등(이하 항공기로 통칭한다.)을 구동하기 위해서 항공유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사용한 내연 기관이 사용되며, 따라서 항공기에는 항공유 등과 같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연료 탱크에 연료를 급유할 경우, 연료 탱크보다 높은 곳에서 연료의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시켜 급유하는 중력식 급유 방식이 있으나 이는 급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단시간에 많은 용량의 급유를 위해 현대의 항공기는 연료 탱크의 급유구에 연료의 급유 장치에서 호스를 접속시켜, 연료를 각 탱크에 압송하는 압력식 급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압력식 급유 방식에 의해 연료 탱크에 연료를 급유 시,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채워짐에 따른 연료 탱크의 내압에 의한 연료탱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 내부의 공기를 연료 탱크 밖으로 배출시켜 상기 연료탱크 내부와 외부의 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벤트관이 연결된다.
한국등록특허 공보 제10-1257713호("벤트 벨브", 2013.04.18)는 상기와 같은 항공기의 연료탱크에 구비되는 벤트 벨브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으며, 연료 탱크 내부와 외부 대기를 연통시켜 주는 벤트관을 개폐하여 연료 탱크 내 압력을 조절하는 벤트 벨브에 관하여 공지하고 있으나, 종래의 벤트 벨브는 연료의 급유시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연료의 급유시에 상기 벤트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연료가 함유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벤트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에 연료가 함유되어 있어, 급유 시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한국등록특허 공보 제10-1257713호("벤트 벨브", 2013.04.1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료 탱크 상에 구비되는 벤트관과 연결되어, 연료 탱크의 급유 시 벤트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하여 연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료 탱크 상에 구비된 벤트관과 연결되어 상기 벤트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하여 상기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액분리기에 있어서, 상측에 상부유통로가 형성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유통로로부터 하방으로 중공된 확장공간을 가지며, 하측에 하부유통로가 형성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공간은 상기 상부유통로 및 상기 하부유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공간은 직경이 상기 벤트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하부몸체의 확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흡수하여 상기 연료의 배출을 방지하는 다공성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폼은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폼은 상기 하부유통로와 상기 상부유통로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결빙방지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확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류발생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류발생구조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유통로가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상부유통로의 외면상에 상기 확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난류유도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다공성폼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접촉되는 밀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 탱크 상에 구비되는 벤트관과 연결되어 연료 탱크의 급유 시 벤트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하여 연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액분리기로서, 벤트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된 확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을 감소시켜 유체에 함유된 연료가 자중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의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장공간내에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공성폼을 구비하여, 분리된 연료의 재배출을 방지하고 연료의 분리 효율을 증대시키며, 겨울철 상기 다공성폼의 미세구멍들의 결빙으로 인한 상기 기액분리기의 막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유통로의 외면에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외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난류유도날개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연료탱크의 벤트관에 구비되는 기액분리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연료탱크의 벤트관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기액분리기(1000)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항공기에 급유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0)에 연결되어, 급유 시 상기 연료탱크(10)의 내압에 의해 상기 연료탱크(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료탱크(10)와 연결된 벤트관(20)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벤트관(20)은 상기 연료탱크(10)에 채워지는 연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연료탱크(10)보다 높은 위치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중에 의해 상기 벤트관(20)의 처짐이 발생되어 상기 벤트관(20)의 처진 부위에 연료가 채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연료탱크(10)에 연료를 급유 시에 상기 벤트관(20)으로 분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벤트관(20)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벤트관(20)상에 상기 기액분리기(1000)를 구비하여, 상기 벤트관(20)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시켜 연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제1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측에 상부유통로(110)가 형성되는 상부몸체(100) 및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유통로(110)로부터 하방으로 중공된 확장공간(220)을 가지며, 하측에 하부유통로(210)가 형성되는 하부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하부유통로(220) - 확장공간(220) - 상부유통로(1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측과 결합된 상기 벤트관(20)으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상기 확장공간(220)은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벤트관(20), 상기 상부유통로(120) 및 상기 하부유통로(2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벤트관(20) - 상기 하부유통로(210)를 통과한 유체는 유동단면적이 확장된 상기 확장공간(220)에 유입되어 상기 확장공간(220)에서 확산됨으로써, 상기 확장공간(220)내에 유동하는 유체의 동압(
Figure pat00001
)이 감소하게 되고, 이때, 상대적으로 압력에 의한 압축력이 큰 공기(air)는 팽창하여 속도의 감소가 적은 반면, 상기 유체에 함유된 연료(fuel)는 밀도의 변화가 적어 상기 공기(air)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속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에 함유된 공기(air)와 연료(fuel)의 밀도의 변화로 인해 상기 공기(air)와 연료(fuel)의 속도차가 발생하여 상기 유체에 함유된 상기 공기(air)와 연료(fuel)가 분리된다.
또한, 상기 확장공간(220)은 상기 상부몸체(100)가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확장공간(220)을 흐르는 상기 유체는 상기 확장공간(200) 내에서 상방으로 유동됨에 따라서 중력에 따른 자중을 받게 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연료(fuel)가 자중에 의해 속도의 감소가 더욱 크게 발생하고, 상기 유체에 함유된 공기(air)와 연료(fuel)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연료(fuel)는 확장공간(220)을 흐르는 유체에서 분리되어 상기 확장공간(220)의 하방으로 낙하하여 공기(air)와 분리되어 상기 연료(fuel)가 분리된 공기(air)만 상기 상부유통로(110)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료탱크(10)의 연료주입이 종료되었을 시, 상기 확장공간(220)에 잔류된 연료는 자중에 의해 상기 연료탱크(10)내부로 유동하여 상기 벤트관(20)내에 잔류된 연료를 제거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벤트관(20)과 연결되는 양측(즉,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측 및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측)이 상기 벤트관(20)과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설치가 필요한 지점의 상기 벤트관(20)에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양측에 대응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000)를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000)가 상기 벤트관(20)과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연료탱크(10)의 용량 또는 상기 연료탱크(10)에서의 방출압력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되는 상기 기액분리기(1000)를 상기 벤트관(20)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하부몸체(200)의 확장공간(220)에 구비되며,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흡수하여 상기 연료의 배출을 방지하는 다공성폼(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폼(300)은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함유된 연료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확장공간(220)내부에 유입된 유체의 속도 저하 효과를 높이며, 상기 연료펌프(10)의 연료 공급 시,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확장공간(220)에 잔류하는 연료의 재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폼(300)은 그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확장공간(220)내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공간(220)을 유동하는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다공성의 발포고무(foam rubber) 또는 격자형상의 미세와이어가 연속되어 형성된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폼(300)의 형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확장공간(220)에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다공성폼(300)에 부딪혀 상기 유체의 속도가 저하되어 가벼운 공기(air)는 상기 상부유통로(1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연료(fuel)는 자중에 의해 상기 확장공간(220)내에 분리되어 상기 다공성폼(300)에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폼(300)은 연료가 흡착 가능하도록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다공성폼(300)의 흡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다공성폼(300)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200)의 상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200)의 상측이 맞닿는 곳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결합 또는 별도의 체결나사 또는 체결구조 등을 통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00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내압에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다양한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200)의 상측에 접촉되는 밀폐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결합 부위에 기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밀폐수단(120)은 고리 형상의 고무오링(O-ring)등의 실링(sealling)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확장공간(220)내에 구비되는 상기 다공성폼(300)이 상기 하부몸체(200)의 하부유통로(210)와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유통로(110)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결빙방지통로(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통로(310)는 겨울철 상기 다공성폼의 기공이 결빙되어 막히게 될 경우,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확장공간(220)내에 배압이 걸리게되어, 상기 벤트관(20)을 통하여 상기 연료탱크(10)의 내압을 분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다공성폼(300)에 상기 결빙방지통로(310)를 형성하여, 상기 다공성폼(300)의 기공이 막히게 될 경우 상기 결빙방지통로(310)를 통하여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방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10)가 내압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확장공간(220)에 진입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이 감소되어, 상기 유체에 함유된 연료와 기체가 분리되게 되고, 이때 분리된 연료는 상기 다공성폼(300)에 흡수되며 상기 연료와 분리된 기체만 상기 상부유통로(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기에 비하여, 연료를 분리하는 효율을 저감되지만 겨울철 낮은 기온에 의해 상기 다공성폼(300)의 기공이 막혀, 상기 연료탱크(10)의 내압을 분출시키지 못해 상기 연료탱크(10)가 파손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음으로, 여름철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다공성폼(300)을 사용하여 연료 분리 효율을 높이며, 겨울철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빙방지통로(310)가 형성된 다공성폼(300)을 사용하여 상기 다공성폼(300)의 기공이 막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액분리기(10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확장공간(2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공간(220)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상기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류발생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난류발생구조는 상기 확장공간(220)의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선회시켜 상기 확장공간(220)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부딪혀 난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난류발생구조에 의해 발생된 난류로 인하여, 상기 확장공간(220)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유체에 함유된 연료의 분리효율을 증대 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난류발생구조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유통로가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상부유통로(110)의 외면상에 상기 확장공간(220)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확장공간(220)내부에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난류유도날개(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류유도날개(410)는 상기 확장공간(220)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를 유도하여, 상기 확장공간(220)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부딪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축을 포함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공간(220) 내부에 발생시키는 난류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기액분리기(1000)는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유체에 함유된 연료가 자중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어 외부로의 배출을 방지하며, 또한, 상기 확장공간(220) 내부에 상기 벤트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키며, 분리된 연료의 재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폼(300) 및 난류유도날개(4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확장공간(300)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연료의 분리효율을 증대시키며, 겨울철 상기 다공성폼(300)의 미세구멍들의 결빙으로 인한 상기 기액분리기(100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결빙방지통로(310)가 형성된 상기 다공성폼(300)을 구비하여, 상기 연료탱크(10)의 압력식 급유에 의한 상기 연료탱크(10)내부의 내압을 상기 벤트관(20)을 통하여 배출 시, 상기 벤트관(20)을 통하여 연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연료탱크 20 : 벤트관
1000 : 기액분리기
100 : 상부몸체 110 : 상부유통로
120 : 밀폐수단
200 : 하부몸체 210 : 하부유통로
220 : 확장공간
300 : 다공성폼 310 : 결빙방지통로
400 : 난류발생구조 410 : 난류유도날개

Claims (9)

  1. 연료 탱크 상에 구비된 벤트관과 연결되어 상기 벤트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하여 상기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액분리기에 있어서,
    상측에 상부유통로가 형성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유통로로부터 하방으로 중공된 확장공간을 가지며, 하측에 하부유통로가 형성되는 하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공간은 상기 상부유통로 및 상기 하부유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속도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에 함유된 연료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공간은
    직경이 상기 벤트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하부몸체의 확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벤트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흡수하여 상기 연료의 배출을 방지하는 다공성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폼은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폼은
    상기 하부유통로와 상기 상부유통로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결빙방지통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확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한 난류발생구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발생구조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유통로가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상부유통로의 외면상에 상기 확장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확장공간 내부에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난류유도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다공성폼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접촉되는 밀폐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KR1020170181577A 2017-12-27 2017-12-27 기액분리기 KR10204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77A KR102047766B1 (ko) 2017-12-27 2017-12-27 기액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577A KR102047766B1 (ko) 2017-12-27 2017-12-27 기액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398A true KR20190079398A (ko) 2019-07-05
KR102047766B1 KR102047766B1 (ko) 2019-11-25

Family

ID=6722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577A KR102047766B1 (ko) 2017-12-27 2017-12-27 기액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8744A (zh) * 2019-07-16 2019-10-25 中山市至善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扩张式除尘降温塔及热裂解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8028A (en) * 1966-06-22 1970-03-03 Shell Oil Co Apparatus for contacting liquids and gases
KR20090017430A (ko) * 2007-08-14 2009-02-18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이온 수송 막 시스템용 라이너
KR20090095645A (ko) * 2006-12-11 2009-09-09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올레핀 퍼네이스에서 고끓는점 및 미증발성 오염물을 함유하는 공급원료를 과열 증기 접촉 및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257713B1 (ko) 2012-05-08 2013-04-24 김휘태 벤트 밸브
KR20130138537A (ko) * 2012-06-11 2013-12-1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8028A (en) * 1966-06-22 1970-03-03 Shell Oil Co Apparatus for contacting liquids and gases
KR20090095645A (ko) * 2006-12-11 2009-09-09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올레핀 퍼네이스에서 고끓는점 및 미증발성 오염물을 함유하는 공급원료를 과열 증기 접촉 및 증발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17430A (ko) * 2007-08-14 2009-02-18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이온 수송 막 시스템용 라이너
KR101257713B1 (ko) 2012-05-08 2013-04-24 김휘태 벤트 밸브
KR20130138537A (ko) * 2012-06-11 2013-12-1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8744A (zh) * 2019-07-16 2019-10-25 中山市至善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扩张式除尘降温塔及热裂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766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6341A (en) Fuel intake device for fuel systems
US11014446B2 (en) Liquid reservoir system and method
CN106166404A (zh) 飞行器燃料系统
RU2131379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8727282B2 (en) Safety system for reducing the explosion risk of a fuel tank
CN103328050A (zh) 燃料箱阻燃气体分布结构
US20130068704A1 (en) Fuel system ice separator
CN104879526B (zh) 一种阀门和供油系统
CN102596717A (zh) 特别是用于飞机的流动体
US9970389B2 (en) Antivortex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KR20190079398A (ko) 기액분리기
CN106167100A (zh) 燃料箱系统
JP6236347B2 (ja) 分離装置および分離方法
RU2669913C1 (ru) 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210890253U (zh) 大流量排气阀
EP2544987B1 (en) A system for reduction of emissions from volatile liquid cargo
EP2572919B1 (fr) Système de stockage de carburant, et véhicule
CN108138705B (zh) 用于双燃料内燃发动机的燃料箱装置
US9845144B2 (en) Aircraft and air exchange systems for ventilated cavities of aircraft
RU2730358C2 (ru) Топливный коллектор для бака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CN209305864U (zh) 一种用于喷气式无人机的软油箱
US11332257B2 (en) Aircraft fue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150300147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veying and recovering hydrocarbons from an underwater well or from an underwater pipeline in uncontrolled release (blowout) conditions
CN107781468A (zh) 一种透气止回阀
RU2584754C1 (ru) Гидробак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самолё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