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040A -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040A
KR20190079040A KR1020170180941A KR20170180941A KR20190079040A KR 20190079040 A KR20190079040 A KR 20190079040A KR 1020170180941 A KR1020170180941 A KR 1020170180941A KR 20170180941 A KR20170180941 A KR 20170180941A KR 20190079040 A KR20190079040 A KR 2019007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siness
information
termi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17018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040A/ko
Publication of KR2019007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업무용으로 지정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운행기록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단말과, 차량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등록된 기본정보와 연계하여 업무용 사용거리 및 업무사용비율을 포함한 운행기록부를 자동 생성하는 관리 장치와,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관리 장치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operation log of business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데이터의 분석 및 관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업무용 승용차를 악용한 탈세와 조세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 작성을 만족해야 법인세법상 손금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업무용과 비업무용에 관한 관리·감독이 허술하고, 허위로 기재하는 운행기록부가 많다. 사실상 업무용 차량의 사적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운행기록부 작성 규정은 무용지물인 것이다. 과세당국은 상시 단속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사전 단속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운행기록부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데, 업무용 승용차가 수백만 대에 달하는 데다가 사업주가 작정하고 허위로 기재한 운행기록부를 일일이 가려내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허위로 작성한 운행기록부들을 다 하나하나 파악하기는 과세 당국의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간다.
허위로 작성하는 예는 많다.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자를 허위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자식이 타더라도 운행기록부에는 허위로 기재가 가능하다. 비업무용을 업무용으로 허위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운행기록부를 작성하는 것도 임직원이 아닌 임직원이 고용한 기사 등이 작성함에 따라 피고용자가 운행기록부를 원칙대로 기재하기는 어렵다. 업무와 무관하게 사적으로 쓰는 경우, 기사가 운행기록부에 제대로 기재를 해줘야 하는데 그러길 기대하긴 사실 어렵다.
허위 여부와는 별도로, 운행기록부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기로 기록해야 하므로 누락 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귀찮아서 작성을 누락하는 경우가 많고, 작성하더라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행기록부 작성 항목이 간소화되면서 오히려 기존보다 효력이 더 후퇴했다. 국세청은 이전에 출발지와 도착지, 자택주소 등을 세세히 기록하도록 한 운행일지에 대해 개인정보침해 논란이 일자 운행거리만 기록하도록 항목을 간소화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간편하면서도 투명성 있는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업무용으로 지정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운행기록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단말과, 차량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등록된 기본정보와 연계하여 업무용 사용거리 및 업무사용비율을 포함한 운행기록부를 자동 생성하는 관리 장치와,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관리 장치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차량 기본정보는 사업자 정보,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업무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기록부는 국세청고시 제2016-12호에 따른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일 수 있다.
관리 장치는, 차량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와,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차량 기본정보 및 운행기록부 생성을 위한 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고 차량 기본정보와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와,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운행기록부 생성 시에, 차종에 따라 운행기록을 분류하고, 기간, 부서, 사용자 및 업무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운행기록을 추가로 분류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주행 시마다 주행 전 계기판의 주행거리와 주행 후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주행거리 계산부와, 차량 위치정보와 차량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업무용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용으로 판단되면 주행거리 내 업무용 사용거리를 계산하는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와, 미리 설정된 기간 내 총주행 거리를 계산하는 총주행 거리 계산부와, 미리 설정된 기간의 업무용 총사용거리를 계산하는 업무용 총사용거리 계산부와, 총주행 거리를 업무용 총사용거리로 나누어 업무사용비율을 계산하는 업무사용비율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는, 차량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현재시각을 이용하여 차량 출발지점과 출발시간, 차량 도착지점 및 도착시간을 계산하고, 차량 위치정보로부터 차량 출발지점과 차량 도착지점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기본정보 내 업무처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업무용으로 판단하며, 업무용으로 판단되면, 차량 출발지점에서의 계기판의 주행거리와 차량 도착지점에서의 계기판의 주행거리로부터 업무용 사용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는, 업무용 사용거리를 출퇴근용 사용거리와 일반 업무용 사용거리로 구분하여 계산하며, 출발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용자 집 주소이고 도착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업자 주소이거나, 출발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업자 주소이고 도착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용자 집 주소이면 출퇴근용 사용거리로 구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차량 단말과 통신하여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와,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단말 메모리와, 모바일 단말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사용자에게 무선 존 진입을 알리고 사용자를 인증한 후 관리 장치에 무선접속 처리하는 네트워크 연결부와, 무선접속된 관리 장치와 통신하여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 무선 전송하는 제2 통신부와,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단말 메모리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관리 장치에 무선접속되면, 단말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제2 통신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기반으로 회계를 관리하는 회계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업무용으로 지정된 차량에서 실제로 계측되는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업무용 운행기록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업무용 운행기록부를 일일이 수기로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업무용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에, 신뢰성과 정확성을 제공한다. 기존의 운행기록부는 악의적인 목적으로의 허위 작성을 일일이 가려내기가 힘들었으나, 차량에서 실제로 계측되는 디지털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운행기록부를 생성함에 따라, 허위 작성이 원천봉쇄된다. 특히, 기업의 임직원, 정부나 공공기관의 고위 관직자 등을 대상으로 업무와 무관한 차량 사용을 100%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을 통해 회계 투명성이 제고되고, 이로부터 다양한 효익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정부 입장에서는, 과세가 합리화된다. 업무용 승용차의 제반비용 중 비업무성 관련 비용의 손금불산입 및 사적 사용분에 대한 상여처분으로 증세 효과가 있다.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승용차에 적용 시 국가회계의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다. 주주·경영자 입장에서는, 내부통제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차량에서 계측되는 디지털 정보를 바탕으로 운행기록부를 자동 산출함에 따라 임직원의 자의성이 배제된다. 법인 입장에서는, 임직원의 업무와 무관한 사용량을 감소할 수 있어 영업이익이 상승한다.
자동차라는 사물이 컴퓨터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물 인터넷(IoT)이 구현되어 회계분야에서도 회계투명성을 위한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을 위한 구성 요소 간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 생성되는 업무용 운행기록부의 지정양식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1)은 차량 단말(3), 모바일 단말(4), 관리 장치(5) 및 회계처리장치(6)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1)은 업무용으로 지정된 차량(2)을 대상으로, 차량(2) 이용을 비업무용과 업무용으로 구분하고 업무용 운행기록부를 자동으로 생성 및 관리한다. 운행기록부를 자동으로 생성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인다. 차량에서 실제로 계측되는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함에 따라 신뢰성과 정확성이 향상된다. 자동 생성되는 업무용 운행기록부는 국세청고시에 따른 지정서식인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16. 4. 1. 시행 국세청고시 제2016-12호에 따른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일 수 있다. 해당하는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차량(2)의 사용자는 소정의 기관의 업무를 공적으로 수행하는 자로서, 기관은 법인, 정부, 공공기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업의 임직원, 정부나 공공기관의 고위 관직자 등을 대상으로 업무와 무관한 차량 사용을 100% 차단하고 회계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후술한다.
차량 단말(3)은 차량(2) 내에 구비되어, 차량(2)의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차량 운행 상태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계기판(instrument cluster)의 운행기록을 포함한다. 운행기록은 거리정보(km)를 포함하며, 차량속도, 엔진의 회전수(rpm)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3)은 차량(2) 내의 거치대 등에 거치될 수 있고, 탈부착될 수 있다. 차량 단말(3)은 USB와 같은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차량에 부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4)이 직접 차량(2)의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지만, 개인의 이동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별도의 차량 단말(3)을 통해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차량 단말(3)을 차량(2) 내에 부착하고 운행함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인지 및 동의 하에, 간단한 조작으로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 이하 'LBS'라 칭함)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LBS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함)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이다. 차량(2)에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GPS 수신기를 장착해 차량(2)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단말(3)은 차량(2)에 구비된 GPS 수신기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단말(3)은 차량에 구비된 계기판으로부터 운행기록을 획득한다. 계기판은 자동차의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해 주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석 정면, 즉 스티어링 휠 앞에 붙어 있는 각종 정보를 보여주는 곳을 말한다. 이곳에는 차량(2)의 주행속도와 주행거리, 시계를 함께 표시하는 운행기록계(tachograph), 엔진의 회전수(rpm)를 알려주는 회전속도계(tachometer: 태코미터),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적산거리계(tripmeter) 따위가 포함된다. 이외에 자동차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유계와 수온계, 엔진 온도계, 각종 경고등(Warning Lamp)도 포함될 수 있다.
차량 단말(3)은 GPS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현재시각을 이용하여 차량 출발정보, 차량 도착정보, 출발지점에서 도착지까지의 차량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출발정보는 출발지점, 출발시간을 포함하며, 차량 도착정보는 도착지점, 도착시간을 포함한다. 차량 단말(3)은 모바일 단말(4)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부착된다. 통신모듈이 사용하는 통신방식은 특정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유무선 통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방식의 경우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단말(3)은 사용자가 사용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에게 부여된 ID와 운전자가 입력한 ID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사용권한을 인증한다. 이때, LED와 LCD 같은 표시부를 통하여 이상을 알려주고 전술한 과정을 다시 확인하여 오류가 해결되어야만 정상 동작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므로 보안을 강화하고 데이터의 오류를 방지한다. 차량 단말(3)은 GPS 수신기의 GPS 수신 상태를 LED 등의 표시부에 의해서 표시할 수 있다. GPS 수신기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하지 못하면 부저 또는 LED와 LCD 같은 표시부를 통하여 이상을 알려주어 문제를 운전자가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4)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컴퓨팅 자원을 가진다. 모바일 단말(4)은 컴퓨팅 자원의 축소된 셋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단말(4)의 예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있다. 모바일 단말(4)은 애플사의 iOS 환경에서 동작하는 아이폰,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안드로이드 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 환경에서 동작하는 윈도 폰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4)은 차량 단말(3)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2)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관리 장치(5)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3)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4)은 무선통신 프로토콜인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달한다. 모바일 단말(4)은 차량(2)이 와이파이 존(Wi-Fi zone)에 진입한 경우에 한하여, 자동으로 차량 단말(3)로부터 수신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송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 보안성을 강화한 것으로, 인증된 지역 및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전송 권한을 부여하도록 한다. 무선통신 수단은 와이파이(Wi-F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안 인증이 요구되는 것이라면 전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무선 존의 위치는 예를 들어, 사업장 내 주차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가 업무를 종료하고 사업장 내 주차장에 진입하면, 모바일 단말(4)이 와이파이 존(Wi-Fi zone) 내 진입을 인식하여 와이파이(Wi-Fi) 연결을 위한 팝업 창을 화면에 표출한다. 이를 본 차량 운전자가 와이파이(Wi-Fi) 연결을 위해 사전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인증하면 와이파이(Wi-Fi)에 연결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4)은 비로소 차량 단말(3)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이 관리 장치(5)에 접속하고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단말(3)과 모바일 단말(4) 간의 통신은 특정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종 유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은 차량 단말(3)로부터 실시간으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거나 이벤트 발생 시에만 수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4)은 차량 단말(3)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2)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는 경우에 한하여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운행기록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엑셀프로그램 등으로 지정서식을 표출할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차량(2)의 운행에 관한 다양한 통계자료를 생성하여 이를 표출할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서버 형태일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운행기록부 생성을 위해 관리 장치(5)는 모바일 단말(4)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관리 장치 사용자, 예를 들어 관리자로부터 차량 기본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등록한다. 차량 기본정보는 사업자 정보,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업무처 정보를 포함한다. 사업자 정보는 사업연도, 법인명,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포함한다. 차량정보는 차종, 자동차등록번호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부서명, 성명, 거주지 등을 포함한다. 업무처 정보는 제조·판매시설 등 해당 법인의 사업장, 거래처·대리점, 업무관련 교육장소, 훈련장소, 회의장소, 판촉장소 등의 업무와 관련된 장소를 모두 포함하며, 이름, 주소, 연락번호 등을 포함한다.
관리 장치(5)는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기본정보를 연계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한다. 운행기록부는 업무용 사용거리(km), 기간 내 총주행 거리(km), 기간 내 업무용 사용거리(km), 업무사용비율(기간 내 업무용 사용거리/기간 내 총주행 거리)을 포함한다. 관리 장치(5)는 운행기록부를 실시간으로 온라인 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운행기록부 생성 시에, 차종, 기간, 부서, 사용자, 업무처 별로 다양한 운행기록부 관련 정보를 산출하여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용 차량의 차번별 조회, 부서별 조회, 사용자별 조회, 사용일자별 조회, 사용건수별 조회, 근무시간대 및 비근무시간대별 조회 등으로 정보 데이터를 편집하여 제공한다. 동시에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평균 이용건수 및 이용시간, 예를 들어 일 평균 이용건수 및 이용시간 등을 계산해내고 이를 제공하므로, 이용자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기간 및 시간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5)는 연료 사용량, 주행거리에 따른 유류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유류비용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차량의 유류 종류에 따라 시중의 평균 유가로 자동입력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실제 차량에 주유한 유류가에 대한 이동 거리에 대한 평균 소비가를 산출하여 그 차량의 연료소모량에 따라 유가를 산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차량 단말(3)에서 유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유가정보 수신이 가능한 관리 장치(5)와 연동하여 유가를 산출할 수도 있다.
회계처리장치(6)는 관리 장치(5)에서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기반으로 회계를 관리한다. 도 1에서는 관리 장치(5)와 회계처리장치(6)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 통합되거나 일부 기능이 통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계처리장치(6)는 운행기록부를 기반으로 업무 관련성을 따져 경비를 인정한다. 예를 들어, 업무용 차량은 최대 1,000 만원까지 경비를 인정하고, 운행기록부 여부에 따라, 운행기록부가 있다면 업무 관련성을 따져 추가로 인정한다. 업무 관련성은 업무사용비율(업무용 사용거리/총주행거리)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회계처리장치(6)는 차량(2)의 운행에 관한 다양한 회계 관련 통계자료를 생성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이용 중 발생한 차량의 주유, 주차비용, 세차비용, 통행료, 차량수리비용 등에 기인한 소요비용의 정산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3)은 GPS 수신기(7)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계기판(8)으로부터 운행기록을 수신한다. 운행기록은 거리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4)은 차량 단말(3)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와 운행기록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관리 장치(5)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3)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달한다.
관리 장치(5)는 사전에 차량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 기본정보는 사업자 정보, 차량정보, 차량 사용자 정보, 업무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관리 장치(5)는 차량 단말(3)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등록된 기본정보와 연계하여 운행기록부를 자동 생성한다. 운행기록부는 총주행거리, 업무용 사용거리, 업무사용비율을 포함한다. 이때, 관리 장치(5)는 운행기록부 생성 시에, 차종에 따라 운행기록을 분류하고, 기간, 부서, 사용자 및 업무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운행기록을 추가로 분류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장치(5)는 입력부(50), 통신부(52), 메모리(54), 프로세서(56) 및 출력부(58)를 포함한다.
입력부(5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프로세서(56)에 제공한다. 입력부(21)는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5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기본정보를 입력받는다. 차량 기본정보는 사업자 정보,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업무처 정보를 포함한다. 출력부(58)는 프로세서(56)에 의해 처리된 정보, 통신부(52)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6)에서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출력한다.
통신부(52)는 모바일 단말(4)과 통신한다. 이때, 통신부(52)는 모바일 단말(4)로부터 차량 단말(3)이 획득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전달받는다. 차량 운행 상태정보는 차량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운행기록을 포함한다. 통신부(52)는 모바일 단말(4)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데, 예를 들어, 차량이 와이파이 존에 진입하는 경우, 차량 내 모바일 단말(4)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아 모바일 단말(4)이 접속되도록 하며, 접속된 모바일 단말(4)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54)는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차량 기본정보 및 운행기록부 생성을 위한 제어명령 등이 저장된다. 프로세서(56)는 메모리(54)에 저장된 제어명령에 따라 운행기록부를 자동 생성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56)는 메모리(54)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고 차량 기본정보와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56)는 운행기록부 생성 시에, 차종에 따라 운행기록을 분류하고, 기간, 부서, 사용자 및 업무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운행기록을 추가로 분류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한다. 프로세서(56)의 세부 구성은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6)는 주행거리 계산부(560),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562), 총주행 거리 계산부(564), 업무용 총사용거리 계산부(566) 및 업무사용비율 계산부(568)를 포함한다.
주행거리 계산부(560)는 주행 시마다 주행 전 계기판의 주행거리와 주행 후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주행거리를 계산한다. 즉, 주행 후 계기판의 주행거리에서 주행 전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차감하여 주행거리를 계산한다.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562)는 차량 위치정보와 차량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업무용 여부를 판단한다. 업무용으로 판단되면 업무용 사용거리를 계산한다. 업무용인지 비업무용인지 여부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현재시각, 계기판의 주행거리 및 업무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562)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현재시각을 이용하여 차량 출발지점과 출발시간, 차량 도착지점 및 도착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차량 위치정보로부터 차량 출발지점과 차량 도착지점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기본정보 내 업무처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업무용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사업장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래처로 이동한 경우, 업무용으로 판단한다. 업무용으로 판단되면, 차량 도착지점에서의 계기판의 주행거리에서 차량 출발지점에서의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차감하여 업무용 사용거리를 산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562)는 업무용 사용거리를 출퇴근용 사용거리와 일반 업무용 사용거리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이때, 출발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용자 집 주소이고 도착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업자 주소이거나, 출발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업자 주소이고 도착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용자 집 주소이면 출퇴근용 사용거리로 구분한다.
총주행 거리 계산부(564)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 총주행 거리를 계산한다. 미리 설정된 기간은 예를 들어, 시간, 일, 월, 년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업무용 총사용거리 계산부(566)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업무용 총사용거리를 계산한다. 미리 설정된 기간은 예를 들어, 시간, 일, 월, 년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업무사용비율 계산부(568)는 총주행 거리를 업무용 총사용거리로 나누어 업무사용비율을 계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4)은 제1 통신부(41), 제2 통신부(42), 단말 입력부(43), 단말 출력부(44), 네트워크 연결부(45), 신호 처리부(46), 제어부(47) 및 단말 메모리(48)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41)는 차량 단말(3)과 통신하는 모듈로서, 차량 단말(3)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제2 통신부(42)는 관리 장치(5)와 통신하는 모듈로서, 관리 장치(5)에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차량 운행 상태정보는 신호 처리부(46)를 통해 관리 장치(5)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된 신호일 수 있다. 단말 입력부(43)는 모바일 단말(4)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단말 출력부(44)는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47)는 모바일 단말(4)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 단말(3)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단말 메모리(48)에 저장하며, 네트워크 연결부(45)를 통해 관리 장치(5)에 무선접속되면, 단말 메모리(48)에 저장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제2 통신부(42)에 제공한다.
단말 메모리(48)는 제1 통신부(41)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제어명령이 저장된다. 네트워크 연결부(45)는 모바일 단말(4)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 예를 들어 와이파이 존(Wi-Fi zone)에 진입하면 사용자에게 무선 존 진입을 알리고 사용자를 인증한 후 관리 장치(5)에 무선접속 처리한다. 신호 처리부(46)는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서 읽을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을 위한 구성 요소 간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3)은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한다(600). 차량 운행 상태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운행기록을 포함한다. 운행기록은 거리정보를 포함한다. 차량의 위치정보는 GPS 수신기(7)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운행기록은 계기판(8)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은 차량 단말(3)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610)하여 저장한다. 이후, 차량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630)하면 관리 장치(5)에 접속(640)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3)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5)에 전달한다(650).
관리 장치(5)는 사전에 차량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620). 기본정보는 사업자 정보, 차량정보, 차량 사용자 정보, 업무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관리 장치(5)는 차량 단말(3)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면, 획득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등록된 기본정보와 연계하여 운행기록부를 자동 생성한다(660). 운행기록부는 총주행거리, 업무용 사용거리, 업무사용비율을 포함한다. 이때, 관리 장치(5)는 차종별, 기간별, 부서별, 사용자별, 업무처별로 운행기록부 관련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장치(5)는 운행기록부를 출력할 수 있다(670). 나아가, 관리 장치(5)는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기반으로 회계를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 생성되는 업무용 운행기록부의 지정양식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업무용 운행기록부는 국세청고시에 따른 지정서식인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6. 4. 1. 시행 국세청고시 제2016-12호에 따른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일 수 있다.
운행기록부에는 사업연도, 법인명, 사업자등록번호, 기본정보 및 업무용 사용비율 계산 정보가 기록된다. 기본정보는 ①차종, ②자동차등록번호를 포함한다. 업무용 사용비율 계산 정보는 ③사용일자, ④사용자(부서, 성명), ⑤주행 전 계기판의 주행거리(km), ⑥주행 후 계기판의 주행거리(km), ⑦주행거리(km), 업무용 사용거리(⑧출·퇴근용(km), ⑨일반 업무용(km)), ⑩비고, ⑪사업연도 총주행거리(km), ⑫사업연도 업무용 사용거리(km), ⑬업무사용비율(⑫/⑪)을 포함한다.
법인의 경우, 운행기록부를 작성하지 않으면 해당 차량을 임직원이 개인적 용도로 쓴 것으로 간주한다. 이로 인해 법인이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한 부분은 해당 임원이 상여금을 받은 것으로 처리돼 근로소득세를 더 물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 운행에 따라 운행기록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에 따라 확인되는 업무 관련 운행거리를 바탕으로 ⑬업무사용비율(=⑫업무용 사용거리/⑪총주행거리)을 산정한 뒤 이 비율을 초과하는 부분은 비용 인정을 부인한다. 업무 사용의 범위는 출퇴근, 사업장·업무처 방문, 판촉활동, 회의·교육 참석 등 직무수행 목적으로 한정돼 있다.
경비 인정의 예로서, 업무용 차량은 최대 1,000 만원까지 경비를 인정하고, 운행기록부 썼다면 업무 관련성 따져 추가로 인정한다. 만약 차량 가격이 1 억원인 승용차를 취득하고, 차량유지비가 연간 1,500 만원이라고 가정해보자. 5년간 정액으로 감가상각 시 매년 2,000 만원의 감가상각비와 차량유지비 1,500 만원을 합쳐 총 3500만원의 비용이 발생하지만, 운행기록부를 작성하지 않는다면 1,000 만원만 경비로 인정된다. 즉, 2,500 만원은 경비 인정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행기록부를 작성했고 총 운행거리 중 업무사용비율이 80% 정도라면, 감가상각비 2,000 만원 중 80%인 1,600 만원이 업무 관련이지만 감가상각비 한도인 800 만원만 감가상각비로 비용처리된다.
차량유지비도 연간 1,500 만원 중 업무사용비율 80%인 1,200 만원만 비용처리돼 총 2,000 만원이 업무용 차량 관련으로 비용처리가 가능하다. 즉, 운행일지를 작성하지 않을 때보다는 1,000 만원만큼 비용처리가 추가로 가능하다. 감가상각비의 경우에는 5년간 매년 800 만원 한도를 초과해 비용 처리 받지 못하더라도 6년 차 이후로 이월해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2: 차량
3: 차량 단말 4: 모바일 단말
5: 관리 장치 6: 회계처리장치
7: GPS 수신기 8: 계기판
41: 제1 통신부 42: 제2 통신부
43: 단말 입력부 44: 단말 출력부
45: 네트워크 연결부 46: 신호 처리부
47: 제어부 48: 단말 메모리
50: 입력부 52: 통신부
54: 메모리 56: 프로세서
58: 출력부 560: 주행거리 계산부
562: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 564: 총주행 거리 계산부
566: 업무용 총사용거리 계산부 568: 업무사용비율 계산부

Claims (10)

  1. 업무용으로 지정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운행기록을 포함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단말;
    차량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등록된 기본정보와 연계하여 업무용 사용거리 및 업무사용비율을 포함한 운행기록부를 자동 생성하는 관리 장치; 및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차량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관리 장치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의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기본정보는 사업자 정보, 차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업무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운행기록부는 국세청고시 제2016-12호에 따른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차량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차량 기본정보 및 운행기록부 생성을 위한 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고 차량 기본정보와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운행기록부 생성 시에, 차종에 따라 운행기록을 분류하고, 기간, 부서, 사용자 및 업무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운행기록을 추가로 분류하여 운행기록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행 시마다 주행 전 계기판의 주행거리와 주행 후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주행거리를 계산하는 주행거리 계산부;
    차량 위치정보와 차량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업무용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용으로 판단되면 주행거리 내 업무용 사용거리를 계산하는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
    미리 설정된 기간 내 총주행 거리를 계산하는 총주행 거리 계산부;
    미리 설정된 기간의 업무용 총사용거리를 계산하는 업무용 총사용거리 계산부; 및
    총주행 거리를 업무용 총사용거리로 나누어 업무사용비율을 계산하는 업무사용비율 계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는
    차량 위치정보와 계기판의 현재시각을 이용하여 차량 출발지점과 출발시간, 차량 도착지점 및 도착시간을 계산하고,
    차량 위치정보로부터 차량 출발지점과 차량 도착지점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기본정보 내 업무처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업무용으로 판단하며,
    업무용으로 판단되면, 차량 출발지점에서의 계기판의 주행거리와 차량 도착지점에서의 계기판의 주행거리로부터 업무용 사용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용 사용거리 계산부는
    업무용 사용거리를 출퇴근용 사용거리와 일반 업무용 사용거리로 구분하여 계산하며,
    출발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용자 집 주소이고 도착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업자 주소이거나, 출발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업자 주소이고 도착지점의 차량 위치정보가 사용자 집 주소이면 출퇴근용 사용거리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차량 단말과 통신하여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차량 운행 상태정보와 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단말 메모리;
    모바일 단말이 미리 설정된 무선 존에 진입하면 사용자에게 무선 존 진입을 알리고 사용자를 인증한 후 관리 장치에 무선접속 처리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무선접속된 관리 장치와 통신하여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 무선 전송하는 제2 통신부;
    차량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단말 메모리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관리 장치에 무선접속되면, 단말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제2 통신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차량 운행 상태정보를 관리 장치에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생성된 운행기록부를 기반으로 회계를 관리하는 회계처리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0170180941A 2017-12-27 2017-12-27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9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41A KR20190079040A (ko) 2017-12-27 2017-12-27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41A KR20190079040A (ko) 2017-12-27 2017-12-27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40A true KR20190079040A (ko) 2019-07-05

Family

ID=6722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941A KR20190079040A (ko) 2017-12-27 2017-12-27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80B1 (ko) * 2023-12-14 2024-03-07 주식회사 에스티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80B1 (ko) * 2023-12-14 2024-03-07 주식회사 에스티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196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ransferability of title via blockchain
US11661073B2 (en) Electronics to remotely monitor and control a machine via a mobil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US103698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ic vehicle and insurance data
US20190213684A1 (en) Integrated vehicular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797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ata analysis
US10755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storing and recording compliant records for motor carriers, registrant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US20140039935A1 (en) Insurance verification system (insvsys)
CA3153499A1 (en) Methods and systems providing cyber defense for electronic identification, vehicles, ancillary vehicle platforms and telematics platforms
CA2809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ata analysis
US116311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CT-based driver-specific evaluation analysis and reward platform for two-wheeled vehicle driving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449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alculating reimbursement for vehicle usage
US11599390B2 (en) Tracking and managing resource performance and maintenance via distributed ledgers
CN112819181A (zh) 用于管理车辆的方法、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2674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workforce management system trusted agent work order processing
KR20190079040A (ko)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4230B1 (ko)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1020866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JP2015191525A (ja) 車両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20210303349A1 (en) System for tracking a resource maintenance and resource capabilities
WO2015048015A1 (en) Automated pairing of payment products and mobile to mobile devices
US1146871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telematics device installations
US20230230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telematics device installations
Sutarik The Open Platform Advantage
JP2022160917A (ja) 労務管理装置、労務管理システム、勤怠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デ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