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180B1 -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180B1
KR102645180B1 KR1020230182120A KR20230182120A KR102645180B1 KR 102645180 B1 KR102645180 B1 KR 102645180B1 KR 1020230182120 A KR1020230182120 A KR 1020230182120A KR 20230182120 A KR20230182120 A KR 20230182120A KR 102645180 B1 KR102645180 B1 KR 102645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nditure
information
control unit
vehicle
o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이철중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to KR102023018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지출승인을 위한 지출관련 증빙자료를 촬상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기 설치된 지출관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Automated system for expenditure management using OCR}
본 발명은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이미지를 OCR에 기초하여 식별 및 분석하여 지출을 관리하는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지출 관리 시스템은 주로 수동적인 데이터 입력에 의존하여, 영수증 및 기타 금융 문서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기록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으며, 이 과정은 사용자의 시간을 많이 소요하며 오류 발생 가능성을 높였으며, 수동 입력의 반복적인 성격은 사용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효율성을 저하시켰다.
또한, 기존의 지출 관리 방법은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분석에 제한적이어서,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리하는 데 그쳤으며,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통찰력을 얻거나 예산 계획을 세우는 데는 한계가 있었고, 사용자는 종종 여러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해야 했으며, 이 과정은 번거롭고 시간 소모적이었다.
또한, 종래 시스템은 대부분 지출 정보의 디지털 백업과 보안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손실 및 보안 문제의 위험을 증가시켰으며, 물리적 문서의 보관과 관리는 추가적인 공간 및 자원을 요구했으며, 이는 특히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단말기의 내장 카메라를 사용하여 지출 관련 증빙자료를 촬영하고, 이를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이를 통해 전반적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OC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수동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증가시키며,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지출 정보를 다양한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함으로써, 사용자는 지출의 성격을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어 예산 관리 및 재정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종이 문서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물리적 저장 공간의 필요성을 줄이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디지털 데이터는 안전하게 클라우드나 서버에 저장되어, 데이터 손실의 위험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된 서버는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지출관련 증빙서류폼을 작성하고, ERP 프로그램에 전표를 생성하여 저장 및 업로드함으로써 기업의 회계 및 재무 관리를 통합화하고 자동화하여 개인 및 기업 사용자에게 시간 및 비용 효율성, 데이터 정확성, 그리고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지출승인을 위한 지출관련 증빙자료를 촬상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기 설치된 지출관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복수의 지출관련 증빙자료 중 제1증빙자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1촬상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설치된 인공지능 기반 OCR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제1촬상이미지에 포함된 제1텍스트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텍스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텍스트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지출정보를 기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지출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 또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한 제1카테고리, 상기 업체정보에 대금을 지불하는 신용카드정보에 대한 제2카테고리 및 상기 업체정보에 제공하는 금액 및 시간에 대한 금액정보에 대한 제3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지출정보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형태의 지출관련 증빙서류폼을 작성하고, 기 저장된 ERP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전표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ERP 프로그램 내에 저장 및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법인 또는 사업체 중 적어도 하나에서 금액을 지불하는 운행차량에 대한 연료충전내역을 OCR에 기초하여 연료와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여 차량의 예상 연료비용을 추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유지보수 및 수리비에 대한 영수증 이미지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저장부에 차량 유지보수 및 수리비용에 관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이에 기초하여 유지보수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과 관련된 주차비 및 통행료 영수증 이미지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날짜, 금액, 위치, 주차 시간 또는 통행 구간을 포함한 운영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운영정보에 기초하여 주차비와 통행료 지출의 비용절감기회를 식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행 데이터와 지출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경제성수치를 초과하면, 연료 효율이 좋은 경로 추천 및 비효율적인 운행 습관 개선을 권고하는 것을 한다.
사용자단말기의 내장 카메라를 사용하여 지출 관련 증빙자료를 촬영하고, 이를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이를 통해 전반적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OC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수동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증가시키며,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지출 정보를 다양한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함으로써, 사용자는 지출의 성격을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어 예산 관리 및 재정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종이 문서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물리적 저장 공간의 필요성을 줄이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디지털 데이터는 안전하게 클라우드나 서버에 저장되어, 데이터 손실의 위험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며,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된 서버는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지출관련 증빙서류폼을 작성하고, ERP 프로그램에 전표를 생성하여 저장 및 업로드함으로써 기업의 회계 및 재무 관리를 통합화하고 자동화하여 개인 및 기업 사용자에게 시간 및 비용 효율성, 데이터 정확성, 그리고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내부에 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지출승인을 위한 지출관련 증빙자료를 촬상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OCR은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약자로, 인쇄된 텍스트 또는 손으로 쓴 문자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문자가 인쇄되거나 쓰인 문서를 스캔하고,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여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즉 OCR 시스템은 다양한 폰트와 스타일에서 문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일부 고급 시스템은 복잡한 레이아웃과 손글씨도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문서 디지털화, 데이터 엔트리 자동화, 번호판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재정 관리 및 회계 분야에서는 영수증, 청구서, 계약서 등의 문서를 디지털 형태로 빠르고 정확하게 변환하는 데 활용되며, 이를 통해 대량의 문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OCR 기술은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지출 관리 시스템에 통합하여 자동으로 처리하며, 이를 통해 전통적인 수동 데이터 입력 방식에 비해 효율적이며,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전반적인 지출 관리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디지털 이미징 기술을 사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캡처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이러한 신호는 디지털 이미지 파일로 처리되며, 다양한 해상도와 센서 크기를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서 고품질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사진 촬영과 비디오 녹화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카메라는 종이 문서의 이미지를 캡처하고, 이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문서 스캐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OCR 기술과 결합되어 텍스트 인식 및 추출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는 사용자단말기에 내장되어 있으며, 영수증, 청구서 및 기타 금융 문서의 촬영에 최적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해상도와 선명도를 갖추고 있어, 문서의 세부 사항을 정확하게 캡처할 수 있으며, OCR 프로세스에 필요한 고품질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출관련 증빙자료는 재정 거래나 지출을 증명하는 서류나 기록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증빙자료는 영수증, 청구서, 계약서, 송장, 신용카드 명세서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출관련 증빙자료는 거래의 날짜, 금액, 거래처, 상품 또는 서비스의 내용 등 중요한 재정 정보를 담고 있어, 회계 및 재정 관리에 활용된다.
일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출관련 증빙자료는 개인 또는 기업의 지출 추적, 예산 관리, 세금 보고, 회계 감사를 위한 자료일 수 있으며, 특히, 정확한 재정 기록을 유지하는 것은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재정적 투명성을 보장하며, 비용 분석, 예산 계획 수립 및 비용 절감 전략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치된 지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재정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개인 또는 기업의 지출, 수입, 예산을 추적하고, 재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도록 구현되며, 또한 지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재정 정보를 쉽게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그래픽 및 차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동작의 일 예로, 지출 추적, 예산 설정, 재정 목표 설정, 보고서 생성을 수행하며, 이때 지출 추적 기능은 사용자가 일상적인 지출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예산 설정 기능은 사용자가 소비 패턴을 조절하고 재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재정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지출관리 어플리케이션은 OCR 기술과 통합되어, 촬영된 영수증과 청구서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노력을 줄여주며, 재정 관리 과정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정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 재정적 의사결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개인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데이터 처리를 중앙 서버가 아닌 데이터가 발생하는 주변(edge)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에지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며, 기재된 것만으로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입력부(110)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자입력부 또는 출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장치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 (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사용자단말기(10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 등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상기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사별 IoT망을 갖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통신모듈은 별개의 통신부(210)를 가진 복수의 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IoT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통신모듈을 이용하면 설정된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통신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 검색플랫폼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텍스트정보,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서버(2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서버(200)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등이 서버(2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23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복수의 지출관련 증빙자료 중 제1증빙자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1촬상이미지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기 설치된 인공지능 기반 OCR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1촬상이미지에 포함된 제1텍스트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먼저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때 수신된 이미지는 지출과 관련된 영수증이나 청구서와 같은 문서의 디지털 사본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저장부에 설치된 인공지능 기반 OC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 이미지에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이때 OCR 프로그램은 이미지 내의 문자를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며, 문자의 크기, 폰트, 레이아웃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며, 인식된 텍스트 정보에는 거래 날짜, 금액, 거래처 이름, 상품 또는 서비스의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치된 인공지능 기반 OCR 프로그램에서 인공지능은 컴퓨터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가 인간과 유사한 지능적 행동인 학습, 추론, 문제 해결, 인지, 그리고 언어 이해와 같은 인간의 지능적 기능을 모방하도록 다양한 알고리즘과 기계 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에서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측하거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모델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OCR 프로그램에서 인공지능은 이미지 내의 텍스트를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이때 텍스트의 다양한 폰트, 크기, 스타일, 그리고 레이아웃을 포함하여 복잡한 이미지 상황에서도 정확한 인식을 하도록 구현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OCR은 예컨대,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통합하여, 텍스트의 의미와 맥락을 더 잘 이해하고, 더 정확한 데이터 추출을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OCR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킨다. 즉, 대규모 데이터셋에서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문서 형태와 텍스트 조건에 대한 인식 능력을 개선하며,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그램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제1텍스트정보에 기초하여 제1텍스트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지출정보를 기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먼저 OCR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된 텍스트 정보, 즉 제1텍스트정보를 분석하며, 이때 텍스트정보에는 지출의 세부 사항, 예컨대, 거래날짜, 거래금액, 승인번호, 승인금액, 승인일시, 판매자, 가맹점명, 대표자, 카드번호, 상품 또는 서비스의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 과정에서 제어부는 이러한 텍스트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매핑하며, 이때 복수의 카테고리는 식비, 교통비, 엔터테인먼트, 유틸리티 비용과 같이 지출의 성격에 따라 구분된다. 각 지출 항목은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자동으로 할당되며, 이는 데이터의 구조화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이렇게 분류된 지출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지출 패턴을 분석하고, 예산 관리, 비용 추적 및 재정적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활용하며, 예컨대, 특정 카테고리의 지출이 예산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지출을 조정할 수 있는 권장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카테고리는 지출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 또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한 제1카테고리, 업체정보에 대금을 지불하는 신용카드정보에 대한 제2카테고리 및 업체정보에 제공하는 금액 및 시간에 대한 금액정보에 대한 제3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OCR을 통해 추출된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이러한 세부 정보를 식별하며, 제1카테고리에서 제어부는 텍스트정보에서 업체의 이름이나 제공하는 서비스 및 상품의 정보, 예컨대, 영수증에서 '카페', '레스토랑', '서점' 등의 업체 이름과 그들이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를 추출하고 분류한다.
또한, 제2카테고리에서는 거래에 사용된 신용카드 정보, 예컨대, 거래가 발생한 업체와 연계된 신용카드 회사, 카드 종류 등의 정보를 식별하며, 이는 지출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추적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카테고리에서는 영수증이나 청구서에서 추출되는 지출된 금액과 거래 시간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며, 이는 지출의 규모와 타이밍을 추적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복수의 지출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형태의 지출관련 증빙서류폼을 작성하고, 기 저장된 ERP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전표를 생성하여 이를 ERP 프로그램 내에 저장 및 업로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분류된 지출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단말기에 적합한 형식의 지출 증빙 서류폼을 준비하며, 해당 지출정보를 지출 증빙 서류폼의 항목에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이를 사용자단말기에서 확인하고 인쇄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며, 이때 지출 증빙 서류폼에는 영수증의 세부사항, 거래 날짜, 금액, 업체명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주석이나 설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생성된 지출 증빙 서류를 기업 자원 계획(ERP) 시스템과 연동되는 전표 형태로 변환하며, 이때 전표는 ERP 시스템의 요구 사항과 호환되는 형식으로 작성되며, 지출 관리 및 회계 처리에 필요한 모든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이러한 전표를 ERP 시스템 내에 저장하고 업로드하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ERP 시스템의 지출 관리 및 회계 처리 기능을 지원하도록 하여, 기업의 재무 관리 및 보고 과정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RP 프로그램은 기업 자원 계획(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의 일부로, 조직의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ERP 프로그램은 조직 내의 정보 흐름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관리를 중앙화하여 비즈니스 결정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ERP 시스템은 재무 관리, 인적 자원 관리, 제조 및 공급망 관리, 고객 관계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의 복수의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조직 내의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RP 프로그램은 회계, 재정 보고, 성과 관리, 지출 추적 및 분석 등을 포함하여, 조직의 재정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무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회계 및 재무 관련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법인 또는 사업체 내에서 임직원들이 사용하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지출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의 연료 충전 내역을 OCR을 통해 자동으로 추출하고 분석하여, 연료비의 변동 추세, 평균 연료 소비율, 그리고 예상 연료비용을 포함한 연료와 관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먼저 차량의 연료 충전 영수증을 스캔하고, OCR 기술을 사용하여 영수증에서 필요한 정보, 즉 연료의 종류, 충전된 양, 충전 비용, 충전 날짜 등을 추출하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료 가격의 변화, 계절별 또는 월별 연료 소비 패턴을 포함한 연료비의 변동 추세를 파악하고, 평균 연료 소비율을 계산하여, 차량의 연료 효율성 및 예상 연료비용을 추정하며, 이를 통해 차량 운행과 관련된 비용 관리를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의 유지보수 및 수리비 영수증을 스캔하고, 이를 관련 카테고리에 자동 분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 유지보수 및 수리와 관련된 영수증을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는 OCR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로 변환되며, 이를 통해 수리 날짜, 수리 비용, 수리 항목,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이 데이터를 차량 유지보수 및 수리비용에 관한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하며, 분류 과정에서 각 영수증의 내용을 분석하여, 수리비용, 부품 교체비, 정비 비용 등과 같이 세부적인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고, 이는 차량 관리 및 비용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향후 비용 추적 및 분석, 예산 계획, 유지보수 스케줄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 관련 주차비와 통행료의 영수증을 식별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총 지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차량과 관련된 주차비 및 통행료 영수증을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나 다른 스캔 장치를 통해 디지털 형태로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는 OCR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정보를 추출하고, 이때 추출된 정보는 날짜, 금액, 위치, 주차 시간 또는 통행 구간 등의 세부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를 주차비 및 통행료와 관련된 카테고리에 자동으로 분류하고, 이를 차량 운행 관련 지출의 일부로 기록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총 지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차비와 통행료의 전체적인 지출 패턴을 파악하고, 이러한 비용이 전체 차량 운영 비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여 예산 초과를 방지하고 비용 절감 기회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운행과 관련된 주차비와 통행료 지출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재정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 보험료와 세금 관련 문서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보험료 및 세금 지출의 연간 총액을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차량 보험 정책서, 세금 고지서 등의 문서를 사용자단말기의 카메라나 다른 디지털 스캐닝 장치를 통해 디지털 형태로 캡처하고, 캡처된 문서 이미지는 OCR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로 변환되고, 이에 기초하여 정보가 추출되며, 추출된 정보에는 보험료의 금액, 지불 날짜, 보험 기간, 세금의 종류 및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데이터를 차량 보험료 및 세금과 관련된 카테고리에 자동으로 분류하고, 이를 차량 운영 비용의 일부로 기록하며, 제어부는 이렇게 분류된 보험료와 세금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간 총액을 계산하여 차량의 보험 및 세금 지출에 대응하는 예산 계획을 수립하고, 비용 절감 기회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보험료와 세금 관련 문서를 효과적으로 디지털화하고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관련 재정적 의사결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차량의 운행 데이터와 지출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경제성수치를 초과하면, 연료 효율이 좋은 경로 추천 및 비효율적인 운행 습관 개선을 권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운행 거리, 속도, 주행 시간, 연료 소비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운행 데이터, 차량의 연료비, 유지보수 비용, 연료 효율성, 유지보수 비용 대비 이동 효율성 및 다른 운행 관련 지출을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운행 경제성을 평가하며, 기 설정된 경제성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며, 또한 트래픽 패턴, 도로 조건, 주행 거리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연료 효율이 좋은 경로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제어부는 비효율적인 운행 습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개선 권고, 예컨대 과속, 잦은 정차 및 출발, 불필요한 장거리 운행을 개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정된 경제성수치는 [수학식1]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1]
상기 [수학식1]에서 z는 유지보수 빈도 대비 평균 유지보수 비용을 의미하며, y는 차량의 월평균 연료비용을 의미하며, x는 차량의 평균 주행거리(km)를 의미하며, Eco는 경제성수치를 의미한다. 즉, [수학식1]은 차량의 경제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차량에 대한 지출비용을 변수로 하여 경제성을 계산하며, 이때 로그와 지수함수는 각 변수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반영하도록 하여 차량운행과 관련된 비용 및 효율성이 통합적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성이 향상된 경제성수치를 도출하여 지출 및 비용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100: 사용자단말기
110: 사용자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Claims (3)

  1.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지출승인을 위한 지출관련 증빙자료를 촬상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기 설치된 지출관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복수의 지출관련 증빙자료 중 제1증빙자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제1촬상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설치된 인공지능 기반 OCR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제1촬상이미지에 포함된 제1텍스트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텍스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텍스트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지출정보를 기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지출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 또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한 제1카테고리, 상기 업체정보에 대금을 지불하는 신용카드정보에 대한 제2카테고리 및 상기 업체정보에 제공하는 금액 및 시간에 대한 금액정보에 대한 제3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지출정보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형태의 지출관련 증빙서류폼을 작성하고, 기 저장된 ERP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전표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ERP 프로그램 내에 저장 및 업로드하며,
    상기 제어부는 법인 또는 사업체 중 적어도 하나에서 금액을 지불하는 운행차량에 대한 연료충전내역을 OCR에 기초하여 연료와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여 차량의 예상 연료비용을 추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유지보수 및 수리비에 대한 영수증 이미지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저장부에 차량 유지보수 및 수리비용에 관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이에 기초하여 유지보수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과 관련된 주차비 및 통행료 영수증 이미지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날짜, 금액, 위치, 주차 시간 또는 통행 구간을 포함한 운영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운영정보에 기초하여 주차비와 통행료 지출의 비용절감기회를 식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행 데이터와 지출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경제성수치를 초과하면, 연료 효율이 좋은 경로 추천 및 비효율적인 운행 습관 개선을 권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경제성수치를 하기 [수학식1]에 기초하여 도출하며,

    [수학식1]
    상기 [수학식1]에서 z는 유지보수 빈도 대비 평균 유지보수 비용을 의미하며, y는 차량의 월평균 연료비용을 의미하며, x는 차량의 평균 주행거리(km)를 의미하며, Eco는 경제성수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182120A 2023-12-14 2023-12-14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102645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2120A KR102645180B1 (ko) 2023-12-14 2023-12-14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2120A KR102645180B1 (ko) 2023-12-14 2023-12-14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180B1 true KR102645180B1 (ko) 2024-03-07

Family

ID=9027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2120A KR102645180B1 (ko) 2023-12-14 2023-12-14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262A (ko) * 2016-11-22 2018-05-30 노은경 영수증을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KR20190079040A (ko) * 2017-12-27 2019-07-05 이현주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5870A (ko)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스팬딧 경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비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262A (ko) * 2016-11-22 2018-05-30 노은경 영수증을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KR20190079040A (ko) * 2017-12-27 2019-07-05 이현주 업무용 차량 운행기록부 자동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5870A (ko)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스팬딧 경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비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185B2 (en) System and methods of an expense management system based upon business document analysis
US105154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113217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20220165104A1 (en) Securitized and encrypted data for vehicle service concierge (sc) devices and systems that provide and predict improved operations and outcomes
US90585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90585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document processing and business workflow integration
US11593592B2 (en) Intelligent payment process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10019535B1 (en) Template-free extraction of data from documents
US9349046B2 (en)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tension for context-dependent workflows
CN110544161A (zh) 基于票据数据自动提取的财务费用稽核方法以及装置
US9767088B2 (en) Stroke autocompletion in a form
EP3608866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tax liability of entity
CN112395996A (zh) 财务票据ocr识别及影像处理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20180285982A1 (en) Automated field-mapping of account names for form population
US20210312560A1 (en)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asticity analysis
KR20190139546A (ko) 세금 신고에 관한 상세 세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세무 처리 장치
CN111914729A (zh) 凭证关联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4010821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ccounting
Sabab et al. eExpense: a smart approach to track everyday expense
KR102645180B1 (ko) Ocr을 이용한 지출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US202001935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erification of expense note
CN112949601A (zh) 一种电子账本关联凭证分析方法、装置及系统
KR101145427B1 (ko) 결의서를 이용한 자동 분개방법
CN113034258A (zh) 一种税务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attar Analysis and Comparison of invoice data extractio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