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822A -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822A
KR20190078822A KR1020170180516A KR20170180516A KR20190078822A KR 20190078822 A KR20190078822 A KR 20190078822A KR 1020170180516 A KR1020170180516 A KR 1020170180516A KR 20170180516 A KR20170180516 A KR 20170180516A KR 20190078822 A KR20190078822 A KR 20190078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m
mobile device
call
telephone number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이정엄
김선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822A/ko
Publication of KR2019007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핸즈 프리 기능을 이용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전화의 스팸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 등의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은,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HEAD UNIT OF VEHICLE AND TELEPHONE CALL MANAGEMENT MTE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관리에 관한 것이다.
일명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최근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는 기존의 단순한 입력 장치(키보드와 마우스, 스피커 등)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들로 확장되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도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헤드 유닛과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연결은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이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 무선 접속을 통해 제어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헤드 유닛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은 핸즈 프리(Hands Free)라 불리는 편리한 기능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핸즈 프리는 헤드 유닛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되어 있을 때 운전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등에 마련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핸즈 프리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스팸 전화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스팸 전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핸즈 프리 기능을 이용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전화의 스팸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 등의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통과 관리 방법은,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상기 스팸 지수가 낮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상기 스팸 지수가 높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상기 스팸 지수가 중간일 때 상기 통화를 보류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은,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록 전화 번호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한 통화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상기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는 사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헤드 유닛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스팸 지수가 낮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스팸 지수가 높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스팸 지수가 중간일 때 상기 통화를 보류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록 전화 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한 통화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는 사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헤드 유닛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통화 관리 방법은,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헤드 유닛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며,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핸즈 프리 기능을 이용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전화의 스팸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 등의 조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를 위한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를 위한 스팸 판단 기준 및 정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100)에 마련되는 헤드 유닛(102)은 AVN(Audio/Video/Navigation)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텔레매틱스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헤드 유닛(10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케이블을 통해 유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헤드 유닛(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연결을 통해 운전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핸즈 프리(Hands-Fre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핸즈 프리 기능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헤드 유닛(100)이 블루투스 페어링 및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전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직접 조작하는 대신 자동차(100)에 마련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핸즈 프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를 위한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를 위한 제어 계통은 자동차(100)에 마련되는 헤드 유닛(102)과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 자동차(100) 내에서 헤드 유닛(102)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포함한다.
헤드 유닛(10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관리를 위해 통신부(232)와 통화 관리부(234), 디스플레이(236)를 포함한다.
통신부(232)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 또는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와 통신하여 스팸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와는 캔(Control Area Network, CAN)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때는 헤드 유닛(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연결을 통해 헤드 유닛(110)이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에 접근할 수 있다. 원격지의 서버에 위치한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와는 텔레매틱스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화 관리부(234)는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핸즈 프리 기능에 기초한 통화의 연결/차단/보류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236)는 헤드 유닛(102)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헤드 유닛(102)의 디스플레이(23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팸 관리 결과를 표출함으로써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헤드 유닛(102)의 제어부(238)는 헤드 유닛(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8)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과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121)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신 전화 번호의 스팸 여부를 판단하고, 스팸 판단 결과에 따른 통화의 연결/차단/보류 등의 조치를 취한다.
도 2에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가 자동차(100) 내에 마련되어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 다른 경우로서,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마련되는 스팸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지정된 스팸 전화 번호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설치된 통화 관련 앱(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되는 스팸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는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된다.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에는 이미 스팸 전화 번호로 확인된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에는 스팸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스팸 관련 자료, 예를 들면 발신 전화 번호에 대한 사용자 리뷰나 스팸 신고 횟수와 같은 다양한 스팸 판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헤드 유닛(102)은 통신부(232)를 통해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와 통신하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스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마련되는 주소록(25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등록한 전화 번호와 이메일, 주소 등이 저장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스팸 번호의 정보가 저장된다. 헤드 유닛(102)의 제어부(238)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지정한 스팸 번호의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의 통화 관리 방법에서, AVN(102)의 제어부(238)는 AVN(102)에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통화가 수신되면 통화를 연결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과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를 차례로 검색하여 발신 전화 번호가 스팸 번호인지를 확인한다.
먼저 도 3A에서, AVN(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면, AVN(102)의 제어부(238)는 AVN(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연결을 인식하고 AVN(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이벤트 발생에 대비한다.
AVN(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238)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통화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314). 통화의 수신은 수신된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AVN(102)과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통화가 수신되면(314의 '예'), 제어부(238)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들을 검색한다(316). 주소록(252)의 검색은 발신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전화 번호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통화의 '수신'은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화가 걸려 온 것 자체를 의미하며, 통화의 수신 및 확인은 아직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만약 발신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전화 번호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에 저장되어 있으면(318의 '예'), 제어부(238)는 발신 전화 번호가 스팸 전화 번호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헤드 유닛(102)의 핸즈 프리 기능을 통해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320).
이 때 제어부(238)는 발신 전화 번호의 주소록 등재 이름을 오디오 형태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후 통화를 연결함으로써 운전자가 발신인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차(100)가 운행을 잠시 멈추고 정차하거나 또는 아니면 자동차(100)의 시동을 끄고 자동차(100)에서 하차하면(392의 '예'), 제어부(238)는 자동차(100)가 운행하는 동안 발생했던 스팸 관련 이벤트의 내용을 요약하여 표출함으로써 운전자가 스팸 관련 이벤트에 대한 처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394). 표출되는 내용은, 발신 전화 번호의 내역과, '통화 연결'과 '통화 차단', '통화 보류'의 조치가 이루어진 전화 번호의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팸 관련 이벤트에 대한 처리 내용의 표출은 헤드 유닛(102)의 디스플레이(236)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256)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에서, 만약 발신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전화 번호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318의 '아니오'), 제어부(238)는 로컬 스팸 데이베이스(202)를 검색한다(352). 로컬 스팸 데이베이스(202)의 검색은 발신 전화 번호가 운전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전화 번호이므로 스팸 전화 번호일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스팸 여부를 더욱 정확히 판단하기 위함이다.
만약 발신 전화 번호가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되어 있다면(354의 '예'), 제어부(238)는 해당 통화를 차단한다(356). 발신 전화 번호가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되어 있는 것은 발신 전화 번호가 스팸 전화 번호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238)는 운전자의 개입없이 바로 해당 통화를 차단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통화 차단 이후 자동차(100)의 정차 또는 운전자의 하차 여부에 따라 앞서 설명한 392 및 394의 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만약 발신 전화 번호가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354의 '아니오'), 제어부(238)는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와의 연결을 시도한다(372).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주소록(252)에도 저장되어 있지 않아서 스팸 전화 번호로 의심됨에 따라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를 검색하였으나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354의 '아니오'), 제어부(238)는 스팸 전화 번호 여부를 더욱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를 검색하기 위해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만약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로의 연결에 성공하면(374의 '예'), 제어부(238)는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를 검색하여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한다(376). 앞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의 검색을 통한 스팸 판단은 발신 전화 번호가 모바일 디바이스(110) 도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등록)되어 있는지를 단순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와 달리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를 이용한 스팸 판단은, 단순 비교를 통한 스팸 확인 뿐만 아니라, 스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스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8)가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스팸 가능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에는 이미 스팸 전화 번호로 확인된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에는 스팸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스팸 관련 자료, 예를 들면 발신 전화 번호에 대한 사용자 리뷰와 스팸 신고 횟수와 같은 스팸 판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38)는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스팸 지수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발신 전화 번호가 이미 스팸 전화 번호로 확인된 경우에는 해당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는 100%이다. 만약 발신 전화 번호에 대한 사용자 리뷰의 상당 수가 스팸을 의심하고 있고, 실제로 스팸으로 신고한 횟수가 상당하다면 해당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는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반대로 발신 전화 번호에 대한 사용자 리뷰 가운데 비교적 적은 수의 리뷰가 스팸을 의심할 뿐이고, 실제로 스팸으로 신고한 횟수도 비교적 적다면 해당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는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다.
제어부(238)는,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생성한 스팸 지수가 몇 %인지에 따라 '통화 연결'과 '통화 차단', '통화 보류'의 조치를 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통화 관리를 위한 스팸 판단 기준 및 정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팸 지수가 50% 이상이면(높음) '통화 차단', 스팸 지수가 40% 이상이고 50% 미만이면(중간) '통화 보류', 스팸 지수가 40% 미만이면(낮음) '통화 연결'의 정책을 취할 수 있다. 스팸 지수의 구간 구획은 도 4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양태로 스팸 지수의 구간을 나누어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팸 지수가 40% 미만이면(378의 '40% 미만'), 제어부(238)는 발신 전화 번호가 스팸 전화 번호일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헤드 유닛(102)의 핸즈 프리 기능을 통해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320).
이와 달리, 스팸 지수가 40% 이상이고 50% 미만이면(378의 '40% 이상 50% 미만'), 제어부(238)는 발신 전화 번호가 스팸 전화 번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통화를 보류한다. '통화 보류'는 걸려온 통화에 대해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통화 보류 시에는, 걸려온 전화를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상대방이 전화를 끊거나 또는 지정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통화가 끊어지도록 한다.
이와 달리, 스팸 지수가 50% 이상이면(378의 '50% 이상), 제어부(238)는 발신 전화 번호가 스팸 전화 번호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해당 통화를 차단한다(356). 발신 전화 번호가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스팸 지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제어부(238)는 운전자의 개입없이 바로 해당 통화를 차단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통화 보류(380) 이후 자동차(100)의 정차 또는 운전자의 하차 여부에 따라 앞서 설명한 392 및 394의 단계로 진행한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차
102 : 헤드 유닛(AVN)
110 : 모바일 디바이스
202 :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
212 : 외부 스팸 데이터베이스
232 : 통신부
234 : 통화 관리부
236 : 디스플레이
238 : 제어부
252 : 주소록
254 : 디스플레이

Claims (20)

  1.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가 낮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가 높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가 중간일 때 상기 통화를 보류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록 전화 번호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한 통화 처리를 수행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는 사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헤드 유닛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인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10.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가 낮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가 높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지수가 중간일 때 상기 통화를 보류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록 전화 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한 통화 처리를 수행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는 사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헤드 유닛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로컬 스팸 데이터베이스인 자동차의 헤드 유닛.
  19.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20.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걸려온 통화의 발신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연결하며,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를 차단하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상기 발신 전화 번호가 제 1 스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 원격지의 서버에 마련되는 제 2 스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한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발신 전화 번호의 스팸 지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스팸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의 연결과 차단, 보류 가운데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KR1020170180516A 2017-12-27 2017-12-27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KR20190078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16A KR20190078822A (ko) 2017-12-27 2017-12-27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16A KR20190078822A (ko) 2017-12-27 2017-12-27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22A true KR20190078822A (ko) 2019-07-05

Family

ID=6722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16A KR20190078822A (ko) 2017-12-27 2017-12-27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4412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first responders of vehicle accidents
US8787987B2 (en) Configuring of vehicle communications modules
WO2016134630A1 (zh) 一种识别恶意电话的方法和装置
CN110489949B (zh) 车辆及其车载终端隐私设置方法
CA3054923C (en) System and method to perform safety operations in association with a network service
US8682307B2 (en) Device-interoperability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 interoperability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vehicle
CN102404380B (zh) 服务传输网络
CN108377478B (zh) 一种业务提示方法、装置、车载终端及存储介质
CN108353101B (zh) 用于在多个通信平台上建立通信的系统和方法
US986666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3005205A (ja) 悪質電話防止装置、悪質電話防止システム
CN114283570B (zh) 控制车辆的方法、装置、车辆、电子设备和介质
JP6595842B2 (ja) 事故発生時における顧客サービスに関連する情報処理技術
KR101736296B1 (ko) 텔레메틱스 서비스 품질 점검 시스템
KR20190078822A (ko)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자동차의 통화 관리 방법
CN107451921A (zh) 用于授权保险和注册保险单的车辆计算机系统
KR102628022B1 (ko) 통화 녹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7094A (ko) 안티 피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6287A (ko) 보이스 피싱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0876A (ko) 택시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195940B2 (en) Vehicle task recommendation system
KR20190011503A (ko) 차량 운전자 통신 보조 인프라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운전자 휴대폰 법규 충족 방법
KR20160037663A (ko) 차량의 속도에 따라 통화 연결을 처리하는 차량용 단말기 및 방법
KR101874684B1 (ko) 통신 링크의 가용성과 관련한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정보 시스템
CN115175155A (zh) 车内通话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