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386A -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386A
KR20190078386A KR1020170180256A KR20170180256A KR20190078386A KR 20190078386 A KR20190078386 A KR 20190078386A KR 1020170180256 A KR1020170180256 A KR 1020170180256A KR 20170180256 A KR20170180256 A KR 20170180256A KR 20190078386 A KR20190078386 A KR 20190078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ncave
side plate
battery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965B1 (ko
Inventor
주은아
서성원
진희준
이윤구
문정오
트랙 안드레아스
아이히호른 알렉산더
브로콥 발렌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8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96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8/015113 priority patent/WO2019132276A1/ko
Priority to PL18895603.1T priority patent/PL3627584T3/pl
Priority to ES18895603T priority patent/ES2966918T3/es
Priority to JP2019566233A priority patent/JP7094599B2/ja
Priority to CN201880042584.5A priority patent/CN110800124B/zh
Priority to US16/618,993 priority patent/US11302982B2/en
Priority to EP18895603.1A priority patent/EP3627584B1/en
Priority to HUE18895603A priority patent/HUE064485T2/hu
Publication of KR2019007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팩 트레이, 상기 팩 트레이 상에 위치하는 제1 엑스 바, 상기 팩 트레이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의 측면을 덮는 측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엑스 바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엑스 바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엑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와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전지 모듈을 마운팅하기 위한 고정 구조를 갖는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휴대폰, 카메라 등의 소형 디바이스에는 하나의 전지셀이 팩킹되어 있는 소형 전지팩이 사용되나, 노트북, 전기 자동차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한 전지 모듈 또는 전지팩이 팩킹되어 있는 중형 또는 대형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다수의 전지셀을 연결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2 이상의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다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전지 모듈 어셈블리에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지 팩을 구성할 때, 다수의 전지 모듈 사이에 전기적 연결 및 기계적 연결이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 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복수의 전지 모듈(110)을 팩 트레이(100) 상에 정렬하고, 마운팅 볼트(130)를 통해 팩 트레이(100)에 마운팅하고, 이웃하는 전지 모듈(110) 사이에 충격 흡수 기둥(120)을 형성하여 전지 팩 구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마운팅 볼트(130)를 위한 별도 공간이 필요하고, 충격 흡수 기둥(120)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전지 팩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제한을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운팅을 위한 별도 공간 없이 전지 팩의 강성을 보강하고, 전지 모듈을 고정할 수 있는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팩 트레이, 상기 팩 트레이 상에 위치하는 제1 엑스 바, 상기 팩 트레이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의 측면을 덮는 측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엑스 바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엑스 바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엑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와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는 복수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 체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 구조는 상기 제2 엑스 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엑스 바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엑스 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요철부는 상기 제1 엑스 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1 엑스 바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부 하단에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 그리고 상기 제2 엑스 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부 상단에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3 요철부 및 제4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1 엑스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엑스 바는 "ㅗ"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엑스 바는 "ㅜ"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는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 중 서로 이웃하는 전지 모듈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는 상기 전지 모듈의 단변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앞에서 설명한 전지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방법은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팩 트레이 상에 "ㅗ"형상의 제1 엑스 바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엑스 바가 요철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엑스 바 위에 "ㅜ"형상의 제2 엑스 바를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엑스 바는 상기 제1 엑스 바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뻗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전지 팩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를 복수의 볼트 체결 구조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엑스 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1 엑스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 모듈의 측면 플레이트를 전지 팩의 엑스 바(X-bar)에 조립함으로써 전지 모듈을 전지 팩에 마운팅하도록 하여 측면 플레이트가 전지 팩의 충격 흡수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지 팩의 엑스 바를 두 개로 분리하여 전지 팩 강성을 보강하면서 동시에전지 모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전지 모듈의 마운팅을 위한 별도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전지 팩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 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지 팩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지 팩에서 한 행의 전지 모듈들을 제거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F 방향을 향해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의 측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요철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팩 트레이(200)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지 모듈(210a, 210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지 모듈(210a, 210b)은 도 2에서 4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팩 트레이(200) 상에 y 방향을 따라 2개의 행에 각각 전지 모듈(210a, 210b)이 6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복수의 전지 모듈(210a, 210b)은 2개의 행에 각각 6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갖지만, 필요한 용량 및 전지 팩이 장착되는 대상 구조물에 따라 2행 및 6열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지 모듈은 2 이상의 전지셀을 포함한다.
도 2에서 각 행의 전지 모듈(210a, 210b) 사이에는 제1 엑스 바(230a)와 제2 엑스 바(230b)가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220)가 전지 모듈(210a, 210b)의 측면을 덮고 있다. 이때,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220)는 제1 엑스 바(230a) 및 제2 엑스 바(230b)를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지 팩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지 팩에서 한 행의 전지 모듈들을 제거한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전지 모듈(210)의 측면은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220)로 덮여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복수의 전지 모듈 가운데 서로 이웃하는 전지 모듈(210a, 210b)이 만나는 경계 영역을 중심으로 부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지 모듈(210a)과 제2 전지 모듈(210b) 사이에 제1 엑스 바(230a)와 제2 엑스 바(230b)를 포함하는 엑스 바(230)가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엑스 바(230a)는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어 있고, 제2 엑스 바(230b)는 제1 엑스 바(230a) 상에 배치되며, 제1 엑스 바(230a)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뻗어 있다. 즉, 제1 엑스 바(230a)와 제2 엑스 바(230b)는 서로 z축 방향으로 중첩하면서, y축 방향으로 길게 뻗는 막대 모양일 수 있다. 제1 엑스 바(230a)는 "ㅗ"형상을 갖고, 제2 엑스 바(230b)는 "ㅜ"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엑스 바(230a)와 제2 엑스 바(230b)는 복수의 체결 부재(25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체결 부재(250)는 볼트 체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220)는 "ㅗ"형상을 갖는 제1 엑스 바(230a) 및/또는 "ㅜ"형상을 갖는 제2 엑스 바(230b)와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를 통해 측면 플레이트(220)가 제1 엑스 바(230a) 및/또는 제2 엑스 바(230b)에 조립된다. 따라서, 이처럼 전지 모듈을 전지 팩에 마운팅하는 구조를 통해, 측면 플레이트(220)는 종래에 전지 팩 구조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했던 다수의 충격 흡수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절단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체결 부재(250)는 제2 엑스 바(230b)를 관통하여 제1 엑스 바(230a)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F 방향을 따라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의 측면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엑스 바(230a)의 양측 및 제2 엑스 바(230b)의 양측과 결합하도록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고리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양 가장자리와 제1 엑스 바(230a)는 요철부(235a, 235b)를 형성하고,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양 가장자리와 제2 엑스 바(230b)는 요철부(235c, 235d)를 형성한다.
요철부(235)는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와 제1 엑스 바(230a)가 만나는 부분 및/또는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와 제2 엑스 바(230b)가 만나는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제1 엑스 바(23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 및 제1 엑스 바(230a)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220) 단부 하단에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1 요철부(235a) 및 제2 요철부(235b), 그리고 제2 엑스 바(230b)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220) 단부 상단에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3 요철부(235c) 및 제4 요철부(235d)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철부(235)를 나타내고 있다.
요철부(235)의 역할이 측면 플레이트(220)와 제1 엑스 바(230a) 및/또는 제2 엑스 바(230b)의 조립에 의해 전지 모듈을 전지 팩에 마운팅하기 위한 것이므로, 고정력 향상을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양 가장자리와 제1 엑스 바(230a) 및 제2 엑스 바(230b)가 만나는 부분에 총 4개가 형성되거나 4개 이상 요철부(23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엑스바(230a)와 제2 엑스바(230b) 중 어느 하나와 측면 플레이트(220) 사이에 형성된 요철부에 의해 필요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변형 실시예로 제1 엑스바(230a)와 제2 엑스바(230b) 중 어느 하나와 측면 플레이트(220) 사이에서만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와 측면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측면 플레이트(220)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장 오른쪽 부분이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에 해당하고,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양 가장자리에는 각각 돌출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34)는 도 6의 제1 엑스 바(230a) 및 제2 엑스 바(230b) 각각의 좌측편 및 우측편에 형성된 오목부와 맞물려서 요철부(235)를 형성한다. 이러한 요철부(235) 구조의 변형예로서, 도 8을 참고하면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양 가장자리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에 맞물리는 돌출부가 제1 엑스 바(230a') 및 제2 엑스 바(230b') 각각의 좌측편 및 우측편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팩 트레이(200) 상에 "ㅗ"형상의 제1 엑스 바(230a)를 부착한다. 제1 엑스 바(230a)는 용접에 의해 팩 트레이(200)와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엑스 바(230a)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복수의 전지 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220)를 팩 트레이(200) 상에 배치하고, 이때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하단의 고리 형상이 제1 엑스 바(230a)의 오목부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1 엑스 바(230a) 위에 "ㅜ"형상의 제2 엑스 바(230b)를 배치한다. 이때, 제2 엑스 바(230b)의 오목부가 측면 플레이트(220)의 단부 상단의 고리 형상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제2 엑스 바(230b)는 제1 엑스 바(230a)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220) 사이에 복수의 전지 모듈(210a, 210b)을 배치하고, 제1 엑스 바(230a)와 제2 엑스 바(230b)가 체결 부재(250)에 의해 결합된다. 체결 부재(250)는 복수의 볼트 체결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팩 트레이
210, 210a, 210b: 전지 모듈
220: 측면 플레이트
230: 제1 엑스 바
240: 제2 엑스 바
250: 체결 부재

Claims (16)

  1. 팩 트레이,
    상기 팩 트레이 상에 위치하는 제1 엑스 바,
    상기 팩 트레이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의 측면을 덮는 측면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엑스 바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엑스 바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엑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와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는 전지 팩.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는 복수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전지 팩.
  3. 제2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 체결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 팩.
  4. 제3항에서,
    상기 볼트 체결 구조는 상기 제2 엑스 바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엑스 바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전지 팩.
  5. 제1항에서,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엑스 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전지 팩.
  6. 제5항에서,
    상기 요철 구조는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요철부는
    상기 제1 엑스 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1 엑스 바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부 하단에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 그리고
    상기 제2 엑스 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단부 상단에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제3 요철부 및 제4 요철부를 포함하는 전지 팩.
  7. 제1항에서,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1 엑스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지 팩.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엑스 바는 "ㅗ"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엑스 바는 "ㅜ"형상을 갖는 전지 팩.
  9. 제1항에서,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는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 중 서로 이웃하는 전지 모듈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 팩.
  10. 제9항에서,
    상기 전지 모듈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는 상기 전지 모듈의 단변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전지 팩.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지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팩 트레이 상에 "ㅗ"형상의 제1 엑스 바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엑스 바가 요철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엑스 바 위에 "ㅜ"형상의 제2 엑스 바를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전지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엑스 바는 상기 제1 엑스 바와 중첩하면서 나란하게 뻗도록 배치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14. 제12항에서,
    상기 제1 엑스 바와 상기 제2 엑스 바를 복수의 볼트 체결 구조에 의해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15. 제12항에서,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1 엑스 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16. 제12항에서,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1 엑스바 및 상기 제2 엑스 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전지 팩 제조 방법.
KR1020170180256A 2017-12-26 2017-12-26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56A KR102241965B1 (ko) 2017-12-26 2017-12-26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L18895603.1T PL3627584T3 (pl) 2017-12-26 2018-11-30 Pakiet akumulatorowy i sposób jego wytwarzania
ES18895603T ES2966918T3 (es) 2017-12-26 2018-11-30 Paquete de batería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JP2019566233A JP7094599B2 (ja) 2017-12-26 2018-11-30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8/015113 WO2019132276A1 (ko) 2017-12-26 2018-11-30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880042584.5A CN110800124B (zh) 2017-12-26 2018-11-30 电池组及其制造方法
US16/618,993 US11302982B2 (en) 2017-12-26 2018-11-30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8895603.1A EP3627584B1 (en) 2017-12-26 2018-11-30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UE18895603A HUE064485T2 (hu) 2017-12-26 2018-11-30 Akkumulátor telep és eljárás annak elõállításá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56A KR102241965B1 (ko) 2017-12-26 2017-12-26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386A true KR20190078386A (ko) 2019-07-04
KR102241965B1 KR102241965B1 (ko) 2021-04-16

Family

ID=6706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256A KR102241965B1 (ko) 2017-12-26 2017-12-26 전지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02982B2 (ko)
EP (1) EP3627584B1 (ko)
JP (1) JP7094599B2 (ko)
KR (1) KR102241965B1 (ko)
CN (1) CN110800124B (ko)
ES (1) ES2966918T3 (ko)
HU (1) HUE064485T2 (ko)
PL (1) PL3627584T3 (ko)
WO (1) WO20191322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61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3234573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4029814A1 (ko) * 2022-08-04 2024-0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9510A (zh) * 2019-12-31 2020-04-17 安徽星玛新能源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电池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3007A1 (ja) * 2012-12-28 2014-07-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組電池
WO2016129473A1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2017021996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位置決め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パック、位置決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6368A (de) * 1962-11-09 1965-07-31 Beit Peter Aus Profilschienen und Plattenelementen gebildete Trennwand
JP3233320B2 (ja) * 1994-01-14 2001-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ボックスのバッテリー固定装置
JP3309696B2 (ja) * 1996-03-05 2002-07-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構造
JP2011034775A (ja) * 2009-07-31 2011-02-17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の冷却構造、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5541100B2 (ja) 2010-11-10 2014-07-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トレー
KR101212552B1 (ko) 2010-11-29 2012-12-1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구조
US9450219B2 (en) 2011-09-15 2016-09-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749190B1 (ko) 2013-05-29 2017-07-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749191B1 (ko) * 2013-05-29 2017-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40140795A (ko)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1588251B1 (ko) 2013-06-11 2016-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05282543U (zh) * 2016-01-03 2016-06-01 天津中科锂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插装型柱形锂电池箱
DE102016115627A1 (de) 2016-08-23 2018-03-0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atterieträger mit Kühlsystem
DE102017104359A1 (de) 2017-03-02 2018-09-06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atteriegehäus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CN111033796B (zh) 2017-09-07 2022-11-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模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3007A1 (ja) * 2012-12-28 2014-07-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組電池
WO2016129473A1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2017021996A (ja) * 2015-07-10 2017-01-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位置決め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パック、位置決め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61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3234573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4029814A1 (ko) * 2022-08-04 2024-0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7584A4 (en) 2020-07-22
KR102241965B1 (ko) 2021-04-16
EP3627584B1 (en) 2023-11-22
US11302982B2 (en) 2022-04-12
CN110800124A (zh) 2020-02-14
WO2019132276A1 (ko) 2019-07-04
CN110800124B (zh) 2022-11-25
HUE064485T2 (hu) 2024-03-28
JP2020522104A (ja) 2020-07-27
ES2966918T3 (es) 2024-04-25
JP7094599B2 (ja) 2022-07-04
PL3627584T3 (pl) 2024-03-11
EP3627584A1 (en) 2020-03-25
US20200144570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4599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40272B2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US10873114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EP2913864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JP6801107B2 (ja) 引出し型バッテリーパック
JP202254526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102288543B1 (ko) 배터리 팩
KR102223809B1 (ko) 2차 전지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102475180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170011212A (ko)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
KR20180132338A (ko)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EP4044352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101441210B1 (ko)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EP393401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2022027138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90061389A (ko) 연결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48009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328304B1 (ko) 2차 전지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20190074800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1996510B2 (en) Secondary battery cell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22014160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